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172A -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172A
KR20030035172A KR1020010067126A KR20010067126A KR20030035172A KR 20030035172 A KR20030035172 A KR 20030035172A KR 1020010067126 A KR1020010067126 A KR 1020010067126A KR 20010067126 A KR20010067126 A KR 20010067126A KR 20030035172 A KR20030035172 A KR 2003003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remote
computer
local comput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터 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터 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터 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01006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5172A/ko
Publication of KR2003003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휴대형 기억매체내에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와; 컴퓨터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억매체를 로컬 컴퓨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컴퓨터내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착, 발신 메일이 저장되어 있는 원격 전자우편함에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으로부터 소망하는 메일을 상기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일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특정 로컬 컴퓨터에서만 자신의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팝메일의 이동성 제한이라는 단점과 한정된 저장공간과 인터넷 접속이라는 기존 웹메일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Description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n incoming and outgoing electronic mail from a remote mail box to a local computer system by using the same device}
본 발명은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망의 등장과 더불어 로컬(local area)에 존재하는 컴퓨터 시스템과 원격지(remote area)에 존재하는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서 자유로운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정보와 실행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전자를 클라이언트컴퓨터로 후자를 서버 컴퓨터로 지칭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내에 특정 소프트웨어 자원 또는 하드웨어 자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든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술한 자원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개방형 통신망은 컴퓨터 사용자로 하여금 거리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원하는 자원(resource)에 액세스 가능하게 하지만, 온라인 서비스업자에게는 유용한 자원을 무상으로 제공하게 하는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 자원 또는 하드웨어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업자들은 사용자들의 무조건적인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인증 절차를 요구하고, 일정한 금액을 지불한 유료 사용자에 대해서만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무료 서비스에 익숙한 네티즌들을 유료 서비스로 유인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은 유형의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댓가를 지불하는데 익숙하지만, 무형의 정보나 프로그램을 구매함에 있어서는(특히, 인터넷을 통해 구매함에 있어)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는데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무형의 정보, 컨텐츠,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마치 유형의 상품처럼 가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이다. 소비자들은 비디오나 오디오 데이터를 담은 CD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록한 CD를 유료로 구매하는데 아무런 저항감을 갖지 않는다. 즉, 무형의 정보가 CD라는 매체를 통해 유형의 상품으로 가공된 것이다.
그러나, 일부 정보나 프로그램은 CD라는 한정된 저장공간내에 모두 담을 수 없다. 즉, 기록매체에 수납해서 유통하는 것이 불가능한 정보와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CD에 수납해서 유통할 수 없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휴대형 기억매체를 통해 유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요청된다.
이러한 요청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39267 호는 암호화기법으로 입력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콤팩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순히 콤팩트 디스크내에 인증정보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상에서 로그인을 요구하는 종래의 유료 사이트와 차별성을 갖기가 힘들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1022 호는 휴대형 기억매체에 오프라인으로 액세스 가능한 프로그램과, 온라인 네트워킹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하여 그 휴대형 기억매체의 장착상태에서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필요한 정보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클라이언트 시스템내에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해서 클라이언트 시스템내에서 로그인을 실행하는 점만 다를뿐 기존 온라인 서비스에서의 유료화 방법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 즉, 상기 온라인 네트워킹 프로그램은 기존 무료 서비스를 유료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오프라인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부가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휴대형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서버 컴퓨터에 존재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특정한 로컬 컴퓨터에서 자연스럽게 실행하는 방법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해 기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46770 호를 전자메일 서비스에 응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메일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WWW(World Wide Web)에서 확인하는 웹메일 서비스와 전자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팝메일 서비스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웹메일 서비스는 별도의 환경설정이 필요없고, 전자메일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연결해서 메일을 확인하고, 전송하면 된다. 단점으로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전자메일 확인이 어렵고, 항상 메일을 확인하려면 WWW(World Wide Web)로 연결해야 한다.
