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523A - 일회용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523A
KR20030040523A KR10-2003-7004942A KR20037004942A KR20030040523A KR 20030040523 A KR20030040523 A KR 20030040523A KR 20037004942 A KR20037004942 A KR 20037004942A KR 20030040523 A KR20030040523 A KR 2003004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device
plunger
spring
narrow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브루스조셉
Original Assignee
캠브리지 바이오스테빌리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브리지 바이오스테빌리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캠브리지 바이오스테빌리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4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5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2Having specific accessories cocking means, e.g. to bias the main drive spring of an inj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61M5/482Varying injection pressure, e.g. by varying speed of in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 플런저, 기부 및 스냅 수단으로 구성된 비경구성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손-작동 주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개는 적당한 손 힘에 따라 자가-포함된 주사 캡슐 내의 고리모양 넓은 플런저 내로 미끄러지는 능력을 지닌 좁은 플런저를 향해 이동하는 빈 중심 핑거를 포함한다. 마개의 이동은 좁은 플런저를 액체 약물을 함유한 캡슐 바닥에 있는 좁은 주사 구멍을 향해 좁은 플런저를 밀어내어 이를 통해 높은 압력하에서 약물이 환자의 피하 조직을 통해 액체 제트를 형성한다. 주사기는 중심 핑거가 변형되어 스프링이 로드되는 외부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 또는 내부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스프링 주사기는 콕킹 탭과 재활용가능한 파워 케이스를 포함한다. 주사기 장치는 사용하기 위한 훈련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고, 고통을 감소시키고, 주사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체크 밸브의 필요성을 제거시킨다.

Description

일회용 주사 장치{Disposable injection device}
오늘날 백신과 약물은 질병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다 ; 그러나 비경구 주사는 1836년 Lafargue에 의해 처음 피하 주사가 시행된 이후로 지속된 심각한 문제점을 지닌다.[Aronsn JK. Routes of Drug Administration : 7 Subcutaneous administrationPresciber's Journal38:50-55 (1988).] 예를 들어 주사기에 부착된 표준 빈 바늘의 이용은 본래 위험하고 성가시기도 할 뿐만 아니라 수용된 멸균 기술을 이용하여 완성되기 위해 13개의 다른 단계를 요구한다.
더욱이 특히 재구성된 약물 또는 백신이 일정 기간 동안 보관되는 경우 부정확한 희석, 부정확한 투여량 측정의 가능성 또는 멸균 기술 이용의 실패는 사고를 일으키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훈련된 인원만이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훈련 및 실행은 또한 주사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기민성과 능률을 요구한다. 이들 기술은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훈련된 인원의 부족은 현재 예방주사 캠페인의 성공을 방해한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고-압 연료 라인 내의 바늘구멍 결손에 기인하여 엔지니어의 손으로 디젤 연료가 주입된 사고를 포함한 여러 사고가 발행하였다. 충분한 압력 하에서의 액체의 미세한 흐름은 "액체 네일(nail)"로 행동하였고, 통증 없이 피부를 관통하였다. 1940년대 이후 연료 주사기의 원리에 따라 헐겁게 설계된 많은 고-압 액체 제트 주사기의 디자인이 특허를 받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복잡한 디자인은 많은 기계화된 부분으로 설계하는 정밀성을 요구하고, 따라서 이들은 고가이고 복잡하다. 대부분 복잡성은 고-압 연료 주사기와 같이 각각의 주사기를 통해 높은 압력을 유지해야 하는 인지된 필요성에 기인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Scherer는 1949년에 거친 표피를 통해 구멍 또는 트랙을 뚫기 위해서는 주사의 시작점에서만 높은 압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주사의 잔여 벌크(bulk)는 훨씬 더 낮은 압력 하에서 트랙을 따라 이어서 주입될 수 있다(Scherer 미국 특허 제2,704,542(1949)).
