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361A -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 Google Patents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361A
KR20030041361A KR1020010072116A KR20010072116A KR20030041361A KR 20030041361 A KR20030041361 A KR 20030041361A KR 1020010072116 A KR1020010072116 A KR 1020010072116A KR 20010072116 A KR20010072116 A KR 20010072116A KR 20030041361 A KR20030041361 A KR 2003004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amount
boiler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구
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to KR102001007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361A/ko
Publication of KR2003004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저가의 AC송풍기와 비례밸브와 풍량센서를 사용하여 풍량에 따라 비례밸브를 직접 제어하므로 풍량의 모든 범위에 대해서 연료량을 맞출 수 있으며, 현재 난방수온도가 설정온도에 비례제어되기 위한 적정 필요 열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상기후나 조건에서도 보일러를 최적에 조건으로 안전하게 착화하여 연소할 수 있으므로 연소성이 개선되므로 효율도 높고 연료비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비례제어 보일러{AIR PROPORTIONALITY TYPE BOILER}
본 발명은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가의 AC송풍기와 비례밸브와 풍량센서를 사용하여 풍량에 따라 가스 비례밸브를 직접 제어하여 풍량 전 범위에 걸쳐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풍량 전 범위에 걸쳐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난방 및 온수 보일러는 사용 연료에 따라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로 나뉘어진다. 이 중에서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적고 사용이 편리한 가스보일러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연료로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한다.
가스보일러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에 따라 콘덴싱과 비콘덴싱 방식으로 구분한다. 이 중에서 콘덴싱 방식의 가스보일러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직접 난방수를 가열하고, 아울러 배기가스의 응축잠열을 재차 흡수하므로 열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일 예를 설명하면, 상부에 버너를 설치하여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점화 및 하향 연소되게 하고, 그 하부에 설치된 난방열교환기에서 고온 연소가스을 이용하여 유체(혹은 난방수)를 가열하며, 이렇게 데워진 유체를 방 및 거실로 순환시킴으로써 난방 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온수 운전시에는 삼방밸브를 작동시켜 방 및 거실로 공급되는 온수를 차단하고, 병렬로 설치된 급탕열교환기로 전환 공급하여 이를 가열원으로 사용하며, 차단 및 접촉된 급탕열교환기의 다른 부분으로 급탕용 온수를 공급 및 환수하면서 가열하고, 데워진 온수를 세면 및 목욕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보일러는 제어방식이나 밀폐상태에 따라 여러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공기비례제어 방식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한 다음, 측정된 공기압력에 비례하여 상기 버너에 연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압력에 비례하여 정확한 양의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이고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대한 억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스량을 조절하는 변수가 공기 압력에만 의존하여 변화되므로 가스 밸브의 비례제어 부분을 별도로 제어하지 않아도 일정공기 압력에 대한 일정량의 가스가 토출되어 항상 일정한 공기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온/오프식이나 전류비례제어방식과는 달리 정확하게 비례제어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비례제어식 보일러에 대해 본 출원인은 "공기비례제어식 콘덴싱보일러"로 특허출원(10-1998-44402, 1998.10.22)하여 등록받은 바 있습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비례제어 콘덴싱 보일러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공기비례제어 콘덴싱 보일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싱 가스보일러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공기압력을 조절하여 항상 일정량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비례제어 방식으로 운전된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DC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3) 및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형 본체(2)와; 제 1 및 제 2전자밸브(46, 46')와 공기비례제어밸브(47)를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와 DC송풍기(1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하는 버너(12) 및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부 열교환기(14)와, 잠열부 열교환기(16)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연소기(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된 난방수에 의해 급수를 가열하는 온수 열교환기(34)와;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를 통과한 난방수를 상기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하는 순환펌프(22)와; 3웨이 밸브(28) 및 과압방지밸브(32)의 작동에 따라 유입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팽창탱크(48)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공기비례제어를 위해서, 흡입챔버(6)에 설치되어 DC송풍기(1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공기압력검출부(50)가 설치되고 공기비례제어밸브 (47)의 압력인식부(51)에서 압력을 입력하게 되면, 콘트롤러(40)는 공기압력인식부 (51)에서 감지된 공기압력을 바탕으로 하여 인출된 가스로 보일러를 연소시키고 온도센서의 신호를 받아 설정온도 도달 유무의 데이터로 열량을 계산하여 DC송풍기(10)의 회전수를 듀티제어하여 필요한 만큼의 회전수로 공기압력을 변화시켜 공기비례제어밸브(47)의 가스 토출량을 조절하여 버너(12)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연소기(4)의 상부에는 DC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 흡입챔버(6)를 통해 흡입된 급기와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12)가 설치되어있으며, 버너(12)아래에는 차례대로, 현열부 열교환기(14)와 잠열부 열교환기(16)가 배치되어 있다. 현열부 열교환기(14)는 버너(12)에서 발생된 현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난방수를 가열하게 되며, 잠열부 열교환기(16)는 배기가스와의 열접촉시에 발생되는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시킨다.
