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942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942A
KR20030034942A KR1020010066768A KR20010066768A KR20030034942A KR 20030034942 A KR20030034942 A KR 20030034942A KR 1020010066768 A KR1020010066768 A KR 1020010066768A KR 20010066768 A KR20010066768 A KR 20010066768A KR 20030034942 A KR20030034942 A KR 2003003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ndex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086B1 (ko
Inventor
박성민
박동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08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동작/기능의 메뉴(menu)를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한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뉴 테이블이 설정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메뉴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테이블로부터 최근 저장된 메뉴 및 인덱스 정보를 억세스 하여 현재 메뉴 수준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메뉴 수준을 가장 최근에 사용하였던 수준으로 홀드시킬 수 있어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METHOD FOR MENU DRIVEI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동작/기능의 메뉴(menu)를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한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불려지고 있는 개인 휴대 전화기(portable phone), 예를 들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 PCS) 및 셀룰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전화기 등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송신/수신하거나 개인 일정의 관리 등 많은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많은 기능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휴대용 전화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개인 휴대 전화기의 각종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기능을 메뉴로 작성하여, 메뉴 키(menu key)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를 호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뉴는 휴대 전화기의 기능이 매우 다양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트리 구조(tree architecture)로 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개인 휴대 전화기 생산업자들은, 사용자들이 전화기의 많은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펼쳤을 때의 평면도로서, 이는 키패널(key panel)상에 배열된 메뉴 키의 배열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용 휴대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main body) 1과 이에 폴더 형태로 결합된 커버 2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 2에는 소정 크기의 LCD 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LCD 3은 전화이용에 관계된 각종 메시지를 표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전화기 본체 1에는 3*4매트릭스 키 패드 3과, 메뉴키 4, 확인키 5, 통화버튼 6, 종료버튼 7, 취소버튼 8 및 다기능 키 9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다기능 키 9는 관리키, 전화번호 관리키 및 커서(cursor)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업/다운키의 기능 및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기능이 탑재된 전화기에서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키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키의 배열들은 모든 휴대 전화기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생산업체마다 조금씩 다르다는 것에 유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예는 삼성전자에서 생산하고 있는 많은 휴대 전화기의 모델중 하나이며, 각 키에 부여된 용어가 상이하여도 본 발명의 메뉴키에 대응하는 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CDMA 방식의 휴대용 전화기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RF신호 처리부로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송신되는 RF신호를 복조/변조 및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다. 12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로서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되는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참조번호 14는 휴대 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통상 마이크로세서의 레벨로 만들어진 것이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컬럼사에서 생사하고 있는 모바일 스테이션 모뎀 MSMXXXX를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 14에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오디오부 16, 각종 표시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18과 가입자 정보 및 각종 프로토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롬(ROM) 혹은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 및 상기 제어부 14에서 처리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하는 메모리 20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 14에는 도 1에 도시된 각종 키 및 버튼들의 선택신호가 제공되는 버스 22가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20내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마스크된 프로그램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수신 혹은 송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메뉴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키들중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키, 예를 들어 다기능 키 9를 우측으로 눌려 메시지 키를 선택하면, 상기 키의 선택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버스 22를 통해 제어부 14로 공급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제어부 14는 상기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 3과 같은 메뉴모드를 호출하여 S30과정에서 메뉴 인덱스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메뉴 인덱스라 함은 메뉴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초기 표시기 3상에 초기에 표시되어지는 메뉴 항목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초기화라 함은 표시기 3상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중 첫 번째에 위치된 메뉴 항목에 커서(cursor) 혹은 메뉴바(menu bar)를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S30과정에서 메뉴 인덱스를 초기화한 제어부 14는 S32과정에서 해당 메뉴 내용의 캐릭터(혹은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기 18로 전송하여 표시시키고, S34과정에서 메뉴 검색키가 선택되어 입력되는가를 검색한다. 