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329A -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329A
KR20030047329A KR1020010077794A KR20010077794A KR20030047329A KR 20030047329 A KR20030047329 A KR 20030047329A KR 1020010077794 A KR1020010077794 A KR 1020010077794A KR 20010077794 A KR20010077794 A KR 20010077794A KR 20030047329 A KR20030047329 A KR 2003004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uxiliary
main
main power
pul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8706B1 (ko
Inventor
류한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706B1/ko
Priority to US10/231,473 priority patent/US7149902B2/en
Publication of KR2003004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고유한 기능을 불연속적인 시점에서 수행하는 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 장치의 보조 전력 발생부는, 전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 전력을 세트로 발생하고, 주 전력 발생부는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 및 세트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세트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 전력을 세트로 발생하고, 사용자는 주 및 보조 전력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할 때 전력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세트는 주 전력에 응답하여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고, 보조 전력에 응답하여 고유한 기능의 수행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절감 상태에서 세트는 다른 주변 회로와 정보를 교환 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부가 필요없으므로 세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보다 더 절감시킬 수 있고, 종래의 교류 스위칭에 의한 급작스런 전력 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스템의 파괴,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세트의 안정된 고유한 기능 수행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with saving the power}
본 발명은 프린터, 복합기, 팩스 또는 디지탈 복사기 등과 같은 세트(set)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트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세트의 상황에 따라 절감시킬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전력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세트(미도시)로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교류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되거나, 세트로의 전력 공급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절감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부(미도시)가 마련되었다.
먼저, 교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면, 세트는 모든 동작을 멈추게 된다. 만일, 세트가 팩스인 경우,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될 때 외부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세트가 네트워크상의 프린터나 디지탈 복사기인 경우, 세트는 외부의 어떤 신호에 의해서도 동작을 할 수 없다. 특히, 세트가 잉크 젯(inkjet) 프린터인 경우, 헤드 파킹(head parking)을 하기 전에 교류 스위치에 의해 세트로의 전력 공급이 갑자기 차단되면, 헤드(미도시)를 정 위치에 파킹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헤드에서 토출된 잉크가 엉켜 붙는 심각한 문제점이 유발된다. 이와 같이, 세트가 그의 고유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갑자기 교류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세트는 수행중인 고유한 동작을 채 마무리하지 못하고 중단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교류 스위치가 온(ON)되어 있는 상황에서, 세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절감시키기 위해, 종래의 전력 공급 장치는 일정한 전류를 소프트웨어부로 항시 공급해야 한다. 결국, 소프트웨어부의 최소한 동작을 위해 어떠한 형태로든지 일정한 전력을 소프트웨어부로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세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프트웨어부의 도움없이 외부의 사용자가 전력 공급을 직접 제어하거나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최소한의 보조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 전력 제어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조 전력 제어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고유한 기능을 불연속적인 시점에서 수행하는 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전력을 상기 세트로 발생하는 보조 전력 발생부 및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하고, 주 전력을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세트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세트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주 전력 발생부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할 때 상기 전력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세트는 상기 주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보조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고유한 기능의 수행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방법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세트로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세트로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세트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세트로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주 전력 발생부(10)와 보조 전력 발생부(12)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14) 및 세트(1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세트(16)는 전력 공급 장치(14)에 의해 구동되어, 그의 고유한 기능을 불연속적인 시점에서 수행한다. 