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605A -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605A
KR20030041605A KR1020010072447A KR20010072447A KR20030041605A KR 20030041605 A KR20030041605 A KR 20030041605A KR 1020010072447 A KR1020010072447 A KR 1020010072447A KR 20010072447 A KR20010072447 A KR 20010072447A KR 20030041605 A KR20030041605 A KR 2003004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tandby
processor
processor board
up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605A/ko
Publication of KR2003004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08Configuration, initialisation
    • H04Q3/54516Initialization, software or data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41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using multi-processor systems
    • H04Q3/54558Redundancy,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비를 대상으로 펌웨어나 프로그램 변경을 통해 해당 장비의 기능을 보완하여 상위 시스템에서 해당 장비에 대한 원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운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하위레벨의 프로세서 보드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며 업데이트 데이터에 따른 업그레이드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상위 시스템과;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이중화 구현되어 액티브 동작시 상위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스탠바이 동작시 액티브로 동작되는 보드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였다가 설정된 조건의 성취시에 해당 업데이트 데이터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교차 연결되어 있으며, 상위 시스템이 전송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전달받아 설정된 조건의 성취시 해당 업그레이드 데이터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어대상 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주인원이 없는 사이트나 오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기지국 등의 원격지 장비에 대해 인원을 직접 파견하지 않고도 유선통신망을 활용하여 해당 장비의 정상동작하에서의 부터, 애플리케이션, 및 펌웨어 등의 원격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upgrading of program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실장되어 있는 각각의 보드들에 기능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펌웨어(Firmware)나 프로그램에 버그 발생시 또는 기능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시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 다운로드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시스템 전체 프로그램 업데이트에 대한 기술은 종래기술은 부재하다. 단지 시스템중 일부분인 프로세서 보드에 한하여 유선망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유선망을 이용한 업그레이드는 부터(Booter),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의 비휘발성 저가 특성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동작 영역인 DRAM(Dynamic RAM)으로 복사하여 동작한다. 상위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하위 보드들을 관리하는 프로세서 보드에 한하여 프로세서간 통신(IPC) 방식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DRAM에 저장한 후 다시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위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는 원격 리셋 기능을 이용하여 보드를 리셋시킴으로써 로딩과정 중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버전(Version)으로 자동 부팅되어 프로그램이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한다.
여기서 펌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드웨어 기능의 일부를 마이크로프로그램화하여 고정기억장치에 수용함으로써 기능의 범용성을 증대시키고 저가격을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에 따르면, 상위레벨 시스템(120)이 운용자 터미널(125)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네트워크(130)의 링크를 통해 프로세서 보드(11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 보드(110)의 프로세서(111)는 전달된 데이터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112)와 DRAM(113)을 이용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상위레벨 시스템(120)은 프로세서 보드(110)에 한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특정 영역에 임시 저장한 후 비휘발성 저장영역(플래시 메모리를 비롯하여 롬, 디스크 등)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재부팅 또는 리셋시에 최신 버전으로 동작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 보드(110)의 재부팅시에 현재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버전과 상위레벨 시스템(120)의 버전을 검사한 후 최신 펌웨어나 데이터를 다운로딩하여 원격 업그레이드를 실시한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 부터, 펌웨어 등의 문제점 해결책이나 기능향상 필요시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교체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특허출원 제10-1999-0047297호 기재된 '프로세서 보드의 플래시 롬 퓨징 방법' 등을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런데 무선통신시스템 기지국의 경우, 그 특성상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애플리케이션, 부터, 펌웨어 등의 업그레이드 소요 발생시 관련 인원의 출장을 통해 업그레이드를 실시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작업시간과 비용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위레벨 시스템과 직접적으로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보드들에 대하여 IPC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를 백업용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정상적인 동작유무를 확인하고 기본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의 경우, 원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는 가능하지만 많은 종류의 보드 중에서 프로세서 보드에 대해서만 업그레이드 가능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즉, 프로세서 보드의 새로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프로세서 보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프로세서 보드를 제외한 다른 보드에 대해서는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다.
