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691A -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691A
KR20030045691A KR1020030008378A KR20030008378A KR20030045691A KR 20030045691 A KR20030045691 A KR 20030045691A KR 1020030008378 A KR1020030008378 A KR 1020030008378A KR 20030008378 A KR20030008378 A KR 20030008378A KR 20030045691 A KR20030045691 A KR 2003004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requency
repeater
frequency channel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862B1 (ko
Inventor
김봉겸
Original Assignee
알파웨이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웨이브(주) filed Critical 알파웨이브(주)
Priority to KR102003000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8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중계기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통화품질의 저하 없이 가입자 수 증가와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채널만을 여과 증폭하여 출력하는 순방향송수신부와, 상기 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Primary Frequency Channel)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와, 수신되는 무선신호중 역방향 채널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역방향 송수신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영역 확대와 음영지역 해소 및 주어진 서비스영역 하에서 통화품질의 개선을 위해 이용된다.

Description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및 방법{Repeating apparatus using virtual primary frequency chann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부호분할다중접속"이라 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기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을 확장 시키기 위한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셀 구조를 가지는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권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한정되어 있는 주파수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셀 구조 형태로 서비스 영역을 구분하여 일정한 구역이 이격(대체적으로 주요 간섭은 첫번째와 두번째층의 기지국 18개 기지권으로부터 발생된다) 된 셀에서 주파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셀 구조의 이동통신 무선망에서 아날로그 시스템의 주파수 배치는 일정한 이격 거리에서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반면,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대신 동일 주파수대에서 PN(Pseudo random Noise)Off-set을 재사용하는 개념으로 아날로그보다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 시스템은 동일 주파수대에서 서로 다른 코드채널로 각각의 가입자를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코드채널 신호 이외의 모든 신호는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자신의 통화채널 외의 신호세기가 일정 한계치를 넘어가게되면 통화품질이 저하되고,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정한 셀 반경 하에서 자신의 통화채널 이외의 여타 통화채널의 수는 간섭 신호의 세기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미 상용화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망(물리적으로 셀의 반경이 고정된 무선 망)에서 가입자 증가에 따른 간섭량 증가, 또는 타 셀로부터 유입되는 간섭량의 증가는 통화 품질 및 가입자 용량을 저하시키는 주 원인으로 작용한다.
초기 서비스 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가입자량의 변화 및 건물의 신축에 따라 무선 전파환경이 변화하기 때문에 셀의 변경 또한 불가피한 사항이다. 전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셀의 변경(기지국의 추가건설이나 용량확대 등)은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과 같이 간섭량에 의해 통화에 제한적인 시스템에서는 셀의 변경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건물내부나 외부 및 지하 공간에서의 투과 손실 차이를 고려한 균형적인 무선 망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한 셀이 수용할 수 있는 자원의 용량 범위 내에서 셀의 반경이 설정 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심지에서 건물내의 커버리지 확보를 위하여 셀을 설계한다면, 외부에서 상당 부분에 대하여 겹치는 지역이 분포되고, 이는 간섭량을 증대 시키는 주 원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 무선 망 설계 시 외부에서 최소의 간섭 량만을 가지도록 설계하고, 건물내부 및 지하 공간에서는 중계기 및 Micro셀과 같은 별도의 방안으로 설계되고 있다.