즉, 어느 한 시점에서, 세트(16)는 주 전력 발생부(10)로부터 입력한 주 전력에 응답하여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보조 전력 발생부(12)로부터 입력한 보조 전력에 응답하여 고유한 기능의 수행을 준비할 수만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트(16)는 프린터, 팩스, 디지탈 복사기 또는 복합기등과 같은 컴퓨터 주변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만일, 세트(16)가 프린터라면 고유한 기능은 프린팅 기능을 의미하고, 세트(16)가 팩스라면 고유한 기능은 데이타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의미하며, 세트(16)가 디지탈 복사기라면 고유한 기능은 디지탈 복사 기능을 의미하고, 세트(16)가 복합기라면 고유한 기능은 프린팅 기능, 데이타 송신 및 수신 기능 및 디지탈 복사 기능을 복합한 기능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주 전력 발생부(10)는 보조 전력 발생부(12)로부터 보조 전력이 발생되어 세트(16)로 공급되는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 및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 전력을 발생한다. 예컨데, 주 전력 발생부(1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압이 입력된다고 하더라도, 보조 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감지되면, 주 전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보조 전력이 발생된다고 감지되면, 주 전력 발생부(10)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 전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세트(16)는 그(16)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를 주 전력 발생부(10)로 출력하여, 주 전력 발생부(10)가 주 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세트(16)는 그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제1 논리 레벨과 상보적인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를 주 전력 발생부(10)로 출력하여, 주 전력 발생부(10)가 주 전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 신호는 디지탈 형태가 아니라 아날로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세트(16)는 보조 전력이 발생되지 않을 때 그(16)의 고유한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면, 제어 신호를 주 전력 발생부(10)로 출력하여, 주 전력 발생부(10)가 주 전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한 보조 전력을 세트(14)로 출력한다. 예컨데, 주 전력 발생부(10)로부터 직류 전압이 입력된다고 하더라도,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가 세트(16)로의 전력 공급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되면,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보조 전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전력 차단 신호를 이용하여 주 및 보조 전력들이 발생되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차단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제30 ∼ 제34 단계들), 정상 상태에서 절감 상태나 차단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제36, 제46, 제38 ∼ 제44 단계들) 및 절감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복귀하거나 차단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제48 ∼ 제54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단 상태란,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가 주 및 보조 전력들을 세트(16)로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정상 상태란, 전력 공급 장치가 주 및 보조 전력들을 세트(16)로 공급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절감 상태란, 전력 공급 장치가 보조 전력만을 세트(16)로 공급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4)는 차단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다음과 같이 진입한다(제30 ∼ 제34 단계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4)는 사용자가 주 및 보조 전력들을 세트(16)로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30 단계). 이를 위해, 입력단자 IN1을 통해 외부로부터 사용 교류 전압이 입력되고 있을 때, 전력 공급 장치(14)로부터 세트(16)로 주 및 보조 전력들을 공급할 것을 사용자가 원하는가를, 입력단자 IN2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를 통해 판단한다.
만일, 전력 공급 장치(14)로부터 세트(16)로 주 및 보조 전력들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전력을 발생하여 세트(16)로 공급한다(제32 단계). 예컨데, 전력 공급 장치(14)의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주 및 보조 전력들이 세트(16)로 공급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보조 전력을 발생하여 세트(16)로 출력한다.
제32 단계후에, 보조 전력이 보조 전력 발생부(12)로부터 발생될 때, 주 전력 발생부(10)는 주 전력을 발생하여 세트(16)로 출력한다(제34 단계).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방법은 전력 공급 장치를 차단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진입시킬 때, 보조 전원을 발생한 후에 주 전원을 발생한다.
한편, 제34 단계후에,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4)는 정상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진입할 것인가 절감 상태로 진입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정상 상태를 유지할 것인가를 판단한다(제36 및 제38 단계들).
예컨데, 제34 단계후에, 전력 공급 장치(14)는 세트(16)로 공급되는 주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는가 예를 들면, 세트(16)로 공급되는 주 전력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한다(제36 단계). 이를 위해, 전력 공급 장치(14)의 주 전력 발생부(10)는 주 전력의 공급 차단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가 세트(16)로부터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세트(16)로 공급되는 주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세트(16)로 주 및 보조 전력들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것을 사용자가 요구하는가를 판단한다(제38 단계). 이를 위해, 전력 공급 장치(14)의 보조 전력발생부(1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 차단 신호를 분석한다. 만일, 세트(16)로 주 및 보조 전력들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것을 사용자가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36 단계로 진행한다. 즉, 전력 공급 장치는 제36 및 제38 단계들이 반복해서 수행되는 동안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4)는 정상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다음과 같이 진입한다(제40 ∼ 제44 단계들).
