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027A -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027A
KR20030041027A KR1020010071744A KR20010071744A KR20030041027A KR 20030041027 A KR20030041027 A KR 20030041027A KR 1020010071744 A KR1020010071744 A KR 1020010071744A KR 20010071744 A KR20010071744 A KR 20010071744A KR 20030041027 A KR20030041027 A KR 2003004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resource
area
execution code
down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389B1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리소스영역과 실행코드영역을 분리하여 제작하고, 사용자가 동일한 실행코드를 이용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만을 다운로드하여 갱신하게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갱신)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많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source Alone of Contents Applic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 방법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더 상세하게는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과 실행코드영역을 분리하여 제작하고, 사용자가 동일한 실행코드를 이용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만을 다운로드 해주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국민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문자·음성메시지 전송에 이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의 이용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중,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서버와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이미지, 벨소리, 게임 등의 무선인터넷 컨텐츠를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무선인터넷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실행을 위하여 주로 운영체제나 하드웨어 독립적인 플랫폼(platform)을 이용하며, 컨텐츠는 소정의 프로그램 제작툴(Development Kit)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은 단말기 메모리 제한 등으로 인하여 작은 용량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프로그래밍 및 실행의 편의를 위하여 표준화된 라이브러리(Library)인 API를 이용한다. 이러한 API는 단말기의 컨텐츠 실행용 플랫폼과 함께 저장되어 있어서, 컨텐츠용 응용 프로그램을 단순화 및 저용량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용 컨텐츠 프로그램 중 벨소리, 문자애니메이션, 이미지(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은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프로그램의 실행에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움직이는 문자 애니메이션을 구현한 컨텐츠 프로그램의 경우, 문자의 이동경로 또는 방식이 동일하다면, 이동시킬 문자(=리소스)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실행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은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 영역이 전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하나의 코드영역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행코드는 변하지 않고 리소스만 변화한 경우에도 응용 프로그램을 새로 생성하여야 하며 전체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야 했다. 이러한 경우, 갱신된 리소스영역만을 다운로드하고, 실행코드는 이전에 사용한 컨텐츠의 실행코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면, 컨텐츠 제작 및 다운로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 영역으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사용자가 동일한 실행코드를 이용하는 다른 컨텐츠를 원하는 경우 변화된 리소스만을 다운로드 받게 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및 배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의 분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프로그램의 리소스 한정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코드와 리소스영역으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동일한 실행코드영역을 사용하는 다른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변경된 리소스만을 다운로드 시켜주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크게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리소스파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무선송수신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파일은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이 분리되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다운로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을 인식하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의 실행코드와 동일한 경우에는 요청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만을 다운로드 받는다.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식별수단으로의 어플리케이션 ID 또는 어플리케이션 버전을 포함하는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섹션 및 식별수단으로의 리소스체크섬으로 이루어지는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실행코드영역의 동일성 여부확인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마다 부여되는 어플리케이션 ID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버전(version)의 비교를 통하여 수행되며, 리소스영역의 동일성 여부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마다 부여되는 리소스 체크섬(checksum)의 비교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리소스영역만의 다운로드는 실행코드 식별수단과 리소스체크섬 및 리소스 섹션을 포함하는 리소스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가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송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작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다운로드 서버에 접속하는 요청수신 및 접속단계;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을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파일 중 요청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행코드 동일성 확인단계;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을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파일 중 요청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리소스 동일성 확인단계;
동일한 식별코드영역을 가지되 리소스영역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저장부에 있는 경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영역만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서버로 요청하고, 동일한 식별코드영역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저장부에 없는 경우에는 전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서버로 요청하는 다운로드 요청단계;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전체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다운로드·저장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코드 식별수단은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실행코드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ID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버전일 수 있으며,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은 리소스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리소스체크섬(checksum)일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저장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리소스영역만을 다운로드 받은 경우에는, 다운로드받은 리소스영역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리소스영역에 덮어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 영역이 전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하나의 코드영역내에 포함되어 있다. 즉, 리소스 코드영역이 실행코드영역 내부에 포함되어 있어서 리소스영역만을 분리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크게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실행코드영역은 어플리케이션 구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ID(App ID),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표시영역(App Ver), 리소스 영역의 시작 위치정보영역 및 실행코드부로 이루어져 있다. 리소스영역의 시작 위치정보영역은 실행코드부가 끝나고 리소스영역이 시작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리소스영역은 리소스체크섬(Resource Checksum) 영역, 리소스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영역, 리소스 헤더(Resource Header)영역 및 하나 이상의 리소스섹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에서, 어플리케이션 ID 또는 버전이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리소스체크섬 부분이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으로 이용된다.
