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260A -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 Google Patents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260A
KR20030035260A KR1020010067243A KR20010067243A KR20030035260A KR 20030035260 A KR20030035260 A KR 20030035260A KR 1020010067243 A KR1020010067243 A KR 1020010067243A KR 20010067243 A KR20010067243 A KR 20010067243A KR 20030035260 A KR20030035260 A KR 2003003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vinyl acetate
cable
oil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642B1 (ko
Inventor
박도현
이건주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6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other vin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소시 저발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재료를 시스체로 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도체(10), 상기 도체(10)를 감싸는 절연체(20), 다수의 상기 절연체들(20)로 구성된 절연체의 집합체를 감싸는 베딩층(30), 상기 베딩층(30)을 감싸는 편조층(40) 및 상기 편조층(40)을 감싸는 시스층(50)으로 구성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5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85 ~ 100 중량부 및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0 ~ 15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화금속화합물 60 ~ 150 중량부, 활제 및 가공조제 0.5 ~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 5 중량부, 난연보조제 및 보강제 5 ~ 40 중량부, 커플링제 0.5 ~ 10 중량부, 가교조제 0.5 ~ 8 중량부 및 가교제 3 ~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A cable having oil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유성 특히, 경유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인장강도와 고신장율 등의 고내구성과 연소시 저발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선박용 케이블의 난연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용 케이블은 그 사용용도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로 구별된다. 근래들어 해양구조물 및 선박에서의 화재시 인명 및 장비들의 보호와 손실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다양한 품질의 케이블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선박용 케이블은 난연화에 대한 관심과 그 개발들이 적었으나, 최근에는 그 사용의 범위가 확대되고 선박내 및 부대시설에서의 화재시 난연케이블의 용도 및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고난연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선박용 케이블의 난연등급 중 상위인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국제전기표준회의) 332-3 cat.A급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 특성과 연소특성 또한 만족하는 난연재료 및 선박용 케이블들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화재시 안정성 뿐만 아니라 사용시의 환경에 적합한 특성 및 고내구성을 요구하는 특수한 케이블 및 재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종래의 제품은 도체 위의 절연체의 재료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에 무기난연제 및 무기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전기적특성 및 일반 기계적 특성들을 만족시켰다. 또한, 절연층과 금속편조층 사이에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클로로프렌이나 폴리클로로슐포네이티드에틸렌을 베이스로 하는 난연성이 부여된 베딩층을 형성시켜 시스체의 외부로부터 수분 및 기타 불순물의 침투를 막아주는 역할을 부여하였다.
또한, 편조층 위의 시스체는 난연성과 내유성 특히 내경유성이 우수한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클로로프렌이나 폴리클로로슐포네이티드에틸렌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난연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발명 및 기술에서 적용된 할로겐을 함유한 수지를 베이스로하는 난연재료는 장기 내경유성 및 고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적용재료 자체가 환경 친화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베딩체 및 시스체로 적용된 할로겐을 함유한 난연재료로는 IEC 601034와 같은 저발연 특성을 만족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특히 내경유성을 만족하기 위해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클로로프렌이나 클로리네이티드폴리에틸렌 또는 클로로슐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할로겐 함량이 0.5% 이하인 할로겐 프리특성 및 1.5 이하의 독성지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기존의 진보된 할로겐 프리 난연기술 및 발명에서는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 수화물이나 기타 난연보조제를 댜량 적용하였으며 저발연성을 위해서는 연기밀도 억제제를 다량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연기밀도 억제제로는 징크보레이트와 같은 붕산아연류나 주석류를 함유하는 보조난연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난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발연농도 억제효과에도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재료의 기계적 특성 및 가열 후 특성값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유성 특히 내경유성이 우수하고 고인장강도와 고신장율등의 고내구성과 연소시 저발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선박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10), 상기 도체(10)를 감싸는 절연체(20), 다수의 상기 절연체들(20)로 구성된 절연체의 집합체를 감싸는베딩층(30), 상기 베딩층(30)을 감싸는 편조층(40) 및 상기 편조층(40)을 감싸는 시스층(50)으로 