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999A -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999A
KR20030043999A KR10-2003-7005233A KR20037005233A KR20030043999A KR 20030043999 A KR20030043999 A KR 20030043999A KR 20037005233 A KR20037005233 A KR 20037005233A KR 20030043999 A KR20030043999 A KR 2003004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out
bridge
bus
lin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터 하우프트
질 소뜨롱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3004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9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1Bus brid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버스(A) 및 제 3 버스(C)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원격 타임아웃(timeout)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 1 및 제 3 버스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포털을 통해서 구현되며, 각 브릿지(I, II)를 통해 상기 제 1 버스 및 상기 제 3 버스에 연결된 제 2 버스(B)로서 모델링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레벨에서 요청 서브액션에 대해 타임아웃에 대한 그 기여도를 제공하라는 요구(solicitation)가 있을 때: (a) 상기 요청 서브액션의 목적지 노드가 링크 상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b) 긍정적인 경우,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와; (c) 부정적인 경우,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응답 서브액션에 대한 브릿지의 타임아웃 기여도를 결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A TIMEOUT DELAY IN A NETWORK}
응답 타임아웃 문제는 다음과 같이 다수의 표준 또는 가표준(draft standard)에서 다루어져 왔다.
(a) 유선 IEEE 1394-1995 버스 환경의 상황:
분할된 트랜잭션(transaction)은 동일한 트랜잭션 라벨(즉, 트랜잭션의 식별자)을 사용하는 요청 서브액션(subaction) 및 이에 후속하는 응답 서브액션을 특징으로 한다.
SPLIT_TIMEOUT 제어 및 상태 레지스터 값은 특정한 IEEE 1394 노드에 대한 최대 시간 기간을 명시하며, 이때 요청에 대한 응답이 생성되고 보내져야 한다. 만약 명시된 시간 기간(또는 IEEE 1394a 표준에서 각각 명시된 시간 기간의 두 배)이 응답이 송신되지 않고 경과한다면, 전체 트랜잭션은 실패하며, 트랜잭션 라벨은 요청 노드에 의해 재사용("재생")될 수 있다
고성능 직렬 버스에 대한 IEEE 표준(IEEE 1394-1995)(1996년 IEEE 뉴욕)과, 고성능 직렬 버스에 대한 IEEE 표준-수정 1(IEEE 1394a-2000)(2000년 IEEE 뉴욕)을 참조하기 바란다.
(b) BRAN Hiperlan2 1394 SSCS의 상황:
BRAN Hiperlan 2 IEEE 1394 서비스 특정 집중 기술 규격은 Hiperlan 2(HL2) 링크가 어떻게 가상 IEEE 1394 버스로 모델링될 수 있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므로, HL2로 분할된 타임아웃은 IEEE 표준 1394-1995로 분할된 타임아웃과 유사한 형태로 한정되지만, 100ms 대신 200ms의 디폴트 값을 갖는다.
송신 포털에서의 알고리즘은 이 SPLIT_TIMEOUT값의 도움으로 HL2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될 특정한 비동기성 요청 또는 응답 각각에 대한 time_of_life 기간을 한정한다. time_of_life 파라미터는 각 비동기성 패킷에 붙여진 time_of_death 라벨로 변환될 것이다. 이 time_of_death 라벨은, 만약 패킷이 그 사용 기간의 끝에 도달했다면 무선 링크 상의 이 패킷의 수신기에게 이 패킷을 버릴 것을 권고한다. SSCS 문서에 의해 한정된 SPLIT_TIMEOUT 레지스터의 포맷은 IEEE 1394-1995 및 IEEE 1394a-2000 규격과는 약간 다르다.
IEEE 1394 서비스 특정 집중 서브레이어(DTS/BRAN-00240004-3 V1.1.1), ETSI 프로젝트 광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BRAN){2000년 9월 소피아 안티폴리스(Sophis Antipolis)}를 참조하기 바란다.