팝메일 서비스는 웹메일과 달리 별도의 환경설정 작업을 거친후에 사용이 가능하고 설정 후 오프라인에서 메시지 관리가 편하며 송수신 메일이 메일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 때문에 확인을 위해 별도의 인터넷 접속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종래의 웹메일 서비스는 인터넷 접속이라는 절차가 요구되고, 다수의 웹메일 계정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팝메일 서비스의 경우는 자신의 우편함을 보관하는 하드디스크가 존재하지 않는 컴퓨터에서는 자신의 송, 수신 메일을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메일의 확인을 위해 별도의 절차가 요구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느곳에서나 자유롭게 자신의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메일 서비스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요청에 근거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휴대형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어떤 컴퓨터에서도 자신의 송,수신 메일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원격 전자우편함에 자신의 착,발신 메일을 보관하고, 휴대형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간편한 조작만으로 상기 전자우편함에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의 착, 발신 메일이 보관되어 있는 원격 전자우편함에 간편하게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컬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 전자우편함에 액세스하는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인증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구조를 나타내고, 도 3b는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컴팩트 디스크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원격 전자우편함을 관리하는 리모트 컴퓨터에 액세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등록 계정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되어 있는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발신 메일을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레이아웃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의 메일 보기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0B는 메일 작성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200: 클라이언트 정보단말 230: 컴팩트 디스크
300: 메일 관리서버 310: 인증키 관리모듈
320: 인증 실행모듈 330: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340: 요청메일 제공모듈 351: 인증키 데이터베이스
352: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 353: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
354: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 355: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내에 특정 사용자의 모든 착, 발신 메일을 보관하고, 이 착, 발신 메일이 보관되어 있는 저장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허락하는 인증정보와 메일 확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휴대형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로컬 컴퓨터에서 상기 착, 발신 메일을 언제, 어느곳에서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특징으로서의 휴대형 기억매체는 특정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착,발신 메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형 기억매체가 로컬 컴퓨터에 장착되는 순간 실행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컴퓨터와 상기 리모트 컴퓨터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차와;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착, 발신 메일을 임의의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특징으로서의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휴대형 기억매체내에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와;
컴퓨터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억매체를 로컬 컴퓨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컴퓨터내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착, 발신 메일이 저장되어 있는 원격 전자우편함에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으로부터 소망하는 메일을 상기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또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기 분리하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또는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고,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특정 수신처로 발송된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기 분리하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또는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300)과, 로컬 컴퓨터 시스템(230)이 네트워크망(10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컬 컴퓨터 시스템(2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와, 플로피디스크, 콤팩트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를 갖는 정보단말장치이다. 이 정보단말장치는 데이터의 입력 또는 기능의 설정을 위한 키보드(220), 마우스(250)와 같은 입력장치와,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기능을 실행하는 정보단말본체(210) 및 데이터 처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240)를 주변장치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보단말본체(210)에는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 상기 CD-ROM과 같은 외부 보조기억장치에 수록된 정보나 프로그램을 읽어 들이기 위한 최소한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OM, 상기 프로그램이나 처리결과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이들 각종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컬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랩탑 컴퓨터나 핸드헬드 PC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로부터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상의 리모트 컴퓨터와 정보를 송, 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유, 무선상의 모든 정보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로컬 컴퓨터의 의미는 리모트 컴퓨터에 상반되는 의미로서 원격지에 존재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하드웨어 등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안내하는 모든 정보통신단말을 지칭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정보단말장치를 로컬 컴퓨터로 지칭하고,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컨테츠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및 저장장치와 같은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정보단말장치를 리모트 컴퓨터로 지칭한다.
상기 로컬 컴퓨터 시스템에는 도면부호 230과 같은 휴대형 기억매체가 장착되는데, 이 기억매체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콤팩트 디스크가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기억매체는 사용자가 목걸이로 착용하거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직경 64mm이하의 미니 디스크(MD: Mini Disk)인 것이 더욱 좋다. 또한, 이 미니 디스크는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네모난 카드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형 기억매체로서 콤팩트 디스크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기억매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기술적 문제가 없다면 플로피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스마트 카드 등과 같은 다른 기록매체도 채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형 기억매체(예를들어, 콤팩트 디스크)(230)는 도 2와 같이 인증키 저장영역(232), 자동접속 소프트웨어 저장영역(234), 인증 소프트웨어 저장영역(235) 및 메일 소프트웨어 저장영역(236)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키 저장영역(232)에는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인증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이 인증정보는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300)으로부터 부여되어 기록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와 동일한 인증키가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의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에 저장된다.
상기 자동접속 소프트웨어(234)는 상기 기억매체(230)가 장착된 로컬 컴퓨터(200)가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이 로컬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킨다.
