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514A -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514A
KR20030029514A KR1020020060806A KR20020060806A KR20030029514A KR 20030029514 A KR20030029514 A KR 20030029514A KR 1020020060806 A KR1020020060806 A KR 1020020060806A KR 20020060806 A KR20020060806 A KR 20020060806A KR 20030029514 A KR20030029514 A KR 2003002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cy
exchange
user
rate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764B1 (ko
Inventor
조관현
Original Assignee
조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관현 filed Critical 조관현
Priority to KR102002006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7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자동화된 교환시스템이 개인이나 객체를 막론하고 거래자가 거래수수료 없이 인터넷과 같은 네크워크를 이용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통화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매수인에 의해 제시된 가장 높은 매수 호가와 매도인에 의해 제시된 가장 낮은 매도 호가들간의 모든 가격들에 대한 가중평균인 기준율을 계산하는 한편, 이 기준율을 매수 호가들과 매도 호가들에 대한 가격들과 함께 거래자에게 표시해준다. 매수인은 상기 기준율보다 높게 입찰할 수 있는 반면에, 매도인은 상기 기준율보다 낮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입찰과 요청간에 가장 큰 가격차를 제시하는 교환 주문들을 처리하도록 우선권을 부여한다. 상기 가격차는 상기 교환시스템에 의해서 이익으로 획득된다. 상기 시스템의 운영자는 국가와 같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내에서 첫번째 거래의 첫번째 당사자에 의해 지불된 통화를 같은 통화를 수령할 두번째 당사자에게 이전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은 상기 통화들이 상기 특정한 지리적 영역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서 다수의 거래에 대한 서로 다른 통화의 교환을 용이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Internet-based foreign exchange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1999년 10월 13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가특허출원 제60/158,947호의 같은 발명자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출원이다.
본 발명은 외환 거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을 이용해서 외환 거래를 용이하게 해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질적으로, 상기 방법과 시스템은 외화를 경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해준다.
현재, 외화는 세계의 거대 은행들 및 금융 기관들 사이에서 외환 거래를 조절하는 시장주도자로 기능하는 도매시장에서 주로 거래된다. 은행들은 또한 일반 대중들과 기업들과 외화를 거래한다. 도매 수준에서 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은행 거래자들은 전화나 이메일과 같은 여러 수단중 하나를 통하거나 은행들이 소유한 컴퓨터 시스템(클리어링 하우스 인터뱅크 시스템(Clearing House Interbank Payment System)이나 월드와이드 인터뱅크 화이낸셜 텔레커뮤니케이션스(Worldwide Interbank Finalcial Telecommunications))로 은행간 기반에서 통화들을 사고 판다. 통화 구매자의 호가는 "매수 호가"라 알려져있는 한편, 통화 판매자의 호가는 "매도 호가"라 알려져있다. 은행간 통화 거래의 관계자들은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를 잘알고 있으며, 또한 그들의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를 적정하게 조절하도록 결정을 내린다. 당사자들이 환율에 대한 합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거래는 완료됨과 아울러 상기 통화들이 교환된다.
도 9은 대한민국에 있는 개인이나 중소기업이 미합중국에 있는 사람에게 송금하는 전형적인 종래의 거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개인(고객)은 은행이나 딜러에게서 그의 대한민국 돈을 미합중국 달러로 교환해서 미합중국 달러로 바뀐 돈을 미합중국에 송금해야 한다.
