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499A -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 Google Patents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499A
KR20030030499A KR1020010062664A KR20010062664A KR20030030499A KR 20030030499 A KR20030030499 A KR 20030030499A KR 1020010062664 A KR1020010062664 A KR 1020010062664A KR 20010062664 A KR20010062664 A KR 20010062664A KR 20030030499 A KR20030030499 A KR 2003003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wall
retaining wall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모
서중원
Original Assignee
보강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강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강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0499A/ko
Publication of KR2003003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각종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보강토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스트립과;상기 전방스트립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스트립에 대응하는 것으로 일정폭의 띠 형태를 취하는 후방스트립과; 상기 후방스트립과 전방스트립을 연결하여 후방스트립에 대한 전방스트립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보강토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그 내부에 토사를 채울 수 있도록 사이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사이공간으로부터 식물이 성장하여 옹벽의 전면을 덮을 수 있어 옹벽의 녹화(綠化)가 가능하다. 또한 자체 무게가 가벼워 지반의 상태에 관계없이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좋아 축조의 높이에 별다른 제한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Supporting wall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보강토(reinforced earth)의 전면에 축조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벽의 내부로부터 식물이 자라나도록 하여 옹벽의 전면에 녹화가 가능한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retaining wall)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이다. 이는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것으로서 그 종류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한편, 콘크리트의 성형성 및 구조적 강도에 따른 여러 장점에 따라 옹벽의 재료로 콘크리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옹벽에는 옹벽의 자중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재래식 콘크리트옹벽과, 조립식 콘크리트패널과 보강뒷채움흙이 일체를 이루어 토압에 대응하는 조립식 보강토옹벽이 있다.
조립식 보강토옹벽은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조립형 판넬식으로 성형한 후 현장에서 조립 축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때 각 판넬의 뒷면에는 보강제가 연결된다. 상기 보강제는 콘크리트판넬의 뒤쪽에 연결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강토를 채움에 따라 토압에 의해 눌려 콘크리트판넬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판넬과 보강토의 채움으로 축조되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옹벽의 전면이 미리 성형된 콘크리트판넬로 짜맞추어지므로 깔끔하고 규칙적이다.
하지만 벽체 전면이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지므로 주변의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분위기가 차갑고 삭막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보강토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그 내부에 토사를 채울 수 있도록 사이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사이공간으로부터 식물이 성장하여 옹벽의 전면을 덮을 수 있어 옹벽의 녹화(綠化)가 가능하고, 또한 자체 무게가 가벼워 지반의 상태에 관계없이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좋아 축조의 높이에 별다른 제한이 없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전방지지벽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보강스트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전방지지벽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을 예를들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을 다중으로 조립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2:벽체 12,36:전방스트립(strip)
14:후방스트립 16:연결스트립
18,20,40,41,46:관통구멍 22,23:삽입부
24:연결봉 26:보강스트립
32:통수(通水)구멍 34:보강리브
37:제 1후방스트립 38:제 2후방스트립
39:제 3후방스트립 44:사이공간
48:절곡부 50,52,54:전방지지벽
60:끼움부
R:보강재 A:뒷채움흙
G:식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보강토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스트립과; 상기 전방스트립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스트립에 대응하는 것으로 일정폭의 띠 형태를 취하는 후방스트립과; 상기 후방스트립과 전방스트립을 연결하여 후방스트립에 대한 전방스트립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스트립 및 후방스트립은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후방스트립의 관통구멍 및 전방스트립의 관통구멍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후방스트립에 대한 전방스트립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연결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스트립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가지며 상기 후방스트립과 전방스트립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절곡되며 전후방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각 절곡부가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각 관통구멍을 통과한 절곡부가 관통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후방스트립과 관통구멍을 통과한 절곡부 사이에는 연결봉이 끼워져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스트립의 적어도 한쪽면에는, 전방스트립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스트립 또는 후방스트립에는 다수의 통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보강토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스트립과, 상기 전방스트립에 대응하여 전방스트립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로 전방스트립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스트립과의 사이에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스트립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스트립은 전방스트립에 대해 반복적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절곡형성되되 전방스트립에 근접하는 절곡부에는 전방스트립의 각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전방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된 절곡부에는 전방스트립의 관통구멍과 같은 형상의 관통구멍이 동일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관통구멍에 삽입된 삽입부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전방스트립과 삽입부사이에 연결봉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50)은, 상호 대응하며 이격되어 있는 전방스트립(12) 및 후방스트립(14)과, 상기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 사이에 위치하며 전후방스트립(12,14)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스트립(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 및 연결스트립(16)은 플렉시블하고 인장력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며 경우에 따라 그 내부에 금속심재를 넣어 인장력을 배가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전방스트립(12)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하나의 띠형태의 부재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옹벽의 앞쪽면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전방스트립(12)은 그 폭방향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세워지며 그 길이는 요구조건에 맞추어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한다.
