KR20030052288A -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288A
KR20030052288A KR1020010081520A KR20010081520A KR20030052288A KR 20030052288 A KR20030052288 A KR 20030052288A KR 1020010081520 A KR1020010081520 A KR 1020010081520A KR 20010081520 A KR20010081520 A KR 20010081520A KR 20030052288 A KR20030052288 A KR 20030052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ir conditioner
input
volt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288A/ko
Publication of KR2003005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28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판단부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기설정된 소정의 보증전압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직류전압이 보증전압치 범위인 경우에 제어부로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서 공기조화기 내로 이상전압이 입력되어도, 상기 이상전압을 감지하여 제품을 정지시킴으로서, 이상전압으로부터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wer source control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기 위해서는, 교류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10a)와,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전압부(20a)와, 상기 정전압부(20a)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출력부(30a)와, 상기 직류전압이 입력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구성을 참고하여,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제어회로도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진 제어회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입력부(10a)는 트랜스(T)의 1차단(①)과 연결되어져 있고, 트랜스의 2차단은(②) 다이오드(D)와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D)는제어부(40a)와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와 제어부(40a) 사이에 캐패시터 1(C1)과 캐패시터 2(C2)가 각각 그라운드된다.
상기 제어회로도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전원이 입력되면, 트랜스(T)를 거쳐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은 다이오드(D)를 지나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은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상기 직류전압은 제어부(40a)에 입력된다. 이때, 여름철 다수의 사용자들로 인해서 공기조화기의 사용이 급증되면, 공기조화기 내로 유입되는 입력전원이 이상변동이 발생한다.
즉, 입력전압이 기설정되어진 소정의 보증전압치(V1=187~V2=254)를 벗어나 저전압이 입력될 경우, 압축기 및 팬 구동이 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어부(40a)에서는 압축기가 계속적으로 구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순간적인 돌입전류가 발생하여 제품구동이 불량해지는 원인이 된다.
한편, 입력전압의 소정의 보증전압치보다, 고전압이 인가될 시에는 그에 따른 사용전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휴즈 및 바리스터가 한계 허용치에서 벗어나 파손되고, 이에 따라 제품이 정지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소정의 보증전압치에서 벗어날 경우, 공기조화기가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입력전압이 입력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입력전압이 입력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진 제어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진 제어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전원이 입력되도록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b : 전원입력부 20b : 정전압부
30b : DC출력부 40b : 제어부
50 : 전원판단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입력전압의 보증전압치의 범위가 설정됨에 있어서, 교류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전압부와, 상기 정류전원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하는 직류전원출력부와, 상기 직류전원이 보증전압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직류전원이 보증전압치 범위값이면,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정상 구동을 위한 전압의 범위가 기설정된 보증전압치설정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로 교류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전원정류단계와, 상기 정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단계와, 상기 전원변환 후, 상기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출력단계와, 상기 출력된 직류전원이 상기 보증전압치인지를 판단하는 전압판단단계와, 상기 전압판단단계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입력전압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기 위해서는, 교류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10b)와,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전압부(20b)와, 상기 정전압부(20b)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출력부(30b)와, 상기 직류전압이 정상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판단부(50)와, 정상적인 직류전압이 입력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구성을 참고하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제어회로도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전원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진 제어회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입력부(10b)는 트랜스(T')의 1차단①과 연결되어져 있고, 트랜스(T)의 2차단②은 다이오드(D')와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 (D')는 전원판단부(50)와 연결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와 전원판단부(50) 사이에 캐패시터 1(C1')과 캐패시터 2(C2')가 각각 그라운드된다. 상기 전원판단부(50)는 저항1(R1),저항2(R2)가 직렬로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각각의 저항 사이로부터 제어부(40b)로 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전원판단부(50)는 DC출력부(30b)로부터 저항1(R1), 저항2(R2)를 삽입하여, 전원판단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회로도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전원이 입력되면, 트랜스(T')를 거쳐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은 다이오드(D')를 지나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은 변환되어 직류전압으로 형성된다. 상기 DC출력단(30b)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전원판단부(50)에서 정상적인 입력전압인지 판단한다. 상기 전원판단부(5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정상적인 입력전압인 경우, 제어부(40b)로 입력된다.
