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67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676A
KR20030041676A KR1020010072740A KR20010072740A KR20030041676A KR 20030041676 A KR20030041676 A KR 20030041676A KR 1020010072740 A KR1020010072740 A KR 1020010072740A KR 20010072740 A KR20010072740 A KR 20010072740A KR 20030041676 A KR20030041676 A KR 2003004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chedule
function
pow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676A/ko
Publication of KR2003004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을 설정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키더라도 알람 기능 수행을 위한 필수 구성 요소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방지하면서 지정한 시간에 정상적인 알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MSM칩의 ARM 프로세서에 의해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킬 경우,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MSM 칩의 ARM 프로세서(CPU)는 전원을 계속 공급받아 시간 카운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과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되었을 경우, MSM 주변회로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알람을 울리게 하거나 디스플레이 창에 스케줄을 표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POWER CONTROLL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을 설정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키더라도 알람 기능 수행을 위한 필수 구성 요소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방지하면서 지정한 시간에 정상적인 알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도 단말기를 이용해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SMS), 전화 번호부 또는 전화 통화 목록 검색 기능, 게임 기능, 시계 기능 등이 있으며, 특히 시계 기능은 기지국을 통해 시간을 전송 받음으로써, 따로 시간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항상 정확한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실용성을 찾는 사용자들은 손목 시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따로 휴대할 필요가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만을 휴대하며 시간을 확인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단말기의 시계 기능은 단순히 시간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부가 기능으로 알람(Alarm) 기능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알람은 아침 기상시간을 주로 설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알람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면시간대에도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켜 놓아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알람 기능 뿐만 아니라 전화 수신 기능까지 온 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수면 시간대에도 전화나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화벨이 울리게 되어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전화 수신이 거의 없는 밤 시간대에 단말기가 계속 온 되어 있어 배터리의 전류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단말기에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을 설정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키더라도 알람 기능 수행을 위한 필수 구성 요소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방지하면서 지정한 시간에 정상적인 알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MSM칩의 ARM 프로세서에 의해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킬 경우,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MSM 칩의 ARM 프로세서(CPU)는 전원을 계속 공급받아 시간 카운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과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되었을 경우, MSM 주변회로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알람을 울리게 하거나 디스플레이 창에 스케줄을 표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을 설정하였을 경우, 단말기를 오프 시키더라도 알람을 울리게 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에만 부분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방지하고 필요한 알람 기능만 정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단말기에 상기 알람 및 스케줄 기능을 설정한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하였을 경우, MSM(MOBILE STATION MODEM) 칩 구동을 위한 클럭(Tcxo) 발생 수단과, 일종의 중앙처리장치(CPU) 역할을 하는 ARM 프로세서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MSM 주변 회로들(RF 회로, LCD 제어회로 등)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ARM 프로세서에서 각 MSM 주변 회로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주변 회로의 전원 공급로에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며, ARM 프로세서에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게 하더라도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으므로 전원 소비는 거의 없게된다.
따라서, 상기 알람이나 스케줄을 설정한 채 전원을 오프 하게되면, 배터리의 전류 소모는 방지되고 알람 기능은 정상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 코덱(Codec), 보코더, 이동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MSM 칩(10)과; RF회로부(20)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0)와; 음성신호의 입/출력 또는 키패드 및 전화벨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 주변 회로(40)와; 클럭 발생기(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부에서 직접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결선되어 있으나, MSM 칩을 경유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경우 ARM 프로세서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각 구성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별도로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알람 또는 스케줄 기능을 설정한 후 전원을 오프 시키더라도, ARM 프로세서와 클럭 발생기에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므로,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었을 때 ARM 프로세서는 알람을 울리는데 필요한 기능 회로(본 실시예에서는 벨소리를 울리는데 필요한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알람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게 한다.
다음,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을 설정했을 경우의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11),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ARM 프로세서 및 MSM 칩의 모든 기능이 정지된다. 이때에는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아무런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소비되는 전류는 없다.
그러나,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MSM 칩의 ARM 프로세서(CPU)에 시간 카운트 프로세싱이 수행되며(S13), 이와 아울러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을 체크한다(S14).
이에 따라, 현재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되었을 때 MSM 주변회로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S15), 알람을 울리게 하거나 디스플레이 창에 스케줄을 표시한다(S1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은, 단말기에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을 설정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키더라도 지정한 시간에 알람이 울리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 소모는 방지하면서 알람 기능은 정상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RM 프로세서에 의해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을 오프 시킬 경우,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알람이나 스케줄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MSM 칩의 ARM 프로세서(CPU)는 전원을 계속 공급받아 시간 카운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과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알람 및 스케줄 시간이 되었을 경우, MSM 주변회로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알람을 울리게 하거나 디스플레이 창에 스케줄을 표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KR1020010072740A 2001-11-21 2001-11-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KR20030041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740A KR20030041676A (ko) 2001-11-21 2001-11-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740A KR20030041676A (ko) 2001-11-21 2001-11-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676A true KR20030041676A (ko) 2003-05-27

Family

ID=2957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740A KR20030041676A (ko) 2001-11-21 2001-11-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6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196B1 (ko) * 2004-12-30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특정사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196B1 (ko) * 2004-12-30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특정사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5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 monitoring method
JPH07307776A (ja) 携帯電話機
KR20020075794A (ko) 무선 전화기의 비행기 모드 및 알람 시계 모드
JP2001186250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366549B2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US718100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imer
WO2000038338A1 (en) Real time clock system and method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JPH10215302A (ja) 携帯電話機
KR200300416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US2004022472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l laser pointer
JP3842673B2 (ja) 通信端末
KR200300029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타이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03159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KR100980922B1 (ko) sub-LCD 표시방법
KR200400593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강제 슬립 모드 설정을 통한 전원 절감방법
KR10033468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알람방법
KR100538622B1 (ko) 배터리 잔량 경고/유지 방법
KR200100585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KR20050079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모드 전용키를 이용한 절전모드전환방법
KR20000074571A (ko) 휴대전화 자동 온/오프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60044191A (ko) 듀얼 클럭 휴대폰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KR20010104078A (ko) 이동통신 단말기내 알람기능을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40107661A (ko) 전원 오프 상태에서 시계와 알람이 작동하는 휴대폰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