상기 전방스트립(12)에는 다수의 관통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8)은 전방스트립(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멍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관통구멍(18)은 전방스트립(12)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며 폭방향으로는 세 개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스트립(14)은 전방스트립(1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관통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스트립(14)은 전방스트립(12)으로부터이격되어 사이공간(도 2의 44)을 제공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스트립(16)과 더불어 뒷채움흙(A)에 매몰된다.
상기 후방스트립(14)은 전방스트립(12)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되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18)과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은 상호 어긋나게 위치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18)은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과 관통구멍(20)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와 마주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연결스트립(16)은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스트립(16)은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절곡에 따라 형성된 각 절곡부(48)가 양측의 관통구멍(18,20)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연결스트립(16)의 각 절곡부(48)에는 삽입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2)는 연결스트립(16)의 절곡부(48)에 관통구멍(46)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 부위이다. 즉, 상기 삽입부(22)는 연결스트립(16)의 절곡부(48)에 다수의 관통구멍(46)을 상호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만들어진 관통구멍과 관통구멍 사이의 남아있는 부위이다. 상기 각 삽입부(22)는 전방스트립(12) 및 후방스트립(14)에 형성한 각 관통구멍(18,20)을 관통하여 도 2의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삽입부(22)에 있어서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18)에 끼워지는 삽입부(22)는 전방스트립(12)을 통과하여 벽체(도 4의 10)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마찬가지로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에 끼워지는 삽입부(22)는후방스트립(14)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18)을 통과한 삽입부(22)와 전방스트립(12)의 외측면 사이에는 연결봉(24)이 끼워지고,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을 통과한 삽입부(22)와 후방스트립(14)의 외측면 사이에도 연결봉(24)이 끼워진다. 상기 연결봉(24)의 길이는 전방스트립(12)의 폭과 같도록 한다.
상기 연결봉(24)은 전방스트립(12) 및 후방스트립(14)으로부터 연결스트립(16)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막대이다. 상기 연결봉은 원형단면의 황봉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ㄷ자 형태의 끼움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내부영역에 삽입부(도 3의 22)를 포함하여 전후방스트립(12,14)에 대한 연결스트립(16)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후방스트립(12,14)의 전체면에 다수의 통수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통수구멍(3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스트립(12,14)의 사이공간에 채워진 토사로부터 자라나는 식물의 줄기가 빠져나가는 구멍이다. 상기 통수구멍(32)의 직경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수구멍을 형성하지 않을 수 도 있고 전방스트립(12)에만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은 상호 이격되어 사이공간(44)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도 1의 18)과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도 1의 20)은 상호 어긋나게 위치되어 각 관통구멍(18,20)에 그 절곡부의 삽입부(22)가 끼워지는 연결스트립(16)은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의 형태를 취한다.
한편, 상기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18)을 관통한 연결스트립(16)의 삽입부(22)와 전방스트립(12)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공간에는 연결봉(24)이 끼워져 있다. 상기 연결봉(24)은 마치 빗장처럼 관통구멍(18)을 가로지르며 삽입부(22)가 관통구멍(18)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는다.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을 관통한 삽입부(22)와 후방스트립(14)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공간에도 마찬가지로 연결봉(24)이 끼워짐은 물론이다.
