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897A -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897A
KR20030050897A KR1020010081437A KR20010081437A KR20030050897A KR 20030050897 A KR20030050897 A KR 20030050897A KR 1020010081437 A KR1020010081437 A KR 1020010081437A KR 20010081437 A KR20010081437 A KR 20010081437A KR 20030050897 A KR20030050897 A KR 2003005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node
handoff
node
new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7042B1 (ko
Inventor
김경아
김종권
김종덕
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8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0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 이동노드에게 최적의 핸드오프 시점을 알려주고, 핸드오프할 새 기지국에 핸드오프 대비 버퍼를 둠으로써, 핸드오프이후 이동노드가 패킷의 유실이나 중복 없이 패킷 통신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상기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IP)망과 연결된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프를 필요로 하는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Semisoft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새 기지국이, 상기 수신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쪽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크로스오버 노드가,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이전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까지 전달되는 과정 중에 새로이 설정된 라우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정보를 상기 새 기지국 방향으로 변경한 후, 상기 상대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새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하는 동안 상기 새 기지국이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새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완료하면, 상기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부터 도착하는 상기 이동노드로 전달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Handoff Method for IP access networks}
본 발명은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 이동노드에게 최적의 핸드오프 시점을 알려주고, 핸드오프할 새 기지국에 핸드오프 대비 버퍼를 둠으로써, 핸드오프이후 이동노드가 패킷의 유실이나 중복 없이 패킷 통신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상기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프로토콜(IP) 망에서 전역(global) 이동성을 제공해주는 모바일 (Mobile) IP(Internet Protocol)(이하, IP라 함)는, 이동노드가 무선접속망 내부에서 이동할 경우에도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이동노드의 홈에이전트(HA: Home Agent)에 이동 사항을 등록해야 하므로, 이동등록 시간이 많이 걸려서 데이터 통신의 처리율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그러므로, 무선접속망 외부로는 무선접속망 내부의 이동을 알리지 않고, 무선접속망 내부에서 내부 이동을 처리하는 지역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노드가 지역 내에서 이동할 경우, 즉, 이동노드가 핸드오프를 할 경우, 이전 기지국과 새 기지국으로의 물리계층 및 링크계층 핸드오프 뿐만 아니라 무선접속망 내부의 네트웍 계층 라우팅 정보가 수정되어야 IP 데이터 패킷이이동노드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계층 프로토콜이 전송제어프로토콜(TCP)인 경우에는, 핸드오프로 인하여 야기되는 패킷 유실 또는 패킷 중복이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한다.
도 1 은 종래의 셀룰러 IP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동노드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 중에(101), 현재 기지국의 전송시그널의 세기와 다른 기지국의 전송시그널의 세기를 비교하여 핸드오프가 필요함을 인식한다.
이동노드에서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이동노드는 새 기지국으로 잠시 연결을 설정하여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102), 다시 이전 기지국과 연결을 재개하여 계속적으로 패킷통신을 수행한다(103).
새 기지국이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104), 해당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첨가하여(105),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쪽으로 전달한다(106).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들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갱신한다.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중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즉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이 이전 기지국과 새 기지국의 공통 상위노드인 크로스오버 노드인 경우, 세미소트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요청한 이동노드에 대해 새 기지국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추가하고(107), 이후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이 있으며 기존 기지국 방향과 새기지국 방향으로 데이터 패킷을 바이캐스트한다(108). 그리고, 크로스오버 노드 상위로는 라우팅 정보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더 이상 상위로 전달하지 않는다.
단, 새 기지국 방향으로 전송하는 패킷은 크로스오버 지연시간동안 패킷을 지연시켜 전송하여,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이전 기지국 경로와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새 기지국 경로간의 상대적인 전송시간 차이로 인한 패킷의 유실을 줄인다.
한편,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노드는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고정된 시간인 세미소프트 지연 시간동안만 이전 기지국과 패킷통신을 수행하며(103), 세미소프트 지연시간이 경과하면(109), 새 기지국으로 실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110).
실제 핸드오프 종료후, 이동노드는 새 기지국으로 라우팅 수정 메시지를 전송하여(111), 실제 핸드오프를 무선접속망에 알린다.
새 기지국은 이 라우팅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여(112), 게이트웨이 쪽으로 전달한다(113).
크로스오버 노드가 이 라우팅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 존재하는 이동노드에 대한 두 가지 라우팅 정보 중 이전 기지국에 대한 정보는 삭제하며(114), 지연장치에 남아 있는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 전부를 새 기지국 쪽으로 전송하고(115, 116), 이후로는 이동노드로 전송되는 패킷을 지연장치를 통과시키지 않고 바로 전송한다(118, 119).
