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040A - 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040A
KR20030032040A KR10-2003-7003904A KR20037003904A KR20030032040A KR 20030032040 A KR20030032040 A KR 20030032040A KR 20037003904 A KR20037003904 A KR 20037003904A KR 20030032040 A KR20030032040 A KR 2003003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bristle
free ends
structured
lase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오르그 베이라흐
Original Assignee
초로네트-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로네트-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초로네트-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3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04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8Preparing uniform tufts of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9/00Machines for finishing brushes
    • A46D9/02Cutting; Tr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솔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소성재료의 각각의 강모들(3) 또는 그룹들(9)로 결합된 강모들(3)을 지지체(2)상에 소정의 배열로 장착함으로써 소망의 강모무리(bristle stock)를 형성하며, 소정의 배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의 적어도 일부 강모들은 레이저방사를 사용하여 비접촉식으로 바람직한 규칙적인 구조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레이저방사를 통한 강모들의 자유단들의 비접촉절단을 제안함으로써 세정작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외측 및 강모무리의 꼭대기에 구조들을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생성한다.In a method of producing a brush product, a desired bristle is prepared by mounting the bristles 3 bonded to the respective bristles 3 or groups 9 of the plastic material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the support 2. forming bristle stock, and at least some of the bristles of a given arrangement or mounted bristles are provided in a contactless, desirable regular structure using laser radi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creates structures in a reproducible manner on top of the outer and bristle to support cleaning by suggesting non-contact cutting of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via laser radiation.

Description

강모제품들을 생산하는 방법{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솔제품은 대개 어느 정도 규칙적인 강모무리로 구성되며, 동일한 강모무리를 형성하는 강모들은 평평하거나 연속적이거나 또는 불연속적인 굽은 포락면으로 배치된 자유강모단들을 가진 매끈한 포락면을 가진다. 강모들의 외피가 주로 닦아내는 효과를 가지는 반면 강모끝들은 표면에 대한 기계적 작용을 통한 세척, 연마 또는 광택의 주요 목적을 가진다. 복수의 강모들은 효과적이며 주로 평면세정을 실질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강모무리 내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솔질시 강모무리의 외측강모들의 포락면들만이 실질적으로 효과적이며, 내측강모들은 그것들 사이의 강모들을 지지하고 도포매체 또는 강모들간의 좁은 모세관들에서 솔질효과를 위해 요구되는 매체를 보유하는 부가기능을 공급할 뿐이다.Brush products usually consist of some regular bristles and bristles forming the same bristle have smooth envelopes with free bristles arranged in flat,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urved envelopes. While the shells of the bristles have a primarily wiping effect, the bristles have the main purpose of cleaning, polishing or polishing through mechanical action on the surface. Multiple bristles are effective and must be provided within the bristle primarily to substantially secure planar cleaning. Only the envelopes of the outer bristles of the bristles when brushing are practically effective, and the inner bristles support the bristles between them and have the additional function of retaining the media required for the brushing effect in the narrow capillaries between the coating medium or bristles. Just supply

예컨대, 솔제품의 제조 후 기계적 재료마모를 통하여 강모무리의 외측강모들을 구조화함으로써 솔질시 초래되는 세정, 광택 또는 연마과정에 강모포락면을 포함하기도 하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미국특허 제5,678,275호). 이 처리방식은 만족스러운 결과들을 제공하지 못한다. 특히, 강모무리내의 위치 및 지지체상의 장착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그것들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강모들이 편향되기 때문에, 특이하게 국부에 위치되며 기하학적인 소정의 구조들은 생산될 수 없다.For example,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clude bristle flanks in the cleaning, polishing or polishing process resulting from brushing by structuring the outer bristles of bristles through mechanical material wear after manufacture of the brush product (US Pat. No. 5,678,275). This approach does not provide satisfactory results. In particular, because the bristles are deflected due to their resilience, which depends on the position in the bristle and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point on the support, certain locally located and geometrically shaped structures cannot be produced.

본 출원인은 강모들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압출성형된 단섬유들을 단섬유포락면(monofilament envelope)의 레이저처리를 통하여 구조화하는 것도 제안하였다(WO 99/66111). 단섬유들은 그 후에 가닥들(strands)로 결합되고 가닥의 강모들은 소망하는 길이로 잘린다. 가닥으로 결합될 때 단섬유들은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강모무리의 결합된 강모들에 대해 국부적으로 정해진 구조는 생성될 수 없다. 또한, 다소 조잡하게 구조화된 강모들은, 예컨대 다발들과 같은 그룹들로의 기존의 분류시 문제점들을 일으킨다. 이는 다발내의 강모들의 갯수에 커다란 변동을 초래한다. 이 방법은 또한 가장 효과적인 강모들이 있는 강모무리의 외측영역에서 구조화되는 강모들의 배열을 용이하지 않게 한다. 내측에 배치되고 구조화되는 강모들은 덜 효과적이며 심지어 외측영역의 그것들에 비하여 쓸모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초과량의 재료가 구성되고 어쩌면 단섬유처리에 의하여 약화될 수도 있다. 게다가, 단섬유들의 제조시 레이저처리에 의하여 생산공정이 늦어지게 된다.The Applicant has also proposed to structure the extruded short fibers used to produce bristles through laser treatment of a monofilament envelope (WO 99/66111). The short fibers are then joined into strands and the bristles of the strand are cut to the desired length. Since the short fibers are axially displaced relative to one another when joined in strands, a locally defined structure for the bound bristles of the bristles cannot be produced. Also, rather coarsely structured bristles cause problems in existing classification into groups such as, for example, bundles. This causes a large variation in the number of bristles in the bundle. This method also does not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bristles structur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bristle with the most effective bristles. The inner bristles arranged and structured are less effective and even useless compared to those in the outer region. Thus, unnecessary excess material may be constructed and possibly weakened by short fiber treatment. In addition, the production process is delayed by laser treatment in the production of short fibers.