(c) IEEE P1394.1 브릿지 환경에서 제안된 상황:
브릿지 환경에서 송신 지연이 더 길어짐으로 인해, 만약 분할된 트랜잭션이버스 사이의 브릿지를 통과하고자 한다면, 이러한 손쉬운 split_timeout 메커니즘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 'split_timeout' 파라미터 대신, 'remote_timeout' 파라미터가 한정된다.
IEEE P1394.1 브릿지 환경에서의 'remote_timeout' 파라미터는 특정한 '타임아웃' opcode를 갖는 TIMEOUT 브릿지 관리 메시지라고 불리우는 메시지를 가상 노드 식별자에게 보냄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가상 노드 식별자는 목적지 노드를 나타내며, 이 목적지 노드는, 이것이 요청 노드와 동일한 버스 상에 있지 않으므로 요청 노드의 버스 상의 물리적인 식별자를 갖지 않는다. 이 패킷에 응답하여, 요청 노드는 모든 중간의 브릿지에서의 누적된 최대 지연 시간을 수신할 것이다.
초안 IEEE P1394.1은 요청 및 응답에 대해 브릿지에서 서로 다른 지연 시간(MAX_RQ_FORWARD_TIME 및 MAX_RESP_FORWARD_TIME)으로 구별한다. 이 시간은 구현에 따라 달라지며, 브릿지의 제조사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TIMEOUT 브릿지 관리 메시지'는 P1394.1 초안 D0.11의 섹션 6.7에 기술되어 있다. 섹션 4.2는 또한 전체 프로세스를 기술하고 있다.
고성능 직렬 버스 브릿지를 위한 IEEE 가표준(IEEE P1394.1 버전 0.11) IEEE 1391.1 운영 그룹(아직 승인되지 않은 표준)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에 따라, 해결해야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HL2 네트워크와 같은 링크가 IEEE 1394 버스로 나타내어질 때, HL2 무선 브릿지가 IEEE 1394 브릿지 인식 노드를 무선으로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두 개의 브릿지 인식 노드가 HL2를 통해 비동기성 패킷을 교환할 때, 이들은 두 개의 브릿지를 건넌다. 그러므로, 이들은 HL2 송신 시간뿐만 아니라 두 개의 무선 브릿지를 고려한 원격 타임아웃을 사용해야 한다.
용어, '링크'가 단지 점 대 점(point-to-point) 링크가 아닌 무선(또는 유선) 네트워크의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나타냄을 주목하기 바란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특히 두 개의 IEEE 1394 버스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링크는 예컨대 무선 Hiperlan 2 링크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제 1 버스와 제 3 버스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링크는 제 1 및 제 3 버스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포털을 통해 구현되며, 각 브릿지를 통해 제 1 버스 및 제 3 버스에 연결된 제 2 버스로서 모델링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제 1 브릿지 포털의 레벨에서, 요청 서브액션에 대해 타임아웃에 대한 기여도(contribution)를 제공하라는 요구(solicitation)가 있을 때:
(a) 요청 서브액션의 목적지 노드가 링크 상에 위치해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b) 긍정적인 경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와;
(c) 부정적인 경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과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래의 요청 서브액션에 관한 타임아웃 간격에 대한 포털의 기여도를 명시하라고 요청 받을 때, 포털은, 요청 서브액션의 목적지 노드가 무선 링크 상에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에 따라, 포털은 그 자신의 처리 또는 발송 시간외에 링크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 또는 모두를 기여시킬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사실, 만약 요청 서브액션이 이 최대 송신 시간의 다른 절반을 기여할(또는 이미 기여한) 피어(peer) 포털로 발송(또는 유도)될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만 추가된다. 앞의 프로세스는 요청 서브액션에 대한 타임아웃 기여도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대칭적인 접근법이 응답 서브액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서로 다른 타임아웃 기여도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의 도면을 나타내는 고유한 도면의 도움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드러날 것이다. 타임아웃 응답 메시지에 대한 프로세스는 이에 대칭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Hiperlan 2 버스 브릿지의 타임아웃은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Hiperlan 버스 브릿지는 보통 유선 IEEE 1394 버스에 연결된 하나의 포털과 무선 Hiperlan 2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한 포털을 갖는다. P1394.1 브릿지에 대한 호환성을 얻기 위해, Hiperlan 2 브릿지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타임아웃 브릿지 관리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의 환경이 아닌 다른 환경에서 응용될 수 있음을 주목하기 바란다. 특히, 링크는 반드시 무선 링크일 필요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각 Hiperlan 2 순응 버스 브릿지는 타임아웃 메시지의 MAX_RQ_FORWARD_TIME 및 MAX_RESP_FORWARD_TIME 파라미터에 대한 값을 제공해야 한다.
