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476A -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476A
KR20030049476A KR1020010079685A KR20010079685A KR20030049476A KR 20030049476 A KR20030049476 A KR 20030049476A KR 1020010079685 A KR1020010079685 A KR 1020010079685A KR 20010079685 A KR20010079685 A KR 20010079685A KR 20030049476 A KR20030049476 A KR 2003004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sensor
water level
temperature senso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스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스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스타산업
Priority to KR102001007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9476A/ko
Publication of KR2003004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47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4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with a stationary probe, where a liquid specimen is separated from the mean mass and measu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보충수탱크를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줄이고,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며, 동파를 예방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되, 냉수공급파이프(11)와, 난방수공급파이프(12)와, 난방수유입파이프(13)가 연결되고, 별도의 온수가열수단(2)을 가진 수조(1)로 이루어진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측부에 고수위센서(5a)와, 그 아래의 2차 온도센서(6b)와, 그 아래의 저수위센서(5b)와, 그 아래의 1차 온도센서(6a)를 부착하고, 상기한 고수위센서(5a)와, 2차 온도센서(6b)와, 저수위센서(5b)와, 1차 온도센서(6a)를 별도의 콘트롤부(8)에 연결한 후, 상기 냉수공급파이프(11)에 전자밸브(7)를 연결하여 콘트롤부(8)의 지시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온수가열수단(2)이 상기 콘트롤부(8)의 지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A boiler without a supplementary water tank}
본 발명은 보일러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보충수 탱크를 생략하여 보일러 전체를 설치할 때, 공간을 덜 차지하면서 설치 외관이 양호하도록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보일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조(1)의 물을 가열수단(2)으로써 가열하고, 이 물을 실내의 난방호스(3)로 순환시켜 난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냉수공급파이프(11)를 통해서 수조(1)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가열수단(2)으로써 물이 가열되고, 이와 같이 가열된 물은 난방수공급파이프(12)를 통해 방바닥에 설치된 난방호스(3)로 보내져 난방을 한 후, 열을 빼앗긴 상태에서 다시 난방수유입파이프(13)를 통해 수조(1) 속으로 순환하여 다시 가열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종래 대부분의 보일러는 보충수탱크(4)를 필요로 한다.
이 보충수탱크(4)는 상기 수조(1)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팽창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받아두는 한편, 수조(1) 내부의 물이 식어서 체적이 줄어 들었을 때 모자라는 양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충수탱크(4)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유발한다.
첫째, 보일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수조 이외의 통을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원가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과, 노력이 추가되어야 한다.
둘째, 보일러 수조 외에 공간을 차지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실외에 설치될 경우 동파의 우려가 있다.
셋째, 부구를 이용한 기구적인 밸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녹이 슨다든가 부식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때가 있으며, 이는 보일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보충수탱크로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가 노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고, 보일러 설치에 제약이 따른다.
특히, 심야전기를 이용하는 축열식 전기 보일러의 경우, 심야에 가능한 많은 열을 축열하기 위해 수조가 비교적 크고, 수조가 크기 때문에 실외에 설치하는 예가 많은데, 이와 같은 보충수탱크는 많은 불편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보충수탱크를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줄이고,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며, 동파를 예방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되, 냉수공급파이프와, 난방수공급파이프와, 난방수유입파이프가 연결되고, 별도의 온수가열수단을 가진 수조로 보일러를 구성하되, 상기 수조의 상측부에 고수위센서와, 그 아래의 2차 온도센서와, 그 아래의 저수위센서와, 그 아래의 1차 온도센서를 부착하고, 상기한 고수위센서와, 2차 온도센서와, 저수위센서와, 1차 온도센서를 별도의 콘트롤부에 연결한 후, 상기 냉수공급파이프에 전자밸브를 연결하여 콘트롤부의 지시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온수가열수단이 상기 콘트롤부의 지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일러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일러 구조를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수조2 : 온수가열수단
3 : 난방호스5a : 고수위센서
5b : 저수위센서6a : 1차 온도센서
6b : 2차 온도센서7 : 전자밸브
8 : 콘트롤부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구성도면이고, 도 3은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수조(1)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되, 냉수공급파이프(11)와, 난방수공급파이프(12)와, 난방수유입파이프(13)를 연결하고, 수조의 하측부에 별도의 온수가열수단(2)을 구비한다.
상기 수조(1)의 최상측부에는 고수위센서(5a)를 부착하고, 그 아래에는 2차 온도센서(6b)를 부착한다.
그리고 이들로 부터 일정간격을 낮추어 저수위센서(5b)를 부착하고, 그 아래에는 1차 온도센서(6a)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의 고수위센서(5a)와, 저수위센서(5b)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콘트롤부(8)에 연결하고, 이 콘트롤부(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수조(1)의 하측부에 구비된 온수가열수단(2)을 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2차 온도센서(6b)와, 1차 온도센서(6a)도 별도의 콘트롤부(8)에 연결하고, 이 콘트롤부(8)에서 연결된 냉수공급파이프(11)의 전자밸브(7)를 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수조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 온도계,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안전밸브 등을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일러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보일러 자체의 전원이 ON되어 있는 상태에서 냉수공급파이프(11)를 통해 물이 계속 공급되면, 수조(1)에 설치되어 있는 1차 온도센서(6a)는 물의 온도를 파악하여 콘트롤부(8)에 전달하게 되는데, 콘트롤부에서는 물의 온도가 냉수일때는 물이 저수위센서(5b)에 채워질 때 까지만 냉수공급파이프(11)의 전자밸브(7)를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콘트롤부(8)는 온수가열수단(2)을 ON시켜 물을 가열하기 시작하며, 물이 가열되는 상태는 1차 온도센서(6a) 및 2차 온도센서(6b)로 파악한다.