평면의 강모표면(자유강모단들의 외피면)은 많은 응용들, 특히 칫솔들에서 충분한 세정을 용이하게 하지 않는 것이 얼마간 알려져 있다. 그러한 칫솔강모무리의 강모들은 치아의 불규칙한 굴곡들을 적절하게 따라갈 수 없다. 치간공간들도 충분히 처리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이런 이유로, 크게 차이나는 강모무리 "지형들"을 가지는 칫솔들이 제안되었다. 지형들은 대개, 예컨대 강모들의 절단(미국특허 제2,227,126호, 독일특허 제198 32 436호, 유럽특허 제0 736 270호)과 같은 강모끝들에 수반되는 가소성재료의 기계적 마모를 통하여 생성되며 따라서 관련하여 요구되는 기계적 연마 또는 절단처리를 필요로 한다. 단지 제한된 변형들만이 가능하다. 지지체상에 강모들을 장착하기 전의, 강모들의 상호간의 축방향 변위(유럽특허 제0 346 646호)는 더 나은 결과들을 이끌었고, 이론적으로는 어떠한 "지형"도 생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지지체상에 강모들을 장착하기 전에 부가적인 처리단계를 요구한다. 게다가 지형적 강모들은 제 위치에 유지된 후 강모지지체에 연결되어야 한다.It is known to some extent that planar bristle surfaces (surface surfaces of free bristle bristles) do not facilitate sufficient cleaning in many applications, especially toothbrushes. Such bristle bristles cannot adequately follow the irregular bends of the tooth. Interdental spaces remain untreated enough. For this reason, toothbrushe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bristles "terrains" have been proposed. The topography is usually created through mechanical wear of the plastic material accompanying the bristle ends, such as for example, cutting of the bristles (US Pat. No. 2,227,126, German Patent No. 198 32 436, European Patent No. 0 736 270). Therefore, the required mechanical polishing or cutting treatment is required. Only limited variations are possible. The mutual axial displacement of the bristles (European Patent No. 0 346 646) prior to mounting the bristles on the support led to better results and could theoretically produce any "terrain". This method requires an additional processing step before mounting the bristles on the support. In addition, the topographic bristles must be held in place and connected to the bristle supports.

본 발명은 각각의 강모들 또는 그룹들로 결합된 강모들을 지지체상에 소정의 배열로 장착함으로써 소망의 강모무리(bristle stock)를 형성하며, 적어도 강모무리의 일부 강모들의 외피가 구조를 수용하도록 가공되어지는 솔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esired bristle stock by mounting the bristles joined into respective bristles or groups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a support, and processing at least some shells of the bristles to accommodate the structure.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brush product.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강모들 또는 그룹들로 결합된 강모들을 지지체상에 소정의 배열로 장착함으로써 소망의 강모무리(bristle stock)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의 강모들의 자유단(free ends)들이 짧게 되어있는 솔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forms the desired bristle stock by mounting the bristles joined in respective bristles or groups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the support, wherein the free ends of at least some of the bristles are short. It is about how to produce a brush product.

도 1 내지 6은 강모외피에 다른 구조들을 가진 칫솔머리의 측면도들을 보여준다.1-6 show side views of the toothbrush heads with other structures in the bristles.

도 7 및 8은 강모외피 및 강모끝 지형에 구조들을 가진 칫솔머리의 측면도를 보여준다.7 and 8 show side views of toothbrush heads with structures in the bristle shell and bristle topography.

도 9 내지 11은 다른 선형 지형들을 가진 칫솔머리의 평면도들을 보여준다.9-11 show top views of the toothbrush heads with other linear topography.

도 12 내지 14는 다른 구조들 또는 "지형들"을 가진 칫솔머리의 사시도들을 보여준다.12-14 show perspective views of toothbrush heads with other structures or “terrains”.

도 15 내지 17은 다른 "지형"들을 가진 전동칫솔들에 대한 교환가능한 칫솔머리의 강모무리의 평면도들을 보여준다.15-17 show top views of bristle of interchangeable toothbrush heads for powered toothbrushes with different “terrains”.

도 18은 도 13 및 14에 대응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보여준다.18 show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S. 13 and 14.

도 19 내지 21은 도 1 내지 8의 실시예들의 변형들의 도면들을 각각 보여준다.19-21 show views of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of FIGS. 1-8, respectively.

도 22 내지 24는 구조화된 각 강모의 도면을 보여준다.22-24 show views of each structured bristles.

도 25는 원형강모의 사시도를 보여준다.2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round bristle.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강모지지체상에 강모들을 장착하기 전 또는 후에 임의의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강모포락면들의 구조화가 가능한 솔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임의의 소망되고 재현가능한 강모끝포락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강모끝들이 짧아져야 한다.It is a fundament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method for producing a brush product which is capable of structuring bristle envelopes in any reproducible manner before or after mounting the bristles on a bristle support. The bristle ends must be shortened to form any desired and reproducible bristle envelope.

본 발명 목적의 제1부는, 소정의 배열에서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에서 적어도 일부의 강모들이 접촉없이 레이저방사를 사용하여 구조화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The first par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in that at least some of the bristles are structured using laser radiation without contact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 in the mounted bristles.