상기 인증 소프트웨어(235)는 상기 기억매체(230)가 로컬 컴퓨터(200)에 장착됨과 동시에 구동되어 로컬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유무를 확인하고,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접속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로컬 컴퓨터(200)를 리모트 컴퓨터(300)에 접속시킨 후에 상기 인증키를 읽어들여 이 인증키를 상기 리모트 컴퓨터(3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일 소프트웨어(236)는 등록된 메일 계정으로 수신된 편지와 새롭게 작성되어 송신되는 편지를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즉,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업로드하여 보관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편지를 로컬 컴퓨터(200)로 다운로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기억매체(230)는 도 2에 도시된 정보 및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300)은 상기 기억매체(230) 및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을 관리하는 컴퓨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증키 관리모듈(310), 인증 실행모듈(320),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 요청메일 제공모듈(340)과 같은 프로그램 모듈과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 및 주소록 데이터베이스(355)와 같은 저장장치(350)를 포함한다.
이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300) 즉, 메일 관리서버(300)는 중앙처리장치, 램(RAM), 롬(ROM),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기억장치 등을 포함하는 대용량의컴퓨터 시스템이다. 상당한 양의 메모리와 처리능력을 갖춘 전통적인 개인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 메일 관리서버(300)로 사용될 수 있다.
메일 관리서버(300)는 정보처리나 데이터베이스 탐색에 있어 엄청난 양의 수학적 계산을 실행함으로써 대량의 업무처리를 할 수 있다. 주로 인텔사에서 생산되는 팬티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중앙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메일 관리서버(300)의 구체적인 기능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메일 관리서버의 인증키 관리모듈(310)은 기억매체(230)에 수록되는 인증키를 생성하고, 이 인증키에 대응되는 전자우편함의 용량 및 사용기한 등의 정보를 후술하는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에 저장한다. 또한, 인증키 관리모듈(310)은 상기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우편함의 인증키별 용량 및 사용기한을 수시로 갱신, 관리한다.
상기 인증 실행모듈(320)은 로컬 컴퓨터(200)로부터 인증키가 전송되면, 이 인증키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대응 인증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로컬 컴퓨터(200)의 액세스를 허락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로컬 컴퓨터(200)의 액세스를 불허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상기 리모트 컴퓨터(300)의 저장장치(350)내에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 및 주소록 데이터베이스(355)를 구축하고, 이들 데이터베이스에 수납되는 정보를 갱신, 관리한다.
상기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은 상기 기억매체(230)가 탑재된 로컬 컴퓨터(20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메일의 확인을 요청하면, 요청메일의 헤드정보에 근거하여 편지함 타입, 본문파일 경로, 본문 파일명, 첨부파일 유, 무, 첨부파일 경로, 첨부파일명 등을 분석하고, 이 분석정보에 기초하여 요청메일의 본문과 첨부파일을 상기 로컬 컴퓨터(200)로 전달한다.
상기 저장장치(350)의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성을 갖는다. 즉,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는 인증키정보, 허용된 저장용량 정보, 사용기간 정보, 남은 사용기간, 남은 저장용량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첨부도면 도 3b에는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의 데이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는 인증키별로 대응되는 다수의 메일 계정과 편지함 타입 정보를 갖는다. 또한, 각 메일 계정별로 수신된 메일의 헤드정보(예를들어, 제목, 보낸사람 또는 받는사람, 날짜 등)가 저장된다. 각 수신 메일의 헤드정보에는 이 헤드정보에 대응하는 본문파일 경로, 본문파일명, 첨부파일 유, 무, 첨부파일 경로, 첨부파일명 등의 정보가 매칭된다.
또한, 저장된 메일의 편지함 타입이 보낸 편지함인 경우 인증키별로 송신된 메일의 헤드정보(예를들어, 제목, 보낸사람 또는 받는사람, 날짜 등)를 저장한다. 각 송신 메일의 헤드정보에는 이 메일과 대응하는 본문파일 경로, 본문파일명, 첨부파일 유, 무, 첨부파일 경로, 첨부파일명 등의 정보가 매칭된다.