여기서, 메뉴 검색키라 함은 메뉴 항목을 지시하고 있는 커서 혹은 메뉴바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로서, 업/다운(up/down) 키를 의미한다. 메뉴 검색키가 선택되어진 상태라 아니라면 제어부 14는 전술한 S32과정으로 점프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메뉴 인덱스 항목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인 동작을 실행하면 이의 정보는 제어부 14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 14는 신호버스 22를 통해 수신되는 키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S36과정에서 인덱스를 변경하고 해당 표시기 18로 표시되는 상태를 변경한다. 즉, 다수의 메뉴 항목들중 현재 커서 혹은 메뉴바를 선택된 인덱스 항목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4는 S38과정에서 표시된 메뉴내용을 선택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제어부 14가 S38과정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 내용을 선택하는 확인키 혹은 실행 동작을 위한 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 14는 상기 확인키 혹은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S40과정에서 선택된 표시되어 선택된 메뉴가 서브메뉴(sub menu)를 가지고 있는 항목인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서브메뉴의 유무는 메모리 20내의 메뉴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상기 S40과정의 검색결과 서브 메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 14는 S38과정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기능 동작을 수행하고 메뉴 인터페이스 동작을 중지한다. 만약, 상기 S40과정의 검색결과 서브메뉴를 가지고 있는 메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전술한 30과정에서 메뉴인덱스를 초기화하고 S32과정에서 현재 선택된 메뉴의 서브 메뉴의 인덱스를 메모리 20의 메뉴테이블로부터 억세스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방법은 각종 메뉴키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선택하여 각 메뉴에 진입시 인덱스를 항상 초기화함으로써 메뉴수준(menu depth)이 바뀔 때마다 처음부터 다시 메뉴 검색이 이루어짐으로써 동일한 메뉴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에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최종적으로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 서브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메인 메뉴를 선택확인 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요구되어 사용자 인터페싱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 휴대용 전화기의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선택되는 메뉴 인덱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 형태로 기능의 선택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메뉴 드리이브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 형태로 다양한 기능을 안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전에 선택된 최종 메뉴를 자동으로 저장하여 재선택시 해당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드리이브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뉴 테이블이 설정된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 테이블에 설정된 다수의 메뉴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메뉴 인덱스의 저장 여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인덱스의 저장 여부를 검색하여 비저장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메뉴 및 인덱스를 인덱스 버퍼에 저장 설정한 후 저장 플레그를 세트하고, 메뉴 인덱스가 저장 상태인 경우에는 저장된 메뉴의 인덱스를 현재 메뉴의 인덱스로 설정하는 인덱스 설정 과정과; 메뉴 검색키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설정된 인덱스의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 검색키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인덱스를 저장함과 동시에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메뉴의 내용이 선택될 때까지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메뉴의 서브메뉴가 유무를 검색하는 서브 메뉴 검색 과정과; 상기 서브 메뉴 검색 과정에서 서브 메뉴가 검색될 때 상기 초기화과정으로부터 반복수행하고, 서브 메뉴가 없을 때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펼쳤을 때의 평면도로서, 이는 키패널(key panel)상에 배열된 메뉴 키의 배열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의한 메뉴 선택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드라인브인 방법에 의한 메뉴 선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의한 메뉴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의한 메뉴 선택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어 흐름도의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20내의 불휘발성 영역에 마스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드라인브인 방법에 의한 메뉴 선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메뉴 테이블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20내이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도 5에서, 참조번호 52는 메뉴 인덱스 테이블이고, 54는 메뉴 데이터 테이블이다. 상기 메뉴 인덱스 테이블 52의 어드레스는 도 1에 도시된 메뉴키 4 및 다기능 키 9의 선택에 의해 지정되도록 프로그램 되어있다. 예를 들면, 메뉴키 4가 선택되면 상기 도 5와 같이 구성된 메뉴 인덱스 테이블 52의 초기 번지의 메뉴포인터들이 지정하는 메뉴 데이터 테이블 54내의 해당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 내용을 억세스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메시지 관리를 위한 메뉴 인덱스 테이블 52와 메뉴 데이터 테이블 54의 예만을 도시한 것임에 유의 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의한 메뉴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드라이브인에 의하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작을 상기한 도 1,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다양한 메뉴 기능중, SMS메시지를 관리하는 기능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삼성전자에서 생산판매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의 메시지관리 기능은 수신 메시지 관리, 발신 메시지 관리, SMS메세지를 전송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문장을 관리하는 문장관리 메뉴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메뉴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의 예를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키 9의 좌측를 눌러 메시지 관리키를 선택하면,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는 도 4와 같은 메뉴 모드로 천이 된다. 메뉴 모드로 천이한 제어부 14는 도 4의 S42과정에서 도 5와 같이 구성된 메뉴 테이블내의 메뉴 인덱스 테이블 52의 내용을 억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4는 S44과정에서 메뉴 인덱스가 저장된 상태인지를 메모리 20내에 설정된 메뉴 인덱스 플래그(index flag)를 읽어 검색한다.