기존에는(독일특허 제198 29 943호), 완성된 강모무리는 마모의 표시로서 레이저방사를 사용하여 표시되었다. 강모재료 그 자체는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에는 관계없다.Previously (German Patent No. 198 29 943), the finished bristle was displayed using laser radiation as an indication of wear. The bristle material itself is not removed, so it does not matter.

현대 레이저기술은 레이저방사 작용의 정확한 국부화 및 각 지점들 또는 선들과 같이 가장 작은 표면들상의 효과의 집중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게다가 처리되는 재료들에 적합하게 될 수 있고, 재료에 따라 깊이의 정확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레이저에너지의 본 발명에서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강모무리의 강모들의 외피에 대하여 기하학적 배열의 한정되고 규칙적인 구조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여기서 구조들의 기계적 효과는 또한 레이저방사의 깊이의 정확한 제어를 통하여 영향받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비접촉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강모들의 탄력성에 무관하게 재현가능한 구조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가소성강모들의 경우가 특히 그러하지만, 본 발명은 이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저기술은 또한 가까운 응용에서 구조들의 유형 및 배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 구조들은 구조들의 매끈한 표면들로 인하여 복잡함없이 전달되고 쉽게 헹궈질 수 있는 세정 또는 도포매체들에 대한 수용능력을 개선시킨다.Modern laser technology enables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laser radiation ac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effects on the smallest surfaces, such as points or lines. It can furthermore be adapted to the materials to be processed, allowing precise adjustment of the depth depending on the material. Thus, the use of the laser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allows the creation of limited and regular structures of geometric arrangement with respect to the shell of the bristles of the bristle, where the mechanical effect of the structures is also accurate in the depth of the laser radiation. Can be influenced through control. Since this method is carried out in a non-contact manner, reproducible structures can be produced irrespective of the elasticity of the bristles.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ith plastic bristles,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material. Laser technology also enables control of the type and arrangement of structures in close applications. These structures improve the capacity for cleaning or application media that can be transferred and rinsed without complexity due to the smooth surfaces of the structures.

이 구조들은 또한 강모들이 연마재를 포함하는 공업용솔들의 구조화된 모퉁이들의 연마효과 뿐만 아니라, 칫솔 및 바디브러쉬들의 마사지효과도 증가시킨다.These structures also increase the polishing effect of toothbrushes and bodybrushes, as well as the polishing effect of the structured corners of industrial brushes in which bristles contain abrasives.

본 발명의 방법은 레이저방사를 사용한 강모들의 자유단들의 접촉없는 절단을 통하여 강모무리 "지형"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bristle “topography” through contactless cutting of the free ends of bristles using laser spinning.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방법은, 강모배열 또는 강모무리 표면에 예컨대 미세점 또는 선형의 오목부들과 같은 가장 미세한 구조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포락면이 어떤 소망하는 형태의 단계들을 가져 솔질시 부가적인 긁힘 또는 할큄효과들을 제공한다.This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lows the creation of the finest structures on the bristle array or bristle surface, for example micropoints or linear recesses, so that the envelope has some desired shape steps when brushing. Provide additional scratching or scratching effect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이저원은 레이저처리로 인한 열부하(thermal loading)를 통하여 강모들의 자유단들을 둥글게 제어한다. 도입된 레이저에너지에 의한 가소성재료의 증발 또는 기화를 통하여 대체로 구조가 생성되는 한편, 강모들을 자유강모단에서 절단할 때도 놀랍게도 강모끝이 유익하게 돔과 같이 둥글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이유는 단섬유생산으로 인하여 선형배향을 가지는 강모들의 분자들이 레이저방사의 작용지점에서 열적으로 부하가 걸려 무질서하고 얽힌 상태로 재배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aser source roundly controls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through thermal loading due to laser treatment. While evaporation or vaporization of the plastic material by the introduced laser energy generally produces a structure, it has been surprisingly found that the bristle tip is advantageously rounded like a dome even when the bristles are cut from the free bristles. The reason is that due to the production of short fibers, the molecules of the bristle with linear orientation can be rearranged in a disordered and entangled state due to thermal loading at the point of action of laser radiation.

레이저원은 또한 각각의 재료, 바람직하게는 가소성재료에 따라 가소성재료의 열적분해에 따른 재료의 제거를 통하여 강모외피들이 성형되도록 설계된다. 증발 및 기화공정들은 또한 재료제거를 일으킨다. 이는 모든 기계적 처리방법들에 비하여 구조들이 마모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마모는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는 솔제품, 특히 칫솔들과 같은 위생솔들의 사용시 재료의 손실을 일으킨다. 도포용 솔들의 경우에서, 그러한 마모는 도포층내에 불규칙성들을 야기하는 물질들의 함유를 초래할 수 있다. 기계적 처리시, 제거된 재료의 잔여물들이 항상 강모들상에 남게되고 이는 100%성공의 보장이 없는 연속적인 세정공정들을 요구할 것이다.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그러한 세정의 필요성을 미연에 방지한다.The laser source is also designed such that the bristle shells are molded through the removal of the material following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plastic material, depending on the respective material, preferably the plastic material. Evaporation and vaporization processes also result in material removal.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s do not wear out over all mechanical treatments. Wear causes loss of material in the use of brush products, especially hygiene brushes such as toothbrushes, which can cause problems. In the case of application brushes, such abrasion can result in the inclusion of materials that cause irregularities in the application layer. During mechanical treatment, residues of the removed material will always remain on the bristles, which will require continuous cleaning processes without guarantee of 100% succes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voids the need for such cleaning.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강모외피들은 가소성재료의 거품화를 통하여 구조화된다. 실제 실험들은 레이저처리에 의한 가소성재료의 거품들이 고르지않은 강모외피면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거품화는 충전재들, 레이저유도 등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stles are structured through foaming of the plastic material. Practical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bubbles of plastic material by laser treatment form an uneven bristle envelope. This foaming can be controlled through fillers, laser induction and the like.