도 3b의 편지함 타입은 저장된 메일의 타입(즉, 송신메일을 저장하는 보낸 편지함, 수신메일을 저장하는 받은 편지함 등)을 정의하고, 본문파일 경로는 해당 메일에 대응하는 본문파일이 저장된 주소를 나타내고, 첨부파일 경로는 해당 메일에 대응하는 첨부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 첨부파일이 저장된 주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메일의 헤드를 상기 리모트 컴퓨터(300)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선택한 메일의 본문 및 첨부파일을 로컬 컴퓨터(200)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는 송,수신 메일의 본문을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는 송, 수신 메일에 첨부된 첨부파일을 저장, 관리한다.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355)는 인증키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주소록을 보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억매체를 소지하는 것만으로 자신과 관련된 사람들의 이메일 계정, 주소, 전화번호, 이름 등의 인적사항을 로컬 컴퓨터에서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컴퓨터(200)와 리모트 컴퓨터(3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100)은 대표적으로 유, 무선 인터넷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LAN(근거리 통신망), WAN(원거리 통신망), 전용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억매체가 제작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300)을 통해 불특정의 잠재적인 네티즌들에게 원격 전자우편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업자는 예를들어, 임의의 난수형태로 인증키를 생성하고(S101) 이 인증키에 대해 메일 저장용량 및 사용기한을 설정한다.(S103)
인증키와 이 인증키에 대응되는 저장용량 및 사용기한이 결정되면, 이 정보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를 리모트 컴퓨터(300)상에 구축한다.(S105)
또한, 생성된 인증키별로 대응되는 메일 저장공간(즉, 전자우편함)을 데이터 저장장치(350)내에 확보한다.(S107)
이와같이, 인증키의 생성과 저장공간의 할당이 완료되면, 생성된 인증키별로 도 2와 같은 형태의 휴대형 기억매체(230)(예를들어, 콤팩트 디스크)를 제작한다.
이때, 이 콤팩트 디스크(230)에는 상기 단계 S101을 통해 생성된 인증키와, 자동접속 소프트웨어, 인증 소프트웨어 및 메일 소프트웨어가 기록된다.(S109)
이렇게 인증키 정보와 프로그램이 수록된 콤팩트 디스크가 제작되면, 서비스업자는 이 콤팩트 디스크를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을 통해 다수의 네티즌들에게 유료로 판매한다. 이때, 이 디스크의 외부에는 사용기한과 저장용량이 기재되는데, 네티즌들은 마치 이 디스크가 기재된 용량만큼의 저장공간을 갖는 기억매체인 것으로 믿게 될 것이다.
즉, 예를들어 디스크의 외부에 "저장용량-30GB"라는 기재가 있다면, 이를 구매한 네티즌은 이 디스크내에 30GB의 메일 저장공간 및 주소록 저장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네티즌은 이 디스크를 마치 기존의 대용량 하드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인식하기 때문에 유료로 구매하는데 있어 아무런 저항감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콤팩트 디스크(이하, CD로 약칭한다)를 구매한 네티즌은 이 대용량 휴대형 전자우편함을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컴퓨터 또는 다른 특정 컴퓨터(이하, 로컬 컴퓨터로 약칭한다)의 CD-ROM 드라이브내에 상기 CD를 삽입한다.(S201)
CD가 CD-ROM 드라이버내에 삽입되면, CD내의 인증 소프트웨어가 해당 로컬 컴퓨터(200)의 네트워크 환경을 검색하여 해당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3)
이때, 네트워크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CD내의 자동접속 소프트웨어가 호출되어 실행된다.(S207)
로컬 컴퓨터(200)로 호출된 자동접속 소프트웨어는 로컬 컴퓨터(200)의 네트워크 접속 도구를 이용하여 해당 로컬 컴퓨터(200)를 네트워크(100)에 자동 접속시킨다.(S209)
상기 단계 S205에서 로컬 컴퓨터(200)가 이미 접속되어 있거나, S207~S209 루틴을 거쳐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CD로부터 리모트 컴퓨터(300)의 위치정보(즉, IP어드레스)가 판독되고, 이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로컬 컴퓨터(200)를 리모트 컴퓨터(300)(즉, 메일 관리서버)에 접속시킨다.(S211)
로컬 컴퓨터가 리모트 컴퓨터에 접속되면, 오토 런(Auto-Run) 프로세스에 따라 CD내의 인증 소프트웨어가 구동된다.(S230)
오토 런을 이용하여 구동된 인증 소프트웨어는 디스크(즉, CD)의 인증키 저장영역(232)으로부터 인증키를 읽어들이고(S215), 이 인증키를 리모트 컴퓨터 시스템(300)(즉, 메일 관리서버)에 전송한다.(S217)
로컬 컴퓨터(200)로부터 인증키를 전송받은 리모트 컴퓨터의 인증 실행모듈(320)은 전송된 인증키에 대응하는 키가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인증키의 정당성 여부를 확인한다.(S219)
인증키의 정당성 여부 확인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응 인증키가 데이터베이스(351)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 실행모듈(320)은 데이터베이스(351)내의 인증키에 대해 남은 저장용량 및 사용기한을 확인한다.
이때, 남은 저장용량이 없거나 사용기한이 지난 경우, 해당 네티즌의 액세스를 불허하고 새로운 휴대형 기억매체를 구매하게 하거나 기존 기억매체의 충전을 요구한다.
