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568A -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568A
KR20030046568A KR1020010076425A KR20010076425A KR20030046568A KR 20030046568 A KR20030046568 A KR 20030046568A KR 1020010076425 A KR1020010076425 A KR 1020010076425A KR 20010076425 A KR20010076425 A KR 20010076425A KR 20030046568 A KR20030046568 A KR 2003004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vms
called subscriber
cf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568A/ko
Publication of KR2003004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6Arrangements for calling a number of substations in a predetermined sequence until an answer is obta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은 제1 가입자로부터의 호 착신을 제2 가입자에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가입자에 대한 호 착신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와 관련된 번호로 착신 전환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전환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으로 상기 제1 가입자를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입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망 운용에 있어서도 발/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CALL FORWARD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시스템의 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전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PCS(PersonalCommunication Services)방식과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자들에게 음성 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던 전형적인 형태에서 가입자들에게 편리한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예로 착신 전환 서비스(Call Forwarding Service)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80, 이동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70, 기지국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64,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62 및 이동단말기(MS: Mobile Station) 50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는 복수의 HLR 및 MSC가 상호 연동되어 가입자 관리 및 호 교환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HLR 80에는 복수의 MSC 70들이 연결되며(도 1에서는 MSC0 70a, MSC1 70b), 하나의 MSC 70에는 복수의 BSC 64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MSC0 70a에는 BSC00 64a, BSC01 64b), 하나의 BSC 64에는 복수의 BTS 62들이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면, BSC00 64a에는 BTS000 62a와 BTS001 62b). 통상 상기 BSC 64와 BTS 62는 기지국시스템(BSS: Base Station Subsystem) 또는 기지국(BS: Base Station) 60으로 통칭된다. 상기 MSC1 70b에는 가입자들에게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위한 VMS 시스템 90이 접속된다.
상기 도 1의 구성요소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SC 70은 BSC64, 도시하지 않은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및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웨이(G/W: Gateway)를 통한 패킷데이터통신망(PSDN: Packet Serving Data Network)과의 접속을 제어한다. BSC 64는 무선링크 및 무선링크 제어,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한다. BTS 62는 MS 50과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HLR 80은 가입자 위치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MSC 70 각각에 하나씩 대응되게 구성되어 있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72a,72b는 해당 MSC(즉 MSC0 70a, MSC1 70b)가 담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MS 50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만약 MS 50이 다른 영역으로 벗어나게 되면 저장된 정보도 삭제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시스템은 호가 설정되면 해당 MS 50과 BTS 62는 무선채널을 할당하고 BTS 62와 BSC 64, BSC 64와 MSC 70, MSC 70과 자체 망 또는 외부 망(예를 들면, PSTN)과의 통화로를 할당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호가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IS-41C/D에는 착신 전환(Call Forwarding) 처리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PCS, DCS(Digital Cellular System) 및 IS-95C와 같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는 착신이 되지 않을 경우 발신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해 착신이 가능한 번호를 호 전환 번호로 등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호 전환 가입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바로 호가 종료되기 때문에 최초 착신 가입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전달해 줄 방법이 없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처리 흐름은 착신 가입자가 발신 가입자와 동일한 MSC내에 위치한 경우의 착신 전환 절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의 동작들로 정리될 수 있다.
(단계 2-1)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같은 MSC에 위치한 경우, 착신 가입자가 Paging No Answer/RingNoAnswer/Busy 이면서 CFW_Default가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검색하여 전환 번호를 구한다.
(단계 2-2) 해당 전환 번호로 호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2-3) 전환 번호로의 호 설정이 실패되면 호를 종료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처리 흐름은 착신 가입자가 발신 가입자와 다른 MSC에 위치한 경우의 착신 전환 절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의 동작들로 정리될 수 있다.
(단계 3-1)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다른 MSC에 위치한 경우,착신 가입자가 Paging No Answer/RingNoAnswer/Busy 이면서 CFW_Default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 MSC로 호 전환을 발신 MSC에서 처리하라는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를 보내며, 이때 호 전환 번호가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내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단계 3-2)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MSC는 해당 전환 번호로 호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3-3) 전환 번호로의 호 설정이 실패하면 호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전환된 가입자와 통화가 되지 않을 경우, 기존 IS-41C/D 처리 절차에서는 바로 호가 해제되기 때문에, 발신 가입자는 최초 착신 가입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전달해줄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전환 가입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최초 착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VMS)으로 자동 전환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은 제1 가입자로부터의 호 착신을 제2 가입자에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가입자에 대한 호 착신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와 관련된 번호로 착신 전환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전환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으로 상기 제1 가입자를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CFW 실패 후의 VMS 자동 처리 절차는 가입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망 운용에 있어서도 발/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동일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들을 변경하거나 설계하는 기초로서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 예가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또한 발명과 균등한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착신전환(CFW) 서비스에 등록된 전환 가입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최초 착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VMS)으로 자동 전환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IS-41C/D에 정의된 착신 전환 절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CFI(CallingFeaturesIndicator) 파라미터, REDREQ(Redirection Request) 파라미터, TTNR(TransferToNumberRequest)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구성한다.