둘 또는 다수 성분의 솔들은 코어(core) 및 외피로 구성된 것이 알려진다. 코어 및 외피가 다른 색깔들을 가진 것들은, 특히 마모표시에 사용된다. 초기에 한가지 색깔만 가진 강모들은 강모끝의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색깔을 보임으로써 마모의 정도를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그러한 강모들을 가진 솔제품에서 외피가 레이저방사에 의해서만 구조화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외피재료의 국부적인 제거를 통하여 코어까지 외피의 구조화를 가능하게 한다.It is known that two or more component brushes consist of a core and an outer sheath. Those with different colors in the core and shell are used, in particular, for indication of wear. Initially, only one color of bristles shows the degree of wear by showing different colors as the wear of the bristles increase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in a brush article with such bristles, the skin is structured only by laser radiation. This enables the structuring of the sheath to the core through local removal of the sheath material.

후속하는 구조화의 결과로서 강모단면 및 선택된 가소성재료에 의해 정해진 특성들의 불리한 변화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모들의 외피구조가 강모단면의 10%이하의 깊이로 연장하는 것을 제공한다. 강모무리 내 구조들의 깊이 및 국부배열은 각각의 강모 및 전체 강모무리의 정적인 특성들이 소망의 정도로 유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adverse changes in properties defined by the bristle cross section and the selected plastic material as a result of the subsequent structur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shell structure of the bristles extends to less than 10% of the bristle cross section. The depth and local arrangement of the structures in the bristle can be selected such that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each bristle and the entire bristle are maintained to a desired degree.

"지형들"의 생성 중, 강모들의 자유단들은 실질적으로 선형패턴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이 선형패턴은 "지형"에 대한 최적의 효과들을 얻기 위하여 개별적인 솔제품에 대하여 수직한 이동방향들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During the generation of "terrains",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can be shortened substantially in a linear pattern. This linear pattern can be adapted to the directions of movement perpendicular to the individual sole product in order to obtain optimal effects on the "terrain".

이웃한 강모들의 자유단들도 짧아질 수 있고, 그에 의하여 계단형의 외피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free ends of the adjacent bristles can also be shortened, thereby forming a stepped skin surface.

강모들의 각 그룹들만의 자유단들이 레이저방사에 의해 짧아질 수 있다. 하나의 각 강모그룹에서 강모들의 자유단들이 짧아져서, 예컨대 다발의 끝들을 원뿔형으로 하는 비평면외피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free ends of each group of bristles can be shortened by laser radiation.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in each bristle group may be shortened, for example to form a non-planar envelope with conical ends of the bundl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제조된 강모배열에 대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에 배치된 강모들의 외피만이 구조화될 수 있다. 그 대신 또는 부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강모들도 강모들의 분리 및 측면편향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어(독일특허 제198 32 436호, 유럽특허 제0 763 270호) 그것들의 외피들의 구조화를 가능하게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on the prepared bristle array or on the mounted bristles. In this case, only the sheath of the bristles arranged on the outside can be structur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inner bristles can also be exposed through the separation and side deflection of the bristles (German Patent No. 198 32 436, EP 0 763 270)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their shells. Let's do it.

강모들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가소성재료들의 제어식 구조화를 위해 레이저방사가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레이저방사를 흡수하는 충전재들을 가진 강모들을 사용하여, 구조화의 보다 용이하고 보다 정밀한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충전재들은, 예컨대 포락면에 가까운 강모들의 일정한 단면영역들에만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외측윤곽영역들에 윤곽을 나타내는 단면을 가지는 강모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다각형 단면들의 다각형 모퉁이들의 영역에 본 발명의 구조화와 관련하여 솔질시, 특히 집중적인 기계적 작용을 일으키게 한다.Although laser spinning can be used for the controlled structuring of a plurality of plast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bristles, it may be advantageous to provide easier and more precise control of the structuring using bristles with fillers that absorb laser radiation. have. Fillers may be provided, for example, only in certain cross-sectional areas of the bristles close to the envelope surface, or in bristles having a cross section that outlines the outer contour areas. This leads to a particularly intensive mechanical action, especially when brushing in connection with the structuring of the invention in the region of the polygonal corners of the polygonal cross sections.

최종적으로, 레이저처리시 생성된 구조는 가소성재료의 동시적인 착색을 통하여 가시화될 수 있다. 그 대신 또는 부가적으로, 레이저처리시 생성된 구조는, 레이저방사에 따라 그것들의 색깔이 변하는 강모들의 가소성재료에 포함된 충전재들을 통하여 가시화 될 수도 있다.Finally, the structure produced during the laser treatment can be visualized through simultaneous coloring of the plastic material.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structures produced during laser processing may be visualized through the fillers contained in the plastic material of the bristles whose color changes with laser radiation.