반면에, 대응 인증키에 대한 잔류 저장 용량과 사용기한이 남아 있는 경우, 해당 네티즌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대한 액세스를 허락한다.
또한, 도 5의 단계 S221에서 전송된 인증키가 데이터베이스(351)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컬 컴퓨터(200)에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고, 서비스 제공을 종료한다.(S223)
반면에, 상기 단계 S221에서 전송된 인증키가 정당한 경우(대응 키가 존재하고, 잔류 저장용량 및 사용기한이 남아 있는 경우), 해당 인증키에 대해 등록된 기본 메일 계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S227)
이때, 기억매체내에 기본 메일계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237로 넘어가서 메일받기 루틴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S237)
반면에, 상기 단계 S227에서 등록된 기본 메일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229 ~ 단계 S235에 걸쳐 메일 계정 리스트 등록 루틴을 실행한다.
즉, 메일 소프트웨어는 리모트 컴퓨터(300)의 데이터베이스(350)내에 등록된 기본 메일계정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로컬 컴퓨터의 운영체제 화면상에 환경설정창을 디스플레이한다.(S229)
이 환경설정창은 사용자로부터 등록할 메일 계정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우편의 송,수신을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일 계정과 이 메일 계정과 관련된 인증정보 등을 상기 환경설정창을 통해 입력한다.(S231)
사용자로부터 등록할 다수의 메일 계정 리스트를 입력받은 메일 소프트웨어는 이 메일 계정 리스트를 상기 리모트 컴퓨터(즉, 메일 관리서버)에 전송한다.(S233)
로컬 컴퓨터로부터 메일 계정 리스트를 전송받은 리모트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이 메일 계정 리스트를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에 저장한다.(S235)
이와같이, 상기 단계 S229 ~ 단계 S235의 루틴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메일 계정 리스트의 등록이 완료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첨부도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메일 받기 루틴을 자동으로 실행한다.(S237)
즉, 리모터 컴퓨터(300)로부터 해당 인증키를 위한 기본 메일 계정의 존재를 확인한 메일 소프트웨어는 리모트 컴퓨터(3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에 해당 메일 계정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액세스가 허락된 인증키에 대해 등록된 메일 계정 리스트를 상기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51)로부터 추출하고, 이 메일 계정 리스트를 로컬 컴퓨터에 전송한다.(S301)
리모트 컴퓨터(300)로부터 메일 계정 리스트를 전송받은 메일 소프트웨어는 이 메일 계정 리스트를 내부 메모리(도면에 미도시)에 임시 저장한 후, 특정 메일 계정을 선택하여 그 계정정보를 판독한다.(S303)
메일 계정과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계정정보를 판독한 메일 소프트웨어는 해당 메일 계정에 대응하는 POP3 서버에 접속한 후(S305), 이 서버에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자동 인증을 실행한다.(S307)
인증이 정당하게 완료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POP3 서버에 해당 계정으로 도착한 메일에 대한 헤드(여기서, 헤드는 예를들어 보낸사람, 제목, 받은 날짜 등의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의 전송을 요청한다. (S309)
이때, POP3서버는 상기 로컬 컴퓨터로 도착한 메일의 헤드를 전송하고, 로컬 컴퓨터의 메일 소프트웨어는 이 헤드를 수신하여(S311), 로컬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한다.(S313)
메일 소프트웨어는 메모리에 로드된 메일 헤드를 도 9의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400)상에 디스플레이한다.(S315)
상기 단계 S303 ~ 단계 S315는 등록된 모든 메일 계정에 대하여 반복 실행되기 때문에 모든 메일 계정에 대한 헤드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S317)
모든 메일 계정에 대한 헤드가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표시된 헤드중 전송받을 메일을 선택한다. (S319)
전송받을 메일의 선택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체받기와 선택받기로 나뉘며, 선택삭제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전체받기를 선택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도 6B의 단계 S321 ~ 단계 S331을 실행하고, 선택받기를 선택하면 단계 S333 ~ S343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삭제를 선택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도 6B의 단계 S345 ~ 단계 S347을 실행한다.