이 절차에는 많은 불편한 점들이 있다. 이 통화 교환 절차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관련 기관들은 거래되는 통화와 관련해서 다양한 통화의 재고를 유지해야 하며, 따라서 외화 교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경쟁적이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주요 통화들은 모든 은행 딜러들, 다른 은행들 및 화폐 교환소들에 의해 거래되어야 한다. 외화를 거래하는 모든 기관들은 가격차, 즉, 매수 가격과 매도 가격간의 차를 획득하며 고객들에게 청구한 수수료를 획득함으로써 서비스에서 이익을 얻는다. 상기 가격차는 통상 고정되어 있다(현재 많은 은행에서 약 2.5%이나 다른 은행에서는 그 보다 높다). 상기 가격차와 아울러, 첫번째 통화를 외국의 두번째 통화와 교환하여 전신과 같은 방법으로 두번째 통화를 그것이 사용되는 외국에 있는 사람에게 보내기 위해서는 가격차와 더불어 개인과 중소기업은 고정된 액수, 예를 들어 약 40.00 달러나 거래액의 퍼센티지인 거래수수료를 부담한다. 유사하게, 외화를 수령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화를 수령하는 외국의 개인들과 중소기업들은 고정된 액수, 예를 들어 약 10.00 달러나 거래액의 퍼센티지인 거래수수료를 부담한다. 상기 개인들과 중소기업들은 환율의 입찰에 참여하거나 유리한 환율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지방 은행을 통한 송금은 통상 완료를 위해 비교적 긴 시간, 종종 3 내지 6일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을 이용해서 단일 시장에 통화 교환과 거래를 집중시키는 효율적이며 저렴한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을 포함한 거래자가 통화 교환을 위한 매도 호가의 금액을 결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교환(또는 "경매") 시스템을 창출함으로써 통화 거래자(예를 들어, 개인들, 또는 작거나 큰 기관들)에게 통화 교환 비용을 줄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가들이나 다른 지리적 영역들 사이에서 통화들을 이전시킬 필요가 없이 이종 통화의 교환을 포함하는 다수의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넷상에 웹사이트를 개설함으로써, 거래자들은 상기 웹사이트-통화 거래를 위한 새로운 세계적 시장-에 접속해서 전세계로부터 다른 나라들의 통화를 교환할 수 있다. 거래들이 현재의 시장 메카니즘과 비교해서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완료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하기한 방법에 따라 거래자들(예를 들어, 기관들 및/또는 개인들)로부터 제기되는 통화 매입 또는 매수 주문을 처리하는 계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거래자들/사용자들로부터 어떠한 추가적인 거래수수료를 걷지 않고서도 거래를 결합하거나 완료할 수 있다. 시스템의 개시시점에서 상기 시스템은 각 외화 교환(예를 들어, 미합중국과 대한민국 사이의)을 위한 초기 기준율(예를 들어, 중간 환률의 평균)을 제공받는다. 상기 초기 기준율은 예를 들어 시스템 시작시점의 공표된 환율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그후에, 상기 시스템은 계속해서(예를 들어, 각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시점에서) 또는 특정한 시간 간격으로 예를 들어 각 시점의 매수 호가 시세와 매도 호가 시세들의 가중평균에 기초한 보정 기준율을 자동적으로 계산한다. 상기 기준율은 진행 기준으로 상기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들에게 표시되며, 또한 사용자들이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매수 호가 시세와 매도 호가 시세들이 사용자들에게 표시된다.
매수인들은 상기한 현재의 기준율 보다 높은 어떤 환율을 제시할 수 있으며, 반면에 매도인들은 상기한 현재의 기준율 보다 낮은 어떤 환율을 제시할 수 있다. 통화 교환 입찰들은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들 사이의 가격차에 따른 순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가격차가 클수록 거래는 더 빨리(더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큰 가격차가 있는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들이 처리된 후에, 충분한 수의 매도 호가와 매수 호가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작은 가격차를 가진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들을 처리할 수 있다. 거래 성사의 순서를 정하는 것은 통화 경매의 경우와 유사하며, 또한 통화 매수인들에게 상기 기준율 보다 높은 기준율로 매수 호가를 제시하도록 하는 한편 매도인들에게는 상기 기준율 보다 낮은 기준율로 매도 호가를 제시하도록 한다. 그 차이는 상기 자동화된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이익으로 귀속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거래자들은 상기 시스템에 등록하게 되며, 또한 자국, 더 일반적으로는 지리적 영역의 지역 통화로 자금을 사용가능하게 한다(예를 들어, 조건부 발효 계좌에 자금을 예치하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자들에게 자금을 예치하거나 다른 예로써 통화 교환을 위해 신용카드를 이용함으로써). 자금을 조건부 발효 증서로 유지하기 위해서 거래인들은 상기 자금을 거래에 이용하지 않을 경우 조건부 발효 증서로 자금을 예치하기 위해 필요한 기회비용을 잃는 이외에 다른 비용을 소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자부 계좌에 조건부 발효 자금을 예치함으로써 잃는 기회비용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거래인들은 상기 자금들을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서 거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화된 통화 교환 시스템(본 발명에 따른 경매 스타일의 교환 시스템이나 종래의 통화 교환 시스템을 이용하거나)에 의해 처리되는 다수의 거래들이 다른 통화를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두 국가들/지리적 영역들내의 당사자들간에 이루어지는 양방향의 통화 교환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자동화된 교환 시스템은 상기 통화들을 교환하며 또한 통화들을 국경을 넘어서 교환하지 않으면서도 요망하는 통화를 거래의 각 당사자에게 제공한다. 