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587A -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무선단말 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무선단말 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50587A KR20030050587A KR1020010081067A KR20010081067A KR20030050587A KR 20030050587 A KR20030050587 A KR 20030050587A KR 1020010081067 A KR1020010081067 A KR 1020010081067A KR 20010081067 A KR20010081067 A KR 20010081067A KR 20030050587 A KR20030050587 A KR 200300505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criber
- wireless terminal
- call
- private
- originat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설교환기 및 무선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엠에스씨를 구비하는 유무선 복합시스템의 무선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이, 무선단말 가입자의 등록시 사설교환기가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를 할당하고 할당된 가상포트의 가입자포트 테이블을 구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과, 무선단말 가입자가 발신호 정보 발생시 엠에스씨가 상기 발신호정보를 사설교환기에 전달하며, 사설교환기가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가입자테이블을 억세스한 후 가입자테이블에 등록된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통신로의 형성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단말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공중용 및 사설용 공유 통신서비스 영역인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을 가지고 있으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은 특정 집단의 통신서비스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영역이다. 예를들면 특정 회사가 하나의 빌딩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빌딩이 속한 영역(area)을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으로 정할 수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을 정하는 것은 사전에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와의 협의 하에 이루어진다. 이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사설 기지국(private BTS: 8-k)이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공중 기지국처럼 인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속해있는 기지국(BTS)들 즉, 도 1에 일 예로 도시된 BTS들(6-1,,,6-k, 8-1)과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사설 기지국(8-k)을 구별하기 위해서 상기 사설 기지국(8-k)을 "pBTS(private BTS)로 칭한다. pBTS(8-k)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속해 있는 MS(24)와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통해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 예컨대, 도 1의 도시된 BSC(4-m)와 연결된다.
공중/사설 통신서비스 장치(12)는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의 BSC(4-m),PSTN/ISDN(16),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18)과 접속된다.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MS들에게 예컨대, 도 1의 MS(24)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서비스를 수행한다. 만약 MS(24)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MS(24)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는 물론이고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MS(24)에 대한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에 되어 있지 않다면 MS(24)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PSTN/ISDN(16) 및 IP망(18)과의 유선 통신 서비스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와 pBTS(8-k)에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제공될 시 그 통신 경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ed eXchange)(30)와, pBSC(private BSC)40 및 호 관리장치(CM: Call Manager) 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설교환기(30)는 스위치(32), E1인터페이스(34), 메모리(36) 및 사설교환기의 제어부(38)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pBSC40은 pCIN(42) 및 TSB44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사설교환기(30), pBSC(40) 및 호관리장치50의 내부 구성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제공시의 통신 경로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만으로 도시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의 MS(24,25)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으며,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중/사설 서비스 장치(12)에 서비스 등록이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MS(22)는 공중전용 셀 영역(15)에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통신경로①은 MS(24), pBTS(8-k), pCIN(42), TSB(44), E1인터페이스(34), 스위치(32), TSB44, pCIN42, pBTS(8-k), MS(25)로 형성되는 통신경로와 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통신경로는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제공시의 통신 경로의 일 예이다. 그리고 통신경로 ②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시의 통신경로의 일 예이다.