먼저, 단계 S321 ~ 단계 S331을 참조하여 전체받기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체받기를 선택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해당 POP3서버에 도착한 전체 메일중에서 먼저 전송받을 특정 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메일의 전송을 해당 POP3서버에 요청한다.(S321)
전송 요청을 받은 POP3서버는 선택된 메일을 로컬 컴퓨터로 전송한다.(S323) 이때, 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POP3서버로 부터 전송받은 메일을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해당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기 분리한다.(S325)
메일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메일 소프트웨어는 먼저 분리된 메일의 헤드를 상기 메일 관리서버(300)에 업로드하고, 메일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이 메일 헤드를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한다.(S327)
또한, 메일 소프트웨어는 분리된 메일 본문을 파일의 형태로 변환한 후, 이 본문파일과 첨부파일을 메일 관리서버(300)에 업로드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업로드된 상기 본문파일과 첨부파일에 대응하는 메일 헤드를 확인하고, 상기 본문파일을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에 상기 첨부파일을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에 각기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저장된 본문파일 및 첨부파일의 위치 및 파일명을 상기 헤드와 매칭되게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에 기록한다.(S329)
상술한 과정을 전체 도착 메일에 대하여 반복 처리하는 것에 의해 도착 메일의 전체받기 과정이 완료된다.(S331)
다음으로, 첨부도면 도 6B의 단계 S333 ~ 단계 S343을 참조하여 도착 메일의 선택받기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선택받기를 선택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일의 다운로드를 해당 POP3서버에 요청한다.(S333)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POP3서버는 상기 선택된 메일을 로컬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335) 이때, 로컬 컴퓨터의 메일 소프트웨어는 전송받은 메일을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각 분리한다.(S337)
또한, 상기 메일 소프트웨어는 분리된 메일 헤드를 먼저 상기 메일관리서버(300)에 업로드하고, 메일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이 메일 헤드를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한다.(S339)
메일 헤드의 업로드가 완료된 후, 상기 메일 소프트웨어는 분리된 메일 본문 을 파일형태로 변환한 후, 이 본문파일과 첨부파일을 메일 관리서버(300)에 업로드한다. 메일 관리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업로드된 본문파일과 첨부파일을 각각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와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저장된 본문파일 및 첨부파일의 위치 및 파일명을 헤드와 매칭되게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한다.(S341)
상술한 과정을 선택된 메일 전체에 대하여 반복 처리하는 것에 의해 도착 메일의 선택받기 과정이 완료된다.(S343)
한편, 사용자가 선택삭제를 선택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선택된 메일의 삭제를 해당하는 POP3서버에 요청한다.(S345) 삭제 요청을 받은 POP3서버는 삭제 요청된 도착 메일을 서버내의 저장장치로부터 삭제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선택된 갯수 만큼 반복 처리하는 것에 의해 도착 메일의 선택삭제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메일을 로컬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지 않고, 리모트 컴퓨터상에 해당 사용자를 위해 할당된 메일 저장공간(즉,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여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형 기억매체를 로컬 컴퓨터에 삽입하는 행위만으로 등록된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모든 메일을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로컬 컴퓨터에서 새메일을 작성하여 수신처에 발송한 후, 이 발송메일을 리모트 컴퓨터의 해당 사용자를 위한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특정한 수신자에게 전자우편을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 9의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400)상의 메뉴바(420)에서 새메일 메뉴를 선택한다. 새메일 메뉴가 선택되면, 로컬 컴퓨터(200)의 화면에는 도 10B와 같은 메일 작성창(60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메일 작성창(600)의 헤드정보 기록창(640)에 수신인의 이메일 어드레스, 제목 등의 헤드정보를 입력하고, 편지내용 기록창(660)에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즉, 본문내용)를 입력한다. 또한, 첨부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메뉴바(620)상의 삽입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메일에 첨부파일을 첨부한다. (S501)
이렇게 새메일의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메일 작성창(600)의 기능버튼 모음(630)중에서 보내기 버튼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새메일의 보내기를 실행한다.(S503)
보내기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메일 관리서버(300)의 SMTP서버(도면에 미도시)에 접속하여(S505), 작성된 메일을 상기 SMTP서버에 전송한다.(S507)
작성 메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400)의 편지함 표시부(440)에 있는 보낸 편지함의 메일 갯수를 갱신하고, 편지목록 표시부(460)에 상기 전송 메일의 헤드를 추가한다.(S509)
또한, 메일 소프트웨어는 전송된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기 분리하고(S511), 분리된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을 메일 관리서버(300)로 업로드한다.(S513) 이때, 상기 본문은 파일형태로 변환하여 업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로컬 컴퓨터로부터 헤드, 본문파일 및 첨부파일을 전송받은 메일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헤드를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하고, 본문파일과 첨부파일은 각기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 및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에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330)은 저장된 본문파일 및 첨부파일의 위치 및 파일명을 헤드와 매칭되게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에 저장한다.(S515)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루틴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등록 메일 계정에 대한 수신 메일 및 송신메일이 메일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으로써 특정 기억매체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원격 전자우편함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원격 저장장치에 생성된다. 이 원격 전자우편함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메일 계정으로 수신된 착신 메일과 사용자에 의해 발송된 발신 메일이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분리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술하는 도 8의 메일 확인루틴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착, 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메일 확인방법을 설명한다.