잠열부 열교환기(16)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덕트(20)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며,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기후드(18)에 모아진 다음 외부로 배출된다. 순환펌프(22)의 작동에 따라 잠열부 열교환기(16)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가열된 난방수의 온도는 써미스터(52)에 의해 감지되어 콘트롤러(40)로 보내진다.
보일러의 좌측 하부에는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2)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펌프(22)가 작동되면, 실내의 난방을 마친 난방수는 라인(L1)을 통해서 난방수 여과기(24)로 유입하게 된다. 난방수 여과기(24)에서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게 되며, 여과된 난방수는 상부의 기수 분리기(26)로 보내진다. 기수 분리기(26)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의 에어 벤트를 통해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사이에는 난방수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막기 위한 과압방지밸브(32)가 설치되어 있어, 난방수의 일부를 팽창탱크(48)로 보내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기수 분리기(24)를 통과한 난방수는 순환펌프(22)의 작동으로 라인(L2)을 통해서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된 다음,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라인(L3)으로 배출된다. 라인(L3)을 통해 배출된 난방수는 3웨이 밸브(28)의 작동에 따라 실내로 공급된다.
보일러의 중간 하부에는 난방수의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얻는 열교환기가 도시되어 있다. 온수흐름스위치(36)의 작동에 따라 라인(L6)을 통해 유입된 냉수는 온수 열교환기(34)를 지나는 과정에서 가열된 다음, 라인(L7)을 통해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온수 열교환기(34)는 병렬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어되는 온도의 편차 범위를 종래에 비해 더욱 작은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보일러의 운전영역을 높여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보일러의 우측 하부에는 가스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전자밸브(46, 46')를 비롯하여, 콘트롤러(40)에서 전달되는 DC송풍기(10)의 출력신호에 따라 DC송풍기(10)의 회전수를 듀티제어하면서 가스의 토출량을 가변시키는 공기비례제어밸브(47)의 작동에 따라 라인(L8)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라인(L9)을 통해서 연소기(4)상부의 노즐(8)로 공급된다. 이때, 가스의 공급량은 공기비례제어밸브 (47)의 작동에 따라 가변됨으로써 외기의 변화에 따른 공급량을 보상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된 가스는 점화 트랜스(42) 및 점화봉을 통해 전달되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연소과정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실내온도 조절기(38)의 입력신호를 받는 콘트롤러(40)에 의해서 제어된다.
다음에는 도 2에 도시한 블록도를 참조하여 공기비례제어식의 콘덴싱 보일러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콘트롤러(40)는 써미스터(52)에 의해 감지된 난방수 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희망실내온도나 희망 작동시간 등의 각종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최적의공연비를 근거로 한 연료량을 계산한다. 다음에, 계산된 연료량을 바탕으로 무단제어 DC송풍기(10)에 신호를 보내 튜티제어함으로써 공기압력의 변화에 따라 버너(12)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최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콘트롤러(40)는 DC송풍기(10)이외에도, 제 1 및 제 2전자밸브(46, 46')나 점화 트랜스(42) 등에 출력신호를 보내 보일러의 정상적인 운전을 가능케 한다.