MAX_RQ_FORWARD_TIME 파라미터는 요청 서브액션을 그 다음 브릿지에 발송해야할 시간 내에서 요청 노드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루트 상의 각 브릿지에 할당된 시간 제한치의 합을 나타낸다. 이와 유사하게, MAX_RESP_FORWARD_TIME 파라미터는 응답 서브액션에 대한 시간 제한치의 합을 나타낸다. 이들 두 시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음의 방법은 어떻게 이들 MAX_RQ_FORWARD_TIME 및 MAX_RESP_FORWARD_TIME 값이 계산되는지를 기술한다.
두 가지 경우가 고려된다:
(1)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가 패킷을 HL2 '버스'에 연결된 HL2 무선 디바이스에 보내거나,
(2)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가 패킷을 HL2 버스를 통해 또 다른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에 보낸다.
(1)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에 보내는 경우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1)가 요청 서브액션 패킷을 HL2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3)에 보낼 때, 이 디바이스는 다음의 지연을 겪을 것이다:
o 무선 브릿지 1 내부 요청 발송 시간(기본적으로 내부 스위칭 구조의 처리 시간).
o Hiperlan 2 네트워크 내의 송신 시간.
이와 유사하게,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1)가 응답 서브액션 패킷을 HL2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3)에 보낼 때, 이 디바이스는 다음의 지연을 겪을 것이다:
o 무선 브릿지 1 내부 응답 발송 시간(기본적으로 내부 스위칭 구조의 처리 시간).
o Hiperlan 2 네트워크 내의 송신 시간(HL2 요청 서브액션 송신 시간과 같음).
(2) 패킷을 HL2를 통해 유선 디바이스에 보내는 경우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1)가 요청 서브액션 패킷을 HL2를 통해 또 다른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2)에 보낼 때, 이 디바이스는 다음의 지연을 겪을 것이다:
o 무선 브릿지 1 내부 요청 발송 시간(기본적으로 내부 스위칭 구조의 처리 시간).
o Hiperlan 2 네트워크 내의 송신 시간.
o 무선 브릿지 2 내부 요청 발송 시간.
이와 유사하게,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1)가 응답 서브액션 패킷을 HL2를 통해 또 다른 유선 브릿지 인식 디바이스(예컨대, 노드 2)에 보낼때, 이 디바이스는 다음의 지연을 겪을 것이다:
o 무선 브릿지 1 내부 응답 발송 시간(기본적으로 내부 스위칭 구조의 처리 시간).
o Hiperlan 2 네트워크 내의 송신 시간(HL2 요청 서브액션 송신 시간과 같음).
o 무선 브릿지 2 내부 응답 발송 시간.
다음의 메커니즘이 제안된다:
1/ 무선 브릿지가 TIMEOUT 요청 메시지(opcode=TIMEOUT, q=REQUEST인 브릿지관리 메시지)를 얻을 때, 무선 브릿지는 TIMEOUT 브릿지 관리 메시지의 destination_id 필드를 체크한다.
o 만약 destination_id.bus_id 필드가 HL2 버스의 bus_id라면, 무선 브릿지는 그 자신의 MAX_RQ_FORWARD_TIME + HL2 최대 송신 시간(1/2 HL2 TST=100ms)으로 max_rq_hold_seconds 및 max_rq_hold_cycles 필드를 증가시켜야 한다. TST는 SPLIT_TIMEOUT 레지스터 값이다. HL2 상에서, 이것은 200ms로 세팅된다(1394 SSCS TS).