즉, 상기 전원판단부(50)는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압이 기설정되어져 있는 보증전압치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보증전압치의 범위를 벗어난 전압이 DC출력부(30b)로부터 출력되어 전원판단부(50)에 입력되어지면, 전원판단부(50)는 상기 신호를 제어부(40b)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0b)는 상기 직류전압에 대해서 OFF신호를 보내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 상기 OFF신호 출력시, 제품을 정지시키는 강제시간이 제어부(40b)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운전이 다시 온(ON)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정상적인 전원이 입력되도록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입력부(10b)를 통해서 전원을 입력한다(제 100 단계). 상기 전원입력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켜진다(제 200 단계).
이때, 상기 입력한 전원전압은 도 4에 도시된 제어회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입력부(10b)를 통해서 입력한 입력전원이 트랜스(T)의 2차단②을 거쳐, 디이오드(D')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이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직류전압은 DC출력부(30b)에 입력된다. 상기 DC출력부(30b)의 직류전압은 전원판단부(50)에 입력된다(제 300 단계).
이때, 전원판단부(50)에서 상기 입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소정의 보증전압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40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입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소정의 보증전압치의 범위에 벗어나는 전압값인 경우, 전원판단부(50)는 제어부(40b)로 상기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40b)는 상기 신호에 따라 제품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제 500 단계).
그러나 제품이 정지되는 강제정지시간을 소정시간 이하로 설정하여,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공기조화기가 다시 온(ON)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 400 단계에서 전원판단부(50)가 판단한 입력전압이 소정의 보증전압치의 범위 내인경우, 전원판단부(50)는 상기 입력전압을 제어부(40b)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b)는 공기조화기의 제어기능을 수행한다(제 600 단계).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판단부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기설정된 소정의 보증전압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직류전압이 보증전압치 범위인 경우에 제어부로 입력되어지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서 공기조화기 내로 이상전압이 입력되어도, 상기 이상전압을 감지하여 제품을 정지시킴으로서, 이상전압으로부터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공기조화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입력전압의 보증전압치의 범위가 설정됨에 있어서,
    교류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전압부와;
    상기 정류전원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하는 직류전원출력부와;
    상기 직류전원이 보증전압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직류전원이 보증전압치 범위값이면,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2. 공기조화기의 정상 구동을 위한 전압의 범위가 기설정된 보증전압치설정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로 교류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전원정류단계와;
    상기 정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단계와;
    상기 전원변환 후, 상기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출력단계와;
    상기 출력된 직류전원이 상기 보증전압치인지를 판단하는 전압판단단계와;
    상기 전압판단단계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방법.
  3.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보증전압치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품을 소정시간 정지한 후, 소정시간 후 다시 공기조화기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방법.
  4.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보증전압치라고 판단하면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방법.
  5. 상기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제어부에 기설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방법.
KR1020010081520A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52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520A KR20030052288A (ko)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520A KR20030052288A (ko)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88A true KR20030052288A (ko) 2003-06-27

Family

ID=2957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520A KR20030052288A (ko)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180B1 (ko) 공기조화기의 전류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20010014983A (ko) 전원공급장치, 방법 및 전자장치
KR015669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358764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30052288A (ko) 공기조화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US6535405B2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two AC power inputs
JP2001241732A (ja) マルチタイプ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1018527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180040878A (ko) 공기조화기의 전원 역상 검출 장치 및 방법
TWI785833B (zh) 具備異常電壓保護功能之門機及門機之異常電壓保護方法
KR100867192B1 (ko) 전원제어장치와 전원공급장치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그방법
JP2007225138A (ja) 空気調和機
KR10030856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원공급장치및 그 방법
JP2019158204A (ja) 空気調和機
JP3463724B2 (ja) 電気機器における保護回路
CN208508534U (zh) 微电脑电力调节器
KR100324629B1 (ko) 인버터에어컨의과전류제어장치
JP2004032906A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01141287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10122082A (ja) 故障検出回路および電力調整器
KR0158996B1 (ko) 인버터 멀티 에어콘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785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0317357B1 (ko) 역률제어용승압형능동필터의구동제어회로및방법
KR980012764A (ko)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3418158B2 (ja) 燃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