결국 상기 연결스트립(16)은 연결봉(24)에 의해 전후방스트립(12,1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전방스트립(12)에 대한 후방스트립(14)의 간격은 벌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이 이루는 사이공간(44)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채움흙(A)이 채워지더라도 전후방스트립(12,14)은 벌어지거나 터지지 않는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전방지지벽(50)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스트립(16)의 삽입부(22)가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을 통과하여 있고, 상기 삽입부(22)와 후방스트립(14) 외측면의 사이에는 연결봉(24)이 수직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봉(24)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끼움부(60)가 삽입부(22)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봉(24)에 끼움부(60)를 형성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이 경우 연결봉(24)의 길이를 후방스트립(14)의 폭과 같도록 하여 각 연결봉(24)의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예컨데 상기 전방스트립(12)과 후방스트립(14)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삽입부(22)가 연결봉(24)을 조이는 힘이 약해지더라도 연결봉(24)은 밑으로 빠져나가거나 넘어지지 않고 처음의 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지지벽(50)이 뒷채움흙(A)의 전면에 축조되어 하나의 벽체(10)를 이루고 있고, 각 전방지지벽(50)이 제공하는 사이공간(44)에는 뒷채움흙(A)이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방스트립(14) 및 연결스트립(16)은 뒷채움흙(A)에 매몰되어 있다.
상기 벽체(10)는 다수의 전방지지벽(50)을 적층하되 수직으로 적층하지 않고 상부에 적층되는 전방지지벽(50)을 하측의 전방지지벽(50)에 대해 화살표 b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시켜 적층함으로써 뒷채움흙의 벽체(10)가 원하는 각도를 갖도록 한다.
한편, 전방지지벽(50)을 적층함에 있어서 상측의 전방지지벽(50)을 하측의 전방지지벽(50)에 대해 화살표 b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적층함으로써 하측 전방지지벽(50)의 사이공간(44)이 상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공간(44)내부에 원하는 식물을 심을 경우 식물(G)은 상부로 뻗어 자라며 벽체(10)의 전체면을 뒤덮을 수 있다. 상기 식물(G)은 예컨대 계절에 맞는 들꽃이나 넝쿨식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부호 R은 공지의 보강제이다. 상기 보강제(R)는 뒷채움흙의 적층시 뒷채움흙의 중간 중간에 깔려 뒷채움흙이 하나의 구조물화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재(R)를 전방지지벽(50)과 전방지지벽(50)의 사이까지 연장한 이유는 보강재(R)가 전방지지벽(50)을 잡아 전방지지벽(50)이 뒷채움흙(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스트립(16)의 전후방에는 보강스트립(26) 및 후방스트립(14)이 위치한다.
상기 보강스트립(26)은 전방스트립(12)의 한쪽면에 다수의 보강리브(34)를 형성한 스트립이다. 상기와 같이 띠형태의 전방스트립(12)에 보강용 리브(rib)를 다수개 형성하므로써 전방스트립(12)은 토압에 의해 쉽게 벤딩되지 않는다.