중계기의 사용은 적은 비용으로 음영지역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과 같이 간섭량에 제한적인 시스템에서는 또 다른 간섭을 발생 시키는 단점도 있기 때문에 중계기를 사용한 무선망 설계는 경제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무선 망 설계 및 최적화 시 향후 전파환경 변화에 따른 무선망 설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여 설계를 하여야 함은 물론이며, 전파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무선망 최적화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2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의 순방향/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든 중계기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건물내나 지하공간 등의 음영지역에 RF 신호를 단순 증폭하여 중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모기지국과(Main Base Station) 중계기간 중계 구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의 통달거리를 연장 증폭시키는 광분산 광 중계기, RF신호의 중계 구간을 주파수 변환하여 전송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 RF 신호를 단순 증폭 중계하는 RF 중계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계기들은 RF신호를 단순 증폭하여 서비스 영역을 확보하는 개념의 중계기들이다. 이러한 중계들의 사용은 모기지국은 물론이고 중계기로부터 송출되는 PN옵셋(offset)의 집중화(PN Pollution) 현상에 의해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지대 및 고층 빌딩 내에서는 모기지국뿐 아니라 인접기지국에서 송출되는 PN 옵셋(offset)의 집중화 현상이 심각하여 통화가 끊기거나 위치이동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핸드오프가 발생하여 통화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중계기를 사용하게 되면 가입자 증가에 따른 간섭량의 증가와 기지국과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의 집중화로 인해 시스템 용량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중계기 이외에 여타 외부로부터의 신호유입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이미 간섭을 받고 있는 신호를 단순 증폭하는 방법으로는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는 있지만,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중계기를 통한 음영지역에서의 가입자 증가 외에 달리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기지국의 FA를 늘리는 방법이 있으나, FA를 늘리는 방법 또한, 일정한 한계를 가지게 된다. 기지국에서 하나의 FA를 늘리기 위해서는 통상 수억원이 투자되고, 증설된 FA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여타 가입자에게는 잡음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통화품질의 악화를 초래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가된 FA만큼 기지국의 출력이 늘어나야 되지만 이를 위한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를 사용한 가입자증가와 서비스 영역 확대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가용 이동국수를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고, 통화품질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중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셀 구조를 가지는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권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의 순방향/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권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 기지국 고유 서비스 영역에서의 순방향 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의 순방향 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10 : 순방향송수신부 611, 631 : 저잡음증폭기
612, 632 : 필터 613, 632 : 증폭기
614 : 합성기 620 :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
621 : GPS 622 : 시간/주파수 발생기
623 : 변조/기저대역처리부 624 : RF부
630 : 역방향송수신부 640, 650 : 듀플렉서
661∼669 : 입출력 파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제1주파수채널을 대역 차단하고,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주파수채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순방향송수신부와, 상기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와, 수신되는 무선신호 중 역방향 채널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역방향 송수신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권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 기지국 고유 서비스 영역에서의 의 순방향 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 서비스 영역에서의 순방향 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중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무선 이동통신 전화 서비스에서 기지국과 이동국간 상호 인식은 각각의 프로토콜(AMPS, GSM, CDMA 등등) 방식에 따라 제어 채널 운용 및 인식 절차에 의해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수행하는 기능 중에 제1주파수채널을 활용하여 중계기가 이동국을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기가 최초에 기지국에 접속하여 동기되려면, 첫번째로 할당된 FA인 제1주파수채널을 검색하여 동기를 맞추고, 제1주파수채널이 포함하고 있는 채널리스트에 따라 통화를 위한 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제1주파수채널을 포함하는 각각의 주파수채널(FA)은 파일럿채널, 동기채널 및 호출채널(Pilot, Sync, Paging 채널)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주파수채널(FA)에 관한 채널리스트는 호출채널의 시스템파라미터 메시지 중에 포함되어 있다. 통상 하나의 사업자에게 할당된 대역은 수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가지는 주파수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주파수채널에는 PN코드에 의해 구분되는 파일럿채널, 동기채널, 호출채널 및 다수의 통화채널을 포함하는 코드채널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과 중계기에 할당된 고유의 채널을 통해 음역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계기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송수신부(610)와,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620)와 역방향송 수신부(6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순방향송수신부(6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661) 중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 주파수채널(663)을 증폭(664)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순방향송수신부(6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661)를 저잡음증폭하기 위한 저잡음증폭기(611 : LOW NOISE AMPLIFIER)와, 저잡음증폭된 신호(662) 중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주파수채널을 대역통과시키고, 제1주파수채널을 대역차단시켜 필터링(663)하는 필터(612)와, 필터링된 신호(663)를 증폭(664)하는 증폭기(613)를 구비하고 있다.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620)는 중계기에 할당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666)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620)는 지피에스수신기(Gloval Position System : 621)와, 지피에스수신기(621)에 의해 기지국과 동일한 기준 시간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시간/주파수 발생기(6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620)는 시간/주파수 발생기(622)에서 출력되는 값을 기준으로 하여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주파수채널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생성하고, 기저대역으로 변환출력하는 변조/기저대역처리부(623)와, 변조/기저대역처리부(623)의 출력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출력하는 RF부(624)를 구비하고 있다.
