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632A -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632A
KR20030034632A KR1020010066299A KR20010066299A KR20030034632A KR 20030034632 A KR20030034632 A KR 20030034632A KR 1020010066299 A KR1020010066299 A KR 1020010066299A KR 20010066299 A KR20010066299 A KR 20010066299A KR 20030034632 A KR20030034632 A KR 20030034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trader
bad
card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이동규
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규, 박민우 filed Critical 이동규
Priority to KR102001006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4632A/ko
Publication of KR2003003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 발행서버 혹은 관리 서버에서 특정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교통카드로부터 검출된 식별자와 특정 불량거래자 식별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 및 허용하며, 카드 발행서버에서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하여 카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금액을 관리 서버에서 대행하여 카드 발행서버로 지불한 후, 카드 발행서버에 관리 수수료를 청구하여 정산한다.

Description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System for operation using deferred type traffic card}
본 발명은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나 지하철 등의 교통서비스를 이용하고 그에 대한 지불을 행하는 경우, 불량거래자를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불량거래자를 통합 관리함과 동시에 불량거래자 중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특정 불량거래자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후불방식의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불량거래자로 등록된 식별자(교통카드의 ID, 칩의 고유 일련번호 등)를 단말기에서 모두 저장하고, 불량거래자로 등록된 식별자를 갖는 교통카드가 단말기에 접근하면, 단말기는 해당 교통카드의 사용을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현재 후불방식의 교통카드를 발행하는 곳은 국민은행 등과 같은 소수의 기관에 한정되어 있으며, 현재 국민은행 등과 같이 하나의 사업자에 등록된 불량거래자의 수는 대략 35만~50만 명에 이른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금융기관 및 카드 발행사가 존재하며, 이 금융기관 및 카드 발행사가 모두 후불방식의 교통카드를 도입하는 경우, 불량거래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기에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모두 등록한다는 것은 메모리의 용량 관계상 매우 불합리하다는 문제점이발생한다.
또한, 불량거래자의 증가로 인해 운수업체나 금융기관 및 카드 발행업체는 업무상의 부담이 가중되어, 이로 인하여 불량거래자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 인력이 필요하게 되어 시간적 및 경제적인 이중적 손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은 새로운 개념의 불량거래자 관리방식의 도입을 촉구하는 계기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에 대체 지불함과 동시에 전체 불량거래자 중 실제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특정 불량거래자를 선별하고,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행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거래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거래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교통카드200: 단말기
300: 통신망400: 데이터 수집 서버
500: 관리 서버600: 카드 발행 서버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와;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와;교통카드를 발행하고,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식별자와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고 관리하는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관리 서버는,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불량거래자정보와 식별자를 비교하여 정상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한 후, 카드 발행서버로 통지하고; 카드 발행서버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정산 결과를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관리 서버는,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점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와;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와;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식별자와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고 관리하는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관리 서버는, 불량거래자정보와 식별자를 비교하여 정상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한 후, 카드 발행서버로 통지하고; 카드 발행서버는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정산 결과를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관리 서버는,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점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와;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정보와 비교하고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카드 발행서버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하고,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정산 결과를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관리 서버는,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점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와;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정보와 비교하고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카드 발행서버는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하고,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정산 결과를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관리 서버는,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는, 불량거래자정보를 일정 기간을 주기로 카드 발행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단말기로부터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식별자와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카드 발행서버에 접속하여 불량거래자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식별자와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일괄 수집하여 일정 기간마다 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데이터 수집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거래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거래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나 지하철, 택시, 고속도로 톨게이트(tollgate) 등에 설치되어 후불방식 교통카드(100)의 