이것은, 첫번째 통화로 유지되는 한편 첫번째 국가에 있는 첫번째 거래의 첫번째 당사자가 채무를 진 돈의 소유권을 자금의 가용 분량의 정도까지 두번째 거래의 결과로서 첫번째 통화로 채권을 가진 동일 국가의 두번째 당사자에게 이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통화 교환 시스템에서, 첫번째 국가내에 있는 당사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돈의 소유권 이전은 상기 채무 대상 돈이 조건부 해제 계좌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소유권과 관련해서 발생한다. 상기 이전은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국가내에서의 매수와 매도인 적어도 두 거래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적어도 두개의 거래의 분량이 다른 거래의 분량보다 작거나 크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다수의 거래들중 다른 거래로부터의 자금이 복합 소유권 이전과 통화 교환을 위해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일국내에서의 자금 소유권 이전은 간단하며 경제적인 통화 교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시스템은, 거래에 추가 수수료가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중요 기관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인 "도매" 가격 수준에서 거래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기에 저렴하다는 것과 같은 커다란 장점들을 제공한다.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결합은 자동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매도인와 상기 매수인 사이의 추가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 점은 상기 거래들을 완료하거나 처리하는 시간과 상기 거래들을 수행하는 시간면에서 본 발명을 매우 효율적이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 통화 교환은 상기 현재의 시스템 하에서 대부분의 거래에서 필요로 하는 3 내지 6일과 비교해 볼 때 완료를 위해 단지 하루의 근무일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이 특정 국가 내에서 충분한 매수 호가들과 매도 호가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거래자들은 그들의 지역 통화가 국가 경계를 떠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그들의 자금을 해외로 송금할 수 있다. 더욱이, 거래자들은 거래를 개시하기 위해서 은행에 가거나 은행에 있는 사람에게 전화를 걸지 않고 그들의 개인용 컴퓨터로 전체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면들은 단지 도시의 목적만을 위해서 작성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서 정해져야 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자 외환 교환/거래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환 거래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 도이고;
도 3은 상기 거래 시스템의 예시 로그인 스크린이고;
도 4는 거래자의 계좌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 스크린이고;
도 5는 매도인이 통화를 매도하기 위해 주문을 할 수 있는 예시 스크린이고;
도 6은 매수인이 통화를 매수하기 위해 주문을 할 수 있는 예시 스크린이고;
도 7는 대한민국 원을 매수하며 미합중국 달러를 매도하기 위한 최고 및 최저 매수 호가들 사이의 가능한 가격차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통화 교환에 따른 자금 이전을 도시한 도면이며; 또한
도 9은 종래의 통화 교환에 따른 자금 이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입찰 = 매수; 매수인의 입찰(즉, 특정 가격으로 수요를 제기함)
요청 = 매도; 매도인의 요청(즉, 특정 가격으로 공급을 제공함)
가격 = 가격; 다른 통화로 표현한 일 통화의 단위들
분량 = 매수 주문이나 매수 주문상의 통화의 단위들의 양
기준율 = 특정 시점에서의 모든 가격(가장 높은 매수 호가와 가장 낮은 매도 호가들을 포함)의 가중치 평균.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가장 높은 가격*분량)+(다음으로 가장 높은 가격*분량)+ ... +(가장 낮은 가격*분량)/(가장 높은 가격+다음으로 가장 높은 가격+ ... +가장 낮은 가격)]
상기 가중치는 각 입찰 가격이나 요청 가격내의 통화 분량이나 단위들이다. 입찰과 요청이 결합되며 또한 외화 교환이 이루어질 때, 상기 기준율은 상기 입찰과 요청을 상기 기준율 계산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자 외환 교환/거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10)은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12), 상기 광역망(12)에 연결된 다수의 거래자 스테이션들(14), 및 상기 광역망에 연결된 서버(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버(16)는 기준율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 모듈, 상기 광역망(12)을 통해 상기 스테이션들(14)과 통신을 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각 거래자가 거래를 위해 가능한 기금들(예를 들어, 조건부 발효 증서)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모듈(18)을 포함하고 있다. 