구성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5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85 ~ 100 중량부 및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0 ~ 15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화금속화합물 60 ~ 150 중량부, 활제 및 가공조제 0.5 ~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 5 중량부, 난연보조제 및 보강제 5 ~ 40 중량부, 커플링제 0.5 ~ 10 중량부, 가교조제 0.5 ~ 8 중량부 및 가교제 3 ~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해양케이블 중에서도 석유시추선 혹은 석유운반선에서와 같이 오일에 장기간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에 적용하기 위한 내경유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난연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고내구성 난연재료로서 인장강도 1.0 kgf/mm2과 신장율 300% 이상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할로겐 함량 0.5%의 할로겐프리 특성과 1.5 이하의 독성지수를 만족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재료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료는 선박용 케이블의 시스체로 적용되어, 케이블 완제품 상태에서 IEC 332-3 cat.A의 난연등급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저발연 특성인 IEC 601034를 만족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시스재료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내유성 특히 내경유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할로겐을 함유한 수지와 기타 극성수지를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극성기를 갖는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를 단독 또는 기타 극성기를 지닌 수지와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56일간의 장기 내경유 특성을 만족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재료를 발명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내구성 시스체에 적용한 난연재료는 극성이 높은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하고 수화금속화합물을 주 난연제로 사용하였으며 징크화합물을 난연성 향상 및 연기밀도 억제를 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난연재료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보강제로서 다양한 실리카를 적용하였으며 본 난연재료에 적합한 가교조제를 적용함으로써 가교 후 재료의 물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기술과 차별되게 극성기의 함량이 높은 베이스 수지와 열분해 거동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무기난연제를 혼용하고 기타 붕산아연류와 같은 보조난연제를 혼합함으로써 난연성 및 저발연특성을 만족하였다. 그리고, 주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분해거동이 다른 두 종류의 수화금속화합물로서는 표면처리되지 않거나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한 극성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5 ~ 80 중량부 이상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적용하여 56일간의 장기에 걸친 경유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 시켰다.
본 발명에서는 극성기의 함유량이 높은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난연재료와는 차별화되게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높은 고내구성 재료 및 난연성과 저발연특성이 우수한 난연재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난연재료를 선박용 케이블의 시스재료로 적용함으로써 IEC 332-3 cat.A의 난연등급과 IEC 601034의 저발연 특성을 만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도체
20 : 절연체
30 : 베딩층
40 : 편조층
50 : 시스층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은 도체(10), 상기 도체(10)를 감싸는 절연체(20), 다수의 상기 절연체들(20)로 구성된 절연체의 집합체를 감싸는 베딩층(30), 상기 베딩층(30)을 감싸는 편조층(40) 및 상기 편조층(40)을 감싸는 시스층(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10)들은 나선형으로 꼬아진 페어들의 집합체로 구성되거나 단위도체(10)들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10)의 집합체들은 테이프 등으로 묶여져 시스층(50) 하부의 코아를 구성한다. 또한, 원형의 코아 집합체 위에 베딩층(30)이 형성되고 그 위에 편조층(40)이 놓여진다. 상기 편조층(40) 위에 IEC 332-3 cat.A의 난연등급과 IEC 1034의 저발연 특성을 만족하는 무독성 난할로겐 난연재료를 시스층(50)으로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에서 내경유성 등의 고내구성을 확보하고 환경 친화적 케이블의 발명을 위하여 외층의 시스층(50)을 난연성과 저발연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무독성 난할로겐 재료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재료가 적용된 케이블은 IEC 332-3 cat.A 난연등급과 IEC 601034의 저발연 특성을 만족하며 난연 시스재료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장기 내경유성 및 고난연 저발연 특성을 갖는 무독성 난할로겐 난연재료의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들의 혼용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화금속화합물 60 ~ 150 중량부, 활제 및 가공조제 0.5 ~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 5 중량부, 난연보조제 및 보강제 5 ~ 40 중량부, 커플링제 0.5 ~ 10 중량부, 가교조제 0.5 ~ 8 중량부, 가교제 3 ~ 10 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재료는 베이스 수지로서는 상이한 물성과 화학 구조를 갖는 2종의 서로 다른 수지들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중에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는 85 ~ 100 중량부 까지 사용하였다.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중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은 55 ~ 80 중량부 까지를 적용하였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5 중량부 이하에서는 내경유성이 저하되고 오일침전 후 시편이 심하게 부풀었다. 