본 발명은 도면에서 보인 일부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som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 내지 12의 실시예에서, 도면에서 일부 보여진 칫솔(1)의 머리(2)는 지지체(2)상에 세워지게 모두 개별적으로 장착된 강모들(3)을 위한 지지체를 형성함으로써, 강모무리(4)는 중간의 좁은 모세관들을 한정하는 비교적 밀집된 강모패키지로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평행선들의 형상인 구조들(5)은 레이저방사를 이용한 강모외피로부터의 재료의 제거를 통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따른 구조화는 특히 소위 적백세정방법에 대하여 양호한 효과를 준다.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12, the head 2 of the toothbrush 1 shown in part in the drawing forms a support for the bristles 3, all individually mounted, standing up on the support 2. (4) consists of a relatively dense bristle package defining a narrow narrow capillary in the middl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structures 5 in the form of parallel lines are formed through the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bristle shell using laser radiation. The structuring according to FIG. 1 gives a particularly good effect on the so-called red-white cleaning method.

개별적으로 서있는 강모들(3)의 강모무리(4)도 예시한 도 2의 실시예에서, 물결선 형태의 구조들(5)은 도 1의 것들보다 더 좁은 레이저방사를 통하여 제공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which also illustrates the bristle 4 of the individually standing bristles 3, wavy structures 5 are provided via narrower laser radiation than those of FIG. 1.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강모무리(4)의 외측강모들에서의 구조들(5)이 경사해칭의 형태로 제공되고,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십자해칭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2 내지 4의 실시예들은 어떤 치아세정법에 대하여도 적합하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structures 5 in the outer bristles of bristle 4 are provided in the form of oblique hatching, and in the embodiment of FIG. 4 in the form of cross hatching. 2 to 4 are suitable for any dental cleaning method.

도 5의 실시예는 외측강모들상의 원형평면오목부들의 형태인 구조들(5)을 보여주며, 도 6은 원형선들의 구조들(5)을 보여준다.The embodiment of FIG. 5 shows structures 5 in the form of circular planar recesses on the outer bristles, and FIG. 6 shows the structures 5 of circular lines.

도 7의 실시예에서, 강모무리(4)의 강모들(3)은 다른 길이들을 가지는, 즉 강모무리의 나머지영역에서보다 솔머리(2)의 앞쪽끝의 영역에서 그 길이들을 더 길게 함으로써 앞쪽영역에서 하나의 단계를 갖는 "지형"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에서와 유사한 형태로, 구조들(5)은 이 앞쪽영역에서만 외측강모들의 외피에 제공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bristles 3 of the bristle 4 have different lengths, ie, the fronts by making them longer in the area of the anterior end of the bristle 2 than in the rest of the bristle. It will form a "terrain" with one step in the region. In a form similar to that in FIG. 1, the structures 5 are provided in the shell of the outer bristles only in this anterior region.

도 8의 실시예에서, 강모무리(4)는 일부 강모들(3)의 끝들이 한 평면 내에 놓이고, 다른 부분들의 강모들의 끝들은 각 그룹들(6)로 세분되어 강모지지체(2)에 비해 더 높은 평면에 놓여진 "지형"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그룹(6)의 튀어나온 강모들만이 선형구조들을 가진다.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bristles 4 have the ends of some bristles 3 in one plane, and the tips of the bristles of the other parts are subdivided into respective groups 6 to the bristle support 2. Have a "terrain" that lies in a higher plane in comparison. In this embodiment, only the protruding bristles of the group 6 have linear structures.

도 9 내지 11은 강모무리(4)를 가진 칫솔머리(2)의 평면도를 각각 보여주며,강모들(3)의 자유단들 위를 보여준다. 강모무리(4)의 외측윤곽은 대략 칫솔머리(2)의 윤곽을 따른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강모들이 레이저방사를 통하여 강모머리의 앞쪽끝의 영역에서, 다각형의 동심선들(7)을 따라서만 짧아진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강모들(3)이 규칙적인 십자해칭패턴으로 짧아지며,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선들(9)을 따라 짧아지게 된다.9 to 11 show a plan view of the toothbrush head 2 with the bristles 4, respectively, showing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3. The outer contour of the bristle bundle 4 approximately follows the outline of the toothbrush head 2. 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bristles are shortened only along the polygonal concentric lines 7 in the region of the anterior end of the bristles via laser radia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bristles 3 are shortened in a regular crosshatch pattern, an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1 along the lines 9.

도 12는 칫솔머리(2)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기서 외부강모들의 외피는 평행선들의 구조(5)를 가진다. 강모들은 십자해칭방식인 머리의 전면끝의 영역에서도 짧아진다.FIG. 1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brush head 2, wherein the sheath of the outer bristles has a structure 5 of parallel lines. The bristles are also shortened in the area of the front end of the head, which is crosshatched.

도 13의 실시예에서, 강모무리(4)는 원형다발들과 같이 형성된 강모들의 그룹들(9)로 구성된다. 강모머리(2)의 앞쪽영역은 그룹들(10 및 11)을 가지며, 여기서 자유강모단들은 레이저방사를 사용하여 다른 길이들로 절단되어서 그룹들(10 및 11)의 자유단들은 다른 원뿔형의 뾰족한 끝들을 가진다. 원뿔표면상에 배치된 강모들의 포락선을 구조화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bristle bundle 4 consists of groups 9 of bristles formed like circular bundles. The front region of the bristle head 2 has groups 10 and 11, where the free bristle ends are cut into different lengths using laser radiation so that the free ends of the groups 10 and 11 are pointed at different cones. Have ends. It is also possible to structure the envelope of the bristles arranged on the conical surface.