상기와 같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통신경로 형성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의 이동교환기4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호 관리장치(50)의 소프트웨어 블록(호 관리장치(50)내에 pBSC로 도시됨)으로 내장된다. 상기 pBSC(40)는 pCIN(private Communication Interconnection Network)(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pCIN(42)는 호 관리장치(50)와의 통신경로, PLMN(1)의 BSC(4-m)와의 통신경로, pBTS(8-k)와의 통신경로 및 pBSC(40)내의 각 블록간의 데이터 경로를 제공한다. 즉 pCIN(42)은 메시지 타입, 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주소 및 수신주소를 해석하여 해당 장치 또는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CIN(42)와 BSC(4-1∼4-m)간 및 pCIN(42)와 pBTS(8-k)간은 E1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pBSC(40)의 pCIN(42)에 연결된 TSB(Transcoder & Selector Bank)(44)는 사설용 이동통신 가입자의 무선서비스를 위해 구비된 것이다. TSB(44)는 사설교환기(30)과 상기 pBSC(40)간의 통신 데이터 정합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SB(44)는 2.048Mbps/1.544Mbps 비다중화 전송채널정합기능, 음성 코딩 및 디코딩하는 보코더(vocoder)기능(일 예로, PCM(Pulse Code Modulation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호에 대한 제어 및 음성 선택 기능, 및 전력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 관리장치(50)는 pBSC(40)와 LAN(90)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호 관리장치(50)의 구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PMIC | LIN | |
pMSC | pVLR | SMC |
pBSC | WSM | |
pBTMR | ||
DCI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 관리장치(50)는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의 무선 호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공중용 이동통신망의 MS에 대한 호 서비스는 공중용 MSC로 메시지를 바이패싱(bypassing)되게 제어한다. 또한 호 관리장치(50)는 무선자원에 대한 운영,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단 pBTS(8-k)에 대한 자원관리는 공중용 MSC(2-1)에서 주관하며 호 관리장치(50)는 참조만 한다. 그리고 호 관리장치(50)는 pBSC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및 PLD(Program Loaded Data) 로딩 기능을 수행한다. 단 pBTS(8-k)에 대한 로딩은 공중용 BSM(Base Station Manager)(미도시됨)에서 담당한다. 또한 호 관리장치(50)는 유,무선 복합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사내 무선 단문 서비스 기능을지원하며, 이를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설용 이동통신망 가입자 등록 및 기능을 설정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며, 사설용 이동통신망에 가입한 MS의 로밍(roaming)기능을 위한 VLR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호 관리장치(50)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DCI(Data Communication Interface), pBTMR(pBTS Message Router), pBSC(private BSC), pMSC(private Mobile Switching Center), PMIC(PBX Mobile Interface Controller), SMC(Short Message service Controller), pVLR(private Visitor Location Register), WSM(Wireless System Manager), 및 LIM(LAN Interface Module)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가진다.
상기 DCI(Data Communication Interface)는 pBSC(40)의 pCIN(42)과 호 관리장치(5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HINA(High Capacity IPC Processor Assembly)를 통한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를 담당한다. pBTMR(pBTS Message Router)은 pBTS(8-k)에서 처리해야 하는 모든 메시지에 대한 경로 지정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BTMR은 내부의 라우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MS의 착,발호 서비스(공중용, 사설용)를 위한 제어(시그날) 메시지 경로를 지정하고 pBTS(8-k)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경로를 지정한다. 또한 상기 pBTMR은 pVLR(64)과 통신한다. pBSC(private BSC)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pBSC(40)의 메인 제어부로서 pBTS(8-k)의 제어를 담당한다. pMSC는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사설용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 pBSC와 PMIC 간에 위치하여 기존 공중용 이동통신망의 MSC가 하는 역할에 대응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기본적으로 가입자의 호 처리 및 기타 부가 서비스의 분석 및 사설교환기(30)와의 연동을 위한 제반 인터페이스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pMSC는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 공중용 이동통신망 서비스로 처리할지 사설용 이동통신망 서비스로 처리할 지에 대한 기본적인 전략과 이에 대한 처리절차에 대한 정의가 있다. 