각 거래자 스테이션(14)들은 상기 광역망(12)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광역망(12)이 인터넷인 경우, 단일 장소에서 전세계로부터 외화를 거래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거래자가 웹 브라우저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상기 웹사이트를 상기 광역망(12)상에서 이용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외환거래 방법을 도시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단계 20에서 거래인은 거래시스템(10)에 접속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거래자는 상기 시스템(10)에 등록함으로써 계좌를 개설하며, 상기 등록을 위해서 이름, 주소 및 다른 연락 정보를 포함한 개인 정보, 로그인 이름, 및 패스워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거래자는 또한 외화 거래 서비스에 가입하는 때에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특정 거래자가 참여할 여하한 외환 거래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통화의 보증된 소스를 제공해야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래자는 적용가능한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한 조건부 발효 증서로 자금을 유지하는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통화를 예치하거나, 이자가 붙는 은행의 조건부 발효 계좌에 자금을 예치할 수 있다. 그 대신에, 거래자는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상기 거래자의 신용카드의 차변 또는 대변에 금액을 기재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자는 비지니스를 운영하는 각국에 지역 사무소를 설립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자들은 각국 웹사이트 운영자의 지역 사무소에서 조건부 발효 계좌에 그들의 지역 통화를 예치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에 접속하기 위해서, 거래자는 상기 스테이션들(14)중 하나를 이용해서 상기 광역망(12)에 개설된 상기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스크린으로는 스크린(100, 도 3)과 같은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거래자는 이 스크린에 상기 거래 시스템(100)을 사용하기 위한 로그인 이름(102)과 패스워드(104)를 포함한 로그인 정보를 기입하며, 이어서 "계속" 버튼(106)을 클릭한다. 로그인후에는, 단계 22에서, "내 계좌" 스크린(110, 도 4)이 표시되며, 또한 테이블(112)에 거래에 이용 가능한 거래자의 계좌에 있는 각각의 통화량들(양 컬럼)과 상기 거래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통화의 종류들(통화 컬럼)이 표시된다. 상기 거래자들은 스크린의 선택 박스(114)에서 예를 들어 "통화 매도"를 클릭함으로써 통화를 매도하거나 스크린의 선택 박스(114)에서 예를 들어 "통화 매수"를 클릭함으로써 통화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110, 단계 24)에서 거래를 선택한다.
상기 거래자가 "통화 매도"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매도 호가가 기입될 수 있는 통화 매도 스크린(120, 도 5)이 표시된다(단계 26). 이 스크린(120)은 상기 거래자/매도인이 처음에 교환에서 요구되는 통화의 종류를 기입하는 필드(122)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드(122)에 기입될 수 있는 통화의 종류에는 대한민국의 원이나 미합중국의 달러가 포함된다. 상기 스크린(120)상의 선택 필드는 또한 거래될 통화의 종류가 상기 매도인의 계좌로부터 기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 경우 상기 매도인은 그의 계좌에 한가지 이상의 통화를 보유할 수 있다. 교환될 통화에 관한 정보를 기입하면, 상기 스크린(120)이 그 관련부분으로 특정한 외환 거래를 위한 통화 기준율(124), 일정 기간에 걸친 웹사이트 외환 거래의 기준율 변동의 이력을 표시하는 그래프(126), 및 충족되기를 기다리는 시스템의 다른 고객들의 공개된 매도 호가들과 매수 호가들의 테이블(128)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120)에 표시된 정보를 살펴본 후에, 상기 거래자는 상기 스크린(120)상의 각각의 필드에 상기 거래자가 필요로 하는 통화의 거래를 위해 현재 보유한 통화를 매도할 "매도 호가"율(필드 130)과 상기 거래자의 계정에서 매도할 통화량(필드 132)을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래자의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통화가 대한민국의 원인 경우, 상기 거래자는 그것을 미합중국 달러로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거래자에 의해 특정된 "매도 호가"율은 상기 기준율보다 낮은 비율이어야 한다. 현재 매도되고 있는 특정 통화의 매도인들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한편, 상기 매도 호가와 매수 호가간에 가장 큰 가격차를 가진 거래가 상기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우선 체결되기 때문에, 거래를 빨리 종결하고자 하는 거래자는 상기 기준율보다 훨씬 낮은 매도 호가를 기입하는 전략적인 결정을 원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에서 수준 A). 매도에 덜 적극적인 매도인들은 상기 기준율에 근접한 매도 호가를 기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거래는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가격차로부터 돈을 버는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적은 이익을 주게 될 것이다. 통화를 거래하기 위해 오래 대기할 수 있는 매도인은 상기 기준율에 더욱 가까운 비율(예를 들어, 수준 B)로 통화를 매도하고자 할 수 있다. 청구서가 매도인의 국외에 있는 특정인에게 지불되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외환 거래의 이익을 수령한 특정 개인이 존재한다면, 상기 매도인은 이익이 귀속되어야 하는 은행의 이름과 계좌 번호를 필드(134)에 특정한다.