도 6은 상기 보강스트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보강스트립(26)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리브(34)는 전방스트립(12)이 뒷채움흙의 토압에 의해 앞쪽으로 벤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상기 보강리브(34)의 폭이가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보강리브를 전방스트립(12)의 양쪽면에 모두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7은 상기 도 5의 전방지지벽(52)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스트립(26)이 적용된 전방지지벽(52)이 뒷채움흙(A)의 전방에 축조되어 하나의 벽체(62)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벽(52)을 축조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측 전방지지벽(52)에 채워진 뒷채움흙(A)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식물(G)이 상기 통수구멍(32)을 통해서뿐 아니라 사이공간(44)으로부터 상부로 직접 뻗어 올라갈 수 도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을 예를들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은 전방스트립(36)과 제 1,2,3후방스트립(37,38,39)이 연결봉(24)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방스트립(36) 및 제 1,2,3후방스트립(37,38,39)은 플렉시블하고 늘어나지 않으며 질긴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며, 각각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제 1,2,3후방스트립(37,38,39)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져 서로에 대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후방스트립(36,37,38,39)은 그 폭방향이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전방스트립(36)은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상기후방스트립(38)측으로 근접한 각 절곡부(48)에는 관통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0)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스트립(3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으로서 세 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의 개수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40)을 형성함에 따라 관통구멍과 관통구멍 사이에 삽입부(22)가 저절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 1,2,3후방스트립(37,38,39)도 전방스트립(36)과 마찬가지로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스트립(36)으로 근접하는 절곡부(48)에는 관통구멍(41)이 형성되고 반대측 절곡부에는 전방스트립과 동일한 관통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스트립(36)에 제 1후방스트립(37)이 결합하는 것과 같이, 제 1후방스트립(37)에 제 2후방스트립(38)이 결합할 수 있고, 마찬가지고 제 2후방스트립(38)에 제 3후방스트립(39)이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후방스트립의 개수를 증가시킬 경우 하나의 전방지지벽은 망상의 평면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 1후방스트립(37)의 관통구멍(41)은 전방스트립(36)의 삽입부(22)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상기 제 1후방스트립(37)과 전방스트립(36)간의 결합 방식은 제 1,2,3후방스트립간의 결합방식과 같다. 상기 각 스트립(36,37,38,39)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결봉(24)은 제 1실시예의 연결봉과 동일한 것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트립을 직접 연결시킨다.
아울러 상기 각 스트립에 다수의 통수구멍(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수구멍(32)의 직경이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짐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방스트립(36)과 제 1,2,3후방스트립(37,38,39)이 서로에 대해 끼워져 사이공간(44)을 갖는 망상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44)에는 뒷채움흙(A)이 채워짐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방스트립을 한 개만 적용한 예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전방지지벽(54)이 적층되어 하나의 벽체(62)를 이루되, 경사지도록 적층되어 각 전방지지벽(54)의 아래에 위치한 전방지지벽(54)내의 뒷채움흙(A)이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전방지지벽(54)이 이와같이 축조됨으로써 각 전방지지벽(54)의 사이공간(44)으로부터 식물(G)이 위로 뻗어 성장하여 벽체(62)의 전체면이 녹화(綠化)된다. 또한 전방스트립(36)에 통수구멍(32)을 형성한 경우 식물이 상기 통수구멍을 통해서도 성장할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은, 뒷채움흙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그 내부로부터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하여 옹벽의 전면이 식물로 덮힐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자체 무게가 무겁지 않으므로 지반이 약하더라도 축조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높게 구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각 스트립간의 연결방식은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얼마든지 다르게 변형하여 적용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은, 보강토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그 내부에 토사를 채울 수 있도록 사이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사이공간으로부터 식물이 성장하여 옹벽의 전면을 덮을 수 있어 옹벽의 녹화(綠化)가 가능하다. 또한 자체 무게가 가벼워 지반의 상태에 관계없이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좋아 축조의 높이에 별다른 제한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각종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보강토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스트립(12)과;
    상기 전방스트립(12)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스트립(12)에 대응하는 것으로 일정폭의 띠 형태를 취하는 후방스트립(14)과;
    상기 후방스트립(14)과 전방스트립(12)을 연결하여 후방스트립(14)에 대한 전방스트립(12)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트립(12) 및 후방스트립(14)은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에는 다수의 관통구멍(18,20)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후방스트립(14)의 관통구멍(20) 및 전방스트립(12)의 관통구멍(18)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후방스트립(14)에 대한 전방스트립(12)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연결스트립(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립(16)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가지며 상기 후방스트립(14)과 전방스트립(12)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절곡되며 전후방스트립(12,1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각 절곡부(48)가 상기 관통구멍(18,20)을 관통하고,