브릿지 포털은 또한 TIMEOUT 요청 메시지의 'remote_split_timeout_seconds' 및 'remote_split_timeout_cycles' 필드를 대응하는 HL2 SPLIT_TIMEOUT 값으로 세팅하며, 이는 HL2 버스가 목적지 버스이기 때문이다. 이들 값은 브릿지가 무선 목적지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한다.
o 만약 destination_id.bus_id 필드가 HL2 버스의 bus_id가 아니라면(즉, destination_id가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한편 상에 있음), 무선 브릿지는 그 자신의 MAX_RQ_FORWARD_TIME + HL2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1/2(1/2 HL2 TST)=50ms}으로 max_rq_hold_seconds 및 max_rq_hold_cycles 필드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면, TIMEOUT 요청 메시지가 그 다음 무선 브릿지에 보내진다(이 무선 브릿지는 유사한 처리를 수행하여, 무선 송신의 종료 시에 TIMEOUT 요청 메시지에는 브릿지 MAX_RQ_FORWARD_TIME + HL2 최대 송신 시간이 둘 모두 누적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2/ 무선 브릿지가 TIMEOUT 응답 메시지(opcode=TIMEOUT, q=RESPONSE인 브릿지 관리 메시지)를 얻을 때, 이 브릿지는 TIMEOUT 브릿지 관리 메시지의 destination_id 필드를 체크해야 한다(D0.11의 6.4를 참조바람).
o 만약 destination_id.bus_id 필드가 HL2 버스의 bus_id라면, 무선 브릿지는 그 자신의 MAX_RESP_FORWARD_TIME + HL2 최대 송신 시간(1/2 HL2 TST= 100ms)으로 max_resp_hold_seconds 및 max_resp_hold_cycles 필드를 증가시켜야 한다.
o 만약 destination_id.bus_id 필드가 HL2 버스의 bus_id가 아니라면(즉, destination_id가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한편 상에 있음), 무선 브릿지는 그 자신의 MAX_RESP_FORWARD_TIME + HL2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1/2(1/2 HL2 TST)=50ms}으로 max_resp_hold_seconds 및 max_resp_hold_cycles 필드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면, TIMEOUT 응답 메시지가 그 다음 무선 브릿지에 보내진다(이 무선 브릿지는 유사한 처리를 수행하여, 무선 송신의 종료 시에, TIMEOUT 응답 메시지에는 브릿지 MAX_RESP_FORWARD_TIME + HL2 최대 송신 시간 둘 모두가 누적될 것이다).
요약하면, 제 1 Hiperlan 2 버스 브릿지 I, 무선 Hiperlan 2 네트워크 B, 제 2 Hiperlan 2 버스 브릿지 II를 통한 유선 1394 버스 A와 유선 1394 버스 C 사이의 비동기성 트래픽에 대해, HL 브릿지 I는 무선 버스 B의 최대 송신 지연에 제 1 절반부를 추가할 것이며, HL 브릿지 II는 제 2 절반부를 추가할 것이다. 무선 브릿지 I를 통한 유선 1394 버스 A 디바이스와 HL2 버스 디바이스 사이의 비동기성 트래픽에 대해, HL 브릿지 I는 무선 버스 B의 전체 최대 송신 지연을 그 자신의 내부 최대 발송 시간에 추가할 것이다.
최대 송신 지연을 최대 발송 시간에 추가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특수한 속성을 브릿지 인식 노드에 잠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그 요청이 유선 IEEE 1394.1 순응 브릿지를 통해서 또는 Hiperlan 2 브릿지를 통해서 경로지정되는지는 별차이가 없을 것이다.
