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224A -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224A
KR20030046224A KR1020010076696A KR20010076696A KR20030046224A KR 20030046224 A KR20030046224 A KR 20030046224A KR 1020010076696 A KR1020010076696 A KR 1020010076696A KR 20010076696 A KR20010076696 A KR 20010076696A KR 20030046224 A KR20030046224 A KR 2003004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node
packet data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290B1 (ko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2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2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5Select and combine arrangements, e.g. with an optical combiner at the output after adding or 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9Multi-stage arrangements, e.g. by cascading multiplexers or de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링 구조의 WDM 패킷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은, 수신되는 광신호를 일정비로 분리하는 광탭커플러와, 상기 광탭커플러를 통과한 수신 광신호 중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은 드롭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머지 파장은 패스하는 신호 수신기와, 상기 광탭커플러에서 분리된 수신 광신호에 실려서 전송되는 목적지 노드별 패킷 데이터의 유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노드별로 패킷 데이터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자기 노드에서 임의의 목적지 노드로의 패킷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수신 판독부와, 상기 수신 판독부의 제어를 받아 송신 가능한 목적지 노드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상기 목적지 노드의 할당 부반송파로 변조한 후 할당 광파장에 실어서 상기 신호 수신기를 패스한 광신호에 애드하는 신호 송신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cket transfer system of ring structure}
본 발명은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or) 광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킷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링 구조의 WDM 패킷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 이하, WDM 이라 함) 방식은 한 가닥의 광섬유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광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WDM 방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성형 구조, 버스 구조, 메쉬(mesh) 구조, 링 구조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WDM 네트워크는 링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링 구조의 WDM 광 전송망은 시간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 TDM)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링 구조의 WDM 광 전송망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4개의 노드(노드 A, 노드 B, 노드 C, 노드 D)가 링망에 연결되고 데이터의 흐름이 단방향인 WDM 광 전송망의 구성도이다. 각 노드는 다른 몇몇의 노드와 논리적 연결을 가지는데, 이러한 연결은 두 노드 사이에 하나의 파장을 할당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노드 A에서 노드 B로의 통신에는 제 1 파장(λ1)을 사용하고, 노드 A에서 노드 C로의 통신에는 제 2 파장(λ2)을 사용하며, 노드 A에서 노드 D로의 통신에는 제 3 파장(λ3)을 사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노드 B에서 노드 C로, 노드 B에서 노드 D로, 노드 B에서 노드 A로의 통신을 위해 3개의 파장이 필요하다. 또한, 노드 C에서의 통신을 위해 3개의 파장, 노드 D에서의 통신을 위해 3개의 파장이 각각 필요하다. 즉, 4개의 노드가 연결된 단방향 WDM 광 전송망의 경우 총 12개의 전용 채널(광파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WDM 광 전송망을 기준으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WDM 전송시스템을 설계할 경우, 노드간에 연결을 최대 수율로 가정하고 각각 하나의 광파장을 할당해야 하므로 전송효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패킷 데이터는 시간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 TDM)된 데이터와는 달리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집중되고, 그 외의 시간에는 휴지(idle) 상태를 유지하는 버스트(burst)한 데이터 전송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두 노드 사이의 전용채널(dedicated channel)은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지(busy) 상태보다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휴지(idle) 상태가 더 긴데,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없는 긴 휴지 상태에서 해당 전용채널을 다른 노드간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채널 사용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노드가 연결된 링 구조에서 전용채널을 이용한 링크를 구성할 경우, 각 노드의 광 전송시스템마다 해당 노드가 목적지인 경우에는 각 출발지별로 3개의 광파장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과 해당 노드가 출발지인 경우에는 각 목적지별로 3개의 광파장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 구조로 연결된 각 노드에 각각 하나의 파장을 할당하고, 나머지 노드들이 상기 노드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노드에 할당된 파장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채널의 전송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파장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 구조의 WDM 패킷 전송시스템은, 링망으로 연결된 이전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 중 자기 노드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드롭하고 나머지 광신호는 다음 노드에 패스하며, 자기 노드에서 링망을 통해 연결된 타 노드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는 목적지 노드에 할당된 부반송파와 광파장을 이용하여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패스되는 광신호에 애드하여 상기 다음 노드에 전달한다.