또한,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80 중량부 이상에서는 기계적 특성인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는 기계적특성 및 열적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높았다. 상기 2종이 혼용된 베이스 수지 중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는 0 ~ 15 중량부를 적용하였다. 상기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기계적 특성 및 열적특성을 만족할 수 없었으나 다른 첨가제를 적용하여 물성을 향상시켰으며, 15 중량부 이상에서는 내경유특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신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상기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14 ~ 33 중량부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극성기가 도입된 아틸렌비닐 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극성기 함량은 0.5 ~ 2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종의 수화금속화합물을 60 ~ 15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수화금속화합물 60 중량부 이하에서는 난연성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150 중량부 이상에서는 가공성과 신장율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의 기계적 특성, 난연특성 및 저발연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수화금속화합물로서는 표면처리 되지 않거나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알루미늄을 30 ~ 120 중량부 사용하였다. 30 중량부 이하에서는 혼용된 수산화마그네슘과의 난연 상승효과 및 탄화층의 고형화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인장강도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120 중량부 이상에서는 다량의 수산화알루미늄에 의한 난연상승 효과가 크지 않았으며 신장율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마그네슘을 30 ~ 120 중량부 사용하였다. 30 중량부 이하에서는 수화화합물의 혼용에 의한 난연상승 효과가 적었다. 또한, 120 중량부 이상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탄화층의 고형화가 적었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조난연제로서의 효과와 보강효과가 큰 실리카를 5 ~ 40 중량부 사용하였다. 실리카로는 그라인드 실리카, 프리시피테이트 실리카 혹은 품드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5 중량부 이하에서는 극성기가 도입된 수지와 혼용된 수화화합물에 의한 인장강도 향상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40 중량부 이상에서는 난연성은 향상되었으나 신장율의 급격한 저하 및 점도의 상승에 의한 가공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극성기가 도입된 수지와 수화화합물 및 보강제를 적절히 혼용함으로써 내구성 및 화재안정성이 확보된 난연재료를 개발하였다.
활제 및 가공조제를 0.5 ~ 5 중량부 사용하였다. 활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이하에서는 재료의 점도저하에 의한 가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5 중량부 이상에서는 난연성, 저발연성 및 인장강도가 저하되었다.
커플링제를 0.5 ~ 10 중량부 사용하였다. 커플링제로는 비닐트리메톡시에톡시실란과 올리고머 형태의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또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하였다. 0.5 중량부 이하에서는 인장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10 중량부 이상에서는 신장율과 난연성이 저하되었다.
가교조제를 0.5 ~ 8 중량부 사용하였다. 가교조제로는 트리아릴 시아누레이트와 트리아릴 이소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가교조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이하에서는 내경유성, 인장강도 및 난연성이 저하되었으며, 8 중량부 이상에서는 신장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가교제를 3 ~ 10 중량부 사용하였다. 가교제로는 1.1-비스터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 사이크로헥산을 사용하였다. 가교제의 함량이 3 중량부 이하에서는 인장강도 및 내경유성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10 중량부 이상에서는 신장율이 저하되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층(50)의 구성성분비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에서는 상기 시스층(50)의 배합성분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로 구분하여 나타내었고, 표 2에서는 표 1에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배합성분
구성성분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4 5 6 A B C
폴리에틸렌 20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 28wt%) 40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 45wt%) 60 100 80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 50wt%) 50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 60wt%) 100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 70wt%) 100 95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 80wt%) 100 50 90
극성기가 도입된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5 10
수산화알루미늄 80 80 80 80 80 80 80 120 80
수산화마그네슘 40 40 40 40 40 40 40 40
실리카 5 10 10 10 10 10
활제 2 2 2 2 2 2 2 2 2
산화방지제 2 2 2 2 2 2 2 2 2
실란 3 3 3 3 3 3 3 3 3
가교조제 3 3 3 3 3 3 3 3 3
가교제 9 9 9 9 9 9 9 9 9
본 실시예 1에서 4까지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였다. 특히,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에 따른 내경유성,난연성, 저발연성 및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에 탄화층의 고형화를 촉진시키고 발연농도의 억제를 위해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주 난연제로 하고, 보조난연제 및 보강제로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활제 및 산화방지제와 가교를 위한 가교제 및 가교조제를 적용하였다.
