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774A -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774A
KR20030042774A KR1020010073535A KR20010073535A KR20030042774A KR 20030042774 A KR20030042774 A KR 20030042774A KR 1020010073535 A KR1020010073535 A KR 1020010073535A KR 20010073535 A KR20010073535 A KR 20010073535A KR 20030042774 A KR20030042774 A KR 2003004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water
fabrics
foam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효철
Original Assignee
전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효철 filed Critical 전효철
Priority to KR102001007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2774A/ko
Publication of KR2003004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6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4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 D06N2209/048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류에 목분(소나무,향나무,잣나무,육송,백송, 등의 목제류와 기타 목제류의 목분을 칭함) 및 왕겨분, 건초분, 건수초분, 쑥분,녹차분,피혁섬유분, 펄프파우다( 대나무 펄프포함) 숯분 등의 천연소재와 수성발포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 배합하여 부직포 및 섬유의 한 단면에 일정량 도포하여 건조 발포시켜 전자파 차단 효과 및 항균, 탈취 기능을 활용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부직포 및 직물류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 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 직물류{omitted}
본 발명은 목분(소나무, 잣나무, 향나무, 육송, 백송 등의 목재류의 목분을 칭함) 및 왕겨분, 건초분, 건수초분, 쑥분, 녹차분, 펄프파우다(대나무 펄프 포함), 피혁 섬유분, 등의 천연 소재와 수용성아크릴 수지, EVA수지, PE수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EVA수지, 불소계통의 수지등과 수성발포제를 이용하여 부직포 및 직물류의 한단면에 일정량 코팅하여 건조, 발포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성발포제 이용은 수성합성 수지류에 무기질 성분인 CaCo3등과 단순 결합 혼합시켜 고온에서 건조, 발포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같이 사용하면 단순히 수성발포제의 발포배율의 크기와 투입량 증, 감으로 제품의 부피비율을 증가 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수성발포제의 발포 매개체가 단순히 합성수지의 모노말에 의해 발포하기 때문에 발포제 사용이 과다해진다. 또한 수성발포제는 유성발포제 보다 발포 안정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2배 이상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발포안정성과 발포비율이 뛰어난 유성발포제는 용제로 톨루엔, MER,벤젠, 크실렌 등 VOC 배출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순차적으로 사용량을 규제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성발포제의 발포매개체 역할을 보조하면서 발포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목분, 왕겨분, 건초분, 건수초분,쑥분, 녹차분, 펄프파우다, 피혁 섬유분 등 첨가하여 천연소재의 질감 및 촉감을 느낄수 있도록 하고져 하며, 인체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숯분, 황토, 일라이트, 맥반석, 옥, 게르마늄, 세라믹, 제오라이트등의 방사물질을 첨가하여 제품사용시 항균, 보온, 보습,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지며 수성발포제 사용량을 감소하고져 하는데 있다.
또한 Pt(백금), Pu(금),Ag(은),Cu(구리) 니켈등 전도성 금속물체를 혼합하여 전자파 차단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고져 한다.
전자파는 전도성이 있는 물질을 통과할 때 가장 많이 흡수되어 상쇄되기 때문에 차폐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수성발포제에 수용성 합성수지류(아크릴수지, EVA수지 PE수지,계면활성제가 포함된 EVA, 불소계통의 수지, 우레탄 계통의 수지)와 천연소재인 목분, 왕겨분, 건초분, 건수초분, 쑥분, 녹차분, 펄프파우다 피혁섬유분 등과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숯분 ( 대나무 숯분 포함)황토,일라이트, 맥반석, 옥, 게르마늄, 활성탄, 제오라이트, 세라믹등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첨가 하거나 백금,금,은,동, 니켈등의 전도성 금속분을 첨가하여 전자파 차단 효과 및 탈취성, 보온성, 보습성 항균성등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혼합 조성하여 부직포 및 직물류에 코팅하고져 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제2도에서 공정순서의 개념을 도시하며 제조된 제품의 단면도가 