이러한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은, 수신되는 광신호를 일정비로 분리하는 광탭커플러와; 상기 광탭커플러를 통과한 수신 광신호 중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은 드롭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머지 파장은 패스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광탭커플러에서 분리된 수신 광신호에 실려서 전송되는 목적지 노드별 패킷 데이터의 유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노드별로 패킷 데이터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자기 노드에서 임의의 목적지 노드로의 패킷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수신 판독부와; 상기 수신 판독부의 제어를 받아 송신 가능한 목적지 노드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상기 목적지 노드의 할당 부반송파로 변조한 후 할당 광파장에 실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패스한 광신호에 애드하는 신호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시간분할다중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일반적인 링 구조의 WDM 광 전송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DM 패킷 전송망에서 동일 목적지에 대해 단일 파장을 할당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WDM) 패킷 전송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광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후의 광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대역통과필터들을 통과하고 송신 결정기에 입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 수신부11 : 광써큘레이터
12 :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13 : 광/전 변환기
14 : 피크치 검출기15 : 옵셋값 조정기
16 : 증폭기17 : CDR
20 : 수신 판독부21 : 광대역통과필터
22 : 광/전 변환기23, 24, 25 : 대역통과필터
26 : 송신 결정기30 : 신호 송신부
31 : 버퍼32 : 목적지 노드 제어기
33 : 전압제어발진기34 : 믹서
35 : 가변 레이저다이오드36 : 광멀티플렉서
40 : 광탭커플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WDM 패킷 전송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DM 패킷 전송망에서 동일 목적지에 대해 단일 파장을 할당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4개의 노드들(노드 A, 노드 B, 노드 C, 노드 D)이 링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각 노드들에는 하나의 파장이 할당되는데, 노드 A에는 제 1 파장(λ1), 노드 B에는 제 2 파장(λ2), 노드 C에는 제 3 파장(λ3), 그리고 노드 D에는 제 4 파장(λ4)이 각각 할당된다. 각 노드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목적지 노드에 할당된 파장에 해당 패킷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한다. 이때, 패킷 데이터가 바로 목적지 노드의 할당 파장에 실리는 것은 아니며, 먼저 목적지 노드에 할당된 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후 해당목적지 노드의 할당 파장에 실리게 된다.
이렇게 모든 노드가 동일 목적지 노드에 한하여 동일 파장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2개 이상의 노드가 동일 목적지 노드에 동시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면 광선로 상에서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노드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자신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 노드에 현재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있는 지를 먼저 판독한다. 즉, 이전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 중 해당 목적지 노드에 할당된 파장에 패킷 데이터가 실리지 않고 비어 있으면 해당 파장에 패킷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하고, 해당 파장에 패킷 데이터가 실려있으면 해당 채널이 빌 때까지 데이터 전송을 보류한다.
도 3은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 노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WDM 패킷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각 노드별로 서로 다른 광파장과 부반송파가 할당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노드 A에는 제 1 파장(λ1)과 제 1 부반송파(f1)가 할당되고, 노드 B에는 제 2 파장(λ2)과 제 2 부반송파(f2)가 할당되며, 노드 C에는 제 3 파장(λ3)과 제 3 부반송파(f3)가 할당되고, 노드 D(미도시)에는 제 4 파장(λ4)과 제 4 부반송파(f4)가 할당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노드 D의 WDM 패킷 전송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는 수신되는 광신호 중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은 드롭(drop)하고 나머지 파장은 패스(pass)하는 신호 수신부(10)와, 상기 수신 광신호에 실려서 전송되는 목적지 노드별 패킷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여 목적지 노드별 패킷 데이터 송신 가능 여부를 파악하는 수신 판독부(20)와, 송신 가능한 목적지 노드에 전송할 데이터를 해당 노드의 부반송파로 변조한 후 해당 노드의 할당 파장에 실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10)에서 패스된 광신호에 애드(add)하는 신호 송신부(30)를 구비한다. 또한, 수신 광신호를 신호 수신부(10)와 수신 판독부(20)에 일정 비율로 분기하는 광탭커플러(40)를 구비한다.
신호 수신부(10)는 광탭커플러(40)에서 분기된 광신호를 a 단자로 입력받아 b 단자로 출력하고 b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는 c 단자로 출력하는 광써큘레이터(11)와, 광써큘레이터(11)의 b 단자로 출력되는 광신호 중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은 광써큘레이터(11)의 b 단자로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은 통과시키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 : 이하 FBG라 함)(12)와, 광써큘레이터(11)의 c 단자로 출력되는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13)와, 상기 광/전 변환기(13)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서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검출기(14)와, 상기 검출된 피크치를 기준으로 옵셋값을 조정하는 옵셋값 조정기(15)와, 상기 광/전 변환기(13)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6)와, 상기 옵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클럭과 데이터를 복구하는 CDR(clock and data recovery)(17)를 구비한다.