만일, 주 및 보조 전력들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것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먼저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제40 단계). 예컨데,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주 및 보조 전력들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보조 전력을 세트(16)로 공급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40 단계후에, 제1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계속해서 판단한다(제42 단계).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소정 기간은 세트(16)가 수행하는 고유한 기능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에 해당한다. 또한, 제1 소정 기간은 세트(16)가 초기화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4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세트(16)는 제1 소정 기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즉, 주 전력 발생부(10)는 세트(16)로부터 제1 소정 기간이 경과되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
제40 단계를 수행할 때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세트(16)는 레벨 감지부(미도시), 비교부(미도시) 및 제어 신호 발생부(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벨 감지부는 보조 전력 발생부(12)로부터 발생되는 보조 전력의 레벨을감지하고, 비교부는 레벨 감지부에서 감지된 레벨을 소정값과 비교한다. 이 때, 제어 신호 발생부는 세트(16)가 고유한 기능의 수행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완료 신호가 발생되고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를 통해 보조 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인식될 때, 제어 신호를 주 전력 발생부(10)로 출력한다.
만일, 주 전력 발생부(10)는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소정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인식하면, 세트(16)로 주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한다(제44 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정상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진입할 때, 보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 후, 제1 소정 기간이 경과될 때 비로서 주 전력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세트(16)가 그의 고유한 동작을 완전히 종료한 후에 차단 상태가 될 수 있어, 세트(16)의 안정된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세트(16)를 초기화시킨 후에 차단 상태가 되므로, 세트(16)가 잉크 젯 프린터인 경우, 정상 상태에서 헤드를 파킹시킨 후 주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토출된 잉크가 엉켜 붙는 현상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주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보조 전력은 세트(16)로 계속해서 공급하는 반면, 주 전력이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제46 단계). 예컨데, 주 전력 발생부(10)는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를 통해 세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식되면, 주 전력을 세트(16)로 출력하지 않는다. 이 때, 보조 전력 발생부(12)로부터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발생되는 것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트(16)는 그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시점부터 제2 소정 기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주 전력 발생부(10)로 출력한다. 이 때, 주 전력 발생부(10)는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를 통해 제2 소정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인식되면, 세트(16)로 공급되는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여, 전력 공급 장치는 정상 상태로부터 절감 상태로 진입한다. 절감 상태에서, 주 전력은 세트(16)로 공급되지 않을 때, 보조 전력이 계속해서 세트(16)로 공급되는 이유는, 세트(16)가 고유한 기능의 수행을 준비할 수 있도록 즉, 세트(16)가 최소한의 필요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4)는 절감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복귀하거나 차단 상태로 다음과 같이 진입한다(제48 ∼ 제54 단계들).
제46 단계후에, 주 전력이 세트(16)로 다시 공급될 것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한다(제48 단계). 이를 위해, 주 전력 발생부(10)는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를 통해, 세트(16)가 주 전력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주 전력이 세트(16)로 다시 공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 전력을 세트(16)로 다시 공급하고, 제36 단계로 진행한다(제50 단계). 즉, 주 전력 발생부(10)는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를 통해 주 전력이 다시 공급될 것을 세트(16)가 요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주 전력을 발생하여 세트(16)로 출력한다. 여기서, 세트(16)는 외부로부터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가 입력될 때 주 전력을 다시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주 전력발생부(1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는 절감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주 전력이 세트(16)로 다시 공급될 것을 요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를 통해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가를 판단한다(제52 단계). 만일,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절감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48 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48 및 제52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동안 전력 공급 장치는 절감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를 통해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제54 단계). 따라서, 전력 공급 장치는 절감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진입한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방법에 의해 동작하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의 상태, 전력 차단 신호, 제어 신호 및 주 및 보조 전력들의 발생 유무는 다음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상 태 전력 차단 신호 제어 신호 주 전력 보조 전력
정상 상태 -->절감 상태 ON H --> L 발생 --> 미발생 발생
절감 상태 -->정상 상태 ON L --> H 미발생 --> 발생 발생
절감 상태 -->차단 상태 ON --> OFF L 유지 미발생 발생 --> 미발생
차단 상태 -->정상 상태 OFF --> ON L --> H 미발생 --> 발생 미발생 --> 발생
정상 상태 -->차단 상태 ON --> OFF H --> L 소정 시간 경과후,발생 --> 미발생 발생 --> 미발생
여기서, 전력 차단 신호가 'ON'이란, 외부의 사용자가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될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고, 'OFF'는 외부의 사용자가 보조 전력과 주 전력이 세트(16)로 공급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고, 제어 신호가 'H'란, 세트(16)가 주 전력을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받기를 원하는 것을 나타내고, 'L'은 세트(16)가 제2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음을 전력 공급 장치에 알리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주 전력 발생부(10) 및 보조 전력 발생부(12)는 스위칭 모드 방식으로 주 및 보조 전력들을 각각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er)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스위칭 모드 방식으로 전력을 발생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주 전력 발생부(10A) 및 보조 전력 발생부(12A)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주 전력 발생부(10A)는 잡음 제거부(70), 교류-직류 정류부(72), 주 스너버(snubber)부(74), 주 스위칭부(76), 제1 펄스 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발생부(78), 주 정류부(80), 주 검출부(82) 및 주 전력 제어부(84)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잡음 제거부(70)는 입력단자 IN3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한 상용 교류 전압으로부터 전자파 장애(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서지성 잡음을 제거하고, 잡음이 제거된 결과를 교류-직류 정류부(72)로 출력한다. 교류-직류 정류부(72)는 잡음 제거부(70)에서 잡음이 제거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발생한다. 이 때, 주 스너버부(74)는 제1 스파이크 전압을 억압한다. 여기서, 제1 스파이크 전압이란, 교류-직류 정류부(72)에서 정류된 직류 전압을 주 스위칭부(76)에서 스위칭할 때 발생된다.