하기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도면들에서 사용된 용어들중 "Origination"은 발신측을 의미하고, "Termination"은 착신측을 의미한다. 메시지들중 대문자로 표현한 메시지들(예: LOCREQ, ROUTREQ, REDREQ 등)은 이동 통신시스템의 어느 한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송신되는 메시지를 의미하고, 소문자로 표현한메시지들(예: locreq, routreq, redreq 등)은 상기 송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대문자로 표현된 메시지들은 송신 메시지이고, 소문자로 표현한 메시지들은 응답 메시지라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VLR, HLR1은 착신 또는 발신측 VLR 및 HLR을 의미하고, VLR1, HLR2는 착신 전환되는 측의 VLR 및 HLR을 의미한다. 비록 이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도 1에 일치시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기에서는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을 위해 변경되는 파라미터들이 하기의 <표 1> 내지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FI 파라미터에는 CFW 후VMS로의 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한 CFW-TO-VMS 필드가 추가된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EDREQ 파라미터에는 CFW 후 VMS로의 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한 CFW-TO-VMS 필드가 추가된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TNR 파라미터에는 CFW 후 VMS로의 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한 CFW-TO-VMS 필드가 추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처리 흐름은 착신 가입자가 발신 가입자와 같은 MSC에 위치한 경우에 착신 전환이 실패한 후 VMS로의 자동 접속을 위한 처리 절차에 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의 동작들로 정리될 수 있다.
(단계 4-1)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같은 MSC에 위치한 경우, 착신 가입자가 Paging No Answer/RingNoAnswer/Busy 이면서 CFW_Default가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가입자 DB를 검색하여 전환 번호를 구한다.
(단계 4-2) 해당 전환 번호로 호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4-3) 전환 번호로의 호 설정시 호가 실패되면, 발신 MSC는 착신 가입자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가입자가 CFW-TO-VMS가 등록되어 있다면, CFW-TO-VMS를 Y로 설정(Setting)한 TTNR 메시지를 HLR로 보낸다.
(단계 4-4) TTNR 메시지를 수신한 HLR은 CFW-TO-VMS 정보가 Y임이 확인되면, VMS로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정보를 MSC로 전달한다.
(단계 4-5) 발신 MSC는 착신가입자의 VMS와 접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처리 흐름은 착신 가입자가 발신 가입자와 다른 MSC에 위치한 경우에 착신 전환 실패 후 VMS로의 자동 접속을 위한 처리 절차에 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의 동작들로 정리될 수 있다.
(단계 5-1)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다른 MSC에 위치한 경우,착신 가입자가 Paging No Answer /RingNoAnswer/Busy 이면서 CFW_Default 및 CFW-TO-VMS가등록되어 있으면, 발신 MSC로 호 전환을 발신 MSC에서 처리하라는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호 전환 번호 및 CFW가 실패하면, VMS로 연결하라는 파리미터를 Redirection Request 메시지내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단계 5-2)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MSC는 해당 전환 번호로 호 설정(Setup)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5-3) 전환 번호로의 호가 실패될 경우, 발신 MSC는 착신 가입자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가입자가 CFW-TO-VMS가 등록되어 있다면, CFW-TO-VMS를 Y로 설정(Setting)한 TTNR 메시지를 HLR로 보낸다.
(단계 5-4) TTNR 메시지를 수신한 HLR은 CFW-TO-VMS 정보가 Y임이 확인된면, VMS로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정보를 MSC로 전달한다.
(단계 5-5) 발신 MSC는 착신가입자의 VMS와 접속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동작은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진행되는 동작에 대응한다. 첫째, 제1 가입자로부터의 호 착신을 제2 가입자에 시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둘째, 상기 제2 가입자에 대한 호 착신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와 관련된 번호로 착신 전환을 시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셋째, 상기 착신 전환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으로 상기 제1 가입자를 접속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CFW 실패 후의 VMS 자동 처리 절차는 가입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망 운용에 있어서도 발/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의 위치등록이나 가입자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변경이 되면, HLR은 MSC로부터 수신한 REGNOT /QUALREQ/QUALDIR의 리턴 결과(Return result)로 "CFW-TO-VMS"가 활성화/비활성화되어있는 정보가 포함된 CFI (CallingFeatureIndicator)를 MSC로 보낸다. MSC는 HLR로부터 수신한 Profile 정보를 해당 VLR에 저장한다.
가입자 발신시, 발신 MSC는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등록 요청(LOCREQ: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HLR로 요구하여 착신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301단계∼302단계,401단계∼404단계). 이때 착신 가입자가 자국 로컬(local) 호이면서 착신이 되지 않을 경우(303단계), 착신 MSC는 착신 가입자가 CFW 나 VMS가 등록되어 있는지 해당 VLR을 검색한다.