제1도에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수지류에서 아크릴 계통의 수지, EVA계통의 수지, PE계통의 수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EVA수지, 불소계통의 수지, 우레탄 계통의 수지 등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수지의 30∼50% 중량부, 목분, 왕겨분, 건초분, 건수초분, 쑥분, 녹차분, 펄프파우다, 피혁 섬유분등 천연소재등 어느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소재의 5∼25%n 중량부, TiO21∼5% 중량부, 탄산칼슘 10∼25% 중량부, 수성발포제 1∼5% 중량부, 물 10∼20%중량부, 분산제 0.1∼0.5중량부, 소포제 0.1∼0.5% 중량부, 유연제 1∼5% 중량부, 부로 혼합하거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숯분, 황토, 일라이트, 맥반석, 옥, 게르마늄, 세라믹, 제오라이트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등 어느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방사물질 1∼5% 중량부로 혼합하거나 백금, 금, 은, 동, 니켈등의 전도성이 좋은 금속분을 1∼5% 중량부로 혼합 배합하여 부직포 및 직물류의 어느 한단면에 코팅하여 건조, 발포시킨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1) 목분( 소나무, 잣나무, 향나무, 육송, 백송등의 목제류 및 기타 목제류의 목분을 칭함) 왕겨분,건초분,건수초분, 쑥분, 녹차분, 펄프파우다(대나무 펄프포함) 피혁섬유분 등의 천연소재를 일정한 입도로 분리한다.(예 : 100∼120메쉬, 120∼140메쉬, 140∼160메쉬, 160∼180메쉬, 180∼200메쉬등으로)
이때 입자가 클수록 코팅작업은 어렵지만 질감표현이 좋으며 입자가 작으면 촉감이 좋아진다.
2) 숯분(대나무 숯분포함,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맥반석, 옥, 게르마늄, 세라믹, 제오라이트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300∼600메쉬 600∼1,000메쉬 정도로 분쇄하여 사용하며 방사물질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 할수도 있다.
또한 전도성이 좋은 금속물질중 백금, 금, 은, 동, 니켈등의 금속은300∼600메쉬, 600∼1,000메쉬 등으로 금속분을 만들어 사용하며 이들 금속분중 어느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소재의 효능은 황토는 인체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흡착성, 생분해성이 강하고 현재에도 오수의 정 화 및 건축내장재로 활용되고 있다.
일라이트는 SiO2, K2O, FEO2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특허공고제4323호에 흡착 탈취제는 일라이트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다.
쑥은 비료, 농약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공해에 강력한 해독능력이 있으며 참숯은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1,000만분의 1mm 정도부터 1,000분의 1mm까지 다공질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숯 1g당 표면적은250∼300평이나 된다. 그만큼 각종 냄새를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현재 대나무 숯 및 금,은,동,니켈금속등은 수맥파나 전자파 차단재로 다분야에서 연구검토 되고 있는 중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소재등은 일반적으로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검증이 되거나 검증이 된 소재들이며 백금, 금, 은, 동, 니켈등의 금속제들은 수맥 및 전자파 차단제로 이용이 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준비된 원료를 아래의 혼합비예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혼합비에서 합성수지류는 수용성 아크릴계통의 수지, EVA계통의 수지, PE계통의 수지, 생분해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EVA수지, 불소계통의 수지, 우레탄 계통의 수지, 중 어느 한종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 상기 혼합비에서 알수 있듯이 A의 혼합비는 단순히 천연소재류만 사용하고저 할 때, B.C는 원적외선 기능성을 부여하고져 할 때, D.E는 전도성 금속분을 혼합하여 전자파 차단효과를 얻고져할 때, F의 혼합비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전자파 차단 효과를 동시에 얻고저 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배합비다.
이상과 같이 기초로한 수성발포제가 천연소재 및 금속분등과 혼합되어 부직포 및 직물류의 어느 한단면에 로타리 스크린방식 및 텐타기의 바코팅방식, 실크스크린 방법등으로 일정량 도포하고 건조, 발포시킨다.
이때 건조는 1차, 2차로 분리하여 건조시키면 제품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1차건조는 수분 80∼90% 정도만 건조된 상태 및 발포제의 발포도를 30∼50% 정도로 형성시킨후 나염 및 인쇄공정을 거친후 2차 건조 및 발포 공정을 마무리하면 제품의 유연성 및 촉감이 향상된다.
한번에 완전건조 및 발포시킨 경우는 제품의 유연성이 떨어지며 촉감이 감소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1차 건조 및 발포가 형성된 부직포 및 직물류에 다공정으로 인쇄 및 나염 작업이 가능하며 반드시 인쇄 및 나염작업을 하여야 하는 사항도 아니다.