각종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기(200)는 유선망 혹은 무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300)을 통해 데이터 수집서버(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수집 서버(400)는 유/무선을 포함하는 통신망(300)을 통해 관리 서버(500)에 연결되고, 관리 서버(5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카드 발행서버(6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교통카드(100)에 내장된 전자 칩에 기록되어 있는 카드의 식별자(예를 들면, 교통카드의 ID, 칩의 고유 일련번호 등)를 검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그 내부에 장착된 메모리 팩에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거래금액, 거래일시, 거래내용 등)를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200)는 해당 거래내역정보를 교통카드(100)에 기록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말기(200)는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신망(300)을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400)에 전송하거나 혹은 일정 기간(예를 들면, 1일, 12시간 등)을 주기로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200)는 데이터 수집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교통카드(100)로부터 검출된 식별자가 저장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교통카드(100)의 사용을 중지시킨다. 여기서, 특정 불량거래자라 함은,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교통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후 일정기간 이상 수회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악의적 혹은 고의적인 불량거래를 유발하는 사용자를 말하며, 이는 관리 서버(500) 혹은 카드 발행 서버(600)의 분류 기준에 따라 그 정의가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서버(400)는 다수의 단말기(200)로부터 수집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총괄 수집하여 각 식별자별로 거래내역정보를 정리하는 등의 자료정리작업을 수행한 후, 일정기간(예를 들면, 즉시, 12시간, 1일 등)을 주기로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 서버(500)는 데이터 수집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와 카드 발행 서버(600)로부터의 회원정보 및 불량거래자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관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500)는 카드 발행 서버(600)와 연계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기준을 정의하고, 특정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교통카드(100)의 식별자를 별도 관리하며, 데이터 수집 서버(400)를 통해 단말기(200)로 다운로드한다.
한편, 카드 발행 서버(600)라 함은, 교통카드(100)를 발행하는 카드 발행 기관으로서의 성격과, 은행 업무 등의 금융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우선, 관리 서버(500) 혹은 카드 발행 서버(600)는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교통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후 일정기간 이상 수회(예를 들면, 1개월 동안 5회 이상)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악의적 혹은 고의적인 불량거래를 유발하는 특정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생성하여(S101) 데이터 수집 서버(400)에 전송하고, 데이터 수집 서버(400)는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단말기(200)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102). 여기서, 통상의 불량거래자는 현재 대략 35만~50만 명에 달하지만, 상기한 정의에 따른 특정 불량거래자는 대략 35만~50만에 이르는 전체 불량거래자에 대하여 대략 1%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단말기(200)에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모두 저장하는 것에 비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은 메모리 용량에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버스나 지하철을 탑승하는 등의 거래행위를 발생한 후, 교통카드(100)를 단말기(200)에 접근하면(S103), 단말기(200)는 교통카드(100)에 저장된 식별자를 검출하여 단말기(200)내에 저장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S104).
여기서,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가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기(200)는 해당 교통카드(100)를 사용 불가능한 카드로 인식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등의 사용 중지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가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버스 내에 설치된 단말기(200)는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메모리 팩에 저장한다(S105). 또한, 단말기(200)는 해당 거래행위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정보를 교통카드(100)에 기록하고(S106), 메모리 팩에 저장된 식별자및 거래내역정보를 데이터 수집서버(400)로 전송한다(S107). 만약, 단말기(200)가 지하철에 설치된 경우, 단말기(200)는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를 검출하여 데이터 수집 서버(400)에 즉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서버(400)는 다수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를 수집하고(S108), 일정 기간(예를 들면, 1일)을 단위로 수집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109).
한편, 관리 서버(500)가 카드 발행서버(600)에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요청하면(S110), 카드 발행서버(600)는 등록된 불량거래자 리스트(식별자를 포함한 정보)를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111). 이에 따라, 관리 서버(500)는 데이터 수집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카드 발행서버(600)로부터 전송된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불량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정상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한다(S112). 여기서, 관리 서버(500)는 데이터 수집서버(400)로부터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전송 받은 후에 카드 발행서버(600)에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일정 기간마다 카드 발행서버(600)에서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해두고, 데이터 수집서버(400)로부터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기 저장된 불량거래자 리스트와 비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후, 관리 서버(500)는 분류된 불량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정상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카드 발행서버(600)로 전송하고(S113), 카드 발행서버(600)는 관리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불량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정상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데이터 수집서버(400)가 설치된 회사(예를 들면, 버스 회사, 지하철 공사 등)에 거래금액을 정산한다(S114). 이때, 카드 발행서버(600)는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과 정상거래자의 거래금액을 모두 정산한다.