만약, CFW가 등록되어 있다면, 발신 MSC는 호 전환 번호를 얻기 위해 착신 가입자가 속해 있는 HLR로 TTNR(TransferToNumber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304단계). 이때 HLR은 해당 가입자의 DB를 검색하여 호 전환 번호를 발신 MSC로 전달한다(305단계).
호 전환 번호를 수신한 발신 MSC는 호 전환 번호로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306단계∼310단계). 만약, 해당 착신 가입자가 Ring No Answer/Paing No Answer/Busy 등으로 착신이 불가할 경우(311단계,312단계), 발신 MSC는 최초 착신 가입자가 CFW-TO-VMS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활성화되어 있다면, 발신 MSC는 CFW-TO-VMS를 활성화한 TransferToNumberRequest 메시지를 해당 HLR로 전송한다(313단계). 이를 수신한 HLR은 TransferToNumberRequest 메시지내의 CFW-TO-VMS 파라미터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가입자의 VMS로 연결하기 위한 Routing 정보를 발신 MSC로 전송한다(314단계). 이를 수신한 발신 MSC는 해당 VMS로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315단계).
HLR로부터 수신한 LocationRequest의 리턴결과(Return result)가 타국 호이면서 착신 가입자가 Paging No Answer/Ring No Answer/BUSY인 경우(401단계∼406단계), 착신 MSC는 착신 가입자의 VLR을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가 CFW-TO-VMS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다면 CFW-TO-VMS 필드를 YES로 설정한 한 REDREQ(Redirection_Request) 메시지를 발신 MSC로 보내고(407단계), 발신 MSC는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내의 착신 가입자의 호 전환 번호로 이후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408단계∼414단계).
만약, 해당 착신 가입자가 Ring No Answer/Paing No Answer/Busy 등으로 착신이 불가할 경우(415단계), 발신 MSC는 수신한 RedirectionRequest 메시지내의 CFW-TO-VMS 필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발신 MSC는 CFW-TO-VMS를 활성화한 TTNR(TransferToNumberRequest) 메시지를 해당 HLR로 전송한다(417단계). 이를 수신한 HLR은 TransferToNumberRequest 메시지내의 CFW-TO-VMS 파라미터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가입자의 VMS로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Routing) 정보를 발신 MSC로 전송한다(418단계). 이를 수신한 발신 MSC는 해당 VMS로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419단계).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 전환 처리 절차 실패 후 자동으로 착신 가입자의 VMS로 연결시킴으로써, 가입자에게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망 운용측면에서도 트래픽(Traffic)의 완료율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향후 MAP 오퍼레이션 처리 절차에 대한 개선 노력이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 향상 측면에서 계속 확대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가입자로부터의 호 착신을 제2 가입자에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가입자에 대한 호 착신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와 관련된 번호로 착신 전환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전환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으로 상기 제1 가입자를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입자와 상기 제2 가입자는 동일한 이동교환기(MSC)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입자와 상기 제2 가입자는 서로 다른 이동교환기(MSC)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10076425A 2001-12-05 2001-12-05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KR20030046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25A KR20030046568A (ko) 2001-12-05 2001-12-05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25A KR20030046568A (ko) 2001-12-05 2001-12-05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568A true KR20030046568A (ko) 2003-06-18

Family

ID=2957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425A KR20030046568A (ko) 2001-12-05 2001-12-05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5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29A (ko)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29A (ko)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03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all forwarding when roaming from a first type network to a second type network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02234B (fi) Digitaal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iä päättyvän puhelun k äsittelemiseksi
CA2274528C (en)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data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916004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短メッセージを記憶し移動体加入者に転送する方法
FI98688C (fi) Menetelmä lyhytsanomalähetyksen käynnistämiseksi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solukkoradiojärjestelmä sekä solukkoradiojärjestelmän tilaajarekisteri
AU67278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ing short messages in a cellular network
KR100767875B1 (ko) 회선-교환 호출 설정 및 인터-msc 패킷 데이터핸드오프와 관련된 호출 경로 지정의 최적화
FI97931C (fi) Menetelmä tilaajan uudelleensijoittamiseksi puhepostijärjestelmässä
CA2345071C (en) Hierarchical message addressing scheme
AU681191B2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108518A (en) Method of controlling paging in a plurality of mobile switching center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70238465A1 (en) International call and data routing
US200602814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voice mailbox operations for a mobile phone that is capable of operating in both a CDMA and GSM environment
US7756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call setup delay for calls occurring in one or more wireless networks
US6282416B1 (en) Voice mail deposit for wireless mobile telephone networks
JP4514775B2 (ja) アクセス技術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2003023494A (ja) ネットワーク間の加入者移動方法および装置
RU229406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розрачности номеров в сети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CA2355112C (en) Call routing
KR100808957B1 (ko) 호출 제어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20070135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alerting using a packet gateway
KR20030046568A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AU753787B2 (en) Reducing unnecessary communication with a home location register in a cellular system
KR100621723B1 (ko) 유,무선망에서 개인 추적호 전달 서비스 방법
KR10094373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라우팅 디지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