실시예 5, 6에서는 매트릭스 수지들 중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와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와의 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 3에서와 같은 난연제 및 첨가제들을 적용하였다.
비교예 A ~ C의 경우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8 ~ 45 중량부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비극성기의 수지와 혼용하여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난연재료에 대한 내경유성, 난연성, 발연성 및 열적 특성 등을 실시예들과 비교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난연재료들은 오픈롤에서 믹싱 후 170℃에서 5분간 성형 후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여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케이블을 제조한 후 IEC 332-3 cat.A의 난연시험과 IEC 601034의 연기밀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성평가 정리
시 험 항 목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4 5 6 A B C
IEC332-3 cat.A 연소길이(m)(1) 1.3 1.5 1.2 1.0 1.2 1.3 전소 전소 전소
연기밀도 Flaming(2) 92 114 123 131 117 101 222 234 227
상온특성 인장강도(kg/mm2)(3) 1.14 1.12 1.06 1.04 1.11 1.27 1.12 1.07 1.14
신장율(%)(3) 378 369 373 368 174 182 358 287 321
경유특성 인장잔율(4) 89.7 91.2 93.4 84.3 82.8 94.5 38 41 27
신장잔율(4) 88.1 83.7 95.3 81.5 89.4 93.7 42 37 31
발 연 성(5)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미달 합격
산 소 지 수(%)(6) 31 32 34 32 31 31 26 28 26
표 2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시한 난연성, 연기밀도, 인장강도, 신장율 및 경유특성들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난연성 : IEC 332-3 cat.A의 난연시험 규격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70,000 Btu/hr의 열량을 40분간 가한다. 연소시험 후 케이블의 연소길이는 2.44m 이하이어야 한다.
(2)연기밀도 : ASTM E662(Heat flux : 2.5 W/cm2)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flaming 방법에 의한 연기밀도 값을 표시하였다.
시편규격 : 7.5 cm ×7.5 cm ×3 mm
(3)상온특성 : ASTM D638에 준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4)경유특성 ; ASYM D638에 준하여 70℃에서 56일간 경유에 침전시킨 후 인장잔율 및 신장잔율을 측정하였다.
(5)발연성 : IEC 1034에 준하여 케이블 완제품 상태로 시험을 하였다. 투과율 60% 이상을 만족하여야 한다.
(6)산소지수 : ASTM D2863에 준하여 시험을 하였다.
실시예 1에서 6까지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와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를 매트릭스 수지로 하고,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난연제로 혼용하였다. 기계적 물성향상을 위한 보강제와 난연보조제로 실리카를 적용하여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미국재료시험협회) 규격에 의해 플레밍방법에 의한 연기밀도 시험을 한 결과 비교예에 비하여 절반 이하의 수치를 얻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재료를 적용한 케이블에 대한 난연시험을 한 결과 연소길이는 1.5미터 미만의 연소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에서와 같이 일반 폴리올리핀계(폴리에틸렌)와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낮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적용하거나 수산화알루미늄을 단독으로 적용한 경우 전소되어 완제품상의 난연성능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또한, 내경유 시험결과 시편이 심하게 부풀었으며 잔율이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시스층(50)에서와 같은 조성물을 선박용 케이블에 적용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선박용 케이블 외에 일반 전선 기타 일반통신용 케이블에 대하여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에 의하면, 열적 특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난연시스템은 혼용된 수화 금속화합물들 간의 난연상승 효과가 촉진되어 높은 산소지수 값을 나타내었으며 탄화된 재 또한 고형화된 딱딱한 형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하에서는 만족할 수 없었던 내경유성과 난연특성과 저발연특성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7)

  1. 도체(10), 상기 도체(10)를 감싸는 절연체(20), 다수의 상기 절연체들(20)로 구성된 절연체의 집합체를 감싸는 베딩층(30), 상기 베딩층(30)을 감싸는 편조층(40) 및 상기 편조층(40)을 감싸는 시스층(50)으로 구성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5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85 ~ 100 중량부 및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0 ~ 15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화금속화합물 60 ~ 150 중량부, 활제 및 가공조제 0.5 ~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 5 중량부, 난연보조제 및 보강제 5 ~ 40 중량부, 커플링제 0.5 ~ 10 중량부, 가교조제 0.5 ~ 8 중량부 및 가교제 3 ~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55 ~ 8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가 도입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4 ~ 33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가 도입된 아틸렌비닐 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극성기 함량이 0.5 ~ 2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금속화합물은 표면 처리되지 않거나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 60 ~ 150 중량부를 혼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30 ~ 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보조제 및 보강제는 그라인드 실리카, 프리시피테이티드 실리카 혹은 품드 실리카 5 ~ 4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KR10-2001-0067243A 2001-10-30 2001-10-30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KR10051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43A KR100515642B1 (ko) 2001-10-30 2001-10-30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43A KR100515642B1 (ko) 2001-10-30 2001-10-30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60A true KR20030035260A (ko) 2003-05-09
