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927A -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927A
KR20030042927A KR1020010073804A KR20010073804A KR20030042927A KR 20030042927 A KR20030042927 A KR 20030042927A KR 1020010073804 A KR1020010073804 A KR 1020010073804A KR 20010073804 A KR20010073804 A KR 20010073804A KR 20030042927 A KR20030042927 A KR 2003004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stylus pen
film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2927A/ko
Publication of KR2003004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9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접촉하게 되는 면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필름이 부착된 터치 스크린을 제공한다. 상기 홈들이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화면을 직접 보지 않더라도 촉감으로 키의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할 때에도,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홈에 위치시키게 되므로 스타일러스 펜의 미끄러짐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TOUCH SCREEN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일종의 입력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스마트 폰, 무인 현금 지급기, 팜 피씨(Palm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등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등을 사용하여 접촉하므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에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휴대폰, PDA, 팜 피씨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으며, 특히, PDA, 팜 피씨 등은 별도의 키보드를 채용하기에는 소형화에 불리하므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명령을 입력해야 하며, 또한, 표면이 지나치게 매끄러워 소형의 화면에서 스타일러스 펜 사용시 미끄러짐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명령을 실행시켜 재입력해야 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촉각을 이용한 입력이 가능하고,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접촉하게 되는 면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홈이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필름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을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용 단말기 11: 터치 스크린
13 : 필름 15 : 홈
17 : 스타일러스 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1)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1) 상에 부착되는 필름(13)을 구비한다.
상기 필름(13)은 상기 터치 스크린(11)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17) 등이 접촉하게 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5)을 형성한다. 상기 필름(13) 상에 형성된 홈(15)은 터치 스크린(1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이나 키, 특히 실행키와 같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와 동일하게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1)를 이용해 정보검색이나 소정의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해 스타일러스 펜(17)이나 손가락을 이용해 아이콘 또는 키를 누르게 된다. 이때 아이콘이나 키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홈을 형성하므로써, 자주 사용하는 명령은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사용자는 손가락의 촉감으로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이나 키가 충분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특정 아이콘이나 키를 눌러 의도한 명령을 실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펜(17)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름(13) 상에 형성된 홈(15)을 누르게 되므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17)은 미끄러지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을 오동작 없이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스크린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면에는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 또는 키와 동일한 위치에 소정의 홈들을 형성하여, 상기 홈의 촉감을 통해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명령실행에도 상기 홈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위치하도록 하면 미끄러짐이 없어, 의도하지 않은 명령을 실행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접촉하게 되는 면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키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투명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KR1020010073804A 2001-11-26 2001-11-26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KR20030042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804A KR20030042927A (ko) 2001-11-26 2001-11-26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804A KR20030042927A (ko) 2001-11-26 2001-11-26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927A true KR20030042927A (ko) 2003-06-02

Family

ID=2957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804A KR20030042927A (ko) 2001-11-26 2001-11-26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292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631A (ja) * 1984-07-31 1986-02-26 Fuji Sofuto Uea Kenkyusho:Kk キ−ボ−ド板体
JPH06175781A (ja) * 1992-12-08 1994-06-24 Nec Eng Ltd 光学式タッチパネル用誤操作防止バリア
JPH07295706A (ja) * 1994-04-08 1995-11-10 Nokia Mobile Phones Ltd キーボード
JPH08328739A (ja) * 1995-05-29 1996-12-13 Toshiba Corp 座標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2001117721A (ja) * 1999-10-14 2001-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方式キーボー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631A (ja) * 1984-07-31 1986-02-26 Fuji Sofuto Uea Kenkyusho:Kk キ−ボ−ド板体
JPH06175781A (ja) * 1992-12-08 1994-06-24 Nec Eng Ltd 光学式タッチパネル用誤操作防止バリア
JPH07295706A (ja) * 1994-04-08 1995-11-10 Nokia Mobile Phones Ltd キーボード
JPH08328739A (ja) * 1995-05-29 1996-12-13 Toshiba Corp 座標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2001117721A (ja) * 1999-10-14 2001-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方式キーボ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6428B2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JP5999374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66736B1 (ko) 휴대용 단말기
WO2009090704A1 (ja) 携帯端末
US20090085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iew switching functions 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US20020042853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JP2002196856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5480517B2 (ja) 電子機器
TW200937270A (en) Touch sensor for a displa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JP2014132454A (ja) タッチキー入力の有効性を判定する機能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タッチキー入力の有効性判定方法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0003565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cons thereof
JP5968588B2 (ja) 電子機器
KR20090015259A (ko)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20090167695A1 (en) Embedded navigation assembly and method on handheld device
KR20030042927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US20090160775A1 (en) Trackball inpu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74879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切替方法
KR101132614B1 (ko)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 제어방법
JP2009193279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EP2077485B1 (en) Embedded navigation assembly and method on handheld device
KR100636411B1 (ko) 포인터 이동 터치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
JPS6077231A (ja) カ−ソル移動制御装置
JP5748799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