도 14의 실시예에서, 강모무리(1)는 다시 원통형다발형태인 강모들의 그룹들(9)로 구성되며, 각각 서있는 강모들의 그룹(12)은 강모머리의 앞쪽영역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 그룹(12)의 강모들(3)만이 서로 평행하게 뻗는 선형구조들(5)을 가진다.In the embodiment of FIG. 14, the bristles 1 again consist of groups 9 of bristles which are in the form of cylindrical bundles, each standing group of bristles 12 being arrang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bristles. In this embodiment, only the bristles 3 of this group 12 have linear structures 5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도 15 내지 17은, 특히 전동칫솔들에 사용되는 원형머리를 가지는 솔들의 강모무리(4)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15에 따르면 강모들(3)은 동심원들(13)을 따라 짧아지며, 도 1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강모들(3)이 나선형의 지형을 생성하도록 짧아지게 된다. 도 17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강모들이 공반경(coradial, 15)형식으로 절단된다. 도 16 및 17의 실시예들은 특히 강모머리가 그것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유강모단들의 작용을 증가시킨다.15 to 17 show a plan view of the bristle 4 of the brushes with round heads, in particular used for powered toothbrushes. According to FIG. 15 the bristles 3 are shortened along the concentric circles 13, an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6 the bristles 3 are shortened to create a helical terrain.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7, the bristles are cut in the form of a radial (15). 16 and 17 increase the action of free bristles, especially when the bristle head is rotated about its central axis.

도 18은 도 13 및 14의 것과 유사한 칫솔머리(2)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모무리(4)는 원형다발과 같이 형성된 강모들의 그룹들(9) 및 앞쪽 끝에 배치된 강모그룹(12)을 포함한다. 앞쪽의 강모그룹(12)은 별과 같이 배치된 개별적인 강모스트립들로 구성되고, 여기서 각 조각들은 강모축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 평행구조들(5)을 가진다.FIG. 18 shows a toothbrush head 2 similar to that of FIGS. 13 and 14, wherein the bristles 4 comprise groups 9 of bristles formed like circular bundles and a bristle group 12 disposed at the front end. . The front bristle group 12 consists of individual bristle strips arranged like stars, where each piece has parallel structures 5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ristle axis.

도 19 내지 21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레이저방사에 의해 강모무리(4)의 외측강모들의 외피상에 형성된 개별적인 구조들(5)은 불규칙하지만, 강모무리의 전체 측면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된 통계적인 분포를 가진다.I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FIGS. 19 to 21, the individual structures 5 formed on the skin of the outer bristles of the bristle 4 by laser radiation are irregular, but regularly arranged along the entire side of the bristle. Distribution.

개별적으로 서있는 강모들의 외피, 특히 더 큰 직경을 가진 강모들의 외피는 전체 강모무리 또는 그러한 무리의 강모그룹들과 관련된 상술한 바와 동일한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의 실시예에서, 강모(3)의 외피는 경사구조들(5)을, 도 23의 실시예는 지그재그형의 선구조(5)를 가진다. 강모(3)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십자해칭으로 구조화될 수도 있다.The sheaths of individually standing bristles, in particular the sheaths of larger diameter, may be constructed in the same form as described above with regard to the whole bristle group or groups of bristles. In the embodiment of FIG. 22, the shell of the bristle 3 has inclined structures 5 and the embodiment of FIG. 23 has a zigzag line structure 5. The bristles 3 may be structured crosswise as shown in FIG. 24.

도 25는, 예컨대 헤어브러시, 공업용솔 등의 머리가 될 수 있는 원통형 운반체(1)를 가지는 원형솔을 보여준다. 방사형으로 배치된 원통형강모그룹들(16)은 지지체상에 장착되고 그것들의 자유단들은 평행구조들(5)을 가진다.FIG. 25 shows a circular brush having a cylindrical carrier 1 which can be, for example, a hairbrush, an industrial brush, or the like. The radially arranged cylindrical bristle groups 16 are mounted on the support and their free ends have parallel structures 5.

Claims (18)