실시예는 브릿지 인식 노드가 단지 P1394.1 브릿지-명령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HL2 브릿지를 통해 끊임없이(seamlessly)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특히 두 개의 IEEE 1394 버스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이용된다.

Claims (10)

  1. 제 1 버스(A) 및 제 3 버스(C)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원격 타임아웃(timeout)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 1 및 제 3 버스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포털을 통해서 구현되며 각 브릿지(I, II)를 통해 상기 제 1 버스 및 상기 제 3 버스에 연결된 제 2 버스(B)로서 모델링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레벨에서, 요청 서브액션(subaction)에 대해 타임아웃에 대한 기여도(contribution)를 제공하라는 요구(solicitation)가 있을 때,
    (a) 상기 요청 서브액션의 목적지 노드가 링크 상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b) 긍정적인 경우,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와;
    (c) 부정적인 경우,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단계(c)에 추가로, 상기 제 2 브릿지 포털이 그 기여도로서 그 자신의 최대 요청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무선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의절반을 추가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Hiperlan 2 무선 네트워크인,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최대 송신 시간은 포털의 Hiperlan 2 IEEE 1394 SSCS 'SPLIT_TIMEOUT' 레지스터 값의 절반과 같은,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로부터의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는 타임아웃 요청 메시지를 통해 요구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단계(b)에 추가로,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이 상기 타임아웃 요청 메시지의 remote_split_timeout 필드를 상기 제 1 포털의 상기 Hiperlan 2 IEEE 1394 SSCS 'SPLIT_TIMEOUT' 레지스터 값에 따르는 값으로 세팅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7. 제 1 버스(A) 및 제 3 버스(C)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 1 및 제 3버스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포털을 통해서 구현되며, 각 브릿지(I, II)를 통해 상기 제 1 버스 및 상기 제 3 버스에 연결된 제 2 버스(B)로서 모델링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레벨에서, 요청 서브액션에 대해 타임아웃에 대한 그 기여도를 제공하라는 요구가 있을 때,
    (a) 상기 응답 서브액션의 목적지 노드가 링크 상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b) 긍정적인 경우,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응답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와;
    (c) 부정적인 경우, 상기 타임아웃 기여도에 대해, 상기 제 1 브릿지 포털의 최대 응답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2 브릿지 포털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단계(c)에 추가하여, 상기 제 2 브릿지 포털은 그 기여도로서 그 자신의 최대 응답 서브액션 처리 시간과 상기 무선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의 절반을 추가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무선 Hiperlan 2 네트워크인,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최대 송신 시간은 포털의 Hiperlan 2 IEEE 1394 SSCS 'SPLIT_TIMEOUT' 레지스터 값의 절반과 같은,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타임아웃 파라미터 결정 방법.
KR10-2003-7005233A 2000-10-19 2001-10-18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030043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402900.5 2000-10-19
EP00402900A EP1199839A1 (en) 2000-10-19 2000-10-19 Method for making bridge aware nodes communicate over hiperlan 2 bridges
PCT/EP2001/012331 WO2002033907A1 (en) 2000-10-19 2001-10-18 Method for determining a timeout delay in a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999A true KR20030043999A (ko) 2003-06-02

Family

ID=817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233A KR20030043999A (ko) 2000-10-19 2001-10-18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61156B2 (ko)
EP (2) EP1199839A1 (ko)
JP (1) JP2004515095A (ko)
KR (1) KR20030043999A (ko)
CN (1) CN1193550C (ko)
AT (1) ATE366014T1 (ko)
AU (1) AU2002210570A1 (ko)
DE (1) DE60129150T2 (ko)
MX (1) MXPA03003106A (ko)
WO (1) WO2002033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9840A1 (en) * 2000-10-19 2002-04-24 THOMSON multimedia Method for connecting an IEEE1394 remote device to a cluster of IEEE1394 devices through a wireless link
US6880025B2 (en) * 2001-12-27 2005-04-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fficient timeout message management in IEEE 1394 bridged serial bus network
KR20050074584A (ko) * 2002-11-12 2005-07-1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효과적인 타임아웃 메시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66090B1 (ko) 2006-06-05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 이미지 기술을 이용한 무선 브리지 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구현방법
US9552056B1 (en) 2011-08-27 2017-01-24 Fellow Robots, Inc. Gesture enabled telepresence robot and system