상기 pBSC와의 인터페이스는 기존 공중용 이동통신망에의 처리절차를 따르고 상호 인터페이스는 내부 IPC를 이용한다. PMIC(PBX Mobile Interface Controller)는 유,무선 복합기능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PMIC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으며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등록된 MS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MS(24), 도 2에 도시된 MS(25)와 PBX(30)에 연결된 유선 단말장치 사이의 호 제어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pMSC는 기존 공중용 MSC와는 다르게 자신이 직접 스위칭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는 pMSC는 소프트웨어 블록이므로 공중용 MSC와 같은 스위치가 없다. 따라서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시의 본 발명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서는 사설교환기(30)의 스위치(32)를 이용한다. 상기 pMSC와 사설교환기(30) 사이에 상기 PMIC라는 모듈이 존재한다. 상기 PMIC는 pMSC의 스위치 제어 요구에 의해 상기 사설교환기(30)의 스위치(32)를 제어하는 내용의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사설교환기(30)의 제어부38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PBX(30)의 제어부38은 상기 명령어에 상응하는 일련의 스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SMC(Short Message service Controller)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제어 기능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웹 서버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pVLR(private Visitor Location Register)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 정보, 사설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등록 정보, 각종 기능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pVLR에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되어 있다. WSM(Wireless System Manager)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가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기능의 모든 유지, 보수, 운영을 담당한다. 상기 WSM에는 운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운용자 콘솔(console)이 연결되어 있다. LIM(LAN Interface Module)은 LAN을 통한 통신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PMIC, SMC, pVLR. WSM의 LIM들로 구성된다. 상기 LIM들의 각각은 OS(Operating System)를 통해 대응된 각 모듈들 즉 PMIC, SMC, pVLR, WSM과 LAN을 통한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에 여러 개의 장비에서 수행되던 프로그램들(BSM, VLR, SMC, SMS 웹(Web) 서버, 데이터 서비스 관리장치 등)을 호 관리장치(50)라는 하나의 장비에서 수행한다. 그에 따라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OS(Operating System)하에서 타스크간 메시지 통신으로 변경해 놓음으로써 시스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소프트웨어 블록이 내장된 호 관리장치(50)는 상용 컴퓨터를 플랫폼(platform)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중/사설 통신서비스장치에서 무선 단말인 MS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 내에서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공중/사설 공유셀 영역(14) 내에 위치된 무선단말이 발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발신정보는 pBTS(8-k) 및 pBSC42를 통해 호관리장치(50)의 MSC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MSC는 311단계에서 호관리장치(50)에이를 통보하며, 상기 호관리장치(50)dms 312단계에서 TSB(44)의 보코더 포트를 훅크오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관리장치(50)dms 313단계에서 MSC에 이를 응답하고, 314단계에서 상기 MS에서 발생하는 다이얼 정보를 보코더포트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사설교환기의 스위치32를 통해 착신측 및 발신측의 보코더 포트들이 연결된다. 상기 발신측의 보코더 포트는 315단계에서 착신측의 보코더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발신측 호관리장치(50)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은 착신측의 MSC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의 MSC는 착신 가입자를 확인한 후 318단계에서 호관리장치(50)에 이를 알리며, 상기 착신측의 호관리장치(50)은 착신측의 보코더 포트를 시저한 후, 321단계에서 이에 대한 응답을 한다. 이때 착신측의 무선단말 측에는 링신호가 공급되며, 323단계에서 보코더포트를 통해 MSC에 이를 알린다. 또한 322단계에서 발신측의 보코더를 통해 발신측의 MSC에 이를 통보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발신측의 MS는 링백톤을 듣게되며, 착신측의 MS는 링톤을 듣게 된다.