수신 판독부(20)는 광탭커플러(40)에서 분기된 광신호에서 전송대역을 제외한 광신호 잡음을 제거하는 광대역통과필터(Optical Band Pass Filter : OBPF)(21)와, 광대역통과필터(21)를 통과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22)와, 광/전 변환기(22)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각 목적지 노드별 할당부반송파를 검출하는 다수의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23, 24, 25)와, 각 대역통과필터(23, 24, 25)를 통해 검출된 부반송파 검출 정보와 목적지 노드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자기 노드(self-node)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 노드의 할당 파장에 데이터가 실려있는 지를 검출하고, 자기 노드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 노드에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으면 신호 송신부(30)에 주파수 선택신호와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결정기(26)를 포함한다.
신호 송신부(30)는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송신 결정기(26)로부터 송신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출력하는 버퍼(31)와, 송신 결정기(26)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의 부반송파를 발진하는 전압제어발진기(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33)와, 버퍼(31)에서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를 전압제어발진기(33)에서 출력되는 부반송파로 변조하는 믹서(34)와, 버퍼(31)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파장 제어하는 목적지 노드 제어기(32)와, 믹서(34)에서 믹싱된 신호를 목적지 노드 제어기(32)에서 제어되는 파장의 광신호에 실어서 출력하는 가변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 LD)(35)와, 신호 수신부(10)의 FBG(12)를 패스한 광신호와 가변 레이저다이오드에서 가변된 광신호를 다중화하는 광멀티플렉서(36)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WDM 패킷 전송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전 노드에서 전송되는 광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광신호에는 4개의 파장의 광신호(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개의 노드가 연결된 경우)가 다중화된다. 각 파장의 광신호는 해당 파장에 따른 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패킷 데이터가 실려서 전송되거나 패킷 데이터가 실리지 않은 빈 상태로 전송되기도 한다.
자기 노드가 노드 D인 경우, 제 4 파장(λ4)의 광신호는 자기 노드에 드롭되고, 제 1 파장(λ1) 내지 제 3 파장(λ3)의 광신호는 패스된다. 그리고, 노드 D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는 해당 목적지 노드의 할당 부반송파와 파장에 실린 후 패스되는 광신호에 애드된다. 이때, 노드 D는 자신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 노드의 할당 파장에 패킷 데이터가 실려있는 지를 검출하여, 이미 실려있는 상태이면 대기하고 실려있지 않은 상태이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애드한다.
즉, 노드 D에서 노드 A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있으면 제 1 파장(λ1)이 빈 상태인 지를 검출하여, 빈 상태이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제 1 부반송파(f)로 변조한 후 제 1 파장(λ1)에 실어서 애드한다. 노드 D에서 노드 B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있으면 제 2 파장(λ2)이 비어 있는 상태인 지를 검출하여, 비어있는 상태이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제 2 부반송파(f2)로 변조한 후 제 2 파장(λ2)에 실어서 애드한다. 노드 D에서 노드 C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있으면 제 3 파장(λ3)이 비어있는 상태인 지를 검출하여, 비어있는 상태이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제 3부반송파(f3)로 변조한 후 제 3 파장(λ3)에 실어서 애드한다.
이하에서는 자기 노드로 전송되는 광신호 파장은 드롭하고 나머지 파장은 패스하는 신호 수신부의 동작과, 광신호에 전송중인 부반송파를 검출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수신 판독부의 동작과, 패킷 데이터를 목적지 노드의 할당 부반송파와 파장에 실어서 패스되는 광신호에 애드하는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전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는 광탭커플러(40)에서 특정 비율로 분기되어 신호 수신부(10)와 수신 판독부(20)에 각각 입력된다.
광탭커플러(40)에서 분기된 광신호는 광써큘레이터(11)의 a 단자에 입력되어 b 단자로 출력되고, FBG(12)에 입력된다. 이 FBG(12)는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을 주기적으로 변조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는 광섬유 소자로써, 제 4 파장(λ4)은 반사하고 제 1 파장(λ1) 내지 제 3 파장(λ3)은 통과시킨다. FBG(12)에서 반사된 제 4 파장(λ4)은 광/전 변환기(13)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피크치 검출기(14)와 증폭기(16)에 각각 입력된다. 피크치 검출기(14)는 전기적 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고 옵셋값 조정기(15)는 해당 최대치를 기준으로 데이터값의 판별 기준이 되는 옵셋값을 조정한다. 한편, 광/전 변환기(13)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증폭기(16)에서 증폭되어 CDR(17)에 입력된다. CDR(17)은 옵셋값을 이용하여 증폭기(16)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서 클럭과 패킷 데이터를 복구한다.