주 스위칭부(76)는 교류-직류 정류부(72)로부터 입력한 직류 전압을 제1 PWM 신호 발생부(78)로부터 입력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여 구형파 형태로 주 정류부(80)로 출력한다. 이 때, 제1 PWM 신호 발생부(78)는 보조 전력의 발생과 주 전력 제어부(84)의 발광 여부를 감지하고, 주 검출부(82)로부터 입력한 주 전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펄스 폭 변조되는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감지된 결과들에 응답하여 발생하고, 발생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주 스위칭부(76)로 출력한다. 주 정류부(80)는 주 스위칭부(76)로부터 입력한 구형파 형태의 전압을 정류시키고, 정류된 결과를 주 전력으로서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세트(16)로 출력한다.
이 때, 주 검출부(82)는 주 정류부(80)로부터 입력한 주 전력의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 전력의 크기를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78)로 출력한다. 주전력 제어부(84)는 보조 전력 발생부(12A)로부터 입력한 보조 전력 또는 주 정류부(80)로부터 입력한 주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입력단자 IN5를 통해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단자 OUT2를 통해 빛을 발한다. 이 때, 제1 PWM 신호 발생부(78)는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주 전력 제어부(84)가 발하는 빛을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하여 주 전력 제어부(84)의 발광 여부를 감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보조 전력 발생부(12A)는 보조 스너버부(100), 보조 스위칭부(102), 제2 PWM 신호 발생부(104), 보조 정류부(106), 보조 검출부(108) 및 보조 전력 제어부(11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보조 전력 발생부(12A)의 보조 스너버부(100)는 제2 스파이크 전압을 억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스파이크 전압이란, 교류-직류 정류부(72)에서 정류된 직류 전압을 보조 스위칭부(102)에서 스위칭할 때 발생된다.
보조 스위칭부(102)는 교류-직류 정류부(72)로부터 입력한 직류 전압을 제2 PWM 신호 발생부(104)로부터 입력한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여 구형파 형태로 보조 정류부(106)로 출력한다. 보조 정류부(106)는 보조 스위칭부(102)로부터 입력한 구형파 형태의 전압을 정류시키고, 정류된 결과를 보조 전력으로서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세트(16) 및 주 전력 제어부(84)로 출력한다. 이 때, 보조 검출부(108)는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입력한 보조 전력의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조 전력의 크기를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104)로 출력한다.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104)는 보조 검출부(108)로부터 입력한 보조 전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펄스 폭 변조되는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입력단자 IN6을 통해 입력한 전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고, 발생한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보조 스위칭부(102)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104)는 전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차단 신호가 'OFF'일 때 스위치는 오프되어,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조 스위칭부(102)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구형파는 보조 정류부(106)로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출력될 수 없다. 그러나, 전력 차단 신호가 'ON'일 때 스위치는 온되어,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보조 스위칭부(102)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구형파를 보조 정류부(106)로 출력한다. 따라서, 보조 전력이 세트(16)로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전력 제어부(110)는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입력한 보조 전력의 발생 여부에 응답하여 출력단자 OUT4를 통해 빛을 발한다. 즉,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보조 전력이 발생될 때 빛을 발하고,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보조 전력이 발생되지 않을 때 빛을 발하지 않는다. 이 때,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78)는 보조 전력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단자 OUT4를 통해 발하는 빛을 입력단자 IN4를 통해 수광하여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한다.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 전력 제어부(84)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저항들(R1, R2, R3, R4, R5 및 R6), 제1 커패시터(C1), 다이오드(D),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Q1 및 Q2) 및 제1 발광 다이오드(12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제1 저항(R1)은 입력단자 IN7을 통해 세트(16)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다. 이 때, 다이오드(D)는 입력단자 IN8을 통해 보조 전력 발생부(12A)로부터 입력되는 보조 전력과 연결되는 양극 및 제2 저항(R2)의 일측과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다. 이 때, 제2 저항(R2)은 다이오드(D)의 음극과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제1 저항(R1)의 일측에 연결되는 베이스, 제2 저항(R2)의 타측과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컬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다.