물이 일정온도 이상 가열되면 물의 체적이 팽창되어 수위가 높아지게 되는 바, 수위가 고수위센서(5a)에 도달되면 콘트롤부(8)는 온수가열수단(2)을 OFF시켜 가열 작동을 중지시킨다.
또, 온수가열수단(2)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로 지속되면 물이 점차 식게 되는데, 이 때는 1차, 2차 온도센서(6a)(6b)가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도 하지만 체적이 줄어 들어 고수위센서(5a)에 물이 도달되지 않고, 저수위센서(5b)까지 줄어 들면 콘트롤부(8)가 다시 온수가열수단(2)을 작동시켜 재차 물을 가열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여 보일러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물의 증발이나, 누출로 인해 수위가 줄어들면 저수위센서(5b)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따라서 콘트롤부(8)는 냉수공급파이프(11)의 전자밸브(7)를 개방하여 다시 필요한 만큼의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보일러를 구성하되, 수조의 상부에 고수위센서와 그 아래의 저수위센서를 구비하고, 또 상측의 2차 온도센서와 그 아래의 1차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받은 센서값을 콘트롤부에서 판단하여 각각의 온수가열수단과 냉수공급파이프의 전자밸브를 콘트롤하여 물의 온도와 수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보충수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보충수탱크 및 파이프를 생략할 수 있고, 이는 보일러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동파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되, 냉수공급파이프(11)와, 난방수공급파이프(12)와, 난방수유입파이프(13)가 연결되고, 별도의 온수가열수단(2)을 가진 수조(1)로 이루어진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측부에 고수위센서(5a)와, 그 아래의 2차 온도센서(6b)와, 그 아래의 저수위센서(5b)와, 그 아래의 1차 온도센서(6a)를 부착하고,
    상기한 고수위센서(5a)와, 2차 온도센서(6b)와, 저수위센서(5b)와, 1차 온도센서(6a)를 별도의 콘트롤부(8)에 연결한 후,
    상기 냉수공급파이프(11)에 전자밸브(7)를 연결하여 콘트롤부(8)의 지시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온수가열수단(2)이 상기 콘트롤부(8)의 지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KR1020010079685A 2001-12-15 2001-12-15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KR20030049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85A KR20030049476A (ko) 2001-12-15 2001-12-15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85A KR20030049476A (ko) 2001-12-15 2001-12-15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76A true KR20030049476A (ko) 2003-06-25

Family

ID=2957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685A KR20030049476A (ko) 2001-12-15 2001-12-15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94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17B1 (ko) * 2010-02-22 2013-02-07 강태영 전기식 온수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8956A (ja) * 1986-05-02 1987-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温水器の制御装置
JPS6488058A (en) * 1987-09-29 1989-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heater
JPH11108451A (ja) * 1997-10-03 1999-04-23 Miyawaki Inc 貯湯タンク付き温水製造装置
JPH11337179A (ja) * 1998-05-26 1999-12-10 Nippon Itomic Co Ltd 貯湯式電気湯沸器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8956A (ja) * 1986-05-02 1987-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温水器の制御装置
JPS6488058A (en) * 1987-09-29 1989-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heater
JPH11108451A (ja) * 1997-10-03 1999-04-23 Miyawaki Inc 貯湯タンク付き温水製造装置
JPH11337179A (ja) * 1998-05-26 1999-12-10 Nippon Itomic Co Ltd 貯湯式電気湯沸器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17B1 (ko) * 2010-02-22 2013-02-07 강태영 전기식 온수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3139B2 (ja) ハイブリッド給湯装置
JP2011149673A (ja) 太陽熱給湯システム
KR20030049476A (ko) 보충수탱크가 없는 보일러
KR101320871B1 (ko) 축열탱크 자동급수 시스템
KR101812263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200374085Y1 (ko) 전기보일러 시스템
US1931419A (en) Hot water heating system
JP2009097804A (ja) 給湯システム
KR100279883B1 (ko) 가스보일러의 보온운전 제어방법
KR980009069U (ko) 온수보일러의 난방수 자동보충장치
KR200194661Y1 (ko) 보일러의 난방수 자동보충장치
Williamson et al. Domestic hot water: options and solutions
JP2002206808A (ja) ハイブリッド型温水器
KR200198208Y1 (ko) 전기보일러
JP2009299927A (ja) 貯湯式給湯機
KR930007293Y1 (ko) 온수 보일러
JP3944773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0360842B1 (ko) 전기 보일러가 포함된 보일러 시스템
KR200202870Y1 (ko) 팽창탱크가 일체로 된 축열식 전기보일러
KR200215960Y1 (ko) 가정용 심야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사용한 온수공급장치
JPH0735410A (ja) 電気温水器
KR940000083Y1 (ko) 온수보일러의 난방수 자동보충장치
JPH1183203A (ja) 太陽熱利用温水取出装置
KR20080002340U (ko) 스팀 보일러 급수시스템
KR200438986Y1 (ko)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