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17A -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17A
KR20030046017A KR1020010075989A KR20010075989A KR20030046017A KR 20030046017 A KR20030046017 A KR 20030046017A KR 1020010075989 A KR1020010075989 A KR 1020010075989A KR 20010075989 A KR20010075989 A KR 20010075989A KR 20030046017 A KR20030046017 A KR 2003004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earch means
truck
containe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959B1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근 filed Critical 박성근
Priority to KR10-2001-007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9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20Detecting prohibited goods, e.g. weapons, explosives, hazardous substances, contraband or smuggled objects
    • G01V5/22Active interrogation, i.e. by irradiating objects or goods using external radiation sources, e.g. using gamma rays or cosmic 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confined in a container, e.g. in a luggage X-ray scan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08Imaging display on moni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50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material in a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방향별로 검출되는 방사선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윗면으로 콘테이너 (14)를 적재한 트럭(16)이 지나가는 소정길이의 승강장(10); 상기 승강장(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을 견인하기 위한 윈치(12a, 12b) 및 상기 윈치 (12a, 12b)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3); 상기 승강장(10)을 따라 터널 형상으로 설치된 설치벽(20); 상기 설치벽(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상향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1 검색수단(30); 상기 제 1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하향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2 검색수단(40);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상면과 일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3 검색수단(50); 상기 제 3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상면과 타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4 검색수단(60); 및 상기 제 1, 2, 3, 4검색수단의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A Security Checking System For A Container}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화물 콘테이너 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방향별로 검출되는 방사선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는 승객들이 직접 들고 다니는 손가방, 여행 가방등 비교적 작은 물품들을 투시하기 위한 투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투시장치는 손가방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체에는 사용이 적합한 반면, 그 이상의 부피를 갖는 대형 화물의 경우에는 검사가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화물의 내부에 폭발물, 마약류, 총기류, 위장 농산물, 밀입국자 등이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색출하기 어려웠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통관이 숙련자의 경험이나 탐색견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편차가 심하고 정밀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공항, 항구, 국경지역에서 컨테이너와 같은 대량의 화물이 통관될 경우, 일일이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투시장치에 의할 경우 검사속도가 늦어 통관에 큰 불편이 따랐다. 그리고, 대형화물인 경우 투시되어지는 부분보다 가려지는 부분이 많고, 모노 비젼(Mono-Vis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체의 형상이 왜곡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 검출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를 응용한 일부 제품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2000-68783, 2000-68784, 2000-68785, 2000-68786, 2000-68787, 2000-68788, 2000-68789, 2000-68790, 2000-68791, 2000-68792호에는 대형 검출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이를 응용한 초기 제품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15906, 2001-15907, 2001-15908, 2001-15909, 2001-15910, 2001-15911호에는 콘테이너를 투시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투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다수의 방사선원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정밀한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조립 분해가 용이하면서도 대량의 콘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윗면으로 콘테이너(14)를 적재한 트럭(16)이 지나가는 소정길이의 승강장(10); 상기 승강장(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을 견인하기 위한 윈치(12a, 12b) 및 상기 윈치(12a, 12b)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3); 상기 승강장(10)을 따라 터널 형상으로 설치된 설치벽(20); 상기 설치벽(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상향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1 검색수단(30); 상기 제 1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하향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2 검색수단(40);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상면과 일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3 검색수단(50); 상기 제 3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상면과 타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4 검색수단(60); 및 상기 제 1, 2, 3, 4검색수단의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검색수단(30, 40, 50, 60)은 상기 설치벽(20)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슬릿을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는 선원상자(32, 42, 52, 62); 상기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상기 선원상자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이 도달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투과된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검출기(35, 45, 55, 65); 및 상기 설치벽(20)의 외표면중 상기 방사선이 투과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방사선 쉴드(23, 24, 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검출기(35, 45, 55, 65)는 절곡된 "ㄱ"자 형상인 것 또는 한 쌍의 평판형 검출기를 조합하여 "ㄱ"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윈치(12a)는 일정한 속도로 상기 트럭(16)을 견인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벽(20)의 내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색수단(30), 제 2 검색수단(40), 제 3 검색수단(50) 및 제 4 검색수단(60)은 상기 트럭(16)의 견인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 3, 4 검색수단(30, 40, 50, 60)은 상기 승강장(10)의 중간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중 승강장(10)의 중간영역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중 B-B 단면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1 검색수단(3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2 검색수단(4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3 검색수단(5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4 검색수단(6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승강장13 : 와이어
12a, 12 b : 윈치14 : 콘테이너
16 : 트럭20 : 설치벽
23 : 제 1 쉴드24 : 제 2 쉴드
25 : 제 3 쉴드30 : 제 1 검색수단
40 : 제 2 검색수단50 : 제 3 검색수단
60 : 제 4 검색수단35, 45, 55, 65 : 검출기
32, 42. 52, 62 : 선원상자70 : 카메라
100 : 지휘소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중 승강장(10)의 중간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장치는 크게 승강장(10), 검색수단(30, 40, 50, 60), 설치벽(20), 쉴드(23) 등으로 구성된다.