이들의 복잡성 때문에 표준 고-압 기구는 일회용 장치로 고려되지 않았다.간편화된 디자인이 존재하기는 하였으나(Alchas et al., 유럽특허 제EP0595508호(1994)) 이러한 장치는 여전히 복잡하고 고가여서 실질적으로 일회용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그 대신에 디자인 개선은 주로 대량 예방주사 캠페인에 있어서 고수율로 많은 주입이 가능한 튼튼하고 확실하게 격무에 잘 견디는 기계를 생성하는 쪽으로 지시되었다(Ismach 미국특허 제3,057,349호(1959), Landau 미국특허 제4,266,541호(1981), 미국특허 제5,746,714호(1988), D'Antonio et al., PCT 특허 WO98/17322(1998), Parson PCT 특허 WO98/15307(1988)). 전술된 선행기술의 일부는 시간 당 4,000 주사의 능력을 청구하였다.
B형 간염의 발발이 백신 산업의 광범한 관심을 유발하였을 때 문제점들은 제트 주사기의 상태를 계속 위협하였다(Canter J; et al., 1990. An outbreak of hepatitis B associated with jet injections in a weight reduction clinic. Arch. Intern. Med.; 150:1923-1927). 제트 주사기를 통한 바이러스의 이동 및 그의 메카니즘은 세계보건기구(WHO) 회의에서 설명되었다(J Lloyd. Status of Jet Injectors. HYPERLINK 참조(http://www.who.int/gpv-coldchain/PowerpointTechanet
.htm and http://www.who.int/gpv-coldchain/PowerpointTechnet.htm)
주사에 의해 팽창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높은 압력이 제트 주사기 내부 압력 저하와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는 주사기 내로의 조직 유동체의 역류 또는 "되흡입(sucking-back)"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심각한 결점 때문에 기계적 주사기 내로 삽입하는 일회-사용 바이알(vial)이 개발되었다(Parent du Chatelet el al. Clinical immunogenicity and tolerance studies of liquid vaccines delivered by jet-injector and a new single-use catridge(Imule): comparison with standard syringe injection. Imule Investigators Group. Vaccine, 15:449-458(1997)). 이러한 주사기는 Landau 미국 특허 제4,966,581(1990)에서와 같이 다수투여(multidose) 바이알 포맷을 보유한다.
높은 압력의 짧은 펄스를 생성시키는 사람 손의 적당한 압력을 이용한 새로운 원리로 작동하는 실제적인 일회용 액체 제트 주사기가 개발되었다. 이는 피부를 통해 좁은 트랙을 뚫어 낮은 압력에서 투여량의 벌크의 뒤따르는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Roser, B. Disposable Injector Device 미국 특허 제6,102,896호). 그러나 이들 디자인은 몇 가지 단점을 여전히 지닌다. 손의 꾸준한 압력으로부터 유도된 힘은 "스냅 탭(snap tabs)"의 구조적 실패가 뒤따르는 고-압의 센 펄스 또는 "스냅 링(snap rings)"의 저항의 갑작스런 극복으로 전환한다. 주사되는 투여액은 중심에 위치된 저장기 내에 위치하고, 높은 압력의 배럴은 기부 내 주사 구멍도 지닌 주사기 자체의 기부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 상의 요구를 제기한다. 액체 저장기 조립과 주사기 자체 모두 멸균 제조; 고압 펄스에 견디도록 설계됨; 및 손 활성화된 장치로부터 고압 펄스를 분리하는 밸브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는 생산비용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파워 스트로크(stroke)의 완성은 투여액 전체가 전달될 때까지 손 압력의 유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오류의 가능성을 남기는 것으로 즉, 고안된 투여량이 전달되기 전에 주사를 중지시켜 손 압력의 역류 저지가 특정한 환경하에서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이들 문제점의 바람직한 해결은 보관된 에너지에 의한 파워 스트로크를 완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어서 체크 밸브의 필요성을 제거시키는 자가-포함된 주사 캡슐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전술된 결점을 처리하고, 또한 제조 및 조립이 더욱 저렴한 것이다. 더욱이 투여 캡슐과 파워 조립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의미 있는 주사 키트는 단일 파워 장치와 다수 투여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Imule 개념(Parent du Chatelet el al. Clinical immunogenicity and tolerance studies of liquid vaccines delivered by jet-injector and a new single-use catridge(Imule): comparison with standard syringe injection. Imule Investigators Group. Vaccine, 15:449-458(1997))과 유사하더라도 본 발명의 개별적인 주사 캡슐의 디자인은 신규하고 훨씬 더 우수하다.