이 때, 제3 및 제4 저항들(R3 및 R4)은 다이오드(D)의 음극과 입력단자 IN9를 통해 주 정류부(80)로부터 입력되는 주 전력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5 및 제6 저항들(R5 및 R6)은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기준 전위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1 커패시터(C1)은 제5 저항(R5)과 제6 저항(R6)의 연결점과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Q2)는 제5 저항(R5)과 제6 저항(R6)의 연결점과 연결되는 베이스 및 기준 전위인 접지와 연결되는 이미터를 갖는다. 이 때, 제1 발광 다이오드(120)는 제3 저항(R3)과 제4 저항(R4)의 연결점과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도 4에 도시된 주 전력 제어부는 보조 전력 발생부(12A)로부터 입력단자 IN8을 통해 입력한 보조 전력 및/또는 주 정류부(80)로부터 입력단자 IN9를 통해 입력한 주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입력단자 IN7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발광 다이오드(120)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78)는 제1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발하는 빛을 입력단자 IN4를 통해 수광하여 주 전력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입력단자 IN4를 통해 제1 발광 다이오드(120)에서 발한 빛이 수광되면, 제1 PWM 신호 발생부(78)는 주 전력이 발생되었다고 인지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조 전력 제어부(110)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제7 저항(R7) 및 제2 발광 다이오드(122)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7 저항(R7)은 입력단자 IN10을 통해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입력한 보조 전력과 연결되는 일측을 갖고, 제2 발광 다이오드(122)는 제7 저항(R7)의 타측과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도 5에 도시된 보조 전력 제어부(110)는 입력단자 IN10을 통해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보조 전력이 입력되면, 제2 발광 다이오드(122)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78)는 제2 발광 다이오드(122)로부터 발하는 빛을 입력단자 IN4를 통해 수광하여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입력단자 IN4를 통해 제2 발광 다이오드(122)에서 발한 빛이 수광되면, 제1 PWM 신호 발생부(78)는 보조 전력이 발생되었다고 인지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78)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펄스 폭 변조부(130) 및 구동부(132)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펄스 폭 변조부(130)는 구동부(132)에 의해 구동되고, 입력단자 IN11을 통해 주 검출부(82)로부터 입력한 주 전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주 스위칭부(76)로 출력한다.