각각의 강모들(3) 또는 그룹들(9)로 결합된 강모들(3)을 지지체(2)상에 소정의 배열로 장착함으로써 소망의 강모무리(bristle stock)를 형성하며, 강모무리의 적어도 일부 강모들의 외피는, 소정의 배열 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4)의 적어도 일부 강모들(3)이 레이저방사를 사용하여 비접촉식으로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를 통하여 구조화되는 솔제품을 생산하는 방법.By mounting the bristles 3 joined to the respective bristles 3 or groups 9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the support 2, a desired bristle stock is formed, and at least the bristles The sheath of some bristles produces a brush product that is structured through a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of the bristles 3 of the bristles 4 mounted or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 structured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laser radiation. Way. 제1항에 있어서, 강모들은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istles have a regular structure. 각각의 강모들 또는 그룹들로 결합된 강모들을 지지체상에 소정의 배열로 장착함으로써 소망의 강모무리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 강모들의 자유단들은 소정의 배열 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의 강모들(3)의 자유단들이 레이저방사를 사용한 비접촉식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청구항 1에 따른 처리를 통하여 절단되는 솔제품을 생산하는 방법.The desired bristles are formed by mounting the bristles joined in respective bristles or groups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a support, and at least some of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in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or mounted bristles 3 A method for producing a brush product, which is cut through the treatmen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s of the cut) are cut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laser radiation. 제3항에 있어서, 강모들(3)의 자유단들은 레이저처리에 의한 열부하를 통하여 둥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 Method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3) are rounded through heat load by laser treatmen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들(3)의 외피가 윤곽을 나타내거나 강모들의 자유단들은 가소성재료의 열적분해로 인한 재료마모를 통하여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l of the bristles is contoured or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are shortened through material wear due to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plastic material.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들(3)의 외피는 가소성재료의 거품화를 통하여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l of the bristles is structured through foaming of the plastic material.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코어(core) 및 그것을 중심으로 둘러싼 외피를 가진 두 성분의 강모들에서는, 외피만이 레이저방사에 의해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in the two component bristles having at least one core and the shell surrounding it, only the shell is structured by laser radiation. . 제7항에 있어서, 외피는 외피재료의 국부적 제거를 통하여 코어까지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kin is structured to the core through local removal of the skin material.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외피의 구조는 대략 강모단면의 10%의 깊이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ucture of the bristle shell extends to a depth of approximately 10% of the bristle section.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배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의 표면의 선들(7,8,9,13,14,15)을 따라 실질적으로 배치된 강모들(3)의 자유단들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bristles (3)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arranged substantially along the lines (7,8,9,13,14,15) of th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or of the mounted bristles. Shortening the free ends of the metho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웃한 강모들(3)의 자유단들이 짧아짐으로써 강모끝들의 계단형 포락면(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envelope (6) of the bristle ends is formed by shortening the free ends of the adjacent bristles (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들(3)의 각 그룹들(6)의 자유단들이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2.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s of the respective groups (6) of the bristles (3) are shortened.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들(3)의 각 그룹(10,11)의 강모들(3)의 자유단들이 짧아짐으로써 비평면외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3. The non-planar skin surfa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s of the bristles 3 of each group 10, 11 of the bristles 3 are shortened to form a non-planar skin surface. Way.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배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의 외측강모들의 외피만이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4.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only the sheaths of the outer bristles of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or of the mounted bristles are structured.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배열 또는 장착된 강모무리의 내측에 배치된 강모들은 강모들을 분리하고 측면편향함으로써 노출되어 이들 강모들의 외피가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erein the bristles arranged inside a predetermined array or mounted bristles are exposed by separating and laterally deflecting the bristles so that the shell of these bristles is structured.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솔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레이저방사를 흡수하는 충전재들을 가지는 강모들(3)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bristles (3) with fillers that absorb laser radiation are used to produce the brush product.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처리시 생성된 구조(5)는 가소성재료의 착색을 통하여 가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tructure (5) produced during the laser treatment is visualized through coloring of the plastic material.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처리시 생성된 구조(5)는 레이저방사에 의해 색깔이 변하는 강모들(3)의 가소성재료내의 충전재들을 통하여 가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17.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5) produced during the laser treatment is visualized through fillers in the plastic material of the bristles (3) that change color by laser radiation. .
KR10-2003-7003904A 2000-09-19 2001-09-05 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KR2003003204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6536A DE10046536A1 (en) 2000-09-19 2000-09-19 Brushware-production method involves assembling single bristles or in groups on supports and structuring their ends by laser treatment.
DE10046536.6 2000-09-19
PCT/EP2001/010218 WO2002024026A1 (en) 2000-09-19 2001-09-05 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040A true KR20030032040A (en) 2003-04-23