이후 착신측의 MS가 상기 링톤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착신측은 324단계-327단계를 수행하면서 이를 발신측에 통보하고 착신 통신로를 형성하며, 발신측은 328단계-329단계를 수행하면서 발신 통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측의 MS와 착신측의 MS 간에는 통신로가 형성되어 통화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후 상기 착신측 MS가 통화를 종료한 후 훅크온 동작을 수행하면, 착신측은 330단계-332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착신측 MS의 호 복구 동작을 수행하며, 333단계에서 이를 상기 발신측에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은 334단계-338단계를 수행하면서 발신측 MS의 호복구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에서 호복구 동작을 종료하면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의 MS들은 각각 아이들 상태가 되어 다음 상태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은 각 무선단말들의 호를 서비스할 때 음성 통화 이외의 다른 부가 기능을 서비스할 수 없다. 이는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들이 사설교환기의 가입자포트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가 착신 및 발신 등의 통화시도시에만 상기 보코더 포트들을 일시적으로 점유하여 통신 경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들의 통신로 형성시 상기 사설교환기(30)은 E1인터페이스부(34) 및 스위치(34)를 스위칭 동작을 직접 제어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호관리장치50이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에서 착발시 사설교환기(30)에서는 호관리장치(50)의 MSC 모듈에서 포트를 지정하여 상기 사설교환기(30)에 통보하면 이때 포트가 일시적으로 지정된다.
유선 가입자들은 상기 사설교환기(30)에 직접 포트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설교환기(30)은 상기 각 가입자 포트들에 대한 테이블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각 가입자포트들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는 부가 기능들을 저장하는 기능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가입자 포트를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입자포트를 기준으로 기능이 구현된다. 따라서 유선가입자들이 발신 또는 착신통화 시도시. 훅크오프되는 유선가입자의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유선가입자의 통화를 서비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부가 기능들도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들은 내선그룹 지정, 그룹당겨받기, 호 예약기능, 페이징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선가입자들은 상기 사설교환기(30)에 실제포트가 연결되고, 이런 가입자포트들을 기준으로 기능별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게 되므로,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서비스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사설교환기(30)에 실제 포트가 연결되지 못하므로, 기능별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들은 전화별로 포트가 지정되어 있지 않는 가입자이므로, 사설교환기(30)의 유선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는 부가기능들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의 부가 기능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에서 무선단말에 가상포트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포트에 대응되는 기능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단말에 부가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 및 무선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엠에스씨를 구비하는 유무선 복합시스템의 무선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이, 무선단말 가입자의 등록시, 상기 사설교환기가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가상포트의 가입자포트 테이블을 구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가 발신호 정보 발생시 상기엠에스씨가 상기 발신호정보를 사설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사설교환기가 상기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가입자테이블을 억세스한 후 상기 가입자테이블에 등록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통신로의 형성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사설교환기가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발신측 엠에스씨로부터 발신호 정보 수신시 착신측 엠에스씨에 이를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사설교환기가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 무선단말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착발신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로 형성된 상태에서 임의 무선단말 가입자가 훅크온 시 상기 사설교환기는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착신 및 발신측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를 착신 및 발신측 엠에스씨에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무선단말 가입자들에 각각 가상포트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가상포트에 따른 가입자 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가입자 테이블에 따른 부가기능 테이블을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사설교환기와,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엠에스씨를 구비하는 유무선복합 시스템의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발신측 엠에스씨로부터 발신호 정보 수신시 착신측 엠에스씨에 이를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사설교환기가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 무선단말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착발신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로 형성된 상태에서 임의 무선단말 가입자가 훅크온 시 상기 사설교환기는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착신 및 발신측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를 착신 및 발신측 엠에스씨에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로 형성 과정은 상기 발신정보를 분석하여 부가기능 요구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능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기능을 확인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와 pBTS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공중/사설 통신서비스장치에서 무선 단말인 MS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 내에서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되는 용어에서 공중/사설 통신서비스장치, 사설 무선교환시스템, 유무선복합시스템은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단말 가입자를 사설교환기의 데이터 베이스에 가상으로 포트를 지정하고, 이 가상 포트를 이용하여 사설교환기의 유선가입자와 동일하게 부가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포트화를 위하여,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를 상기 사설교환기에 등록할 때 가상포트(virtual port: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포트 범위 이외의 포트)에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지정한다. 상기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는 없고 소프트웨어적으로만 존재하는 가상포트를 각 무선단말 가입자들에 지정하므로써, 상기 가상포트에 대응되는 무선단말 가입자들에게 기능별 데이터 베이스 구성이나 호처리의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관리장치(50)에서 무선단말 가입자의 통화를 제어하지 않고 사설교환기(30)의 제어부(38)에서 무선단말 가입자의 통화로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단말 가입자를 등록할 때 가상포트를 지정하고, 상기 가상포트에 따른 무선단말 가입자의 포트 테이블을 구성하여 메모리(36)에 데이터 베이스로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포트에 따른 기능별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메모리(36)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가상포트의 소프트웨어 형태를 추가하여야 하고, 가입자로트 테이블에 대응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매칭시켜야 하며, 가상포트와 E1카드34는 노드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해야하며, MSC 간의 메시지 처리는 모두 가상포트가 처리하고, 스위치32도 가상포트에서 제어한다.