또한, 백업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증가가 문제되며, 새로운 데이터를 받아 백업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 후 기능점검하고 다시 기본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여 실행하는 방식에서는 많은 수행단계와 그에 따른 소요시간이 발생하여 해당 시간동안 통화 불능 상태를 유발하게 되므로 통신시스템의 시스템 안정화 시간이 길어져 신뢰성 저하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비를 대상으로 펌웨어나 프로그램 변경을 통해 해당 장비의 기능을 보완하여 운용자가 상주하는 상위 시스템에서 해당 장비에 대한 원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는, 운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하위레벨의 프로세서 보드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따른 업그레이드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상위 시스템과;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이중화 구현되어 액티브 동작시 상기 상위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스탠바이 동작시 상기 액티브로 동작되는 보드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였다가 설정된 조건의 성취시에 해당 업데이트 데이터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교차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위 시스템이 전송한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전달받아 설정된 조건의 성취시 해당 업그레이드 데이터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어대상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운용에 따라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정보도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가 격리되어 싱글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세서가 상기 싱글모드로 동작하여 자신이 속한 보드에 임시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복사하여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의 원격 리셋 신호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가 리셋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은, 프로세서 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이중화된 제어대상 보드중에서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격리시켜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운용에 따라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정보도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격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임시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차연결을 통해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로 전달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의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의 원격 리셋 신호에 따라 해당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 리셋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은, 프로세서 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개의 제어대상 보드를 복수개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블록에 대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과 업데이트 대상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운용에 따라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정보도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업데이트 대상 블록을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격리시키는 단계와; 상기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임시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격리된 업데이트 대상 블록으로 전달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 대상 블록의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의 원격 리셋 신호에 따라 해당 업데이트 대상 블록을 리셋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의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보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의 순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통신 호 처리 보드에 대한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상위 시스템215 : 운용 터미널
220, 230 : 네트워크 보드240, 250 : 프로세서 보드
221, 221, 241, 251 : 플래시 메모리222, 232, 242, 252 : RAM
223, 233, 243, 253 : 이중화 제어부224, 234, 244, 254 : 통신용 포트
245, 255 : 프로세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보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통신 호 처리 보드에 대한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장비를 개선하여 상위 시스템에서 원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운용자가 상주하기 어려운 기지국 장비에 대한 원격 업그레이드를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통신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해 구현되어 있는 교차이중화 방식과 저장공간 및 실행공간의 상이한 특성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부터, 또는 펌웨어의 변경시에도 통신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원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 장비의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기가 상위 시스템이 된다.
도2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현재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액티브와 스탠바이로이중화 구현되어 있는 프로세서 보드(240)(250)와 네트워크 보드들(220)(230)에 대한 것으로, 운용자가 상주하는 상위 시스템(210)의 운용 터미널(215)을 통해 운용자가 업데이트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 또는 지정하게 되면 상위 시스템(210)이 실시간 운영체제를 통해 해당 데이터가 업그레이드 대상 보드들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보드(220)(230)는 상위 시스템(210)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통신용 포트(224)(234)를 통해 프로세서 보드(240)(250)로 전달하는데, 이중화된 보드 구성에서 데이터 전달에 직접 관여하는 보드는 액티브로 동작하는 보드들이다. 네트워크 보드A(220)를 예시하면, 비휘발성 저장매체인 플래시 메모리(221), 데이터의 일시 저장을 위한 RAM(222), 이중화 관련 액티브와 스탠바이간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부(223), 및 프로세서 보드(240)(25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포트(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보드A(220)의 구성은 네트워크 보드B(230)에도 적용된다.