한편, 광탭커플러(40)에서 분기되어 수신 판독부(20)에 입력된 광신호는 광대역통과필터(OBPF)(21)에서 전송대역을 제외한 잡음이 제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파장(λ1) 내지 제 3 파장(λ3)을 포함하는 전송대역의 광신호가 통과된다. 광대역통과필터(21)를 통과한 광신호는 광/전 변환기(22)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기적 신호가 3개의 대역통과필터(23, 24, 25)에 각각 입력된다.
대역통과필터(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반송파(f1)만을 통과시키고 대역통과필터(24)는 제 2 부반송파(f2)만을 통과시키며 대역통과필터(25)는 제 3 부반송파(f3)만을 통과시킨다. 예를 들어, 광신호에 노드 A와 노드 C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는 있고 노드 B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는 없으면, 노드 A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은 제 1 부반송파와 노드 C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은 제 3 부반송파는 검출될 것이고, 노드 B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은 제 2 부반송파는 검출되지 않을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통과필터(23, 25)는 각각 제 1 부반송파(f1)와 제 3 부반송파(f3)를 출력하지만, 대역통과필터(24)는 아무런 출력값을 내보내지 않게 된다.
이 대역통과필터(23, 24, 25)의 출력값들은 송신 결정기(26)에 입력된다. 송신 결정기(26)는 제 1 부반송파(f1)와 제 3 부반송파(f3)가 입력되면 해당 광신호에 노드 A와 노드 C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있다는 것으로 판독하고, 제 2 부반송파(f2)가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광신호에 노드 B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다는 것으로 판독한다. 따라서, 자기 노드에서 노드 B로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는 현재 애드할 수 있으며, 자기 노드에서 노드 A나 노드 C로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는 현재 애드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필요한 신호를 신호 송신부(3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노드 D에서 노드 A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있으면, 송신 결정기(26)는 노드 선택신호를 통해 이를 감지하게 되는데, 현재 광신호에 노드 A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신호 송신부(30)에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드 D에서 노드 B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있으면 송신 결정기(26)는 노드 선택신호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현재 광신호에 노드 B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고 제 2 파장(λ2)이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신호 송신부(30)에 부반송파(f) 제어신호와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송신부(30)는 다른 노드로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가 입력되면 버퍼(31)에 저장해 놓고, 수신 판독부(20)의 송신 결정기(26)로부터 송신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저장하고 있던 패킷 데이터를 믹서(34)에 출력한다. 한편, 전압제어발진기(33)는 송신 결정기(26)로부터 주파수 선택신호와 송신 인에이블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해당 주파수의 부반송파를 발진하여 믹서(34)에 제공한다. 믹서(34)는 버퍼(31)에서 제공되는 패킷 데이터를 전압제어발진기(33)에서 제공되는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변조한 후 가변 레이저다이오드(35)에 입력한다. 한편,목적지 노드 제어기(32)는 목적지 노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목적지 노드의 할당 파장 제어신호를 가변 레이저다이오드(35)에 출력하며, 가변 레이저다이오드(35)는 해당되는 파장에 믹싱된 신호를 실어서 광멀티플렉서(36)에 출력한다. 그러면 광멀티플렉서(36)는 신호 수신부(10)에서 패스된 광신호와 가변 레이저다이오드(35)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음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신호 수신부(10)를 패스한 광신호 중에는 애드되는 광신호의 파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광신호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링망에 연결된 노드 수만큼의 광파장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 광파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구성에 따른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링망으로 연결된 이전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 중 자기 노드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드롭하고 나머지 광신호는 다음 노드에 패스하며, 자기 노드에서 링망을 통해 연결된 타 노드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는 목적지 노드에 할당된 부반송파와 광파장을 이용하여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패스되는 광신호에 애드하여 상기 다음 노드에 전달하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일정비로 분리하는 광탭커플러와;
    상기 광탭커플러를 통과한 수신 광신호 중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은 드롭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머지 파장은 패스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광탭커플러에서 분리된 수신 광신호에 실려서 전송되는 목적지 노드별 패킷 데이터의 유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노드별로 패킷 데이터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자기 노드에서 임의의 목적지 노드로의 패킷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수신 판독부와;
    상기 수신 판독부의 제어를 받아 송신 가능한 목적지 노드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상기 목적지 노드의 할당 부반송파로 변조한 후 할당 광파장에 실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패스한 광신호에 애드하는 신호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광탭커플러를 통과한 광신호를 a 단자로 입력받아 b 단자로 출력하고 b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는 c 단자로 출력하는 광써큘레이터와;
    상기 광써큘레이터의 b 단자로 출력되는 광신호 중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은 광써큘레이터의 b 단자로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은 통과시키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와;
    상기 광써큘레이터의 c 단자로 출력되는 자기 노드의 할당 파장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와;
    상기 전기적 신호에서 패킷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은,
    상기 광/전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서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피크치를 기준으로 데이터값을 결정하는 옵셋값을 조정하는 옵셋값 조정기와, 상기 광/전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옵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클럭과 데이터를 복구하는 CDR(clock and data recover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판독부는,