승강장(10)은 콘테이너(14)를 적재한 트럭(16)이 일정한 속도로 지나가도 견딜 수 있도록 강철로 제작되며,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쉽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장(10)의 길이는 한대의 트럭(16)이 일정하게 중간부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콘테이너(14) 길이의 두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아울러, 그 폭은 차량의 폭보다는 다소 크게 제작된다.
승강장(10)의 양단에는 트럭(16)이 부드럽게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도록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고, 윈치(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윈치(12a, 12b)는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13)의 중간영역은 트럭(16)의 앞부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윈치(12a)와 와이어(13)는 운전사가 없는 트럭(16)을 일정한 속도로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윈치(12b)는 견인후 와이어(13)를 되감는 역할을 한다.
설치벽(20)은 트럭(16)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박스형의 터널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설치벽(20)의 내표면 중간영역에는 방사선을 방출하고 검출하는 검색수단(30, 40, 50, 60)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검색수단(30, 40, 50, 60)에 대응하여 설치벽(20)의 외표면에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쉴드(23)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중 B-B 단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10) 및 설치벽(20)의 중간영역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제 1 검색수단(30), 제 2 검색수단(40), 제 3 검색수단(50) 및 제 4 검색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검색수단(30, 40, 50, 60)은 콘테이너(14)의 진행방향에 대해 균일한 간격을 유지한 채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치벽(20)내의 각각 다른 위치(추후 설명)에 고정된다.
제 1 검색수단(30)에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제 1 선원상자(32)가 대응되어 포함되고, 제 2 검색수단(40)에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제 2 선원상자(42)가 대응되어 포함되고, 제 3 검색수단(50)에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제 1 선원상자(52)가 대응되어 포함되고, 제 4 검색수단(60)에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제 1 선원상자(62)가 대응되어 포함된다.
이러한 각 선원상자(32, 42, 52, 62)는 내부에 방사선 동위원소인 Co60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1.17 MeV 와 1.33 MeV의 에너지를 갖는 감마선이 방출된다. 또한, 방출구(미도시)는 수직한 슬릿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방출구(미도시)에는 전기신호로 제어되는 셔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벽(20)의 외표면에는 투과된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쉴드(23, 24, 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쉴드(23, 24, 25)는 각 선원상자(32, 42, 52, 62)가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향상에서 설치벽(20)의 외표면에 설치되며, 각 검색수단(30, 40, 50, 6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다. 즉, 쉴드(23, 24, 25)는 설치벽(20)의 외표면중 수직부와 천정부에 "ㄱ"자 형태(추후 설명됨)로 설치되거나 수직부에 직선형태로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트럭(16)이 통과하는 승강장(10)의 하부에도 쉴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벽(20)의 내부에는 콘테이너(14) 통과할 수 있고, 바닥에는 승강장(10)이 구비되어 있다. 설치벽(20)의 내부중 콘테이너(14)의 인근에는 각 검출수단(30, 40, 50, 60)별로 "ㄱ"자형의 검출기(35, 45, 55, 6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벽(20)의 내부중 천정부분에는 진입하는 트럭(16)과 진출하는 트럭(16)을 촬영하기 위한 한 쌍의 CCD 카메라(70)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카메라(70)의 출력신호는 지휘소(100) 내의 텔레비전(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설치벽(20)의 외표면에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쉴드(23, 24, 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곳에 지휘소(100)가 설치된다. 지휘소(100)의 내부에는 검출기(35, 45, 55, 65)의 출력신호가 수집되어 이들로부터 3차원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및 모니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70)와 연결된 텔레비전(미도시)이 설치되어 중앙 통제를 하게된다.
제 1 선원상자(3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아래쪽에 설치되어 콘테이너(14)의 측면 하부에서 상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한다. 방출되는 방사선의 원호각은 대략 63도가 되도록 한다.
제 2 선원상자(4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위쪽에 설치되어 콘테이너(14)의 측면 상부에서 하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한다. 방출되는 방사선의 원호각은 대략 63도가 되도록 한다.
제 3 선원상자(5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천장쪽에 설치되어 콘테이너(14)의 상면 및 일측면에 대해 방사선을 하향 조사한다. 방출되는 방사선의 원호각은 대략 73도가 되도록 한다.
제 4 선원상자(6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천장쪽에 설치되어 콘테이너(14)의 상면 및 타측면에 대해 방사선을 조사한다. 방출되는 방사선의 원호각은 대략 73도가 되도록 한다.