상기 도 2에서 사설교환기(30)과 pBSC(40)은 E1으로 연결되고, 상기 pBSC(40)의 TSB(44)의 보코더 채널과 1:1로 연결되어 특정 보코더는 사설교환기30의 특정 채널과 연결되는 정보를 상기 사설교환기(30) 및 MSC가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사설교환기(30)에서는 상기 보코더와 연결된 E1은 종래의 국선 E1과는 다른 하나의 내선 포트로 간주하고, 상기 가입자 포트 테이블을 구성하여 하나의내선포트를 할당한다. 하드웨어 형태는 상기 E1이나 소프트웨어 형태는 새로운 형태를 추가하여 내선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상기 사설교환기(30)에스는 상기 보코더에 대응되는 E1은 항상 보코더와 연결되었다고 가정하고 처린한다. 즉, 유선의 내선가입자가 연결된 형태로 간주하여 처리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무선단말 가입자가 발신 호를 발생하면, 상기 발신호 정보는 pBSC(40)을 통해 호관리장치(50)의 MSC모듈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발신호 정보는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의 내선가입자(유선 또는 무선 가입자)의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요구하는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pBSC(40)은 상기 발신호 정보를 MSC 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MSC 모듈은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발신호 정보를 사설교환기(30)의 E1보드34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E1보드(34)는 412단계에서 이를 제어부38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8)은 413단계 및 414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발신호정보에 대한 응답을 MSC 모듈에 전달한다.
이후 상기 사설교환기(30)의 제어부(38)은 상기 발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가입자 또는 부가기능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가 다른 무선단말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8)은 상기 메모리(3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발신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가입자 테이블을 확인한 후, 415단계에서 상기 발신호정보에 포함된 착신가입자의 포트를 시저하고, 416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의 시저에 따른 대기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가입자의 MSC에 상기 발신호 정보에 포함된 착신가입자 정보들을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MSC 모듈은 418단계-420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38에 착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며, 423단계-424단계를 통해 착신가입자의 MSC모듈에 응답을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8)은 423단계-426단계를 수행하면서 스위치32를 제어하여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 간의 포트를 연결하며, 발신 및 착신가입자의 MSC 모듈에 경보한다. 이런 경우 상기 발신 및 착신 무선단말 가입자들을 스위치32를 통해 가상포트들이 연결된 상태가 되며, 이때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로는 링백톤이 공급되고 착신 무선단말 가입자로는 링톤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착신 무선단말 가입자가 훅크오프를 하면 427단계-428단계를 통해 이를 통보하며, 429단계-430단계를 통해 통보 결과에 따른 응답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착신가입자의 훅크오프는 432-433단계를 통해 발신측에 전달되어 통화로가 형성된다. 이때의 통화로 형성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통화로 형성된 상태에서 발신 및 착신 무선단말 가입자들은 사설교환기(30)을 통해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 상태에서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하고 훅크온 하면, 상기 훅크온 정보는 434단계-435단계를 통해 제어부(38)에 감지되며, 상기 훅크온 신호가 감지되면 436단계-437단계를 통해 발신측에 응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8)은 상기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와 연결된 가상포트와 스위치(32)의 연결을 단절하는 동작을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8)은 438단계-440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착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통신로를 단절하며, 442단계-44단계를 통해 착신가입자의 호 복구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 무선단말 가입자와 연결된 가상포트와 스위치(32)의 연결을 해제된다.