    상기 광탭커플러에서 분기된 수신 광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광대역통과필터와;
    상기 광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와;
    상기 광/전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부반송파를 검출하는 다수의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다수의 대역통과필터를 통해 검출된 부반송파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 노드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 노드의 할당 광파장에 패킷 데이터가 실려있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목적지 노드에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신호 송신부에 주파수 선택신호와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결정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목적지 노드에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송신 결정기로부터 송신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하는 패킷 데이터 버퍼와;
    상기 송신 결정기로부터 주파수 선택신호와 송신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주파수의 부반송파를 발진하는 전압제어발진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버퍼에서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를 상기 전압제어발진기에서 출력되는 부반송파로 변조하는 믹서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에 할당된 광파장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목적지 노드 제어기와;
    상기 믹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광파장 선택신호에 따른 광파장에 실어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가변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패스한 광신호와 상기 가변 레이저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다음 노드에 전달하는 광멀티플렉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KR1020010076696A 2001-12-05 2001-12-05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KR10078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96A KR100785290B1 (ko) 2001-12-05 2001-12-05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96A KR100785290B1 (ko) 2001-12-05 2001-12-05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224A true KR20030046224A (ko) 2003-06-12
KR100785290B1 KR100785290B1 (ko) 2007-12-12

Family

ID=2957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96A KR100785290B1 (ko) 2001-12-05 2001-12-05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70B1 (ko) * 2009-09-01 2013-04-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드 장치 및 그의 광 신호 수신 방법과 링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3558A (en) * 1996-07-17 1999-11-30 Texaco Inc. Removal of fluoride-containing scales using aluminum salt solution
US6145459A (en) * 1997-12-19 2000-11-14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Friction-reducing ship and method for reducing skin friction
KR20010045673A (ko) * 1999-11-05 2001-06-05 이동춘 필름코팅된 감광지로 청사진 만드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70B1 (ko) * 2009-09-01 2013-04-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드 장치 및 그의 광 신호 수신 방법과 링 네트워크 시스템
US8724992B2 (en) 2009-09-01 2014-05-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ode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optical signal thereof, and ring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290B1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8272B2 (ja) 光ネットワークおよび中継ノード
JPH09153907A (ja) バス型通信網
US6597482B1 (en)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system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subscriber networks using the same apparatus
US20050244161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optical wavelength channel connection recognition control method and wavelength allocation apparatus
US6404522B1 (en)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200701478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transmitters in WDM-PON system
JP2004274752A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受動型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3095375A (zh) 光中继装置和光传送系统
CN111355554A (zh) 路由合波器、路由合波方法、波分路由方法及网络系统
EP0189273A2 (en) Fiber optic network with reduced coupling losses
EP0743771B1 (en)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plurality of wavelengths
US6198556B1 (en) WDM ring transmission system
KR20040026177A (ko) 방송 및 통신 신호를 수용할 수 있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CN105580301B (zh) 光环网及其光节点
US6377392B1 (en) Optical amplifier
JP2009027421A (ja) 光伝送システム
KR100785290B1 (ko) 링 구조의 파장분할다중 패킷 전송시스템
US67449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lternative transmission traffic routing in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networks
JP3615476B2 (ja) 光アクセスシステム、アクセスノード装置およびユーザノード装置
US6509986B1 (en) WDM ring transmission system having amplified dropped channels
JP4061276B2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のアド/ドロップノード
US73051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directly connected optical components
JPH11344638A (ja) 光ネットワ―クのためのリング・カプラ
US20230308185A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JP2000174730A (ja) 波長多重光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