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276A -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276A
KR20030049276A KR1020010079443A KR20010079443A KR20030049276A KR 20030049276 A KR20030049276 A KR 20030049276A KR 1020010079443 A KR1020010079443 A KR 1020010079443A KR 20010079443 A KR20010079443 A KR 20010079443A KR 20030049276 A KR20030049276 A KR 2003004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eater
washing machine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7779B1 (ko
Inventor
노양환
조한기
김종석
강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7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되어 본체 내측에 설치된 건조덕트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지지체가 상기 건조덕트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열을 이루면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 상에 고정된 히터지지부와,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지지체에 양단이 지지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는 코일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를 제공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세탁물 건조용 공기의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heating device for drying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 및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을 드럼 내부에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조덕트를 통해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와는 달리 터브 내측에 눕혀진 상태로 설치된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로서,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세탁용량의 극대화와 세탁 후 세탁물이 엉키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갈수록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관련기술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세탁완료된 세탁물을 세탁조 내부에서 인출하지 않고 곧바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드럼세탁기 내부에 건조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전면으로 투입구(1a)를갖는 본체(1) 내부에 터브(2)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터브(2)의 외측 하부에는 구동모터(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브(2) 내에는 구동모터(3)의 구동력을 벨트(4)를 통해 전달받아 눕혀진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드럼(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투입구(1a)를 개폐시켜 주도록 도어(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 내의 상부에는 드럼(5)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이 순환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줌에 따라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장치는 본체(1) 내부에 지지된 터브(2)의 후방 적소에 일단이 연결된 응축덕트(7)와, 상기 응축덕트(7)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터브(2)의 전방 일측에 연결된 건조덕트(8)와, 상기 건조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드럼(5) 내부의 공기를 응축덕트(7)와 건조덕트(8)를 통해 순환시켜 주는 송풍팬(9)과, 상기 송풍팬(9)에 벨트(10)를 통해 회전력을 부여하는 송풍모터(11)와, 상기 건조덕트(8) 내부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건조히터(12)와, 상기 응축덕트(7)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중의 습기가 응축되도록 응축덕트(7)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3)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는 세탁 및 탈수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구동모터(3)를 작동시켜 드럼(5)을 천천히 정,역회전시킴과 아울러 송풍모터(11)를 구동시켜 송풍팬(9)을 회전시킴에 따라 드럼(5) 내부의 공기가 응축덕트(7)와 건조덕트(8)를 통해 안내되어 다시 드럼(5) 내부로 순환되는 싸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 건조덕트(8) 내에 설치된 건조히터(12)가 작동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냉각수 공급관(13)을 통해 응축덕트(7) 내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함에 따라 드럼(5)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고온 저습한 상태로 되어 드럼(5)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함에 따라 드럼(5)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장치는 드럼(5)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가열을 위해 사용되는 건조히터(12)로서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주로 채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조히터(12)는 금속재질로 된 외부케이스(12a)와, 상기 외부케이스(12a) 내에 코일 형태로서 설치되는 전열선(12b)과, 상기 외부케이스(12a)의 양단에 구비되어 전열선(12b)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12c)로 구성된다.
그러나, 시즈히터를 채용한 종래의 건조히터(12)는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생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는 전열선(12b)의 열이 외부케이스(12a)로 전달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2a)와 건조덕트(8) 내부의 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케이스(12a)를 매개로 하여 전열선(12b)과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열선(12b)과 공기 간의 직접적인 열교환에 비해 세탁물의 건조에 요구되는 소정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건조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해 전력 소비율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세탁물 건조용 공기의 신속한 가열이 가능한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히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히터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장치의 브라켓과 건조덕트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지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장치의 지지체와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는 도 7의 Ⅰ-Ⅰ선 단면도,
도 8b는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건조덕트, 105....측벽,
105a....설치홈, 200....브라켓,
201....고정편, 211....장공,
212....원형절결부, 220....지지체,
221....체결홈, 223....원형단턱부,
230....코일히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되어 본체 내측에 설치된 건조덕트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지지체가 상기 건조덕트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열을 이루면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 상에 고정된 히터지지부와,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지지체에 양단이 지지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는 코일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8a,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건조장치의 주요 구성요소 중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 1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에 따르면, 도시된 도 3과 같이,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건조덕트(100)와, 상기 건조덕트(100)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200)과, 상기 브라켓(200) 상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개의지지체(220)로 구성된 히터지지부와, 상기 지지체(200)에 고정되며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는 