이러한 개선의 중심은 높은 압력 하에서 적은 부피의 투여량이 투여량의 벌크를 뒤이어 전달하는 저-압 플런저의 부분을 형성하는 요소인 주사 트랙을 제공하도록 하는 플런저(plunger) 디자인의 좁은-구멍 요소이다. 더욱이 정교한 주사 구멍이 주사 캡슐의 다른 말단 내로 통합되어 전체적으로 자가-포함된 전체 액체 진로를 만든다. 본질적으로는 플런저는 고리 모양의 더 넓은 플런저 내에 좁은 플런저가 중심에 위치한 2개-구성성분의 포개어 끼우는 조립이다. 좁은 플런저의 "구멍 말단"은 고리모양의 넓은 플런저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통형 공동(cavity)에 꼭 맞는다. 좁은 플런저의 주요 부분은 고리모양의 넓은 플런저 보다 주사 구멍에서 더 멀리 위치하고, 따라서 주사 스트로크 동안 고-압 제트를 생성하는 고리모양의 넓은 플런저의 중심부 내에 액체 부피를 한정한다.
파워 스트로크의 보증된 완성의 부재라는 문제점을 처리하기 위해 하나의 용액은 스프링 내에서 손 압력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스냅 장치에 의해 보관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사용시에만 스프링을 긴장시킴으로서 파워 스트로크는 너무 이르게 주사를 중지시키는 위험을 최소한으로 한다. 이는 이같이 하는 것이 물질과 보관된 에너지가 시간에 걸쳐 분해하도록 할 수 있어서 장치의 저장-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장 동안 장치 내에서 에너지 보관의 필요성을 방지한다.
통상의 금속 스프링 또는 기체 스프링 여부에 관계없이 보관되는 동안 긴장 하에 있지 않은 스프링은 물질 약화 또는 에너지 누출을 착수하지 않는다. 오히려 손에 의해 부여된 최대 잠재 에너지는 사용시 키네틱 포스(kinetic force)로서전달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별하게는 체크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자가-포함된 주사 캡슐 및 스프링 장착된 환자 피하 조직 내로의 약물을 전달하는 일회용 주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태양은 수반되는 도면에서 표현되고 기술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은 2개의 부분 : 마개와 중심 핑거(finger)를 지닌 파워 케이스로 구성되고, 파워 케이스 내에 주사될 약물을 함유한 투약 캡슐에 꼭 맞는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 내에 중심으로 위치한 좁은 플런저로 구성된 주사 캡슐이 함유된 장치인 탭제트 주사기 장치의 횡단면이다.
도 2a∼2c는 마개의 중심 핑거가 좁은 플런저를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탭; 마개의 중심 핑거가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를 타격할 때까지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를 통해 좁은 플런저를 관통하여 표피를 통해 트랙을 뚫는 연속된 압력; 및 마지막으로 주입 트랙을 통해 약물의 벌크를 전달하기 위해 구멍을 향해 좁고 넓은 혼성 플런저를 밀어내는 중심 핑거를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탭제트 주사기 장치의 횡단면이다.
도 3은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파티션을 함유한 마개를 지니고, 코일 스프링에 의해 마개와 중심 핑거의 이용시 홀더 어시스트에 부착되는 탭제트 주사기 장치의 두 번째 실시태양의 횡단면이다.
도 4a∼d는 환자 피부를 향해 이동하여 브레이크 탭이 휠 때까지 코일 스프링을 긴장시키는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 마지막으로 파워 스트로크를 완성하기 위해 자유롭게 이동 파티션을 유발하는 긴장된 코일 스프링 내에 보관된 파워를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의 횡단면이다.
도 5는 중심 핑거는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를 함유한 구멍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의 주위에 코일 스프링이 있는 변형된 탭제트 주사기의 세 번째 실시태양의 횡단면이다.