이동노드는, 핸드오프 이후, 새 기지국으로부터 크로스오버 지연장치에 있던데이터 패킷과 이후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117, 120), 새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재개한다(121).
종래의 지역 이동성을 제공해 주는 프로토콜 중 셀룰러 IP에서는 상기와 같은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을 사용하여, 핸드오프 기간동안 패킷의 유실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은, 핸드오프가 일어나는 기지국들의 상대적인 관계가 고려되지 않고 일률적인 방법으로 핸드오프를 처리하기 때문에 패킷의 유실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며, 패킷의 중복을 야기할 수도 있고; 또한, 과도한 패킷의 중복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의 경우에는 TCP 메커니즘의 특성상 성능저하를 초래하며, 실시간 통신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대역폭의 낭비를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종래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종래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의 경우에는, 세미소프트 지연값을 매 핸드오프마다 계산할 수가 없어서 최대값으로 설정(즉, 이동노드에서 게이트웨이까지의 왕복전송시간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핸드오프를 필요이상으로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핸드오프중 기지국 시그널의 품질저하로 인한 연결종료나 핸드오프이후 패킷의 중복수신 등의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세미소프트 지연 값은 이동노드에서 새 기지국을 거쳐 크로스오버 노드로 가는 전송시간과,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이전 기지국을 거쳐 이동노드로 가는 전송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즉,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이동노드에서 새 기지국을 거쳐 크로스오버 노드에 도착하여 라우팅을 갱신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기존 패스상의 데이터가 이동노드로 수신되는 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두번째, 종래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의 경우에는,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기지국들까지의 상대적인 거리 차이로 인한 패킷 유실을 막기 위해 크로스오버에서 지연장치를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지만, 이 방식을 모든 경우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패킷의 과도한 중복을 초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패킷의 유실을 모두 제거하지도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번째, 종래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TCP 연결의 경우 과도한 패킷의 중복수신은 패킷의 유실로 간주되어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의 동작은 현재 전송할 수 있는 최대의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게 하므로, 대역폭의 병목지점인 무선구간의 대역폭 활용률을 줄어들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 이동노드에게 최적의 핸드오프 시점을 알려주고, 핸드오프할 새 기지국에 핸드오프 대비 버퍼를 둠으로써, 핸드오프이후 이동노드가 패킷의 유실이나 중복 없이 패킷 통신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상기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셀룰러 IP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접속망과 IP망 연결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접속망 내의 라우팅에 대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36: 이동노드 22: 기지국
23, 31: 무선접속망 24, 32: 게이트웨이
25: IP 망 26: 상대노드
33: 크로스오버노드 34: 이전기지국
35: 새 기지국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IP)망과 연결된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프를 필요로 하는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Semisoft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새 기지국이, 상기 수신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쪽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크로스오버 노드가,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이전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까지 전달되는 과정 중에 새로이 설정된 라우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정보를 상기 새 기지국 방향으로 변경한 후, 상기 상대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새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하는 동안 상기 새 기지국이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새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완료하면, 상기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부터 도착하는 상기 이동노드로 전달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핸드오프를 필요로 하는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Semisoft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새 기지국이, 상기 수신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쪽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제 1 기능;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크로스오버 노드가,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이전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까지 전달되는 과정 중에 새로이 설정된 라우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정보를 상기 새 기지국 방향으로 변경한 후, 상기 상대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새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하는 동안 상기 새 기지국이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새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완료하면, 상기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부터 도착하는 상기 이동노드로 전달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망접속망과 IP망의 망구성도이다.
셀룰러 IP 무선접속망(23)은 IP망(25)과 접속하여 이동노드(21)에게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접속망으로서, IP 망(25)과는 게이트웨이(24)를 통해 연결된다.
셀룰러 IP 무선접속망(23)의 구성 요소는 게이트웨이(24)와 기지국(22)들이다.
기지국(22)은 이동노드(21)들과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고 필요시 타 기지국 (22)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라우터 기능도 수행한다.
셀룰러 IP 무선접속망(23)은 게이트웨이(24)를 루트로 하여 기지국(22)들을 트리 형태로 연결한다.
상대노드(26)는 이동노드와 연결 설정시 모바일 IP를 통해 이동노드의 주소를 게이트웨이의 주소로 인식하게되고, 셀룰러 IP 무선접속망 내부에는 게이트웨이 (24)에서 현재 접속한 기지국(22)까지 해당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 패스가 형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접속망 내의 라우팅에 대한 예시도이다.