즉,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620)는 순방향송수신부(610)에서 대역통과되어 필터링되는 채널(중계기에 전용으로 할당된 채널)리스트 정보만을 호출채널(Paging channel)에 삽입하여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발생시킨다. 부언하면, 중계기는 기지국이 외부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채널리스트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하지 않고 단지 중계기에 고유로 할당된 채널에 관한 정보만을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에 삽입하여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제1주파수채널에는 기지국이 외부로 송출하는 각각의 채널에 관한 채널리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 채널의 호출채널에서는 중계기에 할당된 채널리스트정보만을 포함하며 중계기에서 송출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에는 중계기에 할당된 채널리스트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다.
역방향송수신부(630)는 음영지역의 무선신호중 역방향 채널(667)을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역방향송수신부(630)는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저잡음증폭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631)와, 저잡음증폭된 신호중 할당된 역방향채널을 대역통과시켜 필터링하는 필터(632)와, 필터(632)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668)를 증폭(669)하는 증폭기(633)를 구비하고 있다.
순방향송수신부(610)와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620)에서 출력되는 신호(664, 666)는 합산부(614)에서 합산(665)되어 듀플렉서(640)와 안테나를 통해 음역지역으로 송출된다. 즉,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과 중계기에 할당된 채널만을 송출하게 된다.
역방향송수신부(6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듀플렉서(650)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이때 기지국과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여타 외부에 있는 이동국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여타지역에서의 중복된 중계기 사용을 위해 야기안테나와 같은 지향성안테나가 사용된다. 한편,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광케이블이나 유선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3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한 개의 크러스터(Clustor) 내에 중계기 전용 주파수채널로사용할 기지국을 운용한다. 중계기 전용 주파수 채널을 운용할 기지국 A1, B1의 기지국 선정은 또 다른 중계기 전용 주파수채널을 운용할 기지국과 충분한 거리(상호 간섭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갖는 기지국 및 통화량 빈도수가 적은 기지국(트래픽 분산 효과)으로 통화량 분산 및 간섭량을 극소화 하기에 유리하도록 선정한다. 중계기가 설치되는 위치가 지하공간과 같이 밀폐된 공간이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방사량이 극히 미미할 경우에는 인접한 여타의 기지국에서도 동일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중계기를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동일한 기지국 내에서도 다수의 중계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중계기 전용 주파수채널을 운용하는 도3의 A1, B1기지국의 고유 서비스 영역하에서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의 입출력 파형으로서, 운용방법은 제2도의 A2, A3, A4, A5, A6, A7, B2, B3, B4, B5, B6, B7 기지국 과 동일하게 운용되지만, 별도로 할당된 채널(RepFA)을 운용한다. 또한,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각각의 채널(1stFA ∼(n-1)FA)에 포함된 호출채널(Paging Channel)의 메시지 중 채널리스트메시지에는 중계기 전용의 채널리스트정보(RepFA채널 리스트)를 송출하지 않는다.