이후, 카드 발행서버(600)는 데이터 수집서버(400)에 정산한 정산결과를 관리 서버(500)에 전송하고(S115), 관리 서버(500)는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600)로 지불한 후(S116), 불량거래자에게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금액과 연체 수수료를 합산한 금액을 청구함과 동시에(S117) 카드 발행서버(600)에 불량거래자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청구한다(S118). 이에 따라, 카드 발행서버(600)는 기 약정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관리 서버(500)에 지불하여 정산한다(S119). 또한, 카드 발행 서버(600)와 관리 서버(500)는 해당 거래내역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우선, 관리 서버(500) 혹은 카드 발행 서버(600)는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교통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불량거래자로 정의된 후 일정기간 이상 수회(예를 들면, 1개월 동안 5회 이상)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악의적 혹은 고의적인 불량거래를 유발하는 특정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생성하여(S201)데이터 수집 서버(400)에 전송하고, 데이터 수집 서버(400)는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단말기(200)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202). 여기서, 통상의 불량거래자는 현재 대략 35만~50만 명에 달하지만, 상기한 정의에 따른 특정 불량거래자는 대략 35만~50만에 이르는 전체 불량거래자에 대하여 대략 1%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단말기(200)에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모두 저장하는 것에 비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은 메모리 용량에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버스나 지하철을 탑승하는 등의 거래행위를 발생한 후, 교통카드(100)를 단말기(200)에 접근하면(S203), 단말기(200)는 교통카드(100)에 저장된 식별자를 검출하여 단말기(200)내에 저장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S204).
여기서,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가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기(200)는 해당 교통카드(100)를 사용 불가능한 카드로 인식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등의 사용 중지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가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버스 내에 설치된 단말기(200)는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메모리 팩에 저장한다(S205). 또한, 단말기(200)는 해당 거래행위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정보를 교통카드(100)에 기록하고(S206), 메모리 팩에 저장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데이터 수집서버(400)로 전송한다(S207). 만약, 단말기(200)가 지하철에 설치된 경우, 단말기(200)는 해당 교통카드(100)의 식별자를 검출하여 데이터 수집 서버(400)에 즉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서버(400)는 다수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를 수집하고(S208), 일정 기간(예를 들면, 1일)을 단위로 수집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209).
관리 서버(500)는 일정 기간을 단위로 불특정 다수의 데이터 수집서버(400)로부터 식별자와 거래내역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카드 발행서버(600)로 전송하고(S210), 카드 발행서버(600)는 관리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불량거래자 리스트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불량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정상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한다(S211).
이후, 카드 발행서버(600)는 분류된 불량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정상거래자의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데이터 수집서버(400)가 설치된 회사(예를 들면, 버스 회사, 지하철 공사 등)에 거래금액을 정산한다(S212). 이때, 카드 발행서버(600)는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과 정상거래자의 거래금액을 모두 정산한다.
이후, 카드 발행서버(600)는 데이터 수집서버(400)에 정산한 정산결과를 관리 서버(500)에 전송하고(S213), 관리 서버(500)는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금액을 별도로 정산하여 카드 발행서버(600)에 지불한다(S214).
또한, 관리 서버(500)는 불량거래자에게 거래금액과 연체 수수료를 합산한 금액을 청구함과 동시에(S215) 카드 발행서버(600)에 불량거래자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청구한다(S216). 이에 따라, 카드 발행서버(600)는 기 약정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관리 서버(500)에 지불한다(S217). 또한, 카드 발행 서버(600)와 관리 서버(500)는 해당 거래내역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금액을 카드 발행서버에 대체 지불함과 동시에 전체 불량거래자 중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특정 불량거래자를 선별하고,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특정 불량거래자에 의한 거래행위를 선별적 및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발행서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모두 운수업체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교통카드 시스템 혹은 서버의 증설이 필요치 않고, 특정 불량거래자를 관리하는 간소화된 시스템 혹은 서버만을 구성하면 되므로 시스템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운수업체는 전체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소수의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만을 다운로드하면 되므로, 업무가 간소화된다.