도 6a∼d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 브레이크 탭이 휨; 및 파워 스트로크를 완성하게 하는 코일 스프링 내에 보관된 파워를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횡단면이다.
도 7은 드라이빙 홀을 지닌 록킹(rocking) 레버 상에서 압박하는 콕킹(cocking) 탭으로 구성되고; 록킹 레버는 지레받침 주위를 회전하고, 중심 핑거는 주사 캡슐의 좁은 플런저에 힘을 전달하는 잡아 당겨진 주사기 장치의 네 번째 실시태양의 횡단면이다.
도 8a∼d는 콕킹 탭이 록킹 레버 위를 미끄러져 떨어질 때까지 록킹 레버 상에서 압박하여 지레받침 주위를 회전시키는 콕킹 탭으로서, 배출된 록킹 레버는 반대 방향으로 스냅(snap)시켜서 좁은 플런저를 밀게 하고, 이후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를 통해 미끄러져 표피에 트랙을 뚫고, 약물의 벌크를 전달하도록 주사 캡슐의 구멍 말단을 향해 마지막으로 주입하는 혼성 플런저를 형성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횡단면이다.
도 9는 스냅 링 리-인게이지(re-engage) 때까지 파워 케이스의 재-콕킹 및 마개를 기부 위 뒤로 잡아당긴 후 주사 캡슐을 대치시킴으로서 브레이크 탭이 파워 케이스를 재-활용되게 할 수 있는 스냅 링으로 대치된 재-활용가능 제트 주사기인 다섯 번째 실시태양의 횡단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탭제트 주사기 장치는 마개(1) 및 중심 핑거(2)를 지닌 파워 케이스로 구성된다. 마개(1)는 기부(5)에서 이동가능하나 브레이크 탭(3)에 의한 이동이 방지된다. 기부(5)는 좁은 플런저(6)로 이루어진 주사 캡슐,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7), 투약 캡슐(8), 좁은 주사 구멍(10) 및 주사 구멍(10)의 반대편의 투약 캡슐(8) 말단 상의 내부 칼라(collar)(100)를 포함한다. 좁은 플런저(6)는 넓은 고리모양 플런저(7) 내의 중심으로 위치한 원통형 공간에서 이동가능하다. 넓은 고리모양 플런저(7)뿐만 아니라 좁은 플런저(6)는 투약 캡슐(8) 내에 놓인 혼성 플런저를 생성한다. 주사될 약물(9)을 함유한 투약 캡슐(8)은 기저 말단에 좁은 주사 구멍(10)을 지닌다.
탭제트 주사기 장치를 작동하는 3개의 별도의 단계가 도 2a∼c에 나타나 있다. 도 2a에서 충분한 힘이 마개(1) 상에 가해지면 브레이크 탭(3)은 마개(1)의 중심 핑거(2)가 좁은 플런저(6)를 타격할 수 있도록 휜다. 연속된 압력은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 혼성 플런저를 형성하는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7) 내의 원통형 구멍을 통해 좁은 플런저(6)를 밀어낸다. 마개(1)의 중심 핑거(2)가 좁은 플런저(6)의 정상을 타격하면 이러한 압력이 투약 캡슐(8) 밖 뒤로 고리모양의 넓은 플런저(7)를 미는 경향이 있다. 이는 투약 캡슐(8) 말단 상의 내부 칼라(100)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파워 스트로크의 고압 펄스 페이스(phase)는 좁은 주사 구멍(10)을 통해 액체의 좁은 흐름을 발사하여 환자의 표피를 통해 트랙을 뚫는다. 마지막으로 도 2c에서 마개(1)의 중심 핑거(2)는 구멍(10)을 향해 혼성 플런저를 밀어내어 표피를 통해 미리 뚫린 주사 트랙을 통해 약물의 벌크를 전달한다. 이러한 간단한 메카니즘 때문에 고압 펄스를 제한하는 체크 밸브의 필요성이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구조를 크게 간편화하여 신뢰도를 증가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킨다.