반면, 중계기 전용의 할당된 채널(RepFA)에서는 오직 자기 자신만의 채널리스트정보만 송출하도록 한다. 중계기 서비스 영역이 아닌 기지국 고유의 서비스 영역(외부)에서도 중계기 전용 주파수채널을 포함한 사용 주파수 채널(1stFA ∼(n-1)FA)들이 모두 존재하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채널(1stFA ∼(n-1)FA)에는 중계기 전용으로할당된 채널리스트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동국들은 시스템이 채택하고 있는 알고리즘에 의해 각각의 해당하는 주파수 채널(1stFA ∼(n-1)FA) 중 어느 한 주파수만으로 동조 되고, 중계기에 할당된 전용 주파수 채널(RepFA)로의 동조는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기 전용 주파수를 운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고유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이동국들은 도3의 A1, A2, A3, A4, A5, A6, A7 기지국의1stFA ∼(n-1)FA에 분포 되었던 일부 이동국들이 A1의 중계기 전용 주파수 채널인RepFA로 집중된다. 그러므로,RepFA로 집중된 이동국의 간섭량이 A1, A2, A3, A4, A5, A6, A7 기지국의1stFA ∼(n-1)FA에서 감산되어 간섭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5는 중계기에 할당된 전용 주파수 채널(RepFA)을 이용하였을 때 중계되는 중계기 서비스 영역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입출력 파형으로서 중계기 순방향 링크 구성시 필터를 사용하여 도4에서 보이는 중계 구간에서 필요 없는2ndFA에서(n-1)FA)까지의 주파수 성분을 필터(612)를 통해 제거하여 송출한다. 중계기 역방향 링크 구성 시에는 필터(632)를 사용하여 제4도에서 보이는 중계 구간에서 필요 없는1stFA에서 (n-1)FA까지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1stFA에서 nFA까지의 전 대역에 대해서 증폭하여 중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만큼 기지국과 중계기간 불필요한 간섭량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기지국과 타기지국간 과다한 중첩에 의해 즉, 빈번한 핸드오프 할당비율에 의해 통화채널 자원의 손실 및 간섭량 증가가 초래 된다. 그러나, 도5에 따른 발명은 불필요하게 분포되는 신호를 최대한 억제하고, 집중화 함으로써 상호 간섭량을 최소화 하여 자원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A1, A2, A3, A4, A5, A6, A7 기지국의 사용되는 주파수채널이 n개라면 (n-1)개의 채널 또는 그 이하의 채널 만으로도 원활한 서비스 영역 확보가 가능 하게 된다.
도5의 실시예의 경우 순방향송수신부(610)는 중계기에 할당된 전용의 채널(RepFA)만을 대역통과시켜 증폭하고,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발생부(620)에서는 중계기 전용의 할당된 채널(RepFA)에 관한 채널리스트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1stFA)을 발생시켜 할당된 채널(RepFA)과 함께 무선송신한다(도 5 참조). 역방향송수신부(630)에서도 중계기 전용의 역방향 채널(RepFA)만을 대역통과시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과 중계기 전용의 채널을 사용하여 중계기를 운용함으로써, 기지국 수신 간섭량, 이동국 수신 간섭량 및 고지대 및 고층 빌딩 내에서의 PN offset의 집중화를 극소화할 수 있고, 통화품질 저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시스템 자원 내에서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 시스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전파 환경 변화와 가입자 변동에 따른 기지국재배치 시에 중계기를 재배치하거나 사양변경이 불가피 하지만, 본 발명품은 전파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운용이 가능하므로 중계기 운용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9)

  1.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여타주파수채널을 대역차단하고, 할당된 순방향주파수채널을 대역통과시켜 증폭 출력하는 순방향송수신부;
    상기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주파수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발생시켜 출력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 및,
    수신되는 무선신호중 역방향 주파수채널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역방향송수신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송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증폭하기 위한 저잡음증폭기;
    상기 저잡음증폭된 신호 중 상기 할당된 순방향채널만을 대역통과시켜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송수신부는,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저잡음증폭된 신호중 할당된 역방향채널만을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를 구비함을 특징을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기 위해 방향성안테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5. 청구항1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 발생부는,
    지피에스 수신기;
    상기 지피에스수신기에 의해 기준 시간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시간/주파수 발생기;
    상기 시간/주파수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값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할당된 순방향채널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생성하고, 기저대역으로 변환출력하는 변조/기저대역처리부; 및,
    상기 변조/기저대역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출력하는 RF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장치.