인쇄 및 나염작업을 마친 상부 및 건조, 발포가 완료된 상부에 내마모성, 내수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발수제등을 탑코팅한다.
이때 탑코팅제로는 상기 합성수지류등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수지의 30∼50%중량부, 물 40∼45% 중량부, 우레탄 및 불소계통의 발수제 1∼5% 중량부로 혼합하여 로타리 스크린방식 및 로타리 그라비아 방식, 바코팅방식, 스프레이 분사방식, 실크스크린방식 등으로 일정량 탑코팅한다.
이상과 같이 탑코팅된 상태에서 2차건조 오븐을 통과하면서 건조, 발포 공정을 처리한다.
또한 이때 제품의 표면을 요철형태로 엠보싱(凸凹)하고져 할 때는 형압단계(엠보싱롤을 통과시킴)를 통과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부직포 및 섬유에 코팅,건조,발포시킨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기계작업시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설명-
도1의 1 : 부직포 및 섬유층 3 : 인쇄 및 나염층
4 : 내오염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발수 코팅층
도1의 2 :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배합되어 코팅, 건조, 발포된층
.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와 천연소재인 목분, 왕겨분, 펄프파우다, 숯분등을 혼합하거나 금속분을 혼합하여 부직포 및 직물류의 어느 한단면을 코팅하여 건조, 발포시켜 이를 생활용품으로 활용하고져 하는데 있다.

Claims (2)

  1. 부직포 및 직물류의 어느 한단면에 수성합성수지류 30∼50%중량부, 천연소재류 5∼25%중량부, TiO21∼5%중량부, 탄산칼슘 10∼25%중량부, 수성발포제 1∼5%중량부, 물 10∼20%중량부, 분산제 0.5∼1%중량부, 소포제0.5∼1%중량부, 유연제 1∼5%중량부로 배합되어 고형분 기준으로 15∼100g/m2정도로 부직포 및 직물류에 코팅되어 건조, 발포되거나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1∼5% 중량부, 전도성 금속분이 1∼5%중량부로 첨가되어 건조,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및 직물류.
  2. 상기 청구항1에서 엠보싱 작업을 할수 있는 부직포 및 직물류.
KR1020010073535A 2001-11-23 2001-11-23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KR20030042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35A KR20030042774A (ko) 2001-11-23 2001-11-23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35A KR20030042774A (ko) 2001-11-23 2001-11-23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74A true KR20030042774A (ko) 2003-06-02

Family

ID=295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535A KR20030042774A (ko) 2001-11-23 2001-11-23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277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07A (ko) * 2002-06-03 2003-12-11 (주)위드미 죽탄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와 벽지
KR20040021842A (ko) * 2002-09-05 2004-03-11 (주) 그린페이퍼텍 천연 쑥 향과 고농축 약쑥액을 함유하는 미용용지 및 이의제조방법
KR100490926B1 (ko) * 2002-12-13 2005-05-23 전일프라스틱(주) 항기능성 포장용 부직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494336B1 (ko) * 2002-06-18 2005-06-13 이교근 음이온을 발산하는 부직포 원단의 제조방법
KR100813163B1 (ko) * 2007-05-04 2008-03-17 (주) 신우피앤씨 소취층 형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864515B1 (ko) * 2004-06-30 2008-10-20 최경호 대나무 미립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8660740A (zh) * 2018-05-08 2018-10-16 浙江科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纳米功能性整理剂及其制备方法
KR102571697B1 (ko) * 2022-12-07 2023-09-01 화이트리퍼블릭 주식회사 칡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 및 상기 종이를 꼬아 만든 섬유사를 포함하여 직조된 섬유제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613A (ko) * 1987-12-07 1989-08-03 이상철 전기 전도성 적층물의 제조방법
JPH03198719A (ja) * 1989-12-27 1991-08-29 Tomoaki Otsuka 植物活性塗料
KR970015927A (ko) * 1997-01-30 1997-04-28 정순제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의 제조 방법
JPH10168361A (ja) * 1996-12-16 1998-06-23 ▲第▼一プラント工業株式会社 塗布材と塗布製品
KR20000006682A (ko) * 1999-10-18 2000-02-07 김종환 다기능성 이온섬유 코팅방법
KR20000054527A (ko) * 2000-06-09 2000-09-05 박미애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벽지