Family

ID=765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904A KR20030032040A (en) 2000-09-19 2001-09-05 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2) US20030178885A1 (en)
EP (1) EP1318735B1 (en)
JP (1) JP2004508863A (en)
KR (1) KR20030032040A (en)
CN (1) CN1461191A (en)
AR (1) AR041492A1 (en)
AT (1) ATE271807T1 (en)
AU (1) AU2002212206A1 (en)
BR (1) BR0113947A (en)
CA (1) CA2422001A1 (en)
DE (2) DE10046536A1 (en)
EG (1) EG23017A (en)
ES (1) ES2225618T3 (en)
HU (1) HUP0302267A3 (en)
IL (1) IL154757A0 (en)
MX (1) MXPA03002336A (en)
NO (1) NO20031229D0 (en)
PL (1) PL360545A1 (en)
RU (1) RU2283607C2 (en)
SK (1) SK3282003A3 (en)
WO (1) WO2002024026A1 (en)
YU (1) YU19403A (en)
ZA (1) ZA20030174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5987A2 (en) * 2007-04-12 2008-10-23 Alcan Packaging Beauty Services Cosmetic applicator 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007047066B4 (en) * 2007-10-01 2016-08-11 Zahoransky Ag Brush manufacturing machine
DE102010014928A1 (en) * 2010-04-14 2011-10-20 Synpart Ag Plastic toothbrush e.g. manual toothbrush, has bristle ends intersected such that three cleaning planes with different bristle densities are formed, where heights of bristle ends are different
EP2810583B1 (en) 2013-06-06 2018-05-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9636197B2 (en) * 2014-11-06 2017-05-02 Gurmeet KHANGURA Apparatus for user having teeth
CA2970676A1 (en) 2014-12-23 2016-06-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223651B1 (en) 2014-12-23 2023-05-3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CN113197418A (en) 2014-12-23 2021-08-03 高露洁-棕榄公司 Oral care implement
BR112017010792B1 (en) 2014-12-23 2021-10-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HYGIENE INSTRUMENT
MX2017007858A (en) 2014-12-23 2017-09-19 Colgate Palmolive Co Oral care implement.
WO2016105368A1 (en) 2014-12-23 2016-06-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BR112017010942B1 (en) 2014-12-23 2021-10-05 Colgate-Palmolive Company INSTRUMENT FOR ORAL HYGIENE
US10426250B2 (en) 2014-12-23 2019-10-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RU2647813C1 (en) 2014-12-23 2018-03-19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WO2016105356A1 (en) 2014-12-23 2016-06-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SE542303C2 (en) * 2017-08-17 2020-04-07 Tepe Munhygienprodukter Ab Method and apparatus for end rounding bristles
US10709533B2 (en) 2017-12-12 2020-07-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US10631964B2 (en) 2017-12-12 2020-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598920A1 (en) * 2018-07-26 2020-01-29 Trisa Holding AG Marking/printing on method for application and/or cleansing elements
EP3656250A1 (en) 2018-11-21 2020-05-27 Curaden AG Toothbrush head
USD891784S1 (en) 2018-12-18 2020-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handle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7126A (en) 1934-03-02 1940-12-31 Cooke Hereward Lester Brush and manufacture thereof
LU79138A1 (en) * 1978-02-28 1979-09-06 E Argembeau BRUSHES MANUFACTURING PROCESS
LU83225A1 (en) * 1981-03-18 1983-02-22 Argembeau Etienne D IMPROVEMENTS ON BRUSHES
GB8315426D0 (en) * 1983-06-06 1983-07-13 Aftalion S Shaped fibres
DE3433763C1 (en) * 1984-09-14 1986-02-27 Blendax-Werke R. Schneider Gmbh & Co, 6500 Mainz Toothbrush,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it
AU2903489A (en) * 1987-12-22 1989-07-19 Blendax Gmbh Process for rounding bristle tips on brushes
DE3842684A1 (en) * 1987-12-22 1989-07-06 Fraunhofer Ges Forschung Method for rounding off bristle ends of brushes
DE3820372C2 (en) 1988-06-15 1997-07-24 Coronet Werke Gmbh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bristle goods
NO180145C (en) * 1993-09-10 1997-02-26 Harald Berge Toothbrush and formation of the same
DE4334751A1 (en) * 1993-10-12 1995-04-13 Graf & Co Gmbh Walter Method of inscribing plastic parts of laboratory equipment for their use
BE1009283A3 (en) * 1995-04-05 1997-01-07 Boucherie Nv G B METHOD AND DEVICE FOR WORKING brushes.
US5678275A (en) * 1995-06-30 1997-10-21 Derfner; Nitza Toothbrush with bristles having intermediate roughened portion
DE19616112A1 (en) * 1996-04-23 1997-10-30 Coronet Werke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ristle goods
US5780524A (en) * 1996-05-14 1998-07-14 Olsen; Don E. Micro heating apparatus for synthetic fibers and related methods
US6058541A (en) * 1996-07-03 2000-05-09 Gillette Canada Inc. Crimped bristle toothbrush
US5941605A (en) * 1997-12-17 1999-08-24 Color Access, Inc. Laser cutting of brushes
DE19818345A1 (en) * 1998-04-24 1999-10-28 Pedex & Co Gmbh Bristle for brushes, e.g. toothbrushes
DE19826414A1 (en) * 1998-06-16 1999-12-23 Coronet Werke Gmbh Process for connecting, marking and structurally changing monofilaments
DE19829943A1 (en) * 1998-07-04 2000-01-05 Coronet Werke Gmbh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ristle articles and bristle articles produced thereafter
DE19832436B4 (en) 1998-07-18 2008-09-04 Anton Zahoransky Gmbh & Co. Method for making brushes
US6482511B1 (en) * 1999-08-06 2002-11-19 E.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Laser markable monofil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08863A (en) 2004-03-25
ZA200301747B (en) 2004-03-03
RU2283607C2 (en) 2006-09-20
US20030178885A1 (en) 2003-09-25
DE10046536A1 (en) 2002-03-28
AU2002212206A1 (en) 2002-04-02
WO2002024026A1 (en) 2002-03-28
EP1318735B1 (en) 2004-07-28
HUP0302267A2 (en) 2003-10-28
DE50103033D1 (en) 2004-09-02
CA2422001A1 (en) 2003-03-12
SK3282003A3 (en) 2003-07-01
BR0113947A (en) 2003-07-29
MXPA03002336A (en) 2003-06-24
CN1461191A (en) 2003-12-10
YU19403A (en) 2004-09-03
ES2225618T3 (en) 2005-03-16
EP1318735A1 (en) 2003-06-18
PL360545A1 (en) 2004-09-06
IL154757A0 (en) 2003-10-31
US20060186725A1 (en) 2006-08-24
NO20031229L (en) 2003-03-17
NO20031229D0 (en) 2003-03-17
ATE271807T1 (en) 2004-08-15
EG23017A (en) 2003-12-31
AR041492A1 (en) 2005-05-18
HUP0302267A3 (en)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2040A (en) Method for producing bristle products
JP3243618B2 (en) Brush for applying cosmetic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118111C1 (en) Toothbrush
JP5211074B2 (en) toothbrush
US5595198A (en) Mascara applic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393569C (en) Mascara brush with multi-length fib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412139B1 (en) Method for producing brushware and brushware producing according to said method
JPH02164308A (en) Brush for applying cosmetic and
US5701629A (en) Hollow brush bristle with radiating spokes
JPH02161909A (en) Brush
CA2238209A1 (en) Toothbrush
JP2001299452A (en) Toothbrush
US4475261A (en) Hairbrush
WO1998038889A2 (en) Toothbrush
AU700294B2 (en) Toothbrush
KR20000005522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oothbrush and toothbrush hair for massaging gums and brushing teeth
US6372163B1 (en) Method of endrounding loose fibers
JP2000000117A (en) Tooth brush
JP2000004945A (en) Tooth brush
JP2008005993A (en) Tooth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rush
JP2022088075A (en) toothbrush
JP2008142393A (en) Bristle implanting apparatus and toothbrush manufactured by the same
JP2003245134A (en) Bristle, and toothbrush using the same
JP2020198989A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