이때, 상기 메뉴 인덱스 플래그가 "1"(set)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 14는 해당 메뉴 인덱스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0"(reset)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메뉴 인덱스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맨 처음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혹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신호에 의해 초기화된다.
상기 S44과정에서 메뉴 인덱스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S46과정에서 현재 선택된 메뉴 및 인덱스를 저장한다. 예컨대, 인덱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로 메시지 관리 메뉴키가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 14는 도 S46과정에서 도 6의 6A와 같이 표시될 메뉴 및 그 인덱스(수신 메시지, 발신 메시지 및 문장 보관함)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현재 선택된 메시지 관리 메뉴의 메뉴 인덱스 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메시지 관리 및 메뉴 포인터의 값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46과정에서 메뉴 및 인덱스를 저장한 제어부 14는 S50과정에서 현재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부 18로 전송하여 도 6의 6A와 같이 표시되도록 한다.
만약, 메뉴 테이블내의 메뉴 인덱스 플래그들중 하나가 "1"로 세트되어 상기 S44과정에서 메뉴 인덱스가 저장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 14는 S48과정에서 도 5의 메뉴 인덱스 테이블 52에서 메뉴 인덱스 플래그가 "1"로 세트된 메뉴 인덱스를 현재의 인덱스로 설정한다. 예컨대, 발신 메시지의 메뉴 인덱스 플래그가 "1"로 세트된 경우, 상기 제어부 14는 S48과정에서 상기 저장된 발신 메시지 메뉴와 그 인덱스들을 현재의 인덱스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4는 S50과정에서 메뉴 인덱스 플래그가 "1"로 세트된 메시지 관리의 메뉴 포인터가 지정하는 메뉴 데이터 테이블 54의 메모리 내용을 억세스하여 도 6의 6D와 같이 해당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한다.
상기 S50과정에서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한 제어부 14는 S52과정에서 메뉴 검색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도 6의 6A 혹은 6D와 같이 메뉴 내용 및 상기 메뉴의 인덱스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키 9의 업/다운(▲/▼)을 선택하여 메뉴 검색을 실행하면, 도 6의 6A에서 음영 처리된 메뉴바(menu bar)가 상측 혹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 14는 상기 다기능 키 9의 업/다운 선택에 응답하여 S52과정에서 메뉴 검색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S54과정에서 인덱스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6A와 같은 상태에서 메뉴바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도 6의 6B와 같이 발신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14는 S54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인덱스로 현재의 인덱스를 변경한다. 그리고, 전술한 S46과정 및 50과정을 수행하여 발신 메시지의 메뉴 인덱스 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발신 메시지의 메뉴 및 인덱스를 저장하고 표시한다. 이때, 메시지 관리의 메뉴 인덱스는 "0"으로 리세트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어부 14의 동작 과정에 의해 현재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가 메뉴 테이블 상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메뉴를 다시 호출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선택된 이전 사용 메뉴가 자동으로 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S52과정에서 메뉴 검색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 14는 S56과정에서 도 1에 도시된 확인키 5가 선택되어 표시된 메뉴 내용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S56과정의 검색결과 확인키 5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 14는 전술한 S50과정으로 점프하여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전 사용메뉴의 내용과 인덱스의 정보를 표시부 18로 전송하여 표시한다.
만약, 상기 S56과정에서 확인키가 선택되어 표시된 메뉴 내용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S58과정에서 서브 메뉴가 있는 메뉴 내용인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6B와 같이 발신 메시지의 인덱스가 선택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확인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 14는 도 5와 같이 구성된 메뉴 인덱스 테이블 52의 내용을 억세스하여 메뉴 포인터내의 서브 메뉴가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 경우, 서브 메뉴는 "1. 편지쓰기, 2. 발신함관리, 3. 휴대폰 송출"이 해당한다.