그리고 프로세서 보드(240)(250)는 상위 시스템(210)으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 보드(220)(230)를 거쳐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게 되며, 이중화 구성에서 액티브와 스탠바이의 역할은 네트워크 보드에 대해 설명한 경우와 같다. 프로세서 보드A(240)와 프로세서 보드B(250)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프로세서 보드A(240)를 예시하면 보면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241), 데이터의 일시 저장을 위한 RAM(242), 대응되는 프로세서 보드에 대한 이중화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부(243), 네트워크 보드(220)(23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포트(244), 및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른 업그레이드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이중화된 네트워크 보드와 프로세서 보드는 그 어느 하나가 액티브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로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네트워크 보드A(220)와 프로세서 보드A(240)가 액티브로 동작하고, 네트워크 보드B(230)와 프로세서 보드B(250)가 스탠바이로 동작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3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 상위 시스템(210)에 의해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는 네트워크 보드A(220)를 거쳐 프로세서 보드A(240)에 전달됨으로써 프로세서 보드A(240)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면, 상위 시스템(210)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는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A(240)의 RAM(242)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개념에 의해 관련 모든 데이터가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B(250)에도 저장된다(S310~S320).
이어서 프로세서 보드A(240)는 관련 업데이트가 수행된 최종 날짜를 다운로딩 받은 후, 수신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대한 체크썸(Check Sum) 검사를 통해서 그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스탠바이 보드인 프로세서 보드B(250)에도 해당 업데이트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는지 확인한다. 그래서 데이터 복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게 되면, 원격격리(Remote Isol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B(250)를 통신시스템으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이중화 기능을 일시적으로 싱글모드로 전환한다(S330).
그리고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B(250)는 프로세서 보드A(240)로부터 원격격리 신호를 받은 후, 싱글모드에서 RAM(252)의 특정영역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플래시 메모리(251)의 특정영역으로 복사한다. 업데이트 데이터 복사 후, 프로세서 보드B(250)는 체크썸을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에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A(240)로 원격격리 응답 신호를 보낸다(S340~S350).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B(250)로부터 원격격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프로세서 보드A(240)는 상위 시스템(210)에 업데이트 완료 신호를 보낸다(S360).
업데이트 완료 신호를 수신한 상위 시스템은 해당 프로세서 보드B(250)로 원격 리셋 신호를 전송한다. 상위 시스템(210)으로부터 원격 리셋 신호를 받은 프로세서 보드B(250)는 프로세서(253)에 의해 재부팅되어 리셋되며, 동시에 관련 리셋 정보를 CPU 리셋 상태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이중화된 상태관리 레지스터의 한 비트를 이용하여 저장한다(S370~S380).
이후 스탠바이 보드B(250)가 이중화 개념에 따라 정상적으로 스탠바이로 동작하게 되면,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A(240)는 프로세서 보드B(250)의 CPU 리셋 상태 레지스터와 이중화 상태관리 레지스터를 확인하여 원격격리와 원격 리셋 관련 비트를 논리곱 연산한다. 논리곱 연산 결과가 하이(HIGH)이면, 프로세서 보드A(240)의 이중화 제어부(243)가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여 프로세서 보드B(250)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이중화 상태관리 레지스터의 한 비트에 저장한다(S390).
그러면 새롭게 액티브가 된 프로세서 보드B(25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스탠바이로 전환된 프로세서 보드A(240)를 원격격리시킴으로써 프로세서 보드A(240)에 대한 버전 날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이중화된 프로세서 보드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는 제어대상인 이중화된 네트워크 보드들에 대한 업그레이드도 수행할 수 있다. 후술된 업그레이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른다.
네트워크 보드(220)(230)는 프로세서 보드(240)(250)와 같이 이중화 구현되어 있지만, 업데이트 데이터를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직접 받지 못하는 제약이 있다. 단지 상위레벨과 제어보드, 또는 하위레벨과 제어보드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보드(220)(230)에 대한 업그레이드는 기본적으로 상기 설명한 프로세서 보드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교차이중화 기능을 이용하여 상위 시스템(210)에서 스탠바이인 네트워크 보드B(230)에 대해서 격리 신호를 보내 네트워크 보드B(230)를 싱글모드로 동작시킨다. 이때 교차이중화 기능은 네트워크 보드A(220)가 두 개의 포트를 통해 프로세서 보드A(240) 및 프로세서 보드B(250)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복수개의 네트워크 보드(220)(230)와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240)(250)가 교차연결된 상태로 구현된다(S410).