도 3은 도 1의 장치가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부착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파티션(12)을 포함한 마개(11)로 구성된 스프링이 어시스트된 홀더 내부에 위치한 외부 스프링 주사기를 묘사한다.
도 4a∼d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스프링 주사기를 작동하기 위해 스프링이 어시스트된 홀더의 마개(11) 상의 손 압력은 환자 피부를 향해 마개(11)를 밀어낸다. 내부 코일 스프링(13)은 주사기 위를 미끄러져 환자의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정지될 때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의 마개(11) 상에서 손 힘에 의해 긴장된다(도 4a). 이러한 점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파티션(12)와 코일 스프링(13)을 통해 주사기 장치의 마개(11) 상에서 가해진 압력은 브레이크 탭(3)을 스냅하기에 충분하다. 이는 마개(1)의 중심 핑거(2)가 좁은 내부 플런저(6)를 타격하여 유동체 저장기 내의 압력의 급격한 증가와 고압 주사 펄스의 개시(도 4b)를 유발하고, 이후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유발된 연속적인 압력이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7)를 통해 좁은 플런저(6)를 밀어내어 마개(1)의 중심 핑거(2)가 넓은 고리모양 플런저(7)를 타격할 때 종결되는 고압 주사 펄스를 완성하게 된다(도 7c 참조).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 내의 코일 스프링(13) 상의 연속되는 긴장은 혼성 플런저를 주사 캡슐의 말단으로 밀어내어 완전한 약물 투약을 전달한다(도 4d 참조).
또한 스프링 장치는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 내의 이동가능한 파티션(12)과 마개(11) 사이에서 밀봉을 만듦으로서 용이하게 달성되는 기체 스프링이다.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 내부의 공기의 부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코일 스프링(13)과 유사한 방식으로 완전한 주사를 실질적으로 달성하는 에너지 저장으로 작용한다. 도 5 의 장치인 내부 스프링 주사기는 스프링 로드되기 위해 마개(1)에 부착된 변형된 중심 핑거(14)를 지닌다. 중심 핑거(14)는 비어있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16)를 포함한다. 빈 중심 핑거(14)와 이동가능한 멤버(16) 사이가 코일 스프링(15)이다.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16)는 상기 좁은 플런저(6)위의 공간에 재위치된 중심으로 위치한 브레이크 탭(17)에 의해 구멍(10)으로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의 코일 스프링(13)(긴장상태) 및/또는 도 5의 코일 스프링(15)(압축상태)은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스프링으로 대치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는 합성 또는 천연 고무가 될 수 있고, 천연고무가 지닌 부패의 문제점 때문에 합성고무가 바람직하다.
도 6a∼d는 내부 스프링 주사기의 작동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긴장은 스프링이 충분히 압축될 때까지 브레이크 탭(17)으로부터 힘을 다른 곳으로 바꾸는 주사기 마개(1)1의 개시 운동 동안 스프링 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점에서 손 압력은 결국 길을 내주는 브레이크 탭(17)으로 직접 전달한다. 코일 스프링(13) 내에 저장된 에너지 방출과 연속된 마개 이동의 결합은 주입을 달성한다. 도 6a에서 충분한 힘이 마개(1) 상에 가해지면 스프링(15)은 압축되고, 브레이크 탭이 구부러진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탭(17)은 완전하게 구부러져서 이동가능한 멤버(6)가 좁은 플런저(6)의 정상을 타격하도록 한다. 좁은 플런저(6)는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7)를 통해 이동하고(도 6c 참조), 이동가능한 멤버(16)의 기부 말단이 혼성 플런저를 형성하는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7)의 정상에 도달할 때까지 표피를 통해 트랙을 뚫는다. 이후 이러한 혼성 플런저는 그의 하향 이동을 계속하여 코일 스프링(15)의 힘에 의해 구멍(10)을 통해 약물(9)을 방출한다(도 6d 참조).