Claims (8)

  1.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
    상기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상기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식별자와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고 관리하는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상기 불량거래자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비교하여 정상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상기 불량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한 후,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 통지하고;
    상기 카드 발행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상기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상기 정산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상기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2.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
    상기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상기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식별자와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고 관리하는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불량거래자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비교하여 정상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와 상기 불량거래자에 의한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한 후,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 통지하고;
    상기 카드 발행서버는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상기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상기 정산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상기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3.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
    상기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상기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전송된 상기 식별자를 상기 불량거래자정보와 비교하고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드 발행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상기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상기 정산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상기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4. 식별자가 등록된 교통카드;
    상기 교통카드에 등록된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기 등록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비교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카드의 사용 여부를 제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와 거래행위의 발생에 따른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상기 교통카드에 식별자를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식별자를 불량거래자와 정상거래자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자를 상기 불량거래자정보와 비교하고 관리하는 카드 발행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드 발행서버는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불량거래자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불량거래자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와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정상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금액을 상기 단말기가 설치된 사업자에게 정산함과 동시에 상기 정산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카드 발행서버로부터 통지된 정산 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거래자의 거래금액을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지불하고, 상기 불량거래자의 관리를 대행하기로 하고 기 약정한 소정의 관리 수수료를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청구하여 정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일정 기간을 주기로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식별자와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자 및 거래내역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카드 발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상기 식별자와 상기 불량거래자정보를 비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일괄 수집하여 일정 기간마다 상기 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데이터 수집서버를 더 포함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KR1020010066299A 2001-10-26 2001-10-26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KR20030034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299A KR20030034632A (ko) 2001-10-26 2001-10-26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299A KR20030034632A (ko) 2001-10-26 2001-10-26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632A true KR20030034632A (ko) 2003-05-09

Family

ID=2956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299A KR20030034632A (ko) 2001-10-26 2001-10-26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46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05A (ko) * 2002-04-22 2003-11-01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후불형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3101B1 (ko) * 2008-12-29 2011-03-24 주식회사 신한은행 사전 발급된 무임기능을 포함하는 교통카드 운용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05A (ko) * 2002-04-22 2003-11-01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후불형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3101B1 (ko) * 2008-12-29 2011-03-24 주식회사 신한은행 사전 발급된 무임기능을 포함하는 교통카드 운용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801B1 (ko) 지연된 운송 요금 할당
US20020032601A1 (en) Electronic payment parking lot system and method
US20150073883A1 (en) Transit access system and method including device authentication
JP5785343B1 (ja) 未確定の将来売上債権の買い取りを行う店舗を支援する無担保の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売上確定機能付きキャッシュレジスタ並びに券売機
WO20090293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money transfers having a fluctuating parameter
JP2003527701A (ja) パーキングメータシステム
CN101188033B (zh) 基于特征识别的快速联机支付方法与系统
US20050160035A1 (en) Credit transaction system
KR20000050374A (ko) 전자지갑 자동 충전 및 징수장치와 그 처리방법
US20100051690A1 (en) Off Line Micropayment Commerce Transactions Using A Conventional Credit Card
CN110364021A (zh) 一种车位管理系统
KR20000036745A (ko) 사은포인트 적립금을 이용한 교통요금 결제시스템
KR20080017878A (ko) 각 지역별 교통카드를 전국에서 사용하기 위한통합운영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95488A (ko) 이동전화 무선망을 이용한 하이패스카드 충전방법
KR20000037204A (ko) 무선인식칩 내장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소액구매요금및 통신요금 통합 징수시스템
KR20030034632A (ko) 후불방식의 교통카드 운영시스템
KR100334444B1 (ko) 주차관리 시스템
JP5492912B2 (ja) ネガ情報管理システム、ネガ情報管理方法、およびネガ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629789B1 (ko) 주차 포인트 관리용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주차관리 및고객관리방법
KR20050075773A (ko) 주차 시스템
JP4215419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装置並びに端末装置
JP4133721B2 (ja) 電子乗車券チケッティ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30034631A (ko) 후불방식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시스템
KR20110071471A (ko) 포인트를 이용한 교통 요금 자동 할인 또는 자동 충전 시스템
JP2003085608A (ja) 有料道路における通行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417

Effective date: 200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