네트워크 보드B(230)가 싱글모드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위 시스템(210)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면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A(240)의 특정영역에 저장된다. 프로세서 보드A(240)에서 업데이트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은 RAM(242)이 될수 있으며, 프로세서 보드B(250)의 경우에도 이와 같다(S420).
이후에 업데이트 데이터가 교차이중화로 구현되어 있는 통신경로를 통해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A(240)로부터 전송되어져 네트워크 보드A(220)의 RAM(222)에 일시 저장됨과 동시에 이중화 개념에 따라 네트워크 보드B(230)의 RAM(232)에도 저장된다. 스탠바이인 네트워크 보드B(230)의 RAM(232)에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는 다시 플래시 메모리(231)에 저장된다(S430~S440).
플래시 메모리(231)에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보드B(230)가 상위 시스템(210)으로부터 원격 리셋 신호를 받아 재부팅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된다. 이후에는 네트워크 보드B(230)의 이중화 제어부(223)에 의한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져 네트워크 보드B(230)가 액티브로 동작한다(S450~S470).
이로써 네트워크 보드의 업데이트 과정을 프로세서 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보드의 업그레이드와 프로세서 보드의 업그레이드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시스템의 통신 호와 관련한 보드들이 다수개 있는 경우에 본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통신 호 관련 보드들이 제어대상 보드이다.
우선, 통신시스템내 같은 기능의 보드들에 대해서 호 트래픽이 가장 적은 시간대를 이용하여 동일 보드를 2개의 블록으로 분리한다. 이때 호 트래픽이 가장 적은 시간대는 운용자가 상위 시스템(210)을 통해 적정하게 설정해 줄수 있다(S510).
분리된 2개의 블록에 있어서, 그 하나의 블록은 정상적으로 호 통화를 위해서 사용되고, 그 다른 하나의 블록은 프로세서 보드가 상위 시스템(210)으로부터업데이트 데이터를 로딩받은 후에 격리 신호를 통해서 시스템의 운용과 격리시킨 후 프로세서 보드(240)(250)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특정영역에 로딩받은 후 다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S520~S550).
업데이트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체크썸 값을 비교한다. 그래서 업데이트 데이터가 정상임이 확인되면 격리 응답 신호를 프로세서 보드(240)(250)로 전송한 후 프로세서 보드(240)(250)로부터 원격 리셋 신호를 받아 재부팅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560~S590).
더불어 다른 블록내 보드들이 대기상태(이중화 구성에서의 스탠바이에 해당하는 상태)가 되면 같은 방식으로 원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S600).
따라서 통신시스템의 특성상 심야 및 새벽시간과 같이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대를 설정하고, 이처럼 시스템 부하가 적은 시간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동작상태하에서의 시스템 펌웨어와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상주인원이 없는 사이트나 오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기지국 등의 원격지 장비에 대해 인원을 직접 파견하지 않고도 유선통신망을 활용하여 해당 장비의 정상동작하에서의 부터, 애플리케이션, 및 펌웨어 등의 원격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운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하위레벨의 프로세서 보드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따른 업그레이드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상위 시스템과;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이중화 구현되어 액티브 동작시 상기 상위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스탠바이 동작시 상기 액티브로 동작되는 보드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였다가 설정된 조건의 성취시에 해당 업데이트 데이터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서 보드와 교차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위 시스템이 전송한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전달받아 설정된 조건의 성취시 해당 업그레이드 데이터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어대상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는,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과;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의해 업그레이드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의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를 액티브로 이중화 절체 제어하기 위한 이중화 제어부와;
    상기 상위 시스템과의 신호교환을 통해 해당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에 따른 업그레이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보드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과;
    해당 보드에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의해 업그레이드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의 플래시 메모리와;
    해당 보드에서 상기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 액티브로 이중화 절체 제어하기 위한 이중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4.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운용에 따라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정보도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가 격리되어 싱글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세서가 상기 싱글모드로 동작하여 자신이 속한 보드에 임시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복사하여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의 원격 리셋 신호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가 리셋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가 리셋된 후, 해당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제어부가 해당 보드를 액티브로 전환시키기 위한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중화 절체에 의해 스탠바이로 전환된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세서가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따라 자신이 속한 보드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가 싱글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세서가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관련 업데이트가 수행된 최종 날짜를 다운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대해 설정된 오류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검사 결과 해당 업데이트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의 프로세서가 설정된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해당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를 격리시켜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7. 