    상기 각 관통구멍(18,20)을 통과한 절곡부(48)가 관통구멍(18,2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후방스트립(12,14)과 관통구멍(18,20)을 통과한 절곡부(48) 사이에는 연결봉(24)이 끼워져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트립(12)의 적어도 한쪽면에는, 전방스트립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트립(12) 또는 후방스트립(14)에는 다수의 통수구멍(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6. 각종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보강토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스트립(36)과, 상기 전방스트립(36)에 대응하여 전방스트립(36)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로 전방스트립(36)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스트립(36)과의 사이에 사이공간(44)을 형성하는 후방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트립(36)에는 다수의 관통구멍(40)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스트립은 전방스트립(36)에 대해 반복적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절곡형성되되 전방스트립(36)에 근접하는 절곡부(48)에는 전방스트립(36)의 각 관통구멍(40)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전방스트립(36)으로부터 이격된 절곡부에는 전방스트립의 관통구멍(40)과 같은 형상의 관통구멍이 동일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구멍(40)에 삽입된 삽입부(23)가 관통구멍(40)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전방스트립(36)과 삽입부(23)사이에 연결봉(24)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9. 제 3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24)은 환봉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각 삽입부(22,23)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하는 끼움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KR1020010062664A 2001-10-11 2001-10-11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KR20030030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664A KR20030030499A (ko) 2001-10-11 2001-10-11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664A KR20030030499A (ko) 2001-10-11 2001-10-11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035U Division KR200261567Y1 (ko) 2001-10-11 2001-10-11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499A true KR20030030499A (ko) 2003-04-18

Family

ID=2956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664A KR20030030499A (ko) 2001-10-11 2001-10-11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04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76B1 (ko) * 2007-06-12 2008-06-17 (주)대한지오이엔씨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0622A (en) * 1982-12-23 1985-07-23 P.L.G. Research Limited Retaining fill in a geotechnical structure
KR900005023A (ko) * 1988-09-13 1990-04-13 이준용 앵커식 보강토 공법
US4923339A (en) * 1987-09-14 1990-05-08 Fomico International, Inc. Foldable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KR900016553A (ko) * 1989-04-12 1990-11-13 김수학 옹벽블럭 시공법과 그 옹벽블럭
KR970062213A (ko) * 1996-02-27 1997-09-12 김종천 독립된 셀로 구성된 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0622A (en) * 1982-12-23 1985-07-23 P.L.G. Research Limited Retaining fill in a geotechnical structure
US4923339A (en) * 1987-09-14 1990-05-08 Fomico International, Inc. Foldable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KR900005023A (ko) * 1988-09-13 1990-04-13 이준용 앵커식 보강토 공법
KR900016553A (ko) * 1989-04-12 1990-11-13 김수학 옹벽블럭 시공법과 그 옹벽블럭
KR970062213A (ko) * 1996-02-27 1997-09-12 김종천 독립된 셀로 구성된 보강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76B1 (ko) * 2007-06-12 2008-06-17 (주)대한지오이엔씨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옹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0441A1 (en) Apparatus for the creation of outer surfaces for structures
EP0617750A1 (en) Interlocked gridwork for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US4707962A (en) Cascade wall structure
KR200261567Y1 (ko)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KR20030030499A (ko)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2002827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녹화용 담장
JP3495781B2 (ja) 植生土留構造
KR100765341B1 (ko)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KR102601920B1 (ko) 버켓형 통형상의 플랜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형 화단조성 모듈시스템
JPH08199531A (ja) 魚巣と植生に共用し得る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壁
KR100901262B1 (ko) 인공지반 식물 식재용 상자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US9593783B2 (en) Aggregate replacement
KR200275387Y1 (ko) 식생옹벽 구조체
JP2000038733A (ja) 植生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
KR0148881B1 (ko) 식생용벽구조물
KR102161396B1 (ko) 전면 식생에 식생철망을 구비하는 보강토 옹벽
JP3132557U (ja) 環境保全型ブロック
JP4413182B2 (ja) 擁壁緑化ユニットおよび盛土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