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405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405A
KR20030032405A KR1020010064158A KR20010064158A KR20030032405A KR 20030032405 A KR20030032405 A KR 20030032405A KR 1020010064158 A KR1020010064158 A KR 1020010064158A KR 20010064158 A KR20010064158 A KR 20010064158A KR 20030032405 A KR20030032405 A KR 2003003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management
failure
network
devices
f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966B1 (ko
Inventor
박현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9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상호간에 제어가 가능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등의 디바이스에서 각기 발생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한다.
복수의 디바이스가 상호간에 제어 가능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그 복수의 디바이스 내에 장애관리 FCM을 각기 구비하여 디바이스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취득 및 수집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가 입력될 경우에 현재 수집하였거나 현재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네트워크에 장애관리 에이전트를 연결하여, 장애관리 매니저로부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가 입력될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관리 FCM으로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하고 그 요구에 따라 장애관리 FCM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장애관리 매니저로 전송하는 장애관리 에이전트로 전송한다. 상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는, 현재 발생된 장애관리 정보요구,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 요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요구 및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해제 요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System for fault management of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상호간에 제어가 가능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등의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각종 장애를 중앙통신망 관리센터에 설치된 장애관리 매니저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각종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등의 디바이스들이 점진적으로 출현되고, 그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안중의 하나로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가 알려져 있다.
상기 HAVi는 일본국의 소니(Sony)가 제안한 홈 네트워킹 기술 표준 중의 하나로 서로 다른 제조회사에서 제조한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상기 HAVi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에 연결할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의 수속이 취해져 상호간에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HAVi는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Plug)만으로 디바이스들이 서로 상호간을 인식하여 사용(Play)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 가정 내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원하는 소정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이고, 그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동작하면서 각기 발생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간에 제어가 가능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동작하면서 각기 발생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 및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요구하여 수집함은 물론 장애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요구하여 수집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가 상호간에 제어 가능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그 복수의 디바이스 내에 장애관리 FCM을 각기 구비하여 디바이스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취득 및 수집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가 입력될 경우에 현재 수집하였거나 현재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에는 장애관리 에이전트를 연결하여, 장애관리 매니저로부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가 입력될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관리 FCM으로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하고 그 요구에 따라 장애관리 FCM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장애관리 매니저로 전송하는 장애관리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는, 현재 발생된 장애관리 정보요구,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 요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요구 및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해제 요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장애관리 매니저가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장애관리 매니저가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장애관리 매니저가 장애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 수집을 종료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수의 디바이스 110 : 메시징 시스템
120 : 시스템 소프트웨어 엘레멘트 130 : 복수의 FCM
140 : 어플리케이션 150 : 장애관리 FCM
200 : 네트워크 300 : 장애관리 에이전트
400 : 장애관리 매니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및 DTV(Digital TV) 등을 비롯한 각종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인 복수의 디바이스이다.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100)들은, 예를 들면, HAVi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IEEE 1394 인터페이스 규격의 메시징 시스템(Messaging System)(110)과, 시스템 소프트웨어 엘레멘트(System Software Elements)(120)와, 복수의 FCM(Functional Component Module)(130)과, HAVi 운용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그 복수의 디바이스(100) 내에, 각기 장애관리 FCM(15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100)들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며, 중앙통신망 관리센터에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구비된다.
상기 장애관리 FCM(150)은, 상기 장애관리 에이전트(300)가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해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FCM(130)으로부터 장애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제공한다.
상기 장애관리 에이전트(300) 및 장애관리 매니저(40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인터넷 망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를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상호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장애관리 시스템은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복수의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경우에 먼저 TCP/IP를 이용하여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 접속하고, 접속이 완료될 경우에 장애관리 매니저(400)는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복수의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바이스(100)에서 현재 발생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 과거에 발생한 장애관리 이력정보 및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등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이러한 서비스의 요구를 수신한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그 서비스 요구를 해석하고, 해석한 서비스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바이스(100)내의 장애관리 FCM(150)에게 현재 장애관리 정보, 과거 장애관리 이력정보 및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등의 각종 장애관리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다.
상기 장애관리 FCM(150)은 복수의 FCM(130) 등을 통해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취득하여 수집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장애관리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에 장애관리 FCM(150)은 상기 FCM(130)을 통해 수집 및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전송하고,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그 장애관리 FCM(150)로부터 전송 받은 장애관리 정보를 장애관리 매니저(40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현재 장애관리 정보, 과거 장애관리 이력정보 및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동작을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복수의 디바이스(100)에서 발생한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인터넷 망을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 연결한 상태에서 장애관리 매니저(400)는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그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100)들에 대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500)한다.
그러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상기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500)를 해석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바이스(100)들 내의 장애관리 FCM(150)에게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501)한다. 상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501)를 수신한 장애관리 FCM(150)들은 복수의 FCM(130)로부터 현재 발생된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제공(502)한다.
상기 장애관리 FCM(150)로부터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제공(502)받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100)들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복수의 디바이스(100)들에 대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장애관리 매니저(400)에게 상기 수집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를 전송(503)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복수의 디바이스(100)에서 발생한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그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100)들에 대한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요구(510)한다.
그러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상기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의 요구(510)를 해석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정의 디바이스(100) 내의 장애관리 FCM(150)에게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요구(511)한다. 상기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의 요구(511)를 수신한 장애관리 FCM(150)들은 현재까지 복수의 FCM(130)로부터 취득하여 수집한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제공(512)한다.