프로세서 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이중화된 제어대상 보드중에서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격리시켜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운용에 따라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정보도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격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임시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차연결을 통해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로 전달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의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의 원격 리셋 신호에 따라 해당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를리셋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가 리셋된 후, 해당 스탠바이인 제어대상 보드의 이중화 제어부가 해당 보드를 액티브로 전환시키기 위한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이중화 절체에 의해 스탠바이로 전환된 제어대상 보드를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따라 업그레이드가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9. 프로세서 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개의 제어대상 보드를 복수개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블록에 대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과 업데이트 대상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에 임시 저장하며, 이중화 운용에 따라 스탠바이인 프로세서 보드의 정보도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업데이트 대상 블록을 원격격리 기능에 따라 격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인 프로세서 보드가 상기 임시 저장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격리된 업데이트 대상 블록으로 전달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 대상 블록의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의 원격 리셋 신호에 따라 해당 업데이트 대상 블록을 리셋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KR1020010072447A 2001-11-20 2001-11-20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1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447A KR20030041605A (ko) 2001-11-20 2001-11-20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447A KR20030041605A (ko) 2001-11-20 2001-11-20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605A true KR20030041605A (ko) 2003-05-27

Family

ID=2957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447A KR20030041605A (ko) 2001-11-20 2001-11-20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6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601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장치제어기에 소프트웨어로딩방법
KR2004002051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프로세서 이중화에 따른 피엘디 일치 방법
KR100597268B1 (ko) * 2004-11-23 2006-07-0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마이컴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원격 제어방법
KR101490349B1 (ko) * 2008-01-0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호 처리 모듈에서 호 실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601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장치제어기에 소프트웨어로딩방법
KR2004002051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프로세서 이중화에 따른 피엘디 일치 방법
KR100597268B1 (ko) * 2004-11-23 2006-07-0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마이컴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원격 제어방법
KR101490349B1 (ko) * 2008-01-0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호 처리 모듈에서 호 실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339A (en) Local/remote modification of electronically alterable operating system firmware resident in redundant flash memory of remote unit for testing/conditioning subscriber line circuits
CN101192165B (zh) 主从式多处理器系统以及软件版本加载方法
EP06879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data to network nodes
US799198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firmware update method thereof
JP556495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ファームウェア更新方法
EP24562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upgrading wireless data card
US200301060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availability firmware load
WO1995022219A1 (en) Firmware modification in remote measurement unit
US20230359454A1 (en) Software update device, updat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CN100362470C (zh) 一种bios在线升级装置及方法
WO2016033941A1 (zh) Boot在线升级装置及方法
CN100373336C (zh) 一种实现单片机闪存动态更新的方法
CN102081526B (zh) 基本输入/输出系统架构
JPH04167139A (ja) プログラムダウンロード方式
US11604635B2 (en) Online program updating method
KR20030041605A (ko) 통신시스템의 프로그램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그 방법
CN113923240A (zh) 利用局部ota方法在物联网网关中动态升级设备接口协议的系统及方法
JPH09218788A (ja) インサービス直接ダウンロード方式
KR20200112137A (ko) Plc 시스템의 펌웨어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 plc 시스템
JP2012150601A (ja) 機能追加型制御装置および機能追加型制御システム並びに機能追加方法
CN109343888B (zh) 一种基于dsp的fpga程序远程在线更新系统及方法
KR2002008981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플래시 메모리 업데이트 방법
JP2021174610A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機器
KR100226681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소프트웨어의 버젼변경기능 수행중 장애발생시 복구방법
JPH05250030A (ja)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