상기 S58과정에서 서브 메뉴가 있다고 판단한 제어부 14는 42과정부터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서브 메뉴 및 그 인덱스가 저장된다. 만약, 상기 S58과정에서 서브 메뉴가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 14는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동작에 의해 파워-온 한 후, 메뉴키 및 메뉴 검색키를 이용하여 도 6의 6A, 6B 및 6C와 같이 메시지 관리 메뉴의 발신 메시지를 선택하여 편지쓰기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동작하였다고 가정하면, 도 5에 도시된 발신 메시지의 메뉴 인덱스 플래그가 세트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메뉴키를 선택하면 발신 메시지의 메뉴 인덱스 플래그가 세트된 저장 인덱스로부터 메뉴가 표시됨으로써 바로 도 6D와 같은 형태로 메뉴가 표시되어 한번의 키 선택 동작에 의해 메뉴 수준을 실행하고자 하는 메뉴의 기능으로 점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각 메뉴에 진입시 인덱스를 항상 초기화시키기 않고 이전에 선택된 메뉴의 인덱스로 바로 진입함으로써 메뉴 수준이 바뀔 때마다 처음부터 다시 메뉴 검색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뉴 수준이깊게 설정되어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메뉴를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뉴 테이블이 설정된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있어서,
    메뉴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테이블로부터 최근 저장된 메뉴 및 인덱스 정보를 억세스 하여 현재 메뉴 수준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2.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뉴 테이블이 설정된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 테이블에 설정된 다수의 메뉴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 명령에 응답하여 해당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선택 표시하고 그에 속하는 메뉴 및 인덱스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메뉴 선택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표시된 메뉴 및 인덱스를 변경함과 동시에 인덱스 버퍼에 저장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인덱스들중 하나가 선택될 때 해당 인덱스의 메뉴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과정은, 상기 메뉴 및 인덱스를 저장 시에 상기 메모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메뉴 인덱스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메뉴 인덱스 저장 플래그(flag)를 세트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과정은, 메뉴 선택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메뉴 및 인덱스를 억세스하여 메뉴 수준(depth)을 상기 저장 인덱스로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뉴 테이블이 설정된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 테이블에 설정된 다수의 메뉴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메뉴 인덱스의 저장 여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인덱스의 저장 여부를 검색하여 비저장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메뉴 및 인덱스를 인덱스 버퍼에 저장 설정한 후 저장 플레그를 세트하고, 메뉴 인덱스가 저장 상태인 경우에는 저장된 메뉴의 인덱스를 현재 메뉴의 인덱스로 설정하는 인덱스 설정 과정과;
    메뉴 검색키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설정된 인덱스의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 검색키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인덱스를 저장함과 동시에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메뉴의 내용이 선택될 때까지 상기 선택된 메뉴 내용 및 인덱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메뉴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메뉴의 서브메뉴가 유무를 검색하는 서브 메뉴 검색 과정과;
    상기 서브 메뉴 검색 과정에서 서브 메뉴가 검색될 때 상기 초기화과정으로부터 반복수행하고, 서브 메뉴가 없을 때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KR10-2001-0066768A 2001-10-29 2001-10-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KR10043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68A KR100437086B1 (ko) 2001-10-29 2001-10-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68A KR100437086B1 (ko) 2001-10-29 2001-10-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42A true KR20030034942A (ko) 2003-05-09
KR100437086B1 KR100437086B1 (ko) 2004-06-23

Family

ID=2956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768A KR100437086B1 (ko) 2001-10-29 2001-10-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60B1 (ko) * 2002-07-2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근 메뉴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555A (ja) * 1995-04-26 1996-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ニュー表示制御方式
KR100420067B1 (ko) * 1998-07-16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를구비한전자기기에서메뉴항목재설정방법
KR20010097418A (ko) * 2000-04-22 2001-11-08 강원희 사용횟수/최근사용순서를 기반으로 메뉴를 표시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368453B1 (ko) * 2000-08-23 200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및 장치
KR20020080175A (ko) * 2001-04-12 2002-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60B1 (ko) * 2002-07-2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근 메뉴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086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857B1 (ko)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US6381474B1 (en) Method of handling phone operations and a phone using the method
EP1303112B1 (en) Double-acting communication device
EP097956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US8538478B2 (en)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US69072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display unit
US865954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or pictograms
US20010053708A1 (en) Portable telephone
JP2002101178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画面表示方法
KR1004370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KR20010085732A (ko) 유알엘 액세스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
US20020151285A1 (en) Method for selecting to activate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mobile phone in electronic device
KR100806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100664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용구 입력 방법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JP2002229705A (ja) 移動体通信機器
JP5386286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761126B1 (ko)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5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통합검색/바로실행방법
KR200300887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KR20020038849A (ko) 터치 패드를 가지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에 의한 메뉴선택 방법
KR200500558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650691B1 (ko) 디스플레이화면 조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50021849A (ko) 다국어로 서비스를 하는 이동 전화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60108781A (ko) 휴대폰의 바로가기키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