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689A -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689A
KR20030035689A KR1020010068105A KR20010068105A KR20030035689A KR 20030035689 A KR20030035689 A KR 20030035689A KR 1020010068105 A KR1020010068105 A KR 1020010068105A KR 20010068105 A KR20010068105 A KR 20010068105A KR 20030035689 A KR20030035689 A KR 20030035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nu
mobile phone
telephone cal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852B1 (ko
Inventor
권준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8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작업도중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휴대폰의 수행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폰의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와서 발신자의 정보가 표시될 때 통화 및 저장 메뉴를 선택하는 버튼 이외의 나머지 버튼들은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정보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전화통화가 연결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통화메뉴 및 저장메뉴의 선택을 통해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작업내용만을 저장시켜 필요한 작업내용은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 없는 작업내용은 저장시키지 않음으로써 휴대폰의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내용을 저장하고 전화통화를 하였을 경우에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작업수행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됨으로써 키패드를 이용하는 작업에 편리한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Methode for changing function of execution in mobile phone }
본 발명은 휴대폰의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을 하고 있을 때 휴대폰으로 전화가 오는 경우, 저장버튼과 통화버튼을 추가로 구비하여 작업 중이던 내용을 저장하고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은 단순히 음성으로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전화기의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단문문자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한 의사소통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전화번호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고 전자계산기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전자수첩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휴대폰 자체에 내장되어있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수행을 위해서 휴대폰의 키버튼을 사용하는 횟수와 시간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데, 키버튼을 사용하는 동안에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전화벨이 울리거나 발신자가 표시되기도 전에 전화통화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신자 확인도 하지 못한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원치 않는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키버튼을 이용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통화상태의 화면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작업했던 내용은 분실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때에는 게임의 진행 단계를 저장해둠으로써 게임을 할 때마다 매번 처음단계부터 게임을 시작하지 않고 이전에 사용자가 저장해 두었던 단계에서부터 이어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 1a와 같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고있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도 1b와 같이 발신자 표시상태로 전환되는데, 도 1b의 상태에서 전화를 받게되면 전화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도 1c와 같이 수신대기상태로 전환되고, 전화를 받지 않으면 도 1d와 같이 부재중전화 표시상태로 전환되므로, 이전에 실행하던 게임과 관련된 데이터는 모두 분실되어 사용자가 다시 게임을 실행할 때에는 첫 단계부터 게임을 실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e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단문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문자메시지 작성 도중에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사용자가 작성 중이었던 문장은 도 1f에서 보는바와 같이 자동으로 저장되고,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게임실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신자 표시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는 방식은, 초기의 휴대폰의 경우 문자메시지 작성시 전화가 걸려오면 작성 중이던 문자메시지가 삭제되어 버리는 단점을 보완하기는 하였지만,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진행 중이던 작업내용이 항상 저장되므로 저장할 필요가 없는 내용까지도 모두 저장되어휴대폰의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휴대폰을 이용하여 단문문자메시지를 작성하던 도중에 수신된 전화를 받아 전화통화를 하게되면 전화통화 종료 후 상기 휴대폰은 수신대기상태로 전환되므로, 전화통화 이전에 진행 중이던 단문문자메시지 작성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저장함 메뉴를 검색하여 작성 중이던 단문문자메시지를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수행기능의 전환과정은 비단 단문문자메시지를 작성할 때뿐만 아니라 주소록 작성이나 기타 메뉴사용을 할 때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한 작업 수행 중 전화가 수신되면, 수행 중이던 작업내용의 저장여부를 결정하고 전화통화가 끝나면 자동으로 이전의 작업 중이던 상태로 전환되는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b는 키패드를 이용한 작업도중 전화가 걸려왔을 때 나타나는 종래의 발신자 표시상태를 도시한다.
도 1c는 수신대기상태를 도시한다.
도 1d는 부재중전화 표시상태를 도시한다.
도 1e는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f는 문자메시지 작성도중 전화가 걸려왔을 때 작성중인 문자메시지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종래의 작업내용 저장단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b는 키패드를 이용한 작업도중 전화가 걸려왔을 때 나타나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표시상태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저장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작업내용 저장단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으로써, 휴대폰의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1단계와; 상기 1단계 도중에 전화통화 수신신호를 받게되면 통화 및 저장 메뉴와 발신자의 정보를 나타내는 발신자표시 서비스 모드로 전환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통화메뉴 선택이 있으면 전화통화를 시작하고, 저장메뉴 선택이 있으면 실행중인 작업을 저장한 후에 전화통화를 시작하며, 통화메뉴 또는 저장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도 선택되지 아니하면 전화통화 수신신호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1단계로 진행하는 3단계와; 상기 3단계에서 통화메뉴 또는 저장메뉴가 선택되어 전화통화를 시작하였을 때,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실행하던 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실행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있으면 저장된 작업수행 상태로 전환되어 1단계로 진행하는 4단계와; 상기 4단계에서 실행 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없거나, 상기 1단계에서 키버튼을 이용한 작업이 종료되면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5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발신자표시 서비스 모드로의 전환 시, 상기 통화메뉴 및 저장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 통화버튼 및 저장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들은 작동이 불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의 흐름도이다.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110단계에서 전화가 걸려오는지를 120단계에서 판단하여 전화통화 수신신호가 있으면 140단계로 진행하고, 전화통화 수신신호가 없으면 1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30단계에서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이 종료되었으면 23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리턴하고,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상기 110단계로 되돌아가서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 수행 시, 키버튼 조작에 의해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40단계에서는 통화 및 저장메뉴를 선택하는 버튼 이외의 나머지 버튼들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발신자표시 서비스모드인 150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나타내고 16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메뉴 또는 저장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160단계에서, 통화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실행중인 작업을 삭제하는 180단계를 거쳐 전화통화를 시작하는 200단계로 진행하고, 저장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실행중인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190단계를 거쳐 상기 200단계로 진행하며, 통화메뉴 또는 저장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도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170단계로 넘어가서 전화통화 수신신호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110단계로 진행하여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실행을 지속한다.