또한 통신 중인 상태에서 상기 착신측 무선단말 가입자가 먼저 훅크온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제어부(38)은 상기 MSC로부터 오는 메시지, 상기 MSC로 내려주는 메시지 및 통화로 처리를 수행한다.
먼저 상기 MSC로부터 오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수신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로부터 가상포트를 확인하며,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E1포트의 호제어블럭의 작업영역(ccb wa: Call Control Block working area: 포트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working area)를 세팅하고(state, busy, call_id setting, virtual port, vir_inii 저장), 상기 가상포트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타노드인 경우에는 메시지를 호 메시지(call message)로 바꿔서(header 부분만 특정 메시지로 바꿔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가상포트에서 메시지 수신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포트 및 초기 정보들을 저장한다.
두 번째로 상기 MSC로 내려주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무선단말 가입자의 E1포트가 가상포트와 자노드인 경우에는 종래의 경우처럼 MSC 모듈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타노드인 경우에는 상기 호 메시지로 변경하여 전송한다.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E1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호제어블럭작업영역에 세팅하고 메시지를 변형(call_id, connection id)하여 MSC 모듈에 전송한다.
세 번째로 통화로 처리 동작을 살펴보면, 무선단말 가입자의 E1포트는 경보(alert)를 받을 때 스위치(32), 송신 및 수신 가상포트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MSC로부터 복구 호(clear call)이 수신되면 스위치32를 모드 해제(release)한다. 상기 가상포트는 사설교환기(30)은 톤 발생기(tone generator), 스위치(time switch)(32)가 항상 무선단말 가입자의 E1포트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에 가입된 무선단말 가입자들을 유선가입자들과 동일하게 부가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유무선 복합시스템에서 유선 및 무선 가입자를 구분하지 않고 사설교환기에서 호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 사설교환기 및 무선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엠에스씨를 구비하는 유무선 복합시스템의 무선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무선단말 가입자의 등록시, 상기 사설교환기가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가상포트의 가입자포트 테이블을 구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과,상기 무선단말 가입자가 발신호 정보 발생시 상기 엠에스씨가 상기 발신호정보를 사설교환기에 전달하며, 상기 사설교환기가 상기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가입자테이블을 억세스한 후 상기 가입자테이블에 등록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통신로의 형성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가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이,상기 발신측 엠에스씨로부터 발신호 정보 수신시 착신측 엠에스씨에 이를 통보하는 과정과,상기 사설교환기가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 무선단말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착발신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과,상기 통신로 형성된 상태에서 임의 무선단말 가입자가 훅크온 시 상기 사설교환기는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착신 및 발신측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를 착신 및 발신측 엠에스씨에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등록과정이, 상기 기능별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가상포트가 지정된 무선단말 가입자의 부가기능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통신로 형성 과정이, 상기 발신정보를 분석하여 부가기능 요구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능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기능을 확인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
- 각 무선단말 가입자들에 각각 가상포트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가상포트에 따른 가입자 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가입자 테이블에 따른 부가기능 테이블을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사설교환기와,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엠에스씨를 구비하는 유무선복합 시스템의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상기 발신측 엠에스씨로부터 발신호 정보 수신시 착신측 엠에스씨에 이를 통보하는 과정과,상기 사설교환기가 발신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 무선단말가입자의 전화번호에 의해 지정되는 가상포트를 스위치에 연결하여 착발신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과,상기 통신로 형성된 상태에서 임의 무선단말 가입자가 훅크온 시 상기 사설교환기는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착신 및 발신측 무선단말 가입자의 가상포트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를 착신 및 발신측 엠에스씨에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로 형성 과정이,상기 발신정보를 분석하여 부가기능 요구시 상기 무선단말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능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기능을 확인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가입자의 호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1067A KR100450970B1 (ko) | 2001-12-19 | 2001-12-19 |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무선단말 호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1067A KR100450970B1 (ko) | 2001-12-19 | 2001-12-19 |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무선단말 호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0587A true KR20030050587A (ko) | 2003-06-25 |