특정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버내에 상기 기억매체를 삽입하면, 도 5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로컬 컴퓨터와 리모트 컴퓨터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로접속되고, 로컬 컴퓨터의 바탕화면에는 도 9와 같은 형태의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400)의 편지함 표시부(440)에서 편지함 타입을 선택하고, 편지목록 표시부(460)에 표시되는 메일 헤드중에서 읽고자 하는 메일을 선택한다.(S401)
메일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일의 헤드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메일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S403)
로컬 컴퓨터(200)로부터 메일 헤드를 수신받은 메일 관리서버(300)의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은 수신한 메일 헤드에 근거하여 이 헤드에 대응하는 본문파일과 첨부파일의 저장주소를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추출한다. 즉,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은 상기 메일 헤드에 근거하여 추출할 메일의 편지함 타입과 본문파일 경로 및 본문 파일명을 추출한다.(S405)
또한,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은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를 검색하여 추출할 메일에 첨부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07)
이때, 첨부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곧바로 단계 S411로 진행하고, 첨부파일이 존재하면, 헤드정보 데이터베이스(352)로부터 첨부파일의 경로 및 파일명을 추출한다.(S409)
이렇게 본문파일 경로와 첨부파일의 경로를 추출한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은 추출된 파일 경로정보와 파일명 정보를 로컬 컴퓨터(200)의 메일 소프트웨어에 제공한다.(S411)
파일 경로정보와 파일명 정보를 전송받은 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에 해당하는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메일 소프트웨어는 파일 경로정보 및 파일명 정보에 근거하여 본문파일 데이터베이스(353)로부터 본문파일을 추출하여 로컬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본문파일은 도 10A의 메일 보기창(500)의 편지내용 표시부(550)에 텍스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해당 메일에 첨부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헤드정보 표시란(540)에 첨부된 파일명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정보 표시란(540)에 있는 파일명을 선택하여 첨부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요청메일 제공모듈(340)은 요청된 첨부파일을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354)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로컬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413)
또한, 사용자는 도 9의 메일 실행 인터페이스(400)에 있는 주소록 표시부(450)를 통해 주소록의 전송을 상기 메일 관리서버(300)에 요청함으로써 주소록 데이터베이스(355)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주소를 로컬 컴퓨터(2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메일 계정으로 도착한 메일이나 특정 수신처로 발송한 메일을 해당 사용자를 위한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하고, 본 발명의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임의의 로컬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착, 발신 메일은 로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리모트 컴퓨터의 원격 저장공간에 보관되기 때문에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메일 내용이 타인에게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기억매체를 통해서만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록 인증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되더라도 메일 내용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자신과 관련된 모든 착, 발신 메일이 휴대형 기억매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억매체를 마치 자기자신의 개인 메일만을 특별히 관리하는 휴대형 개인 사설 전자우편함으로 느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웹메일 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특정 웹메일 서비스업체에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팝메일 서비스와는 달리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로컬 컴퓨터의 제한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메일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특정 로컬 컴퓨터에서만 자신의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팝메일의 이동성 제한이라는 단점과 한정된 저장공간과 인터넷 접속이라는 기존 웹메일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 이외에는 어느 누구도 자신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액세스 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메일과 관련된 개인정보의 보안이 보다 강화되었다.
또한, 기존의 메일 제공 서비스를 유료화하는데 있어 네티즌의 저항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9)

  1. 컴퓨터에 의해 독출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는 휴대형 기억매체로서,
    상기 기억매체는
    특정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착,발신 메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억매체가 삽입되는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형 기억매체가 로컬 컴퓨터에 장착되는 순간 실행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컴퓨터와 상기 리모트 컴퓨터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차와;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착, 발신 메일을 임의의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절차는 다시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위치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접속하는 절차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인증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전송하는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컬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자동 접속시키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메일을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일 계정을 입력하여 등록하는 절차와;
    상기 등록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메일의 헤드정보를 상기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절차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 받기 명령을 입력받고, 이 명령에 근거하여 선택된 메일을 로컬 컴퓨터를 통해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업로드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받기 명령이 전체받기 또는 선택받기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리모트 컴퓨터로 업로드할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각 분리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특정 수신처로 발송된 메일을 상기 리모트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업로드할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각 분리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억매체.