상기 200단계에서 전화통화가 시작되면 21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210단계에서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실행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2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실행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110단계로 진행하고, 실행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없는 경우에는 23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리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수행기능 전환방법이 적용된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a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휴대폰의 기능수행 상태는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발신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를 나타냄과 동시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리는 전화통화 수신신호를 발생하는 발신자 표시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는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통화메뉴와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통화 및 저장메뉴를 선택하는 키버튼 이외의 다른 키버튼들은 작동이 정지된다.
도 3b의 상태에서, 전화통화 수신신호가 종료될 때까지 통화 또는 저장메뉴를 선택하지 아니하면 이전의 작업상태인 도 3a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진행 중이던 작업을 계속하게 되고, 통화키를 눌러 통화메뉴를 선택하면 진행 중이던 작업내용은 저장되지 아니하고 곧바로 전화통화 상태로 전환되며, 저장키를 눌러 저장메뉴를 선택하면 도 3c와 같이 진행중이던 작업내용을 저장하고 전화통화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저장메뉴를 선택하여 전화통화를 하였을 경우에, 전화통화가 끝나게 되면 곧바로 도 3a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진행 중이던 작업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저장된 작업내용을 찾는 번거로움이 없다.
게임이나 주소록 작성 등, 기타 다른 작업을 하고있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정이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기타 다른 작업의 예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을 이용하면,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한 작업 수행 중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수행 중이던 작업내용의 저장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고, 전화통화가 끝나면 자동으로 이전의 작업 중이던 상태로 전환되므로 사용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한 작업도중 전화가 걸려왔을 때 휴대폰의 수행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폰의 키버튼을 이용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1단계;
    상기 1단계 도중에 전화통화 수신신호를 받게되면 통화 및 저장 메뉴와 발신자의 정보를 나타내는 발신자표시 서비스 모드로 전환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통화메뉴 선택이 있으면 전화통화를 시작하고, 저장메뉴 선택이 있으면 실행중인 작업을 저장한 후에 전화통화를 시작하며, 통화메뉴 또는 저장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도 선택되지 아니하면 전화통화 수신신호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1단계로 진행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통화메뉴 또는 저장메뉴가 선택되어 전화통화를 시작하였을 때,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실행하던 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실행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있으면 저장된 작업수행 상태로 전환되어 1단계로 진행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실행 도중에 저장된 작업이 없거나, 상기 1단계에서 키버튼을 이용한 작업이 종료되면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발신자표시 서비스 모드로의 전환 시, 상기 통화메뉴 및 저장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 통화버튼 및 저장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들은 작동이 불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KR10-2001-0068105A 2001-11-02 2001-11-02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KR100428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105A KR100428852B1 (ko) 2001-11-02 2001-11-02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105A KR100428852B1 (ko) 2001-11-02 2001-11-02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689A true KR20030035689A (ko) 2003-05-09
KR100428852B1 KR100428852B1 (ko) 2004-04-29

Family

ID=2956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105A KR100428852B1 (ko) 2001-11-02 2001-11-02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8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852B1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4688A1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mobile telephone terminal
US824922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KR1006526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윈도우 전환 방법
JP2008544618A (ja) 強化された着信履歴メニュー
KR20080009415A (ko) 백그라운드 태스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383610B1 (ko)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US8826159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
JP4458763B2 (ja) 携帯電話機
JP2011147019A (ja) 携帯端末装置
JP2002175191A (ja) 電子機器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JP2000253106A (ja) 通信端末装置
KR100428852B1 (ko) 휴대폰에서의 수행기능 전환방법
JP4308031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
KR1003934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기능 표시 방법
KR1004040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 확장 방법
KR20060015362A (ko)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1003898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작 프로그램 실행방법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1004370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JP2004147070A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端末の電子メール検索方法
KR100621340B1 (ko) 작업 상태 저장/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작업 상태 저장/재생 방법
KR100369662B1 (ko) 특수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