도 2b는 리소스영영 중 리소스 헤더부분과 리소스섹션 부분의 상세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리소스영역"이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가 참조하는 데이터영역으로서,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실행코드가 리소스영역을 참조하기 위하여 토큰 ID를 이용한다. 즉, 하나의 토큰 ID는 리소스 데이터 하나를 의미하고, 실행코드는 리소스영역(리소스섹션)으로부터 하나의 토큰 ID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추출하여 사용한다. 통상, 다국어의 지원을 위해서 리소스영역에서는 지원언어별로 리소스섹션이 구분되어 있어서, 하나의 토큰 ID에 대해서도 지원언어 개수만큼의 리소스가 존재한다. 즉, 하나의 언어를 지원하는 리소스섹션 #0에 모두 n개의 리소스(리소스#1∼리소스#n)가 있다. 따라서, 실행코드는 지원하는 언어에 대한 리소스섹션으로부터 토큰 ID 번호에 해당되는 리소스를 참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흐름을도시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310)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다운로드 해주는 다운로드서버(320), 단말기와 서버를 연결하는 무선인터넷망(33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10)는 통상의 장비와 같이 입력부, 출력부, 무선송수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말기의 저장부(311)에는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는 표준 API를 이용하여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을 구분하여 제작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 식별수단과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을 판별하고, 단말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과 동일한 것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는 리소스영역 또는 리소스파일만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기능의 플릿폼,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한, GSM 또는 CDMA를 이용하는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IMT-20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 모든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다운로드 서버(320)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달되거나 운영자가 입력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그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운로드서버(320)는 클라이언트(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 세션접속을 허용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처리결과를 TCP/IP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재전송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웹서버 또는 WAP서버의 기능을 가지며, 도스(DOS), 윈도우(WINDOWSTM), 리눅스(LinuxTM),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인터넷망(330)은 단말기와 웹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네트워크로서,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 게이트웨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웨이는 WAP게이트웨이와 같이 이동통신망에서의 송수신 데이터를 인터넷망에 맞도록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기가 WAP 또는 ME와 같은 무선인터넷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데이터를 보내면, 게이트웨이는 인터넷망에 적합한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목적지의 시스템으로 패킷전송한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요소 사이의 데이터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서버에 접속한 후,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검색·선택한다. ② 다운로드 서버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의 식별수단을 단말기로 전송해준다. 본 예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4개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A1 내지 A4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A1∼A4는 각각 E1∼E4의 실행코드영역과 R1∼R4의 리소스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가자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A6로 E2의 실행코드영역과 R6의 리소스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였다. ③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부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실행코드영역 및 리소스영역 식별수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지 확인(동일성 확인)한다. 본 예에서는 다운로드받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이 E2, 리소스영역이 R6이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동일한 실행코드 E2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A2를 검색하였다. ④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필요한 영역만을 다운로드해줄 것을 요청한다. 본 예시에서는 리소스영역 R6만을 다운로드 해 줄 것을 요청한다. ⑤ 다운로드 서버는 요청된 영역(R6)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다운로드 한다. 이 때, 다운로드 서버는 다운로드 요청을 받고 난 후에 리소스영역을 분리하여 다운로드 해줄 수도 있으나, 도 5와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별도의 리소스파일을 생성·저장하여 두고 요청이 있는 경우 리소스파일만을 다운로드해 줄수도 있다. ⑥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운로드받은 데이터(전체 어플리케이션 또는 리소스영역)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서버에 접속하고 원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411). 다운로드서버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 및 리소스영역의 식별수단을 단말기로 전송해준다(S412). 본 실시예에서 실행코드영역의 식별수단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부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ID(App ID)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버전(App Ver)이며, 리소스영역의 식별수단은 리소스체크섬(Resource Checksum)이다.
단말기는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과 실행코드영역의 동일성을 판단하여(S413), 동일한 실행코드를 가진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에는 다운로드 서버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데이터(실행코드+리소스)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S414, S415, S416).