KR20010061898A (ko) * 1999-12-29 2001-07-07 형 근 이 숯과 황토가 코팅된 직물의 제조방법
KR20020080054A (ko)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월핀 합성수지류와 생분해 가능한 자연소재를 혼합한 벽지
KR20020088247A (ko) * 2001-05-19 2002-11-27 추대일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613A (ko) * 1987-12-07 1989-08-03 이상철 전기 전도성 적층물의 제조방법
JPH03198719A (ja) * 1989-12-27 1991-08-29 Tomoaki Otsuka 植物活性塗料
JPH10168361A (ja) * 1996-12-16 1998-06-23 ▲第▼一プラント工業株式会社 塗布材と塗布製品
KR970015927A (ko) * 1997-01-30 1997-04-28 정순제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의 제조 방법
KR20000006682A (ko) * 1999-10-18 2000-02-07 김종환 다기능성 이온섬유 코팅방법
KR20010061898A (ko) * 1999-12-29 2001-07-07 형 근 이 숯과 황토가 코팅된 직물의 제조방법
KR20000054527A (ko) * 2000-06-09 2000-09-05 박미애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벽지
KR20020080054A (ko)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월핀 합성수지류와 생분해 가능한 자연소재를 혼합한 벽지
KR20020088247A (ko) * 2001-05-19 2002-11-27 추대일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07A (ko) * 2002-06-03 2003-12-11 (주)위드미 죽탄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와 벽지
KR100494336B1 (ko) * 2002-06-18 2005-06-13 이교근 음이온을 발산하는 부직포 원단의 제조방법
KR20040021842A (ko) * 2002-09-05 2004-03-11 (주) 그린페이퍼텍 천연 쑥 향과 고농축 약쑥액을 함유하는 미용용지 및 이의제조방법
KR100490926B1 (ko) * 2002-12-13 2005-05-23 전일프라스틱(주) 항기능성 포장용 부직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64515B1 (ko) * 2004-06-30 2008-10-20 최경호 대나무 미립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813163B1 (ko) * 2007-05-04 2008-03-17 (주) 신우피앤씨 소취층 형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08660740A (zh) * 2018-05-08 2018-10-16 浙江科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纳米功能性整理剂及其制备方法
KR102571697B1 (ko) * 2022-12-07 2023-09-01 화이트리퍼블릭 주식회사 칡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 및 상기 종이를 꼬아 만든 섬유사를 포함하여 직조된 섬유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2774A (ko) 합성수지류에 수성발포제, 천연소재를 혼합 배합하여섬유상단부에 일정량 도포시켜 건조,발포된 부직포 및직물류
CN111519452A (zh) 一种抗菌防螨抗病毒整理剂、地毯及制备方法
KR101650657B1 (ko) 유해파 차폐용 직물 부재 및 그 직물 부재의 제조방법
KR100303381B1 (ko) 기능성직물및이의제조방법
EP4335961A1 (en) Fiber coating method
KR20140100232A (ko) 천연물 면적 확장형 비코팅 천연 벽지
KR20020080054A (ko) 합성수지류와 생분해 가능한 자연소재를 혼합한 벽지
KR100302922B1 (ko) 숯 분말이 균일하게 고착된 천 및 숯 분말을 천에 균일하게 고착시키는 방법
KR100668471B1 (ko) 기능성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534294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과그 이용물
KR101504412B1 (ko) 열린구조를 갖는 천연 벽지
KR100626870B1 (ko)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JP3559509B2 (ja) 藺草を含む紙及びそれを使用した撚り糸
KR100455862B1 (ko)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코팅된 직물
KR102513497B1 (ko) 천연 항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제품
KR200238482Y1 (ko) 합성수지류와 생분해 가능한 자연소재를 혼합한 벽지
KR20060094118A (ko)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30319B1 (ko) 초극세사 원단의 후가공 방법 및 이로 후가공된 초극세사원단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0502160B1 (ko) 가리비를 이용한 섬유의 제조방법
KR200264285Y1 (ko)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코팅된 직물
KR101120290B1 (ko) 방향성 항균통증치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항균통증치료시트의 제조방법
KR0132617B1 (ko) 섬유류에 금속염을 함침시키는 방법
KR200332642Y1 (ko)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을 이용한 장판
KR200167106Y1 (ko) 옥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