US9191237B1 (en) * 2012-05-24 2015-11-17 Dan Barry,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796093B2 (en) 2014-10-24 2017-10-24 Fellow, Inc. Customer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311400B2 (en) 2014-10-24 2019-06-04 Fellow, Inc. Intelligent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373116B2 (en) 2014-10-24 2019-08-06 Fellow, Inc. Intelligent inventory manageme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586082B1 (en) 2019-05-29 2020-03-10 Fellow, Inc. Advanced micro-location of RFID tags in spatial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976A (en) * 1996-04-01 1998-08-11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monitoring in electronic communications networks
DE19615908A1 (de) * 1996-04-22 1997-10-23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Messung der Vermittlungsverzögerung
US6032261A (en) * 1997-12-30 2000-02-2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Bus bridge with distribution of a common cycle clock to all bridge portals to provide synchronization of local buse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1063789B1 (en) * 1999-06-23 2007-08-01 Sony Deutschland GmbH Transmit and receiving antenna diversity
US6728809B1 (en) * 1999-09-09 2004-04-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ime-out control apparatus, terminal unit, time-out control system and time-out procedure
WO2002033903A1 (en) * 2000-10-19 2002-04-2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reserving isochronous resources in a network comprising a wireless link
ATE380422T1 (de) * 2000-10-19 2007-12-15 Thomson Licensing Verfahren zur verbindung mehrerer kommunikationsbusse mit drahtlosen verbindungen
US6614350B1 (en) * 2000-11-08 2003-09-02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ng a security system upon multipl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US7027418B2 (en) * 2001-01-25 2006-04-11 Bandspeed, Inc. Approach for selecting communications channels based on performance
US6880025B2 (en) * 2001-12-27 2005-04-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fficient timeout message management in IEEE 1394 bridged serial bu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10570A1 (en) 2002-04-29
EP1327330B1 (en) 2007-06-27
CN1193550C (zh) 2005-03-16
JP2004515095A (ja) 2004-05-20
US7461156B2 (en) 2008-12-02
CN1470116A (zh) 2004-01-21
DE60129150T2 (de) 2008-03-13
EP1327330A1 (en) 2003-07-16
WO2002033907A1 (en) 2002-04-25
MXPA03003106A (es) 2003-08-07
ATE366014T1 (de) 2007-07-15
US20040044801A1 (en) 2004-03-04
EP1199839A1 (en) 2002-04-24
DE60129150D1 (de)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71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sending an asynchronous control mechanism packet used to control bridge devices within a network of IEEE STD 1394 serial buses
US7277402B2 (en) Method for isochronous resource management in a network based on hiperlan 2 technology
US7433341B2 (en) Method for connecting an IEEE1394 remote device to a cluster of IEEE1394 devices through a wireless link
KR20030043999A (ko)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 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US20040057411A1 (en) Method for linking several communication busses using wireless links
JP2001168915A (ja) Ipパケット転送装置
US7251703B1 (en) Method of time stamping to enable device bridging over dissimilar buses
US7933281B2 (en) Method of bus configuration to enable device bridging over dissimilar buses
EP1633087B1 (en) Repeater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roctocol conversion in the repeater apparatus
EP1391085B1 (en) Method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wireless links with more than two wireless devices
EP1472832A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connection and resource reserv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bridge
JP2004512737A (ja) 無線リンクを含む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等時性リソースを予約する方法
EP1394996A2 (en) Network device and method
JP4297378B2 (ja) ブリッジ及び送信装置、並びに情報システム
JPH112151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3713198B2 (ja)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バス接続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10009761A (ko) 원거리 접속용 아이 트리플 이 1394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