상기 장애관리 FCM(150)로부터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제공(512)받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100)들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복수의 디바이스(100)들에 대한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를 장애관리 매니저(400)에 전송(513)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복수의 디바이스(100)에서 발생한 장애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 수집을 종료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그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디바이스(100)에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을 요구(520)한다.
그러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현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을 요구(520)를 해석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디바이스(100)들의 장애관리 FCM(150)에게 설정된 주기와 현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에 대한 명령을 전송(521)한다.
상기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로부터 설정된 주기와 현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에 대한 명령을 전송(521)받은 장애관리 FCM(150)은 상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FCM(130)로부터 장애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 상기 주기적으로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제공(522)한다.
상기 장애관리 FCM(150)로부터 주기적으로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제공(522)받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그 제공받은 장애관리 정보를 장애관리 매니저(400)에게 전송(523)하는 것으로서 장애관리 FCM(150)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에게 주기적으로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제공(522)하는 동작과, 장애관리 에이전트(300)가 장애관리 매니저(400)에게 제공받은 장애관리 정보를전송(523)하는 동작을 계속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로 디바이스(100)들에 대한 현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의 종료를 요구(524)할 경우에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는 디바이스(100)들의 장애관리 FCM(150)에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종료를 요구(525)하고, 장애관리 FCM(150)는 그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종료의 요구(525)에 따라 장애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를 통해 그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100)로부터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애관리 매니저(400)가 장애관리 에이전트(300)를 통해 그 장애관리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100)들 중에서 선택된 소정의 디바이스(100)로부터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HAVi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HAVi 이외에 다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간단히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의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중앙 통신망 관리센터에 설치된 장애관리 매니저의 요구에 따라 장애관리 에이전트가 복수의 디바이스 내에 각기 설치된 장애관리 FCM를 통해 현재 및 과거 이력 장애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장애관리 매니저에 제공하거나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장애관리 정보를 장애관리 매니저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중앙 통신망 관리센터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 관리체계를 구현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관리 정보 예를 들면, 경보, 장애, 과부하, 고장 등에 대한 반응시간을 최소화하고, 디지털 가전기기의 제조회사와 그 디지털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고객들과의 상호작용 및 서비스 지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디바이스 상호간에 제어 가능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내에 각기 구비되어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가 입력될 경우에 현재 수집하였거나 현재 취득한 장애관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장애관리 FCM; 및
    장애관리 매니저로부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가 입력될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관리 FCM으로 장애관리 정보를 요구하고 그 요구에 따라 장애관리 FCM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장애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장애관리 매니저로 전송하는 장애관리 에이전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리 정보의 요구는;
    현재 발생된 장애관리 정보요구, 과거의 장애관리 이력정보 요구,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요구 및 장애관리 정보의 주기적 수집 해제 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KR10-2001-0064158A 2001-10-18 2001-10-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KR10040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158A KR100405966B1 (ko) 2001-10-18 2001-10-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158A KR100405966B1 (ko) 2001-10-18 2001-10-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05A true KR20030032405A (ko) 2003-04-26
KR100405966B1 KR100405966B1 (ko) 2003-11-14

Family

ID=2956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158A KR100405966B1 (ko) 2001-10-18 2001-10-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474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기기의 진단/복구를 수행하는 게이트 웨이 및 그방법
KR100745672B1 (ko) * 2005-12-02 200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홈 서비스 장애 관리 방법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474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기기의 진단/복구를 수행하는 게이트 웨이 및 그방법
KR100745672B1 (ko) * 2005-12-02 200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홈 서비스 장애 관리 방법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966B1 (ko)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2928B2 (en)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Valtchev et al. Service gateway architecture for a smart home
JP405884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EP11838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from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KR100736090B1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KR20010108221A (ko) 텔레비전과 통신 시스템 및 텔레비전들 간의 통신 제공 방법
KR20020005771A (ko) UPnP 서브-네트워크와 HAVi 서브-네트워크를브릿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US20060190571A1 (en) Service framework for home network
EP1169812B1 (en) Broadcast discovery in a network having one or more 1394 buses
JP2005512399A (ja) HAViとUPnPのブリッジ
EP1394986B1 (en) Service gateway for controlling audio/video devices in a local network
JP2005512401A (ja) HAViとUPnPのブリッジ
EP14781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eparate networks
KR100427697B1 (ko)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KR20050059299A (ko) 네트워크 스테이션 및 분산된 스테이션의 네트워크에서의논리적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KR100371166B1 (ko) 홈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405967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방법
KR100412365B1 (ko) 브릿지 수단을 가지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동작방법
KR100405966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장애관리 시스템
KR100463839B1 (ko)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 제어 미들웨어를 지원하는정보기기간의 협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17287B1 (ko) 브릿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관리 방법 및 브릿지 디바이스
CN101785245A (zh) 根据控制点的连接状态管理通用即插即用设备的资源的方法和装置
KR100706318B1 (ko) LnCP와 이질적인 프로토콜간의 호환을 지원하는 방법
JP4511947B2 (ja) 第2の形式の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第1の形式のネットワークのネットワーク局の入力パラメータを提供する方法及び第1及び第2の形式のネットワークの接続用の接続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