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448A -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448A
KR20030030448A KR1020010062596A KR20010062596A KR20030030448A KR 20030030448 A KR20030030448 A KR 20030030448A KR 1020010062596 A KR1020010062596 A KR 1020010062596A KR 20010062596 A KR20010062596 A KR 20010062596A KR 20030030448 A KR20030030448 A KR 20030030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tension
belt
timing bel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0448A/ko
Publication of KR2003003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45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오토텐셔너를 사용하지 않고 풀리를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가변시키면서 벨트의 장력을 최적으로 유지해 구동계의 설계 레이아웃시 발생되는 제약을 해소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5)를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에 구비된 크랭크풀리(1)가 크랭크축(C)에 고정된 고정풀리(10)와, 벨트(5)의 장력변화에 따라 고정풀리(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벨트(5)와의 접촉폭을 증감시키면서 벨트(5)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동풀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Self tension adjusting timing belt}
본 발명은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장력에 따라 풀리를 가변시켜 벨트의 장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캠축은 크랭크 샤프트와 연동되도록 캠축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캠축구동 방식에는 기어 구동식과 체인 구동식 및 벨트 구동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중 벨트 구동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 설치된 각각의 크랭크·얼티네이터·워터펌프풀리(1,2,3)가 타이밍벨트(5)를 매개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벨트(5)의 장력 유지를 위하여 스프링 장력을 갖는 레버 암에 아이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오토텐셔너(4)가 상기 벨트(5)의 장력 변화에 따라 압력을 가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벨트(5)의 장력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급작스런 거동에 따른 벨트 구동계의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벨트(5)의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항상 최적으로 유지하는 오토텐셔너(4)는 그 편리성에 비해 좁고 최적화 된 엔진부위의 구동계내에 장착해야 만 되므로 그 장착위치의 선정이 용이하지 않고 엔진 구동계의 설계시 레이아웃(Lay out)상에 많은 제약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별도의 오토텐셔너를 사용하지 않고 풀리를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가변시키면서 벨트의 장력을 최적으로 유지해 구동계의 설계 레이아웃시 발생되는 제약을 해소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를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에 구비된 크랭크풀리가 크랭크축에 고정된 고정풀리와, 벨트의 장력변화에 따라 고정풀리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벨트와의 접촉폭을 증감시키면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동풀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타이밍벨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타이밍벨트 시스템의 셀프장력조절수단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풀리2 : 얼티네이터풀리
3 : 워터펌프풀리4 : 오토텐셔너
5 : 타이밍벨트10 : 고정풀리
11 : 고정허브11a,21a : 스플라인
12,22 : 안착홈20 : 이동풀리
21 : 이동허브30 : 제1탄성부재
40 : 제2탄성부재
C : 크랭크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타이밍벨트 시스템의 셀프장력조절수단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5)를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에 구비된 크랭크풀리(1)가 크랭크축(C)에 고정된 고정풀리(10)와, 벨트(5)의 장력변화에 따라 고정풀리(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벨트(5)와의 접촉폭을 증감시키면서 벨트(5)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동풀리(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풀리(10)는 크랭크축(C)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허브(11)를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안쪽으로 코일스프링인 제1탄성부재(30)가 수용되도록 안착홈(1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풀리(10)와 대향되면서 브이(V)자 단면형상의벨트(5)가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이동풀리(20)는 상기 허브(11)에 이동허브(21)를 매개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30)가 수용되는 안착홈(22)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허브(11,22)부위는 크랭크축(C)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각각 스플라인(11a,21a)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풀리(10,20)의 안착홈(12,22)에 수용된 제1탄성부재(30)는 풀리(10,20)들을 서로 접근시키도록 지속적인 탄성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 제1탄성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 되도록 90°간격으로 4곳에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풀리(10,20)의 각 측면에는 풀리에 안착된 벨트(5)의 마찰면을 항상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풀리(10,20)의 중심쪽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 형상의 제2탄성부재(40)가 장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40)는 제1탄성부재(30)가 위치된 지점으로 구비되어져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이 항상 풀리(10,20)의 중심쪽을 향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동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축(C)에 설치된 크랭크풀리(1)와 차량의 배터리를 충진하는 얼티네이터풀리(2) 및 냉각시스템의 워터펌프풀리(3)등을 타이밍벨트(5)로 연결시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벨트(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오토텐셔너(또는 아이들러)가 없는 본 발명은 엔진의 구동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축(C)에 설치된 크랭크풀리(1)를 통해 얼티네이터·워터펌프풀리(2,3)등을 함께 회전시키는 타이밍벨트(5)의 장력이 변하게되면, 상기 크랭크축(C)에 결합된 풀리(1)의 이동풀리(20)부위가 고정풀리(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벨트(5)의 안착 간격을 늘이거나 줄여 최적의 상태 즉, 벨트(5)와 풀리(1)의 마찰력을 최대로 유지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즉, 벨트(5)의 마모가 심해 벨트(5)와 풀리(1)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풀리(10)와 이동풀리(20)사이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30)가 