위와 같이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에서는 열량을 계산하여 DC송풍기(10)의 회전수를 듀티제어하여 필요한 만큼의 회전수로 공기압력을 변화시키게 되면 공기압력의 변화에 따라 공기비례제어밸브(47)의 가스 토출량을 조절하여 버너(12)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AC송풍기와 비례제어밸브로 버너를 온도에 따라 제어할 경우 연소실로 공급되는 풍량을 알 수 없으므로 역풍이 불거나 연도가 막혔을 경우 즉, 이상조건에서는 풍량과 가스비가 맞지 않아 착화시에는 소음, 폭발 착화가 되기도 하고 불착화가 발생하기도 하였고, 연소중에는 소음 및 실화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에 DC송풍기와 공기비례밸브를 사용했으나, DC송풍기와 공기비례제어밸브를 사용할 경우 제품이 비싸고, 공기비례제어밸브에 설정되어 있는 가스량이 모든 풍량에 대해 맞지 않고 오차가 발생하여 부품의 가격에 비해 실용적이지 못하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가의 DC송풍기 등의 사용으로 보일러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의 AC송풍기와 비례밸브와 풍량센서를 사용하여 풍량에 따라 가스 비례밸브를 직접 제어하여 풍량 전 범위에 걸쳐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풍량 전 범위에 걸쳐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공기비례제어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비례제어 콘덴싱 보일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공기비례제어 콘덴싱 보일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DC송풍기 12 : 버너
14 : 현열부 열교환기 16 : 잠열부 열교환기
18 : 배기 후드 20 : 배기덕트
22 : 순환펌프 24 : 난방수 여과기
26 : 기수 분리기 34 : 온수 열교환기
38 : 실내온도 조절기 40, 40' : 콘트롤러
46, 46' : 제 1, 2전자밸브 47 : 공기비례제어밸브
50 : 공기압력검출부 51 : 공기압력인식부
60 : AC송풍기 70 : 풍량센서
80 : 비례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되는 공기와 관련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에 있어서, 흡기덕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AC송풍기와, 흡입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AC송풍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풍량센서와,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기 위한 비례밸브와, 열량에 따른 AC송풍기의 RPM을 제어하고 풍량센서에서 측정된 풍량에 따라 비례밸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트롤러에서 열량을 계산한 후 AC송풍기의 회전수를 RPM제어하여 필요한 만큼의 회전수로 흡기 공기량을 변화시키게 되면 공기량의 변화를 풍량센서에 의해 입력받아 현재 필요한 적정 가스량을 환산하여 비례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풍량의 전범위에 걸쳐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덕트(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AC송풍기(60)와, 흡입챔버(6)에 설치되어 상기 AC송풍기(6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풍량센서(70)와,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기 위한 비례밸브(80)와,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52)와, 일련의 연소과정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실내온도 조절기(38)와, 공급된 가스에 스파크를 발생시켜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트랜스(42)와,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2)와,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전자밸브(46, 46')와, 써미스터(52)에 의해 감지된 난방수 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실내온도 조절기(38) 등의 각종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최적의 열량을 계산하고 열량에 따른 AC송풍기(60)의 RPM을 제어하고 풍량센서(70)에서 측정된 풍량에 따라 점화트랜스(42)와 제 1 및 제 2전자밸브(46, 46')와 순환펌프(22)를 작동시키고 비례밸브(80)를 조절하는 콘트롤러(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온도 조절기(38)를 통해 보일러를 난방운전시키면 콘트롤러(40')에서는 먼저 순환펌프(22)와 AC송풍기(60)를 ON시켜 풍량센서(70)로 현재 연소실로 공급되는 풍량을 검출하여 착화에 필요한 풍량이 되도록 AC송풍기(60)의 RPM을 제어하여 적정 풍량이 되면 점화트랜스(42)를 ON시키고 착화에 필요한 풍량을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현재 풍량에 필요한 만큼의 제 1내지 제 2전자밸브(46, 46')를 열어 착화가 되면 점화트랜스(42)를 OFF시켜 난방운전을 시작한다.