  6.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계기 전용 주파수 채널을 운용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를 구비하고, 중계기 장치가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발생하는 발생부와, 지피에스(GPS) 수신기, 시간/주파수 발생기(Time & Frequency card), 중계기 전용 주파수 대역 통과필터, 증폭기,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1주파수채널의 제어채널에 중계기에 할당된 중계기 전용 주파수 채널리스트 정보를 포함하지 아니한 순방향채널을 송신하는 제1단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 채널의 제어채널에 할당된 중계기 전용 채널리스트 정보만을 포함한 순방향채널을 송신하는 제2단계;
    상기 중계기 장치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제1의 주파수 채널을 차단하고, 중계기에 할당된 순방향채널만을 대역통과시켜 증폭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중계기 장치가 가상의 제1의 주파수 채널을 발생 시키고, 그 제어채널에 상기 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 채널리스트정보만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4단계를 증폭하여 무선송신하는 제5단계;
    상기 중계기 장치가 수신되는 무선신호 중 역방향 채널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6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방법.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은,
    상기 할당된 순방향채널 리스트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채널과 파일럿채널과 동기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방법.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수신되는 무선신호중 상기 중계기에 할당된 역방향 채널만을 대역통과필터로 필터링하여 증폭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방법.
  9. 청구항6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광케이블 또는, 유선이나 방향성안테나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제1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 방법.
KR1020030008378A 2003-02-10 2003-02-10 가상의 프라이머리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기 및 방법 KR10054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378A KR100541862B1 (ko) 2003-02-10 2003-02-10 가상의 프라이머리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378A KR100541862B1 (ko) 2003-02-10 2003-02-10 가상의 프라이머리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91A true KR20030045691A (ko) 2003-06-11
KR100541862B1 KR100541862B1 (ko) 2006-01-10

Family

ID=2957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378A KR100541862B1 (ko) 2003-02-10 2003-02-10 가상의 프라이머리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1571A1 (en) 2003-10-29 2005-05-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on-channel repe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1571A1 (en) 2003-10-29 2005-05-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on-channel repeater
EP1683352A1 (en) * 2003-10-29 2006-07-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on-channel repeater
EP1683352A4 (en) * 2003-10-29 2011-08-03 Korea Electronics Telecomm CHANNEL PROCESS AND REP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862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516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KR100493685B1 (ko) 통신채널 선택용 기지국 장치
US20080214221A1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KR20090052773A (ko) 전이중 중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자원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방법 및 장치
KR20010107015A (ko) 피코 기지국의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JPH04234233A (ja) 通信方法と通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と受信装置
KR100541862B1 (ko) 가상의 프라이머리주파수채널을 이용한 중계기 및 방법
KR101956875B1 (ko) 5g 네트워크용 다이나믹 tdd 방식의 los 확보를 위한 릴레이장치
JP3742372B2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285887B1 (ko) Cdma이동전화시스템에서의전용채널에의한지하철및건물내부서비스시스템
JPH0525209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287751B1 (ko) Cdma이동전화특수지역서비스시스템
KR100657206B1 (ko) 기지국과 중계기의 통화용 주파수가 서로 다른 이동 통신시스템
KR20020014457A (ko) 멀티주파수 변환 중계기와 그를 이용한 통신방법
KR101953230B1 (ko) 다중 빔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
KR100302180B1 (ko) 기지국내주파수변환중계장치
JP3870010B2 (ja) 移動局装置
KR101082346B1 (ko) 채널주파수 선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KR1003179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선택장치를 구비한 중계기
EP1509051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for use therein
US20010046874A1 (en) Apparatus for relaying a transmission signal
KR100692654B1 (ko) 다단 주파수 변환 중계 시스템
JP3095126B2 (ja) 移動無線周波数選択形中継装置
KR20040016665A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JPH09307359A (ja) フィードフォーワード増幅器及び自動パイロット周波数配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