검출기(35, 45, 55, 65)는 비저항이 매우 높은 물질로 만든 전극판을 사용하고, 두께는 2∼3mm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검출기(35, 45, 55, 65)의 신호처리 스트립의 폭은 약 0.8 mm, 검출기(35, 45, 55, 65)는 4중 간극형을 사용하였다. 이 때, 시간 분해능은 2 x 10-9초 미만이었고, 공간분해능은 약 0.25cm 정도였다. 그리고, 하나의 컨테이너를 검색하는데 약 60초정도가 소요되었으므로, 시간당 약 60개 정도의 컨테이너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출기로는 비저항이 높은 물질을 사용한 다중 간극형 기체검출기외에 크리스탈을 이용한 검출기, 실리콘을 이용한 반도체 검출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6, 7, 8도를 참조하여 각 검색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1 검색수단(3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원상자(3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콘테이너(14)의 왼쪽(도 5 기준) 아래쪽에 설치되고, 검출기(35)는 콘테이너(14)의 오른쪽 및 상부에 "ㄱ"자로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벽(20)의 외표면중 천정부에는 제 1 쉴드(23)가 설치되고, 외표면중 오른쪽 수직부에는 제 3 쉴드(25)가 설치된다.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2 검색수단(4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선원상자(4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콘테이너(14)의 왼쪽(도 6 기준) 윗쪽에 설치되고, 검출기(45)는 콘테이너(14)의 오른쪽 및 하부에 "ㄱ"자를 돌려서 설치된다. 이 때, 검출기(45)의 수평부분은 트럭(16)의 바퀴가 닿지 않도록 승강장(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설치한다. 그리고,설치벽(20)의 외표면중 수직부에는 제 3 쉴드(25)가 설치된다.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3 검색수단(5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선원상자(4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콘테이너(14)의 윗쪽(도 7 기준) 왼쪽에 설치되고, 검출기(55)는 콘테이너(14)의 오른쪽 및 하부에 "ㄱ"자를 돌려서 설치된다. 이 때, 검출기(55)의 수평부분은 트럭(16)의 바퀴가 닿지 않도록 승강장(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벽(20)의 외표면중 수직부에는 제 3 쉴드(25)가 설치된다. ,
도 8은 도 4의 우측면도중 제 4 검색수단(6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선원상자(62)는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콘테이너(14)의 오른쪽(도 8 기준) 윗쪽에 설치되고, 검출기(65)는 콘테이너(14)의 왼쪽 및 하부에 "ㄱ"자를 돌려서 설치된다. 이 때, 검출기(65)의 수평부분은 트럭(16)의 바퀴가 닿지 않도록 승강장(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벽(20)의 외표면중 수직부에는 제 2 쉴드(24)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에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검색을 위한 준비단계를 설명한다. 콘테이너(14)가 적재된 트럭(16)을 승강장(10)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트럭(16)의 앞부분에 견인할 와이어(13)를 연결한다. 이로서 도 1과 같은 준비단계가 완료된다.
그 다음 제 1 윈치(12a)를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트럭(16)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검출수단(30, 40, 50, 60)에서 방사선을 방출한다. 트럭(16)이 제 4 검출수단(60)의 내부를 통과할 때, 도 8과 같이 제 4 선원상자(62)에서 약 73도의 원호각으로 방사선이 하향 방출된다. 트럭(16)을 통과하면서 방사선은 트럭(16)의 내용물에 따라 변화를 일으키고 이렇게 변화된 방사선이 제 4 검출기(65)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 4 검출기(65)는 변화된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출력하게 된다. 제 4 검출기(65)를 통과한 방사선은 제 2 쉴드(24)에 도달하여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차폐된다.
제 4 검출수단(60)을 통과한 트럭(16)의 앞부분은 제 3 검출수단(50)을 통과하면서 도 7과 같은 구성의 방사선을 조사받게 된다. 이렇게 조사된 방사선은 앞서 설명한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제 3 검출기(55)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출력된다.
