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474A - 여장 케이블용 함체 - Google Patents

여장 케이블용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474A
KR20030036474A KR1020030022477A KR20030022477A KR20030036474A KR 20030036474 A KR20030036474 A KR 20030036474A KR 1020030022477 A KR1020030022477 A KR 1020030022477A KR 20030022477 A KR20030022477 A KR 20030022477A KR 20030036474 A KR20030036474 A KR 2003003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opening
doo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삼
Original Assignee
정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삼 filed Critical 정종삼
Priority to KR102003002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6474A/ko
Publication of KR2003003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배선후 발생되는 여장 케이블을 링형으로 권취하여 배치함에 따른 노출배선의 배치상의 복잡성을 개선하여 규격화된 형태로 커버링되면서 케이블 외피의 손상도 방지케한 여장 케이블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사각통형의 케이스(100) 일면을 개방하여 개구부(101)를 이루고,이 개구부(101)측에 힌지(120)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도어(110)를 설치하며, 상기 개구부(101)의 양측면(102)(103)에 이 개구부(101)로 부터 연결되어 개구되는 통과구(130)를 형성하여 케이블(200)의 입,출구라인(202)(204)을 통과하게 하며, 이와같은 케이스(100)의 후면(104)에 전주에 상기 케이스(100)를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밴드(140)를 형성하며, 노출된 케이블의 보호가능을 수행하며, 종래 노출된 복잡한 케이블을 정리하는 도구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여장 케이블용 함체{Box for remaining cable}
본 발명은 여장 케이블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가선에 현수된 케이블의 여장부분을 대부분 링형으로 권취하여 고정시킴에 따른 외관상의 결점을 개선하여 규격화 한 권취상태를 유지하고,장기간의 권취상태로 부터 케이블의 손상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가선을 이용하여 설비되는 케이블은 그 길이를 정할 수 없어 대부분 설비 예상길이 보다 길게 배선된다. 그러나 대부분 배선후 남은 케이블선을 외경 50cm-60cm 정도의 링형으로 와인딩하여 이를 전주에 현수하게 된다.
이와같은 케이블선의 처리는 결국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 전주 주변에 많은 링형의 케이블뭉치들이 무질서하게 배선되어 있어 외관상 지저분하여 케이블배선에 따른 공중 배치환경을 해치고, 둘째, 케이블선이 와인딩상태로 장기간 노출,보관되어 있으므로 햇빛,눈,비등으로 인해 외피가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셋째, 여장케이블 뭉치의 규격이 시공자마다 각기 다르게 배치되어 케이블 시공상태가 복잡하고 지저분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인딩상태에서도 햇빛이나 눈,비등에 덜 영향받도록 하고, 모든 여장케이블들이 동일한 규격으로 배치되어 외관상 배선케이블이 깔끔하게 배선,정리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보호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가 적용된 실시예로서 전주와 조가선의 배선상태를 나타내고,
도 2a는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h에서 나타내는 형태는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의 측면 통과구의 형태를 여러가지로 적용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싱, 102,103:양측면, 104:배면, 110:도어,112:손잡이,
114:선번장,120:힌지, 130:통과구, 140:체결밴드,142: 체결턱,144:체결볼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는,
사각통형의 케이스 일면을 개방하여 개구부를 이루고,이 개구부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도어를 설치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에 이 개구부로 부터 연결되어 개구되는 통과구를 형성하여 케이블의 입,출구라인을 통과하게 하며, 이와 같은 케이스의 후면에 전주에 상기 케이스를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밴드를 형성하여,
링형의 여장 케이블을 상기 케이스 개구부를 통하여 수납한 뒤 양측 통과구를 통하여 케이블의 입출구라인이 각각 인출되어 외부의 인출선에 연결되게 한 특징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는 전주 주변의 많은 케이블의 무질서한 배선을 개선하여 정리된 배선다발의 커버를 제공하고, 케이블선을 햇빛,눈,비등으로 부터 보호하여 외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케이블의 구체적인 실시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가 적용된 실시예로서 전주, 조가선의 배선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여장 케이블용 함체는,
사각통형의 케이스(100) 일면을 개방하여 개구부(101)를 이루고,이 개구부(101)측에 힌지(120)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도어(110)를 설치하여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a)을 이루는 함체이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100)는 상기 개구부(101)의 양측면(102)(103)에 이 개구부(101)로 부터 연결되어 개구되는 통과구(130)를 형성하여 링형으로 권취된 여장 케이블(200)의 입,출구라인(202)(204)을 양측에서 통과하게 한다.
양측면의 통과구(130)형상은 첨부 도면 도 3a 내지 도 3h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즉, 도 3a의 형상은 양측면(102)(103)에 수평하게 케이블이 통과구(130)를 통과하게 한 것이고, 도 3b는 그와같은 케이블 뭉치의 인출라인을 통과구(130)의 가장 안쪽의 홈을 통하여 인출되게 하여 안정감을 주고자 한 것이며, 도 3c는 통과구(130)가 안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하여 케이블(200)의 인출라인의 도어(110)개폐시 탈락을 방지하였다.
도 3d는 케이블(200)의 뭉치를 수용한 양측 인출라인(202)(204)이 도어(110)의 개폐중에도 쉽게 탈락하지 않게 형성한 것이고, 도 3e는 케이블(200)의 양이 많지 않고 가닥으로만 수용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 밀려나오지 않게 걸어둘 수 있는 형태의 통과구(130)를 이룬다.
도 3f는 도 3a의 통과구(130)에 비하여 안쪽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형태이다.
도 3g는 본 발명 여장 케이블의 함체 양측면(102)(103)에 통과구(130)를 형성함에 있어 상면과 접하게 개구됨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3h는 가장 넓은 범위의 통과구를 형성한 경우의 다른 예로서 인출,인입량이 많은 경우에 적당하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모양의 통과구(130)의 형태가 실시가능하나, 상기한 예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의 케이스(100) 후면(104)에는 전주에 상기 케이스(100)를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밴드(140)를 형성한다.
체결밴드(140)는 2개 일조의 것으로 그 중 하나의 것은 중간부가 케이스(100)의 배면에 용접등으로 고정되어 다른 하나와 대응하여 체결되며,그 연결되는 양단부측을 마주보게 체결턱(142)을 형성하고, 이 체결턱(142)에 형성된 구멍(부호생략)을 통하여 체결볼트(144)가 나사맞춤되게 하여 전주등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의 도어(110)에는 손잡이(112)가 외측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며, 이 도어(110)의 내측에는 선번장(114)이 설치되어 각 선로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링형의 여장 케이블 뭉치를 전주에 체결고정한 뒤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케이스(100)내 수용공간(a)에 수용하게 된다.
이때 여장 케이블의 크기에 따라서는 상술한 도 3a 내지 도 3h에서 도시하는 여러가지 통과구(130)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예를들면 여장 케이블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그 통과구(130)의 형태를 단지 케이블(200)양단 입출구라인(202)(204)을 지지할 정도이면 족할 것이므로 도 3e에서 도시하는 형태가 적당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의 도어(110)는 상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여장 케이블의 인,입출 통과구(130)는 상면 도어가 접하는 면에 형성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여장 케이블용 함체는 그동안 다수 권취된 케이블상태에서 전주근처에 현수고정하던 배선형태에 비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고, 부가되는 또 다른 배선공사시에도 구별함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고, 케이블의 외피를 눈,비,햇빛등으로 부터 보호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여장 케이블용 함체에 있어서,
    일면이 개구부(101)를 이루는 사각통형의 케이스(100);
    이 개구부(101)측에 힌지(120)로 연결되고 외측에는 손잡이(112)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선번장(114)을 구비한 상태에서 개폐되는 도어(110);
    상기 개구부(101)의 양측면(102)(103)에 케이블(200)의 입,출구라인(202)(204)을 각각 통과하도록 상기 개구부(101)로 부터 연장하여 개구된 통과구(130);및
    상기 케이스(100)를 전주등에 체결/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104)에 대략 중간이 고정되고, 그 양단에는 체결턱(142)을 형성하며, 이 체결턱(142)에는 각각 체결볼트(144)가 나사맞춤으로 체결되게 한 체결밴드(140)를 포함하여,
    링형의 여장 케이블(200)을 상기 케이스 개구부(101)를 통하여 수납한 뒤 양측 통과구(130)를 통하여 케이블의 입출구라인(202)(204)이 각각 인출되어 외부의 조가선에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 케이블용 함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0)가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 케이블용 함체.
KR1020030022477A 2003-04-09 2003-04-09 여장 케이블용 함체 KR20030036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77A KR20030036474A (ko) 2003-04-09 2003-04-09 여장 케이블용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77A KR20030036474A (ko) 2003-04-09 2003-04-09 여장 케이블용 함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06U Division KR200320788Y1 (ko) 2003-04-08 2003-04-08 여장 케이블용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474A true KR20030036474A (ko) 2003-05-09