상기 거래자가 "통화 매수"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매수 호가가 기입될 수 있는 통화 매도 스크린(140)이 표시된다(단계 26). 이 스크린(140)은 상기 거래자/매도인이 처음에 교환에서 요구되는 통화의 종류를 기입하는 필드(142)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드(142)에 기입될 수 있는 통화의 종류에는 대한민국의 원이나 미합중국의 달러가 포함된다. 상기 스크린(140)상의 선택 필드는 또한 거래될 통화의 종류가 상기 매수인의 계좌로부터 기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 경우상기 매수인은 그의 계좌에 한가지 이상의 통화를 보유할 수 있다. 교환될 통화에 관한 정보를 기입하면, 상기 스크린(140)이 그 관련부분으로 특정한 외환 거래를 위한 통화 기준율(124), 일정 기간에 걸친 웹사이트 외환 거래의 기준율 변동의 이력을 표시하는 그래프(126), 및 충족되기를 기다리는 시스템의 다른 고객들의 공개된 매도 호가들과 매수 호가들의 테이블(128)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140)에 표시된 정보를 살펴본 후에, 상기 거래자는 상기 스크린(140)상의 각각의 필드에 상기 거래자가 필요로 하는 통화의 거래를 위해 현재 보유한 통화를 매도할 "매수 호가"율(필드 144)과 상기 거래자의 계정에서 매수할 통화량(필드 146)을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래자의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통화가 미합중국의 달러인 경우, 상기 거래자는 그것을 대한민국의 원으로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거래자에 의해 특정된 "매수 호가"율은 상기 기준율보다 큰 비율이어야 한다. 현재 매도되고 있는 특정 통화의 매도인들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한편, 상기 매도 호가와 매수 호가간에 가장 큰 가격차를 가진 거래가 상기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처음에 체결되기 때문에, 거래를 빨리 종결하고자 하는 매수인은 상기 기준율보다 훨씬 높은 매도 호가를 기입하는 전략적인 결정을 원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에서 수준 C). 통화를 매수하기 위해 오래 대기할 수 있는 매수인은 상기 기준율에 더욱 가까운 비율(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수준 D)로 통화를 매수하고자 할 수 있다. 청구서가 매수인의 나라 밖에 있는 특정인에게 지불되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외환 거래의 수익을 수령할 특정한 개인이 존재한다면, 상기 매수인은 수익이 귀속되어야 하는 은행의 이름과 계좌 번호를 필드(148)에 특정한다.
그후, 상기 거래자는 스크린 (120 또는 140)에 필요한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기입한다. 다음, 단계 28에서, 결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이 시스템 내에서 거래를 종료시킨다.