코일히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 히터장치를 구성하는 건조덕트(100)는 상부케이스(100a)와 하부케이스(100b)로 이루어져 상기 각 케이스(100a,100b)를 형합한 후 각 테두리부에 구비된 체결공(103,104)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함에 의해 상하로 결합되는 구조로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b)의 일단부에는 응축덕트(7,도1)와 연결됨과 아울러 송풍팬(9)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10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터브(2)와 연통되어 드럼(5)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10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0a)와 맞닿으면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00b)의 측벽(105) 상면에는 다수개의 설치홈(105a)이 요홈 형성되어 상,하부케이스(100a,100b) 내측에 상기 브라켓(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 히터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2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의 테두리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각 설치홈(105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편(20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201)을 각 설치홈(105a)에 삽입시켜 브라켓(200)으 하부케이스(100b) 내에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a)와 하부케이스(100b)를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200)을 상,하부케이스(100a,100b) 내측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고정편(201)은 브라켓(200)과 별도의 부품을 제작하여 그 테두리부에 결합시킬 수 있으나, 제작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브라켓(200)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편(201)의 끝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싱(lancing) 가공된 돌출부(20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201)의 끝단부는 상기 설치홈(105a) 내면과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히터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브라켓(200)이 고온화 될 경우, 상기 고정편(201)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팽창여유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열팽창으로 인한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 히터장치를 구성하는 히터지지부는 코일히터(2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브라켓(200) 상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체(220)들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220)는 코일히터(230)와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220)들은 두 개의 지지체(220)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각 쌍을 이루는 지지체(220)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이 때, 상기 각 쌍을 이루는 다수열의 지지체(220)가 배열되는 구조는, 상기 건조덕트(100)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공기 유동시 코일히터(230)와 공기의 접촉기회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체(220)는 각각 브라켓(200) 상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지지체(220)와 브라켓(200)의 고정구조를 도 6 내지 도 8a,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체(2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몸체부(222)의 양 측면에 요홈 형성된 체결홈(221)과, 상기 지지체(220)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200) 상의 각 지지체(220) 설치부위에 형성된 장공(211)과, 상기 지지체(220)의 체결홈(221)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장공(21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절결부(21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220)의 몸체부(222)는 소정 두께(T1)을 가지며, 상기 두께(T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W1)을 갖는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220)의 몸체부(222)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장공(211)의 단변(L2)과 장변(L1)의 크기는 지지체(220)의 두께(T1)와 폭(W1)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원형절결부(212)의 직경(D)은 몸체부(222)의 폭(W1)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체(220)의 몸체부(222)를 장공(211)에 삽입시켜 체결홈(221)과 원형절결부(2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체(220)를 도 6에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부(222) 상에 형성된 체결홈(221)과원형절결부(212)가 맞물림에 따라 브라켓(200) 상에 지지체(220)가 고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200) 상에는 상기 브라켓(200)에 고정된 지지체(2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장공(211) 및 원형절결부(212)의 인접한 브라켓(200) 상에 랜싱 가공된 다수개의 걸림돌기(213a,213b,213c,213d)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13b)는 브라켓(200)의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도면상 좌측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걸림돌기(213a)는 브라켓(200)의 하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도면상 우측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13a)와 걸림돌기(213b)는 서로 직교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걸림돌기(213c,213d)의 구조 또한 상기 걸림돌기(213a,213b)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장공(211) 내측에 지지체(220)를 삽입한 후,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지지체(220)의 체결홈(221)이 상기 걸림돌기(213b)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지지체(220)가 직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체(220)가 직각 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지지체(220)의 일측면은 상기 걸림돌기(213b)의 돌출된 단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체(220)의 타측면은 걸림돌기(213a)의 돌출된 단부에 의해 각각 고정됨으로써, 브라켓(200)과 지지체(220)의 결합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 히터장치를 구성하는 코일히터(230)는 서로 대응된 상태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지지체(220)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코일히터(230)의 고정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지지체(220)의 몸체부(222) 양단 전후면에는 상기 코일히터(230)의 직경과 대략 대응되는 크기의 원형단턱부(223)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코일히터(230)의 양단이 상기 코일히터(23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형단턱부(22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코일히터(230)의 설치구조로서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 설치된 각각의 지지체(2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코일히터 마다 독립적으로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될 수 있는 하나의 전열선을 이용해 코일 형태로 된 다수개의 권회부를 형성하여 각 권회부를 각 쌍을 이루는 지지체(220)에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히터장치에 따른 작동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 히터장치에 따르면, 브라켓(200)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장공(211) 및 원형절결부(212)에 지지체(220)를 간단히 끼워 결합하고, 각 지지체(220)에 코일히터(230)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조립의 용이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히터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시즈히터와는 