Family

ID=2957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477A KR20030036474A (ko) 2003-04-09 2003-04-09 여장 케이블용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64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11Y1 (ko) * 2011-03-21 2011-07-13 (주)국제광엔지니어링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KR20170003772A (ko) * 2015-06-30 2017-01-1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11Y1 (ko) * 2011-03-21 2011-07-13 (주)국제광엔지니어링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KR20170003772A (ko) * 2015-06-30 2017-01-1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E200000101A (et) Vähemalt ühe juhtmepooliga varustatud tööriistakast
KR200435152Y1 (ko) 콘센트 일체형 케이블 정리박스
US7137181B2 (en) Flexible cable sleeve apparatus
KR200320788Y1 (ko) 여장 케이블용 함체
US5934623A (en) Conductor management system
KR20030036474A (ko) 여장 케이블용 함체
CA2354760A1 (en) Housing for electrical and data wire management
KR200384336Y1 (ko) 책상용 배선덕트
KR101911333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케이스
CN216696429U (zh) 一种电力防虫表箱
US20050245141A1 (en) Flexible cable sleeve and apparatus
CN110267473A (zh) 一种双向走线服务器机柜
KR20070062948A (ko) 옥내용 동케이블 및 광케이블 겸용 단자함
KR100464239B1 (ko) 케이블 보호커버
JP2007523474A (ja) ケーブル整理筐体
KR102653037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 케이스
KR102051333B1 (ko)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CN217589788U (zh) 一种具有走线管道的户外配电箱
KR200212260Y1 (ko) 전선 보관구
BRMU8800673Y1 (pt) dispositivo de lacre
KR200296572Y1 (ko) 케이블 보호커버
JP5955892B2 (ja) ケーブル挿通口保護カバー
JP2005328699A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321541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保安器、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取付方法
CN205345801U (zh) 一种导线整理工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