셀룰러 IP 무선접속망(31)에서 이동노드(36)가 이동하여 접속 기지국을 새 기지국(35)으로 변경하는 핸드오프를 할 경우, 이전 기지국(34)과 새 기지국(35)의 셀룰러 IP 망내 공통 상위노드를 크로스오버 노드(33)라고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동노드는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401)중 현재 기지국의 전송시그널의 세기와 다른 기지국의 전송시그널의 세기를 비교하여 핸드오프가 필요함을 인식한다.
이동노드에서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이동노드는 새 기지국으로 잠시 연결을 설정하여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Semisoft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고(402), 다시 이전 기지국과 연결을 재개하여 계속적으로 패킷통신을 수행한다(403).
새 기지국이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404), 해당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첨가(update)하고,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쪽의 상위노드로 전달한다(405, 406). 새 기지국으로부터 크로스오버 노드까지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 중,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들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이동노드에 대한 새로운 라우팅 정보를 첨가(update)하게 된다. 즉, 새 기지국에서부터 크로스오버 노드 직전까지의 경로상의 기지국들이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크로스오버 노드에 도착하면, 크로스오버 노드는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보낸 이동노드에게 이전 기지국 쪽으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고(407),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새 기지국 방향으로 변경한 후(408), 이후부터 상대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온 것으로서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은 새 기지국 방향으로 유니캐스트 (unicast)한다(409). 여기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는 라우팅 설정 요청 메시지와 플래그를 포함한다.
이전 기지국은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받아(410), 이를 이동노드에게 전달한다(411).
새 기지국은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이동노드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412), 핸드오프 완료 이전까지 그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버퍼링(Buffering)한다(413). 즉, 새 기지국은 이동노드가 핸드오프하는 동안 이동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한다.
이동노드가 이전 기지국을 통해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411) 새 기지국으로 실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414).
핸드오프가 완료되면, 새 기지국은 버퍼링하고 있던 데이터 패킷들을 이동노드에게 모두 전달하고(415), 이후부터 이동노드로 전달할 데이터 패킷이 도착하면 바로(즉, 버퍼링없이) 이동노드로 전송한다(416).
이동노드는 새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417, 418), 새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재개한다(419).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 데이터 통신중인 이동노드가 수신 패킷의 유실이나 패킷의 중복수신없이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이동노드의 전송 뜨루풋(throughput)을 최대화할 수 있고, 또한 무선접속망 내부의 핸드오프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여서 무선접속망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데이터 트래픽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트래픽 전송시에도 효율적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본 발명은, 세미소프트 지연값을 매 토폴로지마다 따로 계산하거나, 일률적인 고정값을 설정하는 대신에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사용하여, 항상 세미소프트 지연값을 최적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핸드오프의 지연을 방지하여 핸드오프중 기지국 시그널의 품질저하로 인한 연결종료나 핸드오프이후 패킷의 유실이나 중복수신 등의 불합리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세미소프트 지연값은 이동노드에서 새 기지국을 거쳐 크로스오버 노드로 가는 전송시간과,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이전 기지국을 거쳐 이동노드로 가는 전송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즉,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이동노드에서 새 기지국을 거쳐 크로스오버 노드에 도착하여 라우팅을 갱신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기존 패스상의 데이터가 이동노드로 수신되는 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두번째, 본 발명은, 크로스오버 노드에서의 불필요한 데이터 바이캐스트를 제거하여 셀룰러 IP 무선 접속망 내 대역폭의 추가사용을 제거하고,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지연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며, 또한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이동노드로 데이터 패킷을 한번만 전송함으로써, 작업이 집중되는 크로스오버 노드의 부담을 줄였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무선접속망의 확장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세번째, 본 발명은,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새 기지국과 이전 기지국의 상대적인 거리 차이와는 상관없이, 핸드오프 이후, 이동노드가 핸드오프 직전에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다음 패킷부터 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핸드오프 이후 데이터 패킷의 유실이나 중복을 겪지 않기 때문에, TCP 연결의 경우에 핸드오프 이후에도 성능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인터넷 프로토콜(IP)망과 연결된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프를 필요로 하는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Semisoft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새 기지국이, 상기 수신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쪽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크로스오버 노드가,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이전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까지 전달되는 과정 중에 새로이 설정된 라우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정보를 상기 새 기지국 방향으로 변경한 후, 상기 상대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새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하는 동안 상기 새 기지국이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새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완료하면, 상기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부터 도착하는 상기 이동노드로 전달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는,