잡아당겨진 스프링 주사기 장치가 도 7에 나타나 있고, 재활용가능한 부가적인 장점을 지닌다. 이는 마개(1)를 지니고, 마개를 지닌 내부는 드라이빙 홀(20)을 지닌 가중된 구경 말단을 지닌 록킹 레버(19) 및 콕킹 탭(18)이 작용하는 자유또는 반대편 말단에 압력을 가하는 코킹 탭(18)이다. 록킹 레버(19)는 지레받침(23) 주위를 회전하여 지레받침(23)을 통과하는 포스트(22)에 대해서 놓여진 나선형 스프링(24) 내에 긴장을 생성한다. 중심 핑거(2)는 록킹 레버(19)의 말단에 있고, 주사기 캡슐의 중심 핑거(2)와 좁은 플런저(6)의 중량을 지탱한다(도 8a 참조).
잡아 당겨진 스프링 주사기의 작동시 하향 압력은 마개(1) 상에 가해지고, 이는 코킹 탭(18)이 록킹 레버(19)의 자유 말단 상에 하향 가압을 유발한다. 이는 결국 콕킹 탭(18)이 록킹 레버(19)의 자유 말단을 미끄러져 떨어질 때까지 스프링(24) 내에서 긴장을 생성하는 지레받침(23) 주위를 록킹 레버(19)가 회전하도록 유발한다(도 8a 참조). 방출된 록킹 레버(19)는 가중된 록킹 레버(19)의 말단이 중심 핑거(2)와 가로 막대(24)를 통해 좁은 플런저(6)를 밀도록 유발하는 지레받침(23) 주위의 회전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뒤로 스냅한다(도 8b 참조). 나선형 스프링(24) 내의 연속된 긴장은 좁은 플런저(6)가 넓은 고리모양 플런저(7)를 통해 이동하게 하여(도 8c 참조) 혼성 플런저를 형성하고, 표피를 통해 트랙을 뚫는다. 마지막으로 혼성 플런저는 스프링 긴장에 의해 주사 캡슐의 구멍(10)을 향해 밀리고, 투약 캡슐(8)로부터 약물(9)의 벌크를 전달하게 된다(도 8d 참조).
도 9는 재-활용가능한 제트 주사기 파워 케이스를 나타낸다. 스냅 구성성분을 재디자인함으로서 재-활용가능한 파워 케이스로의 전환이 매우 간편하다.스냅 링(25)은 브레이크 탭을 대치하여 스냅 링(25)이 리-인게이지(re-engage)할 때까지 마개(1)를 기부(5) 뒤로 끌어당김으로서 파워 케이스를 다시 잡아당긴 후 주사 캡슐을 대치함으로서 파워 케이스가 재-활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태양이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명세서의 연구 후 그의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기술의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Claims (35)

  1. 마개, 플런저, 공동 및 외부 표면을 지닌 기부, 플런저의 이동에 저항하는 스냅 수단 및 환자의 피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경구성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사 캡슐로 구성되고, 개선점은 :
    마개 내에 중심으로 위치된 중심 핑거를 제공하고, 주사 캡슐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고;
    고리 모양의 넓은 플런저 내부에 중심으로 위치된 좁은 플런저가 혼성의 플런저를 형성하고, 기부 내에 위치한 주사 캡슐의 부분을 형성하고; 및
    투약 캡슐은 하나의 말단에 미세한 주사 구멍을 지니고, 액체 약물을 함유하고, 또한 주사 캡슐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좁은 플런저가 높은 압력 하에서 약물의 부피가 환자의 피부를 통해 트랙을 형성하도록 하는 손-작동 주사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수단은 손 압력으로 구부러지는 내부에 위치된 브레이크 탭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탭은 마개의 중심 핑거가 좁은 플런저를 타격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된 손 압력은 마개의 중심 핑거가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의 정상을 타격할 때까지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를 통해 좁은 플런저를 밀어내어 표피를 통해 트랙을 뚫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중심 핑거는 좁고 넓은 플런저의 혼합을 구멍을 통해 밀어내어 주사 트랙을 통해 약물의 벌크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파티션을 포함한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 내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파티션은 스프링에 의해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금속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기체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시스트된 홀더는 환자의 피부로 이동하여 스프링을 긴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고, 브레이크 탭이 구부러질 때까지 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된 코일 스프링 내에 저장된 힘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파티션을 파워 스트로크를 완성하여 약물을 전달하도록 유발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핑거는 빈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핑거는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는 스프링 로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빈 중심 핑거와 이동가능한 멤버 사이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충분한 힘이 마개 상에 가해져서 스프링을 압축하고 브레이크 탭을 구부러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스프링은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멤버가 좁은 플런저의 정상을 접촉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플런저의 기부 