a) 상기 시스템은 처음에 거래자로부터의 매수 호가나 매도 호가 가격을 기다린다. 동일한 통화를 교환하기 위해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가격을 접수한 후에, 상기 시스템은 가장 높은 매수 호가와 가장 낮은 매도 호가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고(예를 들어, 가장 큰 가격차가 있는 경우), 그 다음의 가장 높은 매수 호가와 그 다음의 낮은 매도 호가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며(예를 들어, 가장 작은 가격차가 있는 경우), 또한 계속해서 동일한 방식을 적용함에 의해서 거래를 처리한다. 거래는 예를 들어 각 당사자(즉,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로부터 동일한 분량(통화의 단위들)을 택함에 의해 수행된다. 만일 다수의 동일한 가격을 가진 매수 호가 및/또는 매도 호가가 존재하면, 시스템은 선입선처리(first-come-first-serve) 원칙 하에서 누구의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가 거래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b)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이 세개의 매수 호가를 수령하는 한편 하나의 매도 호가도 수령하지 않았으며, 또한 상기 기준율이 1200 원/달러라고 하자. 첫번째 매수 호가는 100(분량 단위)에 대해 1201 원/달러이고, 두번째 매수 호가는 200 단위에 대한 1202 원/달러이며, 또한 세번째 매수 호가는 500 단위에 대해 1202 원/달러이다. 거래는 상기 시스템이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를 가질 때만 발생된다. 300 단위에 대해 1199 원/달러에서 매도 호가 가격이 있다고 하자. 상기 시스템은 각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측으로부터 300 분량 단위를 택하여 거래를 체결한다.거래는 가장 높은 매수 호가와 가장 낮은 매도 호가를 결합시키고, 그 다음으로 높은 매수 호가와 그 다음으로 낮은 매도 호가를 결합시키며, 또한 계속해서 동일한 방식을 적용함에 의해서 수행된다. 따라서, 1199와 1202의 비율의 각 측으로부터 300 분량 단위가 체결될 것이다. 이것은 1199 원/달러에 미합중국 달러를 매수하는 한편 1202 원/달러에 미합중국 달러는 매도하는 은행과 유사하다.
만일 동일한 가격들(매수 호가나 매도 호가들)이 제시된다면 상기 시스템은 가장 빠른 주문을 우선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두번째 매수 호가로부터 200 분량 단위를 취하는 한편 세번째 매수 호가로부터 100 분량 단위를 취한다. 상기 컴퓨터가 모든 매도 호가 가격의 분량을 매수 호가 가격의 분량과 결합시킨 다음에는, 결합되지 않은 분량이 남아있게 된다. 상기한 예에서, 상기 첫번째 매도 호가에 따른 100 단위의 1201 원/달러와 세번째 매도 호가에 따른 400 단위의 1202 원/달러가 남아있게 된다.
c) 거래의 분량(통화 단위들의 수)이 곱해진 각 완료 거래의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간의 차가 상기 시스템의 소유자/운영자의 총수익이다. 이 예에서, 상기 총수익은 (1202-1199)*300=900 원이다.
d) 각 매수 호가/매도 호가 거래가 완료됨에 따라 새로운 기준율이 계산될 것이다. 이 예에서, 상기 새로운 기준율은 (1201*100+1202*400)/500=1201.8 원/달러이다. 상기 시스템이 처음 온라인 상에 위치하게 될 때, 초기 기준율이 상기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기입되어야 한다. 상기 초기 기준율은 예를 들어 시스템 동작개시시의 공표된 외환율에 기초할 수 있다.
e) 새로운 기준율이 계산된 후에, 이전와 새로운 기준율들 사이의 매수 호가들(또는 다른 경우에, 매도 호가들)이 삭제된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 첫번째 매수 호가(1201 원/달러)가 삭제된다.