    라우팅 설정 요청 메시지와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이동노드의 핸드오프는,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즉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4. 인터넷프로토콜(IP)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핸드오프를 필요로 하는 이동노드로부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Semisoft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새 기지국이, 상기 수신한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쪽 상위노드로 전달하는 제 1 기능;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크로스오버 노드가, 핸드오프 지시메시지를 이전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세미소프트 요청 메시지가 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까지 전달되는 과정 중에 새로이 설정된 라우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노드에 대한 라우팅정보를 상기 새 기지국 방향으로 변경한 후, 상기 상대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새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하는 동안 상기 새 기지국이 상대노드로부터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노드가 상기 새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완료하면, 상기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부터 도착하는 상기 이동노드로 전달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노드로 전송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81437A 2001-12-19 2001-12-19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KR10080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437A KR100807042B1 (ko) 2001-12-19 2001-12-19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437A KR100807042B1 (ko) 2001-12-19 2001-12-19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897A true KR20030050897A (ko) 2003-06-25
KR100807042B1 KR100807042B1 (ko) 2008-02-25

Family

ID=2957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437A KR100807042B1 (ko) 2001-12-19 2001-12-19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0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73B1 (ko) * 2005-04-22 2006-09-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의 패킷 전송 방법
KR100747913B1 (ko) * 2006-02-27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셀룰러 인터넷 프로토콜에서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및 시스템
US7394788B2 (en) 2003-12-27 2008-07-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TCP proxy to reduce packet loss and transmission delay in wire/wireless integrated IP network
US8233416B2 (en) 2004-09-28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supports for networks having different link establishment protocols
US9032065B2 (en) 2004-07-30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Fast link establishment for network access
EP3750349A4 (en) * 2018-02-09 2021-11-17 Nokia Technologies Oy RAPID RE-ROUTING METHODS AND APPARATUS IN A MULTI-JUMP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8022A3 (en) * 1997-06-24 2001-01-17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compatibility
KR100312221B1 (ko) * 1999-05-14 2001-11-03 윤종용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핸드오버 방법
KR100298371B1 (ko) * 1999-06-09 2001-11-01 서평원 패킷 이동 통신망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US6907017B2 (en) * 2000-05-22 2005-06-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bility management in wireless internet protocol networks
KR100395496B1 (ko) * 2001-09-14 2003-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내에서 기지국 제어기간 통신을통한 고속 소프트 핸드오프 수행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4788B2 (en) 2003-12-27 2008-07-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TCP proxy to reduce packet loss and transmission delay in wire/wireless integrated IP network
US9032065B2 (en) 2004-07-30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Fast link establishment for network access
US8233416B2 (en) 2004-09-28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supports for networks having different link establishment protocols
KR100619373B1 (ko) * 2005-04-22 2006-09-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의 패킷 전송 방법
KR100747913B1 (ko) * 2006-02-27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셀룰러 인터넷 프로토콜에서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및 시스템
EP3750349A4 (en) * 2018-02-09 2021-11-17 Nokia Technologies Oy RAPID RE-ROUTING METHODS AND APPARATUS IN A MULTI-JUMP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042B1 (ko) 2008-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23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oft handoff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7668139B2 (en) Mobile handover utilizing multicast i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based network
Shim et al. Low latency handoff for wireless IP QoS with NeighborCasting
JPWO2003071749A1 (ja) 移動体ネットワーク
JP2005027314A (ja) モバイルIPv6ホームエージェントのシームレス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20080002625A1 (en) Bridged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thereof
US20100027508A1 (en) Fast handover method and system using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JP2007214742A (ja) 通信中継装置、無線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07042B1 (ko) 인터넷프로토콜망과 접속하는 무선접속망에서의 핸드오프방법
Blondia et al. Low Latency Handoff Mechanism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an IEEE 802.11 Network
US8185117B2 (en) Fast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JP2015092678A (ja) 順方向リンク及び逆方向リンクのサービングアクセスポイントの変更
US71073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rigger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JP2013229662A (ja) 移動体ipネットワークハンドオーバシステム、移動体パケット処理装置および地上パケット処理装置
CN113507733B (zh) 一种基于mec的用户切换方法、服务器和存储介质
KR101300040B1 (ko)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47913B1 (ko) 셀룰러 인터넷 프로토콜에서의 세미소프트 핸드오프 방법및 시스템
KR101248954B1 (ko) 분산형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를 위한 멀티캐스트 지원방법
KR102230823B1 (ko) 상황인지 기반 트래픽 경로최적화 관리 방법
KR102276983B1 (ko)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의 상황인지형 플로우 제공을 위한 하이브리드 멀티라우팅 무선센서 정보전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8102404A (zh) 一种分流网关变更的业务连续性方法及系统
CN117545041A (zh) 一种基于lisp的软件定义车联网高效移动性管理方法
KR20070028782A (ko) 패스트 핸드오버 프로토콜에서 버퍼관리방법
Jeong et al. Low latency and cost effective handoff based on PBF scheme in hierarchical mobile IPv6
Onwuka et al. Service dependent handoff management for efficient mobile IP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