말단은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의 기부를 통해 이동하여 혼성 플런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플런저의 기부 말단은 넓은 고리모양의 플런저의 기부를 통해 이동하여 혼성 플런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콕킹 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콕킹 탭은 드라이빙 홀을 포함한 가중된 말단을 지닌 록킹 레버 상에 압력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지레받침 주위를 회전하여 나선형 스프링 내에 긴장을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지레받침이 통과하는 포스트에 대항하여 놓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핑거는 록킹 레버의 말단에 있고, 가로 막대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막대는 드라이빙 홀 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핑거 및 가로 막대는 힘을 주사 캡슐의 좁은 플런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콕킹 탭은 록킹 레버에 압력을 가하여 콕킹 탭이 록킹 레버 위를 미끄러져 떨어질 때까지 지레받침 주위를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지레받침 주위 회전에 반대 방향으로 뒤로 스냅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의 가중된 말단은 중심 핑거를 통해 좁은 플런저를 밀어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플런저는 넓은 플런저를 통해 이동하여 혼성 플런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혼성 플런저는 주사 캡슐의 구멍을 향해 밀려서 약물의 벌크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장치는 주사 캡슐 외에 재활용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수단은 기부 주변의 스냅 링이고, 마개의 내부 표면 상의 균형적으로 형성된 구역으로 인게이함(engage)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링은 마개가 기부 뒤로 밀릴 때 리-인게이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장치
KR10-2003-7004942A 2000-10-13 2001-08-14 일회용 주사 장치 KR20030040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89,640 2000-10-13
US09/689,640 US6602222B1 (en) 2000-10-13 2000-10-13 Disposable injection device
PCT/US2001/025306 WO2002032484A1 (en) 2000-10-13 2001-08-14 Disposable inj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523A true KR20030040523A (ko) 2003-05-22

Family

ID=2476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942A KR20030040523A (ko) 2000-10-13 2001-08-14 일회용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602222B1 (ko)
EP (1) EP1349597A1 (ko)
JP (1) JP2004511308A (ko)
KR (1) KR20030040523A (ko)
CN (1) CN1471414A (ko)
AU (1) AU2001281257A1 (ko)
CA (1) CA2425150A1 (ko)
MX (1) MXPA03003256A (ko)
NO (1) NO20031565L (ko)
PL (1) PL361236A1 (ko)
RU (1) RU2003113524A (ko)
WO (1) WO2002032484A1 (ko)
ZA (1) ZA2003026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4210B2 (en) * 1999-10-11 2006-07-11 Felton International, Inc. Universal protector cap with auto-disable features for needle-free injectors
AU2001279053A1 (en) * 2000-07-28 2002-02-13 Seagate Technology Llc Disk head slider having cavities for increasing contact stiffness and controlling suction center movement
EP1331891A4 (en) * 2000-10-17 2007-07-11 Patricia G Schneider DISTRIBUTION CARD FOR MEDICAL EMERGENCIES
US7238167B2 (en) * 2002-06-04 2007-07-03 Bioject Inc. Needle-free injection system
US7156823B2 (en) * 2002-06-04 2007-01-02 Bioject Inc. High workload needle-free injection system
ATE389429T1 (de) * 2002-07-11 2008-04-15 Tecpharma Licensing Ag Nadellose injektionsvorrichtung
DE60310754D1 (de) * 2002-07-11 2007-02-08 Tecpharma Licensing Ag Vorrichtung für die intradermale und subkutane injektion
US6935384B2 (en) * 2003-02-19 2005-08-30 Bioject Inc. Needle-free injection system
NZ556186A (en) 2004-12-01 2010-06-25 Acushot Inc Needle-free injector
US20070055199A1 (en) 2005-08-10 2007-03-08 Gilbert Scott J Drug delivery device for buccal and aural applications and other areas of the body difficult to access