f) 거래자가 매도 호가나 매수 호가를 제출할 때,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만일 상기 거래자가 즉시 거래를 위해 시장 비율로 매수하거나 매도하기를 원하다면, 상기 시스템은 현재의 가장 크거나 적은 가격차 비율을 채택한다. 예를 들어, 매수 호가를 위한 1202 원/달러와 매도 호가를 위한 1201 원/달러가 이 실시 예에서 시장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웹사이트 운영자가 은행이나 다른 금융기관이 아니며 또한 은행의 이용과 통신송금 수수료의 지불을 필요로 하는 국가간(또는 단일 통화가 사용되는 지리적 영역들간)에 자금을 통신 송금해야 한다면, 금융상의 이익들이 최소화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 회사가 교환하고자 하는 통화를 사용하는 국가들에 사무소를 설립함으로써 통신송금을 해야할 필요를 피하는 것이 이익이 된다(도 8). 이 경우, 각국에 통화의 매수인들과 매도인 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는 국가간에 자금을 통신 송금할 필요가 없다. 그 대신, 첫번째 국가에서의 첫번째 거래의 첫번째 당사자(매수인)에 의해 두번째 국가에서의 두번째 당사자(구매자)에게 외환, 상품 또는 용역에 대한 대가로 지불된 통화에 대한 소유권이 두번째 거래의 결과로 통화, 상품 또는 용역들에 대해 두번째 국가에 있는 당사자에 대해 채권을 가진 첫번째 국가의 다른 당사자에게 이전된다. 통화 자체가 이전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소유권이 당사자들 사이에서 이전된다. 통화 교환을 필요로하는 거래를 완료하기 위해 통화가 국가간에 실제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 유사한 방식의 이전이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사업을 하고 있는 각국의 지역 사무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전 시스템이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에서 대한민국의 당자자(Client) X가 미합중국에 있는 당사자 Y에게 달러로 지불되어야 할 대한민국의 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Y가 X에게 통화를 팔거나 X로부터 통화를 사거나 또는 X가 Y로부터 상품을 구입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원과 달러를 포함하는 다른 거래, 예를 들어 미합중국에 있는 당사자 Z가 달러를 가지고 있으나 대한민국에 있는 당사자 W에게 원으로 지불해야 하는 경우와 같은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고 가정하라. X가 미합중국 달러를 Y에게 송금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는 X로부터 수령한 대한민국 원에 대한 소유권을 대한민국에 있는 W에게 이전하며, 유사하게 달러에 대한 소유권을 Z로부터 미합중국에 있는 Y에게 이전한다. 최종 결과는, Y는 X가 대한민국 원으로 지불한 미합중국 달러를 수령하며, 또한 W는 Z가 미합중국 달러로 지불한 대한민국 원을 수령하는 것이다.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들에게 예치된 자금들을 사용해서 조건부 발효 계좌 내에서 교환하는 것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이전들은 거의 실시간에 일어난다. Z가 Y에게 채무를 진 분량보다 적은 분량의 통화에 대해 채무를 진 경우에, 다른 거래에서의 수입이 통화 교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자동화된 교환 시스템에 의해 Y에게 이전된다. 따라서, 웹사이트 운영자가 대부분의 거래를 국가간의 이전 없이 특정 국가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과 미합중국에 있는 매수인들과 매도인들의 시장이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에, 웹사이트 운영자에 의해서 국가들간에 이전될 금액의 양이 최소화된다. 고객들은 통상적으로 통화가 일국내에서 교환되는 지 또는 국가들간에 거래되는 지를 인식하지 못한다. 소유권 이전 시스템은 어떠한 자동화된 교환 시스템에 의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계하여 이용되는 때에는, Z의 매수율과 Y의 매도율 사이의 가격차가 가장 큰 경우에만 자금이 Z와 Y 사이에서 이전된다.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만일 제3의 당사자 V(V는 도시 없음)의 매수율과 Y의 매도율 사이의 가격차가 더 크면, 자금은 V로부터 Y로 이전될 것이며 또한 Z는 자금을 대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V와 Z가 통화 교환의 필요에 대한 시급성과 각 입찰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그들이 제시한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가 기준율과 떨어져 있을 수록 더욱 빨리 처리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된다.
본 발명의 장점들은 종래의 교환 방법과 본 발명의 교환 방법을 사용하여 완료된 거래의 차이들을 보여주는 아래의 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가정 실시 예 1 :
종래의 방법에 따른 통화 교환
미합중국 은행 A에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탐은 10,000 달러를 대한민국에 보내고자 한다. 탐으로부터 상기 금액을 수령하는 김씨도 역시 대한민국에 사무소를 가진 상기 은행 A에 계좌를 보유하고 있다. 탐이 10,000 달러를 보내려고 할때, 상기 은행 A는 탐에게 40 달러의 고정수수료(또는 거래량의 퍼센티지)을 청구할 것이다. 삼일이나 그 이후에, 김씨는 대한민국에 있는 은행 A로부터 대한민국 원을 수령할 것이다. 대한민국에 있는 은행 A에서 원/달러 기준율이 1200이며 또한 원에 대한 매수가와 매도가의 가격차가 2.5%(몇몇 은행은 16%에 이른다)라고 가정하자. 김씨는 10,000 달러 곱하기 1185(1200*9875)의 금액을 수령하며, 그 금액은 11,850,000 원이 된다. 김씨는 또한 상기 금액을 수령하기 위해서 15,000 원의 수수료을 지불해야 한다.