일정한 속도로 트럭(16)과 콘테이너(14)가 진입함에 따라, 제 4 검출수단(60), 제 3 검출수단(50), 제 2 검출수단(40), 제 1 검출수단(30)의 순서로 검출이 이루어진다. 제 2 검출수단(40)의 검출동작은 도 6과 같고, 제 1 검출수단(30)의 검출동작은 도 5와 같으며, 검출원리는 상호 동일하다.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측정되는 각 검출기(35, 45, 55, 65)의 전기적 출력신호는 지휘소(100)로 전달되어 컴퓨터(미도시)로 입력된다. 그 다음, 각 검출기(35, 45, 55, 65)의 기구적 데이터(크기, 설치위치와 간격) 및 특성(감도, 출력전압의 범위) 등을 종합하여 3차원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영상은 200만 화소 이상의 감마선 투과 영상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영상신호는 트럭(16)과 콘테이너(14)가 통과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통과가 완료된 후 일정한 영상신호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트럭(16)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 지휘소(100)내의 조작자는 CCD 카메라(70)를 통해 검색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트럭(16)과 콘테이너(14)가 모든 검색수단(30, 40, 50, 60)을 통과하고나면, 와이어(13)를 해제한 후, 제 2 윈치(12b)를 감아 와이어(13)를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그 다음, 운전자의 운전에 의해 트럭(16)이 승강장(10)에서 내려옴으로서 검색이 완료된다. 이렇게 검색이 완료되면, 다음 트럭의 준비단계가 뒤이어짐으로써 다수의 트럭을 연속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구성부품의 대략적인 치수는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승강장(10)의 길이는 약 35m이고, 설치벽(20)의 길이는 약 25m이다. 아울러, 설치벽(20)의 높이는 약 6.3m이고, 폭은 약 6m이다. 또한, 각 쉴드의 두께는 약 50cm이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검색수단을 사용하였으나, 화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검색수단의 갯수를 2개 또는 3개로 줄이거나 5개 또는 6개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비록, 트럭(16)과 콘테이너(14)의 화물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화물열차 또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동하는 기타 화물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는 조립식이기 때문에 국경지역, 항구, 항만, 공항 등에 쉽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고, 신속하게 해체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방사선원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정밀한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정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조립 분해가 용이하면서도 대량의 콘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과 기동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형 컨테이너의 형상을 왜곡없이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내부에 무기류, 마약류, 위장 농산물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적발해 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1. 윗면으로 콘테이너(14)를 적재한 트럭(16)이 지나가는 소정길이의 승강장 (10);
    상기 승강장(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을 견인하기 위한 윈치(12a, 12b) 및 상기 윈치(12a, 12b)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3);
    상기 승강장(10)을 따라 터널 형상으로 설치된 설치벽(20);
    상기 설치벽(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상향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1 검색수단(30);
    상기 제 1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하향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2 검색수단(40);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상면과 일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3 검색수단(50);
    상기 제 3 검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의 상면과 타측면을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투과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4 검색수단(60); 및
    상기 제 1, 2, 3, 4검색수단의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30, 40, 50, 60)은
    상기 설치벽(20)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슬릿을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는 선원상자(32, 42, 52, 62);
    상기 설치벽(20)의 내표면중 상기 선원상자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이 도달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투과된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검출기(35, 45, 55, 65); 및
    상기 설치벽(20)의 외표면중 상기 방사선이 투과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방사선 쉴드(23, 24, 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검출기(35, 45, 55, 65)는 절곡된 "ㄱ"자 형상인 것 또는 한 쌍의 평판형 검출기를 조합하여 "ㄱ"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12a)는 일정한 속도로 상기 트럭(16)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벽(20)의 내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색수단(30), 제 2 검색수단(40), 제 3 검색수단(50) 및 제 4 검색수단(60)은 상기 트럭(16)의 견인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 검색수단(30, 40, 50, 60)은 상기 승강장(10)의 중간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KR10-2001-0075989A 2001-12-03 2001-12-03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KR10047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89A KR100479959B1 (ko) 2001-12-03 2001-12-03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89A KR100479959B1 (ko) 2001-12-03 2001-12-03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17A true KR20030046017A (ko) 2003-06-12
KR100479959B1 KR100479959B1 (ko) 2005-04-06

Family

ID=2957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89A KR100479959B1 (ko) 2001-12-03 2001-12-03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9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959B1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4907B2 (ja) 車両搭載検査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910973A (en) Rapid X-ray inspection system
US4599740A (en) Radiographic examination system
US9069101B2 (en) Integrated, portable checkpoint system
US5638420A (en) Straddle inspection system
EP0986745B1 (en) Single beam photoneutron probe and x-ray imaging system for contraband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6459764B1 (en) Drive-through vehicle inspection system
JP3102698B2 (ja) X線を用いた物質の識別における,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改良
JP6746691B2 (ja) 行間適応電磁x線走査を用いた後方散乱特性評価
US8275091B2 (en) Compact mobile cargo scanning system
JP6465867B2 (ja) ミューオン検出アレイステーション
EP3252507B1 (en) Security detection system
US20060126772A1 (en) Container inspection system with CT tomographic scanning function
US20050008120A1 (en) X-ray inspection system
US20090257555A1 (en) X-Ray Inspection Trailer
WO1998003889A9 (en) System for rapid x-ray inspection of enclosures
MX2012010642A (es) Sistema de inspeccion de personal.
KR100479959B1 (ko)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KR20030046040A (ko)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EP3505919A1 (en) Imaging device for use in vehicle security check and method therefor
WO2014187169A1 (zh) 一种多通道快速安检系统
KR20020075678A (ko) 타워형 화물열차 투시장치
KR20020076006A (ko) 타워형 차량 투시장치 및 그 투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