위와 같이 콘트롤러(40')는 보일러를 착화시키고 써미스터(52)에 의해 난방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난방수온도에 현재 난방수온도가 비례제어되도록 비례제어 공식에 의해 필요 열량을 계산하고, 그 열량을 AC송풍기(60)의 RPM으로 산출하여 그 값으로 AC송풍기(60)를 제어하게 되고, 공급되는 연료량은 풍량센서(70)에 의해 검출된 풍량 값을 현재 버너(12)가 필요한 적정 연료량으로 환산하여 그 값으로 비례밸브(80)를 제어하여 연료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가의 AC송풍기와 비례밸브와 풍량센서를 사용하여 풍량에 따라 비례밸브를 직접 제어하므로 풍량의 모든 범위에 대해서 연료량을 맞출 수 있으며, 현재 난방수온도가 설정온도에 비례제어되기 위한 적정 필요 열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상기후나 조건에서도 보일러를 최적에 조건으로 안전하게 착화하여 연소할 수 있으므로 연소성이 개선되므로 효율도 높고 연료비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가의 AC송풍기와 비례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보일러를 보다 더 저렴한 가격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흡입되는 공기와 관련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비례제어 보일러에 있어서,
    흡기덕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AC송풍기와,
    흡입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AC송풍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풍량센서와,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기 위한 비례밸브와,
    열량에 따른 AC송풍기의 RPM을 제어하고 풍량센서에서 측정된 풍량에 따라 비례밸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KR1020010072116A 2001-11-19 2001-11-19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KR20030041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116A KR20030041361A (ko) 2001-11-19 2001-11-19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116A KR20030041361A (ko) 2001-11-19 2001-11-19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361A true KR20030041361A (ko) 2003-05-27

Family

ID=2957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116A KR20030041361A (ko) 2001-11-19 2001-11-19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3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08B1 (ko) * 2005-09-22 2007-04-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CN104807036A (zh) * 2015-04-13 2015-07-29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式燃气加热炉的温度控制方法
CN117801833A (zh) * 2024-03-01 2024-04-02 浙江润昇新能源有限公司 利用锅炉尾气的内热生物质汽炭联产方法及参数确定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228A (ja) * 1992-06-12 1993-12-27 Rinnai Corp 燃焼機器の制御装置
KR970011653A (ko) * 1995-08-28 1997-03-27 배순훈 가스보일러의 예혼합 연료 공급장치 및 연료 제어방법
JPH09152164A (ja) * 1995-11-29 1997-06-10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H10318537A (ja) * 1997-05-16 1998-12-04 Rinnai Corp 燃焼装置
KR20000032150A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온수의 급속출탕을 위한 가스보일러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228A (ja) * 1992-06-12 1993-12-27 Rinnai Corp 燃焼機器の制御装置
KR970011653A (ko) * 1995-08-28 1997-03-27 배순훈 가스보일러의 예혼합 연료 공급장치 및 연료 제어방법
JPH09152164A (ja) * 1995-11-29 1997-06-10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H10318537A (ja) * 1997-05-16 1998-12-04 Rinnai Corp 燃焼装置
KR20000032150A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온수의 급속출탕을 위한 가스보일러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08B1 (ko) * 2005-09-22 2007-04-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CN104807036A (zh) * 2015-04-13 2015-07-29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式燃气加热炉的温度控制方法
CN117801833A (zh) * 2024-03-01 2024-04-02 浙江润昇新能源有限公司 利用锅炉尾气的内热生物质汽炭联产方法及参数确定方法
CN117801833B (zh) * 2024-03-01 2024-05-10 浙江润昇新能源有限公司 利用锅炉尾气的内热生物质汽炭联产方法及参数确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579A (en) Induced draft, fuel-fired furnace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high efficiency heat exchanger
US89255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ducer in a modulating furnace
KR100406472B1 (ko) 풍압센서를 이용한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US6840198B2 (en) Air-proportionality type boiler
CN111174412A (zh) 燃气热水设备
KR100409158B1 (ko) 유량센서에 의한 보일러 난방제어방법
KR101018775B1 (ko) 보일러 난방수온도제어방법
KR100270900B1 (ko) 공기비례제어식 콘덴싱 보일러
KR100704711B1 (ko)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KR20030041361A (ko) 공기비례제어 보일러
CN1548805A (zh) 空气比例控制锅炉
CN113865082A (zh) 一种节能环保闭环控制的甲醇采暖炉
CN1332152C (zh) 使用空气压力传感器的空气比例式锅炉
KR100292457B1 (ko) 공기비례제어식비콘덴싱보일러
JP2004333058A (ja) 空気比例制御ボイラ−
KR100361151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받이 수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04712B1 (ko) 다단제어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KR100283260B1 (ko) 가스보일러의 비례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106934B1 (ko) 연소기기의 연도 막힘 판단 보정방법
KR100633365B1 (ko)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CN215983225U (zh) 一种节能环保闭环控制的甲醇采暖炉
KR100704708B1 (ko)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JP2004317082A (ja) 風圧センサを用いた空気比例制御ボイラー
CN100427829C (zh) 利用流量传感器控制供热锅炉的方法
JP2004333060A (ja) 空気比例制御温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