이 때, 구동부(132)는 보조 및 주 전력들의 발생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들에 응답하여 펄스 폭 변조부(130)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132)는 제8, 제9 및 제10 저항들(R8, R9 및 R10), 제2, 제3 및 제4 커패시터들(C2, C3 및 C4), 제3 트랜지스터(Q3),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들(ZD1 및 ZD2), 제1 및 제2 수광 트랜지스터들(140 및 142)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발하는 빛을 수광하는 베이스,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양극과 제9 저항(R9)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컬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다. 제1 제너 다이오드(ZD1)는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의 컬렉터와 연결되는 양극 및 제3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와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다. 제3 트랜지스터(Q3)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음극과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컬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다. 이 때, 제8 저항(R8)은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음극과 펄스 폭 변조부(130)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커패시터(C2)는 펄스 폭 변조부(130)와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제9 저항(R9)은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의 이미터와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고, 제10 저항(R10)은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는 도 5에 도시된 제2 발광 다이오드(122)로부터 발하는 빛을 수광하는 베이스 및 교류-직류 정류부(72)로부터 입력단자 IN12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압과 연결되는 컬렉터를 갖는다. 이 때, 제3 커패시터(C3)는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의 이미터와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전해질 커패시터이다. 제4 커패시터(C4)는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의 컬렉터와 기준 전위인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전해질 커패시터이다. 이 때, 제2 제너 다이오드(ZD2)는 제4 커패시터(C4)와 병렬 연결된다. 이 때, 펄스 폭 변조부(130)는 제2 및 제3 커패시터들(C2 및 C3)에 충전된 전압들에 응답하여 구동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도 6에 도시된 제1 PWM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 전력 제어부 및 보조 전력 제어부의 동작들과 함께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입력단자 IN8 및 IN9를 보조 전력과 주 전력이 각각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이 때, 입력단자 IN7을 통해 "고" 논리 레벨(전술한 'H'에 해당)의 제어 신호가 세트(16)로부터 입력되면,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 온되고, 제2 트랜지스터(Q2)는 턴 오프된다. 따라서, 제1 발광 트랜지스터(120)는 발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발하여지는 빛을 수광하는 도 6에 도시된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는 턴 오프 상태가 되어,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의 레벨은 소정 레벨 예를 들면 0.5볼트 이상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 될 경우, 펄스 폭 변조부(130)는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주 스위칭부(76)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단자 IN7을 통해 "저" 논리 레벨(전술한 'L'에 해당)의 제어 신호가 세트(16)로부터 입력되면,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되고, 제2 트랜지스터(Q2)는 턴 온된다. 따라서, 제1 발광 트랜지스터(120)는 발광한다. 그러므로, 제1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발하여지는 빛을 수광하는 도 6에 도시된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는 턴 온 상태가 되어,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의 레벨은 소정 레벨 보다 적어진다. 이와 같이,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의 레벨이 소정 레벨 보다 적어질 경우, 펄스 폭 변조부(130)는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주 스위칭부(76)로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는 턴 오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입력단자 IN10을 통해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보조 전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2 발광 다이오드(122)는 빛을 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는 턴 오프된다. 그러므로, 입력단자 IN12를 통해 교류-직류 정류부(72)로부터 직류 전압이 입력된다고 하더라도, 이 직류 전압은 펄스 폭 변조부(130)로 제공될 수 없다. 결국, 교류-직류 정류부(7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 폭 변조부(130)는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할 수 없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입력단자 IN10을 통해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보조 전력이 입력되면, 제2 발광 다이오드(122)는 빛을 발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는 턴 온된다. 그러므로, 입력단자 IN12를 통해 교류-직류 정류부(72)로부터 입력한 직류 전압이 턴 온된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를 통해 펄스 폭 변조부(13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펄스 폭 변조부(130)는 입력단자 IN12를 통해 보조 정류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주 스위칭부(76)는 도 6에 도시된 제1 PWM 신호 발생부의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스위칭 동작을 하지 못하므로, 주 전력 발생부(10A)는 주 전력을 발생할 수 없다. 또한, 주 스위칭부(76)는 제1 PWM 신호 발생부의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가 발생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주 전력 발생부(10A)는 주 전력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가 턴 온된 후, 보조 전력이 발생되지 않아 제2 발광 다이오드(122)가 빛을 발하지 않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펄스 폭 변조부(130)는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0)가 턴 온되었는가 그렇지 않으면 턴 오프되었는가에만 의존하여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가 일단 턴 온된 후에 제2 발광 다이오드(122)가 빛을 발하지 않게 되더라도, 펄스 폭 변조부(130)는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가 턴 온되어 있으면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제1 수광 트랜지스터(140)가 턴 오프되어 있으면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결국, 도 6에 도시된 제2 수광 트랜지스터(142)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주 전력 발생부(10 또는 10A)가 보조 전력 발생부(12 또는 12A)와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즉, 주 전력 발생부(10 또는 10A)는 보조 전력 발생부(12 또는 12A)에서 보조 전력이 발생될 때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 전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조 전력이 보조 전력 발생부(12 또는 12A)로부터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 신호에 무관하게 주 전력 발생부(10 또는 10A)는 주 전력을 발생할 수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은 교류 스위치의 도움없이 세트(16)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절감 상태에서 보조 전력만을 공급받는 세트(16)는 다른 주변 회로와 정보를 교환 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을 요구하는 종래의 소프트웨어부의 도움없이 세트(16)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세트(16)로 공급되는 전력을 보다 더 절감시킬 수 있고, 세트(16)가 수행중인 고유한 기능을 모두 완료 및/또는 세트(16)가 초기화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 후에 세트(16)로의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교류 스위칭에 의한 급작스런 전력 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스템의 파괴,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세트(16)의 안정된 고유한 기능 수행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4)

  1. 고유한 기능을 불연속적인 시점에서 수행하는 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력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전력을 상기 세트로 발생하는 보조 전력 발생부; 및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하고, 주 전력을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세트의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세트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주 전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사용자는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할 때 상기 전력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세트는 상기 주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보조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고유한 기능의 수행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컴퓨터 주변 기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전자 기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기능은 프린팅 기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기능은 데이타 송신 및 수신 기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기능은 디지탈 복사 기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기능은 프린팅 기능, 데이타 송신 및 수신 기능 및 디지탈 복사 기능을 복합한 기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한 결과 및 상기 세트가 상기 고유한 기능을 완료했는가의 여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력 발생부 및 상기 보조 전력 발생부는 스위칭 모드 방식으로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을 각각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력 발생부는