이동풀리(20)를 고정풀리(10)쪽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풀리(20)가 제1탄성부재(3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이동풀리(20)의 이동허브(21)에 형성된 스플라인(21a)이 고정풀리(10)의 고정허브(11)에 형성된 스플라인(11a)을 따라 이동되어 밸트(5)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벨트(5)의 마모 시 발생된 간격이 제1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풀리(20)가 이동되어 벨트(5)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최적의 마찰력을 유지시켜주게 되므로 결국, 여러 요인으로 발생되는 벨트(5)의 장력변화가 모두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풀리(1)를 이루는 고정풀리(10)와 이동풀리(20)에 각각 장착된 판스프링인 제2탄성부재(40)는 상기 풀리(10,20)의 중심을 변화시키지 않도록지속적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벨트(5)의 마모나 위치 변화등에 따라 변화되는 직경피치(PIC, Pitch Circle Diameter)를 항상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오일텐셔너를 이용하지 않고 벨트(5)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크랭크풀리(1)를 가변시켜 벨트(5)의 장력이 서로 균형을 이룰 때까지 지속적으로 조절시키면서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를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에 구비된 크랭크풀리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벨트와의 접촉폭을 증감시키게 되어, 별도의 오토텐셔너를 사용하지 않고 풀리를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라 가변시키면서 벨트의 장력을 최적으로 유지해 구동계의 설계 레이아웃시 발생되는 제약을 해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밀벨트(5)를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에 구비된 크랭크풀리(1)가 크랭크축(C)에 고정된 고정풀리(10)와, 벨트(5)의 장력변화에 따라 고정풀리(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벨트(5)와의 접촉폭을 증감시키면서 벨트(5)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동풀리(20)로 이루어진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풀리(10)는 크랭크축(C)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허브(11)를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안쪽으로 제1탄성부재(30)가 수용되도록 안착홈(1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풀리(10)와 대향되면서 브이(V)자 단면형상의 벨트(5)가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이동풀리(20)는 상기 허브(11)에 이동허브(21)를 매개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30)가 수용되는 안착홈(22)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11,22)부위는 크랭크축(C)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 스플라인(11a,21a)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장력조절타이밍벨트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30)는 풀리(10,20)들을 서로 접근시키도록 지속적인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한편, 상기 풀리(10,20)의 각 측면에는 그 중심쪽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40)가 장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4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탄성부재(30,40)는 서로 대칭 되도록 90°간격으로 4곳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KR1020010062596A 2001-10-11 2001-10-11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KR20030030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596A KR20030030448A (ko) 2001-10-11 2001-10-11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596A KR20030030448A (ko) 2001-10-11 2001-10-11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448A true KR20030030448A (ko) 2003-04-18

Family

ID=2956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596A KR20030030448A (ko) 2001-10-11 2001-10-11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044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946A (en) * 1977-12-19 1979-12-25 Kanstoroom Steven J Variable ratio drive system including a compact variable diameter pulley
KR950009023A (ko) * 1993-09-02 1995-04-21 천병국 부하 감응식 자동변속장치
KR970010219U (ko) * 1995-08-07 1997-03-29 미세 장력 조절이 가능한 풀리
KR20010019910A (ko) * 1999-08-31 2001-03-15 이계안 소음 저감형 브이-벨트 풀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946A (en) * 1977-12-19 1979-12-25 Kanstoroom Steven J Variable ratio drive system including a compact variable diameter pulley
KR950009023A (ko) * 1993-09-02 1995-04-21 천병국 부하 감응식 자동변속장치
KR970010219U (ko) * 1995-08-07 1997-03-29 미세 장력 조절이 가능한 풀리
KR20010019910A (ko) * 1999-08-31 2001-03-15 이계안 소음 저감형 브이-벨트 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6471A (en)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belt tensioner
US7530911B2 (en) Travel limited linear belt tensioner
JP3061130U (ja) 伝動装置
US7037226B2 (en) Dual cam surface clutch
US20040072643A1 (en) Tensioning means for traction mechanisms, especially belt tensioning means
KR101202832B1 (ko) 무단변속기가 구비된 전기 차량의 동력전달장치
GB2323416A (en) Rotary device, particularly expanding pulley, using diaphragm spring
US5358450A (en) Driven pulley with flyweights effective at low speeds
EP0700493B1 (en) Variable effective diameter pulley with stabilising member for the drive ring
EP1301736B1 (en) Belt drive ring cvt coupler
JP2003194163A (ja) チェーン用ブレードテンショナシステム
KR100470511B1 (ko) 구동 링 무단 변속 벨트
KR20030030448A (ko) 셀프장력조절 타이밍벨트 시스템
AU2001273547A1 (en) Belt drive ring CVT coupler
AU2001245820A1 (en) Drive ring CVT belt
JP2018021587A (ja) 車両用無段変速機
KR100342062B1 (ko) 무단 변속기용 풀리의 충격토크 저감장치
JP2002174309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SU937839A1 (ru) Бесступенчата силова передача дл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0428197B1 (ko) 오토 텐셔너
JPH0656546U (ja) Vベルト用張り調整プーリ
JPH06147275A (ja) リング式動力伝動体及び動力伝動装置
KR20050023900A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JPH0783299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H033965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