저장부에 동일한 실행코드영역을 가지되 리소스영역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단말기는 다운로드 서버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만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S418), 다운로드 서버는 도 5와 같은 리소스파일을 생성한 후 단말기로 전송해준다. 단말기는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리소스영역을 저장부에 저장한다(S419). 이 때, 다운받은 리소스 영역의 저장은 저장부에 있는 동일한 실행코드영역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부분에 다운로드 받은 새로운 리소스영역을 덮어쓰거나, 원래 있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행코드영역을 복사하고 거기에 다운로드받은 리소스영역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과 실행코드영역 및 리소스영역이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 요청한 컨텐츠가 이미 단말기에 존재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종료한다(S420).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리소스파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리소스파일은 실행코드부분을 제외하고, 어플리케이션 ID, 어플리케이션 버전, 리소스 체크섬, 리소스크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섹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운로드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리소스영역만의 다운로드 요청을 받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실행코드부분을 제거하여 도 5와 같은 리소스파일을 생성한 후 단말기로 다운로드 해준다. 따라서, 전체 어플리케이션보다 작은 리소스파일만을 다운로드 하면 되기 때문에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 통신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으로 분리하여 제작·다운로드 함으로써,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컨텐츠의 다국어 지원이 용이하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만을 갱신하여 저장함으로써 더 많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무선송수신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파일은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이 분리되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다운로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을 인식하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의 실행코드와 동일한 경우에는 요청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만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파일은 식별수단으로의 어플리케이션 ID 또는 어플리케이션 버전을 포함하는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섹션 및 식별수단으로의 리소스체크섬으로 이루어지는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실행코드영역과 리소스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작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 경우해당 다운로드 서버에 접속하는 요청수신 및 접속단계;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을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파일 중 요청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행코드 동일성 확인단계;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을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파일 중 요청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리소스영역 식별수단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리소스 동일성 확인단계;
    동일한 식별코드영역을 가지되 리소스영역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저장부에 있는 경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영역만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서버로 요청하고, 동일한 식별코드영역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저장부에 없는 경우에는 전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서버로 요청하는 다운로드 요청단계;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전체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영역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다운로드·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은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실행코드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ID 및 어플리케이션 버전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리소스영역식별수단은 리소스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리소스체크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저장단계에서의 리소스영역만의 다운로드는,
    실행코드영역 식별수단과 리소스체크섬 및 리소스 섹션을 포함하는 리소스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가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송해 줌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저장단계에서의 리소스영역만의 저장은,
    저장부에 있는 동일한 실행코드영역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부분에 다운로드 받은 새로운 리소스영역을 덮어쓰는 제 1 방식과,
    원래 있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행코드영역을 복사하고 거기에 다운로드받은 리소스영역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2 방식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 제공방법.
KR10-2001-0071744A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0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744A KR100407389B1 (ko)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744A KR100407389B1 (ko)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027A true KR20030041027A (ko) 2003-05-23
KR100407389B1 KR100407389B1 (ko) 2003-11-28

Family

ID=2957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744A KR100407389B1 (ko)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3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4869A1 (en) * 2004-11-22 2006-05-26 Neomtel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nd updat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WO2006080694A1 (en) * 2004-10-18 2006-08-03 Neomtel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nd updat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KR100653280B1 (ko) * 2004-06-18 2006-12-04 이처닷컴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가능한 휴대전화 및 업데이트 방법
KR100695267B1 (ko) * 2004-08-23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절감하는 방법
KR100766593B1 (ko) * 2005-04-15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게임 컨텐츠 및 아이템 파일의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101432989B1 (ko) * 2009-07-30 2014-08-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분리 실행 기반의 컨텐츠용 코드 블록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4286195A (zh) * 2021-12-23 2022-04-05 广州津虹网络传媒有限公司 直播礼物资源更新方法及其装置、设备、介质、产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80B1 (ko) * 2004-06-18 2006-12-04 이처닷컴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가능한 휴대전화 및 업데이트 방법
KR100695267B1 (ko) * 2004-08-23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절감하는 방법
WO2006080694A1 (en) * 2004-10-18 2006-08-03 Neomtel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nd updat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WO2006054869A1 (en) * 2004-11-22 2006-05-26 Neomtel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nd updat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KR100766593B1 (ko) * 2005-04-15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게임 컨텐츠 및 아이템 파일의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101432989B1 (ko) * 2009-07-30 2014-08-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분리 실행 기반의 컨텐츠용 코드 블록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4286195A (zh) * 2021-12-23 2022-04-05 广州津虹网络传媒有限公司 直播礼物资源更新方法及其装置、设备、介质、产品
CN114286195B (zh) * 2021-12-23 2023-10-13 广州津虹网络传媒有限公司 直播礼物资源更新方法及其装置、设备、介质、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389B1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71824B (zh) 用于在无线环境中转换资源名的方法和装置
US8073432B2 (en) Data synchronization
US20040192282A1 (en) Mobile telephony application platform
JP2004531805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データの同期
TW201029422A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 network interface to access a network resource
JP4607578B2 (ja) 通信システム、対応モバイル機器、およびモバイル機器へのページ保存方法
KR20070118309A (ko)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경유해서 액세스 가능한서비스들을 위한 단축키 발생기
US749692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therefor
JP5050846B2 (ja) 移動通信装置、および移動通信装置の電話帳を更新する方法
US6980213B1 (en) Termina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KR1004073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정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848780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use of content
KR20010090304A (ko) 휴대폰 단말기를 위한 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KR100789467B1 (ko)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KR1006503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갱신 시스템 및 방법
US7543028B2 (en) Electronic mail distribution method, communications terminal, and server device
JP4592694B2 (ja) データベース同期
KR100883372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모듈 다운로딩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246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ntent-based file, and content-based data structure
JP2000112764A (ja) ソフトウェア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JP2005157885A (ja) 携帯端末、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アップデート方法およびアップデート用プログラム
KR100601848B1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처리 방법
KR100390440B1 (ko) 차세대 단말기의 메뉴 트리 캐슁 방법
JP2001297061A (ja) 処理環境決定器
KR100783073B1 (ko) 왑 푸쉬 방식을 이용한 자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