  10. 휴대형 기억매체내에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와;
    컴퓨터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억매체를 로컬 컴퓨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컴퓨터내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착, 발신 메일이 저장되어 있는 원격 전자우편함에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으로부터 소망하는 메일을 상기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기억매체는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형 기억매체가 상기 로컬 컴퓨터에 장착되는 순간 실행되어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을 관리하는 컴퓨터의 위치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고;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리모트 컴퓨터에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고;
    상기 컴퓨터는 로컬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원격 전자우편함에 대한 로컬 컴퓨터의 액세스를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로컬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컬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자동 접속시키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메일을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여 보관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일 계정을 입력하여 등록하는 절차와;
    상기 등록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메일의 헤드정보를 상기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절차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 받기 명령을 입력받고, 이 명령에 근거하여 선택된 메일을 로컬 컴퓨터를 통해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는 절차를 수행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받기 명령이 전체받기 또는 선택받기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으로 업로드할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각 분리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특정 수신처로 발송된 메일을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에 업로드할 메일을 헤드, 본문 및 첨부파일로 각각 분리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자우편함은 사용자를 위한 주소록 정보를 더 보관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로컬 컴퓨터로부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주소록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주소록 정보를 상기 로컬 컴퓨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KR1020010067126A 2001-10-30 2001-10-30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KR20030035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126A KR20030035172A (ko) 2001-10-30 2001-10-30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126A KR20030035172A (ko) 2001-10-30 2001-10-30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172A true KR20030035172A (ko) 2003-05-09

Family

ID=2956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126A KR20030035172A (ko) 2001-10-30 2001-10-30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51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063A (ko) * 2000-11-06 2001-02-05 황보열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한 공개키 기반구조의 인증서, 인증서의 발급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WO2001059579A1 (fr) * 2000-02-10 2001-08-16 Interlex Inc. Systeme et procede servant a refleter des informations personnelles sur un termina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ar support de ces informations personnelles
KR20030032085A (ko) * 2001-10-09 2003-04-26 이승진 미니 cd를 이용한 hand carry 홈페이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9579A1 (fr) * 2000-02-10 2001-08-16 Interlex Inc. Systeme et procede servant a refleter des informations personnelles sur un termina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ar support de ces informations personnelles
KR20010008063A (ko) * 2000-11-06 2001-02-05 황보열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한 공개키 기반구조의 인증서, 인증서의 발급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4312A (ko) * 2000-11-06 2001-06-05 황보열 공개키 기반구조의 개인키와 인증서를 저장하는광학기록매체와 그의 발급방법과 발급 시스템 및사용방법
KR20030032085A (ko) * 2001-10-09 2003-04-26 이승진 미니 cd를 이용한 hand carry 홈페이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타로그(개인키 및 인증키를 휴대용 장치에 하드웨어 형태로 보관하는 시스템[신문-한국일보 2000년 12월 28일자 참조],2000.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068B2 (en) Interactive avatar in messaging environment
KR100493525B1 (ko) 아바타 메일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7233992B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confidential documents
CN100466636C (zh) 服务器、服务器系统以及电子邮件配送方法
US20080010348A1 (e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ecuring privacy of an e-mail address in an e-mail
US20070027717A1 (en) Automatic patient record update enabled clinical messaging
WO2001016736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mong a group of participants
WO2001017173A1 (en)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mong a group of participants
WO2001017277A9 (en) Electronic media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mong a group of participants
CN101273379A (zh) 通过电子消息和邮件连网
EP1364301A2 (en) Internet communication
US7133142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US9083558B2 (en) Control E-mail download through instructional requests
JP49465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30035172A (ko)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네크워크상의원격 전자우편함에 보관된 착,발신 메일을 로컬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WO2009054583A1 (en) Advertising system for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cord and cordless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70065274A (ko) 웹사이트를 통한 파일의 초간편 전송과 공유및 저장방법
KR20020048276A (ko)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대용량 이메일 전송 시스템을공용하면서 대량의 이메일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KR20140143122A (ko) 메시징을 이용한 메일 관리 방법
WO2002027502A1 (fr) Support d&#39;enregistrement portant un programme d&#39;envoi et de réception de courrier électronique
KR100627565B1 (ko) 웹메일 서비스에서 메일도착 자동통지방법
KR20010019810A (ko) 문서 규약 정보를 이용한 전자문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448686B1 (ko) 메일통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088530A (ko) 휴대형 기억매체 및 이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리모트컴퓨터의 서비스를 로컬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방법
KR20020083975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