달리 코일히터(230)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와 코일히터(230) 간에 직접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의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히터장치에 따르면, 코일히터(230)는 발열 가능한 전열선을 다수회 권회시켜 코일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켜 작은 사이즈로도 높은 열교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히터장치에 따르면, 건조덕트(100) 내측으로 흡입된 공기가 건조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열로 배열된 코일히터(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공기와 코일히터(230) 간의 열교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세탁물 건조용 공기의 신속한 가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소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되어 본체 내측에 설치된 건조덕트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지지체가 상기 건조덕트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열을 이루면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 상에 고정된 히터지지부와,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지지체에 양단이 지지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는 코일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덕트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하로 형합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부위의 하부케이스에는 다수개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에는 상기 설치홈에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이 설치홈에 삽입됨에 의해 브라켓이 건조덕트 내부에 고정 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그 끝단부가 설치홈 내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고정편에는 랜싱 가공되어 일측으로 볼록하도록 된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양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지지체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각 지지체 설치부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지지체의 체결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장공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절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상에는 상기 지지체와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장공 및 원형절결부와 인접한 브라켓 상에 랜싱 가공된 다수개의 걸림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각각 원형단턱부가 구비되어, 코일히터의 일부분이 상기 원형단턱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적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절연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히터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될 수 있는 하나의 전열선을 코일형태로 권회시켜 각 쌍을 이루는 다수개의 지지체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KR1020010079443A 2001-12-14 2001-12-14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KR10085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43A KR100857779B1 (ko) 2001-12-14 2001-12-14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43A KR100857779B1 (ko) 2001-12-14 2001-12-14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276A true KR20030049276A (ko) 2003-06-25
KR100857779B1 KR100857779B1 (ko) 2008-09-09

Family

ID=2957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443A KR100857779B1 (ko) 2001-12-14 2001-12-14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7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756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0601435B1 (ko) * 2004-10-08 2006-07-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건조 덕트의 온도 휴즈 설치구조
KR100867051B1 (ko) * 2007-05-31 2008-11-04 김학열 의류건조기용 히터모듈
KR100873124B1 (ko) * 2002-08-27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세탁기의 전기히터용 인슐레이터
KR100938655B1 (ko) * 2007-10-23 2010-01-25 김학열 의류건조기용 히터모듈
KR101010427B1 (ko) * 2003-12-26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건조용 히터구조
KR101050094B1 (ko) * 2004-10-08 2011-07-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고정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291B1 (ko) * 2010-01-13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히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270A (en) * 1991-10-08 1992-07-28 Emerson Electric Co. Heater assembly for use in clothes dryers
US6002116A (en) * 1999-05-05 1999-12-14 Camco Inc. Heater coil mounting arrangement
KR200246453Y1 (ko) * 2001-06-22 2001-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코일히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24B1 (ko) * 2002-08-27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세탁기의 전기히터용 인슐레이터
KR101010427B1 (ko) * 2003-12-26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건조용 히터구조
KR20050099756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0601435B1 (ko) * 2004-10-08 2006-07-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건조 덕트의 온도 휴즈 설치구조
KR101050094B1 (ko) * 2004-10-08 2011-07-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고정구조물
KR100867051B1 (ko) * 2007-05-31 2008-11-04 김학열 의류건조기용 히터모듈
KR100938655B1 (ko) * 2007-10-23 2010-01-25 김학열 의류건조기용 히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779B1 (ko) 2008-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272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820253B (zh) 衣物处理设备
KR100857779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KR20190016859A (ko) 의류처리장치
US20050223586A1 (en) Dry heater fixing unit of drum-type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ier
KR20190016861A (ko) 의류처리장치
EP2206821B1 (en) Drum washing machine and drying unit thereof
CN101096816B (zh) 具有出风口装置的干衣机门结构
KR102077040B1 (ko) 의류건조기
JP2004522290A (ja) 電気ヒーター用インシュレータ及びインシュレータを備えた乾燥兼用洗濯機のヒーターアセンブリー
KR101037652B1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히팅 장치
KR100648168B1 (ko)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KR100599042B1 (ko) 의류건조기
KR200168819Y1 (ko) 식기건조기의 열 공급장치
CN220693358U (zh) 一种电吹风耐高温陶瓷发热架
KR20040013276A (ko) 가전제품용 히터의 코일 배치 구조
CN216274887U (zh) 一种衣物处理装置
CN217460011U (zh) 用于干衣机的加热器件和干衣机
CN100503948C (zh) 滚筒洗衣机用的烘干加热器装置
US20230295853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CN214655865U (zh) 烘干装置和晾衣系统
KR100857780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와 건조히터 결합구조
CN113403797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JP2009297282A (ja) 衣類乾燥機または洗濯乾燥機
KR100732377B1 (ko) 식기 건조기의 열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