WO2009045622A1 (en) * 2007-08-10 2009-04-09 Medi-Life Card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injection of a therapeutic
BR112012004440A2 (pt) 2009-08-30 2016-03-22 Aktivpak Inc "dispositivo de aplicação que incorpora uma seção frangível, juntamente com um método de aplicação"
AU2015201430B2 (en) * 2009-10-16 2016-06-16 Janssen Biotech, Inc. Palm activated drug delivery device
US9233213B2 (en) 2009-10-16 2016-01-12 Janssen Biotech, Inc. Palm activated drug delivery device
CN102665805B (zh) 2009-10-16 2017-12-08 詹森生物科技公司 手掌激活型药物递送装置
CN103079616B (zh) 2010-07-02 2015-08-12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预装式注射器的安全装置和注射装置
US20120253314A1 (en) * 2011-03-30 2012-10-04 Ziv Harish Palm-controlled injectors
AU2014237446B2 (en) * 2013-03-15 2018-05-31 Janssen Biotech, Inc. Palm activated drug delivery device
CN107485753A (zh) * 2017-09-19 2017-12-19 锦州诺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机械脉冲式药液自动给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4543A (en) * 1955-03-22 Hypo jet injector
US2704542A (en) 1949-02-21 1955-03-22 Scherer Corp R P Jet therapy method
US3057349A (en) 1959-12-14 1962-10-09 Ismach Aaron Multi-dose jet injection device
BR7806153A (pt) 1978-09-19 1980-04-01 Halen Elliot Brasil Ind Com Eq Injetor hipodermico a pressao para vacinacao intermitente
US6056716A (en) 1987-06-08 2000-05-02 D'antonio Consultants International Inc. Hypodermic fluid dispenser
BR8801952A (pt) * 1988-04-22 1989-11-14 Sergio Landau Capsula descartavel,nao re-utilizavel,contendo dose individual de vacina a ser injetada hipodermicamente,sem agulha,com aparelho injetor a pressao
US5334144A (en) 1992-10-30 1994-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 use disposable needleless injector
US5746714A (en) 1993-04-05 1998-05-05 P.A.T.H. Air powered needleless hypodermic injector
CA2259560C (en) 1996-10-09 2005-07-05 Equidyne Systems, Inc. Hypodermic jet injector
US6224567B1 (en) * 1999-09-08 2001-05-01 Cambridge Biostability Limited Modified disposable injector device
US6102896A (en) * 1999-09-08 2000-08-15 Cambridge Biostability Limited Disposable inje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31565L (no) 2003-06-13
CA2425150A1 (en) 2002-04-25
PL361236A1 (en) 2004-10-04
ZA200302611B (en) 2003-10-13
CN1471414A (zh) 2004-01-28
NO20031565D0 (no) 2003-04-07
RU2003113524A (ru) 2004-12-27
AU2001281257A1 (en) 2002-04-29
EP1349597A1 (en) 2003-10-08
JP2004511308A (ja) 2004-04-15
MXPA03003256A (es) 2005-01-25
WO2002032484A9 (en) 2003-03-27
US6602222B1 (en) 2003-08-05
WO2002032484A1 (en)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0523A (ko) 일회용 주사 장치
US8608684B2 (en) Impulse chamber for jet delivery device
RU2179864C2 (ru) Безыгольный инъектор
US7621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pinephrine
JP5905462B2 (ja) 医療用注射器具
US200801541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pinephrine
US20070017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pinephrine
US20070021716A1 (en) Nozzle device with skin stretching means
US20070049873A1 (en) Impulse chamber for jet delivery device
US20090105685A1 (en) Two Stage Jet Injection Device
AU2006239707A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a fluid product
CN101072604A (zh) 用于输送肾上腺素的方法和器械
US20210308379A1 (en) Automatic injector for standard medical syringes
KR830001832B1 (ko) 복수 주사장치
WO2005058392A2 (en) Cartridge for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