    상기 보조 전력 또는 상기 주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하는 주 전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 전력은 상기 보조 전력이 발생될 때 상기 주 전력 제어부의 발광 여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연결되는 일측을 갖는 제1 저항;
    상기 보조 전력과 연결되는 양극을 갖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연결되는 일측을 갖는 제2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측에 연결되는 베이스, 상기 제2 저항의 타측과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컬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과 상기 주 전력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3 및 제4 저항들;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5 및 제6 저항들;
    상기 제5 저항과 상기 제6 저항의 연결점과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5 저항과 상기 제6 저항의 연결점과 연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기준 전위와 연결되는 이미터를 갖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저항과 상기 제4 저항의 연결점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주 전력 발생부는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과 상기 주 전력 제어부의 발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주 전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펄스 폭 변조되는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상기 감지된 결과들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 전력은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발생 여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주 전력의 상기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폭 변조부; 및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과 상기 주 전력 제어부의 발광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들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력 발생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압으로부터 전자파 장애와 과도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상기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발생하는 교류-직류 정류부;
    제1 스파이크 전압을 억압하는 주 스너버부;
    상기 교류-직류 정류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여 구형파 형태로 출력하는 주 스위칭부;
    상기 주 스위칭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구형파 형태의 전압을 정류시키고, 정류된 결과를 상기 주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주 정류부; 및
    상기 주 정류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주 전력의 상기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크기를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로 출력하는 주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파이크 전압은 상기 교류-직류 정류부에서 정류된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주 스위칭부에서 스위칭할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력 발생부는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 여부에 응답하여 빛을 발하는 보조 전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보조 전력 제어부로부터 발하는 빛을 수광하여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력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력과 연결되는 일측을 갖는 제7 저항; 및
    상기 제7 저항의 타측과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하는빛을 수광하여 상기 보조 전력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하는 빛을 수광하는 베이스를 갖는 제1 수광 트랜지스터;
    상기 제1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되는 양극을 갖는 제1 제너 다이오드;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과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컬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과 연결되는 일측을 갖는 제8 저항;
    상기 제8 저항의 타측과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수광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제9 저항;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제10 저항;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하는 빛을 수광하는 베이스 및 상기 교류-직류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 전압과 연결되는 컬렉터를 갖는 제2 수광 트랜지스터;
    상기 제2 수광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
    상기 제2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커패시터; 및
    상기 제4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제너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 폭 변조부는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커패시터들에 충전된 전압들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력 발생부는
    상기 보조 전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펄스 폭 변조되는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상기 전력 차단 신호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력 발생부는
    제2 스파이크 전압을 억압하는 주 스너버부;
    상기 교류-직류 정류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직류 전압을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여 구형파 형태로 출력하는 보조 스위칭부;
    상기 보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구형파 형태의 전압을 정류시키고, 정류된 결과를 상기 보조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보조 정류부; 및
    상기 보조 정류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보조 전력의 상기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크기를 상기 제2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부로 출력하는 보조 검출부를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파이크 전압은 상기 교류-직류 정류부에서 정류된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보조 스위칭부에서 스위칭할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 공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세트로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세트로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세트로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세트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방법은
    (d) 상기 (c) 단계후에,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상기 주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주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주 전력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단계;
    (f)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상기 주 전력을 절감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가를 판단하고, 차단하고자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g) 상기 주 및 상기 보조 전력들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h) 제1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1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주 전력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세트에서 상기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시점부터 제2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주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기간은 상기 세트가 수행하는 상기 고유한 기능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23. 제20 항 또는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기간은 상기 세트가 초기화되는 데 소요되는 기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방법은
    (j) 상기 (e) 단계후에, 상기 주 전력이 상기 세트로 다시 공급될 것을 요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k) 상기 주 전력이 상기 세트로 다시 공급될 것을 요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가를 판단하고, 차단하고자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j)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l) 상기 주 전력이 상기 세트로 다시 공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 전력을 상기 세트로 다시 공급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m)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세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방법.