KR100515642B1 KR100515642B1 (ko) 2005-09-23

Family

ID=2956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243A KR100515642B1 (ko) 2001-10-30 2001-10-30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6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804B1 (ko) * 2004-05-18 2006-09-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압기기 전선용 절연재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644490B1 (ko) * 2005-07-01 2006-11-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케이블
KR100674748B1 (ko) * 2006-01-18 2007-01-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직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전선
KR100967299B1 (ko) * 2008-03-28 2010-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내열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고내열 절연전선
EP3828231A1 (en) 2019-11-28 2021-06-02 Nexans Cable comprising crosslinked layer obtained from a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nitrile rubber and ethylene methyl acrylate co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843A (ja) * 1988-11-22 1990-10-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難燃性ケーブル
JPH09204824A (ja) * 1996-01-29 1997-08-05 Hitachi Cable Ltd 耐火ケーブル
WO1999004300A1 (en) * 1997-07-18 1999-01-28 Pirelli Cavi E Sistemi S.P.A. Optical fibre cable having high tracking resistance
JP2000182444A (ja) * 1998-12-15 2000-06-30 Yazaki Corp 低発煙耐火ケーブル
KR100296321B1 (ko) * 1999-03-12 2001-07-03 권문구 전선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절연전선
KR100384130B1 (ko) * 2001-04-09 2003-05-14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난연 저발연 선박용 케이블 및 그 시스체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804B1 (ko) * 2004-05-18 2006-09-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압기기 전선용 절연재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644490B1 (ko) * 2005-07-01 2006-11-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케이블
KR100674748B1 (ko) * 2006-01-18 2007-01-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직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전선
KR100967299B1 (ko) * 2008-03-28 2010-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내열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고내열 절연전선
EP3828231A1 (en) 2019-11-28 2021-06-02 Nexans Cable comprising crosslinked layer obtained from a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nitrile rubber and ethylene methyl acrylate co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642B1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067B1 (ko) 난연성 비할로겐계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철도차량용 전선
JP6229942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US4477523A (en) Flame retardant crosslinked polyolefin insulation material
US11031152B2 (en) Flame- retardant electrical cable
KR20070087896A (ko) 난연성이 개선된 비할로겐계 절연 및 시스재 제조용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선용 절연재 및 절연전선
CA2388393A1 (e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KR100384130B1 (ko) 고난연 저발연 선박용 케이블 및 그 시스체용 조성물
KR100515642B1 (ko)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US4770902A (en) Method for covering an electrical conducting means
KR100627512B1 (ko) 비할로겐계 내한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CN108026339A (zh) 阻燃性树脂组合物、使用该阻燃性树脂组合物的金属缆线、光纤缆线和成型品
JP201705018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KR100880068B1 (ko) 고내유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473564B1 (ko) 열가소성 난연재료 조성물
CN111875873B (zh) 一种电器设备内部连接线缆用的绝缘护套材料及其制备方法
JPH03203123A (ja) 難燃性電線・ケーブル
KR20120102371A (ko) 고난연성 절연재료 조성물
KR20000060251A (ko) 전선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절연전선
KR101410951B1 (ko) 초저온내성 및 난연성을 모두 갖는 비할로겐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0485952B1 (ko) 열경화성 난연재료 조성물
JPS6326906A (ja)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
CN116515197B (zh) 高压电缆用绝缘电缆护套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30207154A1 (en) Flame-retardant cable with self-extinguishing layer
KR20040085783A (ko)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는 고난연열가소성 케이블 시스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KR20230131666A (ko) 내한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