KR100450970B1 KR100450970B1 (ko) | 2004-10-02 |
Family
ID=2957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81067A KR100450970B1 (ko) | 2001-12-19 | 2001-12-19 |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무선단말 호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097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9934B1 (ko) * | 2002-11-22 | 2004-12-03 | 주식회사 케이티 | 공중전화교환망(pstn)에서의 부가 서비스 및 지능망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1028826B1 (ko) * | 2009-02-09 | 2011-04-12 | (주)인에이지 | 가상 내선번호를 이용한 다이렉트 접속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0607A (ja) * | 1996-08-27 | 1998-03-10 | Nec Commun Syst Ltd | 仮想私設網サービスの連続発信方式 |
DE19637026A1 (de) * | 1996-09-12 | 1998-04-02 | Philips Patentverwaltung | Lokales Netzwerk mit zur Funkübertragung vorgesehenen Terminals |
KR100258122B1 (ko) * | 1997-11-24 | 2000-06-01 | 강병호 |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에서의 센트릭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KR100318930B1 (ko) * | 1998-05-27 | 2002-05-13 | 윤종용 | 사설교환기에서가상포트를이용하는멀티라인방법 |
DE69942735D1 (de) * | 1998-12-10 | 2010-10-21 | Lucent Technologies Inc | PABX-Verwaltung |
-
2001
- 2001-12-19 KR KR10-2001-0081067A patent/KR1004509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9934B1 (ko) * | 2002-11-22 | 2004-12-03 | 주식회사 케이티 | 공중전화교환망(pstn)에서의 부가 서비스 및 지능망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1028826B1 (ko) * | 2009-02-09 | 2011-04-12 | (주)인에이지 | 가상 내선번호를 이용한 다이렉트 접속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50970B1 (ko) | 2004-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5790B1 (ko) |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100362569B1 (ko) |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KR100342512B1 (ko) | 구내무선망에서 구내기지국 제어장치 다운 시 공중망서비스 방법 | |
KR100450961B1 (ko) |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AU673690B2 (en) |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 |
US7120135B2 (en) | Wire/wireless unified in-building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 |
JP3068207B2 (ja) | 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JPH10229417A (ja) | データ網通信通話の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網通信通話処理用ネットワークノード | |
KR100506310B1 (ko) | 공중 무선망 및 사설 유무선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
JP4597385B2 (ja) | 同方向通話をセットアップする方法と装置 | |
JPH1155753A (ja) | 他のシステムによりサービスを受けている無線電話へローカル・サービスを行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WO1996035309A1 (en) | Hybrid cell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0342534B1 (ko) | 공중 및 사설 무선망 서비스 장치 | |
JPH10504165A (ja) | 通信システム及び通話確立方法 | |
JP2000299884A (ja) | 第2の規格の構内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第1の規格の移動電話端末の使用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 | |
KR100450970B1 (ko) | 구내 무선교환시스템의 무선단말 호 서비스 방법 | |
KR100430614B1 (ko) |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사설 자동 교환망 시스템 | |
KR20020001980A (ko) | 유,무선 복합구내 통신 시스템에서 호전환 방법 | |
KR100547714B1 (ko) |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KR100429566B1 (ko) | 공중 및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장치 | |
KR100238721B1 (ko) |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금지 처리방법 | |
KR100374347B1 (ko) |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호 서비스방법 | |
KR100438435B1 (ko) |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호 서비스방법 | |
KR19990061172A (ko) |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 |
KR100429564B1 (ko) | 사설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호 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