KR10-2001-0077794A 2001-12-10 2001-12-10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43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94A KR100438706B1 (ko) 2001-12-10 2001-12-10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US10/231,473 US7149902B2 (en) 2001-12-10 2002-08-30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with power sav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94A KR100438706B1 (ko) 2001-12-10 2001-12-10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329A true KR20030047329A (ko) 2003-06-18
KR100438706B1 KR100438706B1 (ko) 2004-07-05

Family

ID=1971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794A KR100438706B1 (ko) 2001-12-10 2001-12-10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49902B2 (ko)
KR (1) KR100438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89B1 (ko) * 2009-04-06 2013-02-07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력을 소비하고 제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2085B2 (en) * 2003-08-12 2008-04-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 from power source
JP4219293B2 (ja) * 2004-03-25 2009-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39680B2 (en) * 2004-07-15 2006-11-21 Crydom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tandby lighting
US20060174141A1 (en) * 2005-02-02 2006-08-03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saving circuit
FR2888686B1 (fr) * 2005-07-18 2007-09-07 Schneider Toshiba Inverter Dispositif d'alimentation d'un variateur de vitesse
US7992028B2 (en) * 2006-08-10 2011-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management for correlating difference in system power measurements with subsystem power draw
US7793117B2 (en) 2006-10-12 2010-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wer supply to a load
MX2009012558A (es) 2007-08-03 2010-04-21 Biomarin Iga Ltd Combinaciones de farmacos para el tratamiento de distrofia muscular de duchenne.
GB0715087D0 (en) 2007-08-03 2007-09-12 Summit Corp Plc Drug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US8080769B2 (en) * 2008-01-10 2011-12-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haracterization of AC mains circuit parameters
EP2384461B1 (en) * 2009-01-30 2020-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powered-off state auxiliary power rail control
CN103941597B (zh) * 2013-01-21 2016-09-07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源控制电路及具有该电源控制电路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216B1 (ko) * 1993-03-31 199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KR19990021039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보조전원을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0273439B1 (ko) * 1998-08-11 2001-01-15 구자홍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소모 저감 장치 및 방법
US6108219A (en) * 1999-01-06 2000-08-22 Indigo Manufacturing Inc. DC power converter circuit
US6349386B1 (en) * 1999-08-24 2002-02-19 02 Micro International Limited Launch key, low power CD-ROM player for portable computers
US6769070B1 (en) * 2000-09-08 2004-07-27 Sony Corporation Standby circuit for digital display moni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89B1 (ko) * 2009-04-06 2013-02-07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력을 소비하고 제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들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49902B2 (en) 2006-12-12
KR100438706B1 (ko) 2004-07-05
US20030110405A1 (en)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4271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438706B1 (ko)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470593B1 (ko) 키오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US9130450B2 (en) Power supply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low-capacity power supply circuit
US704072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printer and method thereof
US9214835B2 (en) Power supply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system
KR100273439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소모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0476957B1 (ko)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JP2010068638A (ja) Acアダプタ
US5555167A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a power-saving function
JP5779114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61035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JP3744304B2 (ja) 電源装置
KR100408304B1 (ko) 프린터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54711B1 (ko) 전원오프모드에 의한 프린터의 전원절약장치
JP200022484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2067441A (ja) 低消費電力型印刷装置
KR200310646Y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제어장치
US200401256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in an electronic machine using a host
JPH07214871A (ja) 印字装置
JP2000350361A (ja) 人工知能を持つファクシミリの節電装置
JP2003087960A (ja) 電源装置
JP200634043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61944A (ja) 電源回路、複合機
KR20000002556U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