가정 실시 예 2 :
본 발명에 따른 통화 교환
탐은 10,000 달러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예치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은 회사 B에 의해 운영되며, 또한 상기 회사 B는 미합중국과 대한민국에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다. 탐은 웹사이트에서 미합중국 달러를 대한민국의 원으로 교환한다. 탐이 달러를 교환하려고 할 때의 기준율이 1200이며 또한 가격차가 1원(또는 수요/공급에 따라서 1원 이하)이라고 가정하자. 탐은 11,990,000 원을 수령할 것이다. 탐은 김씨의 은행 이름과 계좌번호를 기입할 것이다. 동시에, 대한민국에 있는 회사 B는 수수료 없이 11,990,000 원을 김씨의 은행에 예치할 것이다. 이 예에 있어서, 종래의 통화 교환과 본 발명의 통화 교환의 결과들이 챠트 1에서 비교되며, 또한 상기 챠트 1은 본 발명을 이용한 탐에게 순 절약되는 금액이 약 170.80 달러임을 보여주고 있다.
챠트 1 :
은행 A 본 발명
기준 환율(1200) 1185(가격차는 2.5/2%) 1199
수수료 (송금) $40 없음
(수령) 15000 원 없음
시간 3-4 일 1 일
상기한 시스템과 방법은 유사하게 통화 외에 유가증권(증권과 회사채)을 거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유가증권의 교환은 유가증권의 교환을 위한 기준율을 결정하고, 우선 가장 큰 가격차를 가진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를 결합시키고, 그 다음으로 큰 가격차를 가진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를 결합시키며 또한 이어서 유사하게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이 도시되고, 기술되며 또한 지적되었지만, 설명한 장치의 형태와 세부사항 및 그 작동에 있어서 다양한 생략, 대치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결과들을 얻기 위해 같은 방식으로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요소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의 모든 조합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게 본 발명자에 의해 의도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개시된 형태나 실시 예와 관련해서 도시되거나 또는 도시된 한편 개시된 구조 및/또는 요소들 및/또는 방법의 단계들이 설계상의 문제로서 다른 개시되거나 또는 개시한편 제시된 형태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인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자동화된 통화 교환을 용이하게 해주는 네트워크를 제공해주는 단계;
    사용자가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가 교환될 수 있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가 이전에 특정된 분량과 이전에 특정된 환율로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를 교환하는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하는 기준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계산된 기준율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에게 상기 기준율과 관련해서 상기 첫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통화로 교환하기 위한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되, 상기 특정된 거래조건들은 요망하는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 첫번째 환율과 통화 교환의 요망하는 분량을 포함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이 두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첫번째 통화로 교환하는 첫번째 요청과 상기 두번째 환율과 차이가 있는 세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첫번째 통화로 교환하는 두번째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두번째와 세번째 환율들중 상기 첫번째 환율과 차이가 더 큰 비율로 상기 첫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통화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수행되는 방식으로, 상기 네크워크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된 거래조건하에서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요청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조건부 발효 계좌에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들을 예치하는 단계; 및
    요망하는 거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조건부 발효 계좌에 있는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엔터티에 등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요망하는 거래를 특정한 후에 상기 첫번째 환율과 관련되는 상기 기준율과 상기 요망되는 거래의 요망되는 분량을 다시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망되는 거래가 상기 첫번째 통화와 교환해서 상기 두번째 통화를 매입하는 입찰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는 단계가 선택된 첫번째 환율을 상기 계산된 기준율 보다 큰 비율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망되는 거래가 상기 두번째 통화와 교환해서 상기 첫번째 통화를 매도하는 요청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는 단계가 선택된 첫번째 환율을 상기 계산된 기준율 보다 작은 비율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상기 첫번째 사용자가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두번째 사용자에게 상기 첫번째 통화와 교환해서 수령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제공해야 하며, 또한 상기 방법은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세번째 사용자가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첫번째 통화로 바꾸는 추가적 통화 교환을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해주되, 상기 세번째 사용자는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네번째 사용자에게 일정한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상기 분량의 첫번째 통화를 객체에 의해서 이전함에 의해서 첫번째 통화를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통화를 두번째 통화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8. 첫번째 화폐수단을 두번째 통화수단으로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교환하되,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화폐수단이 통화와 유가증권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체가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화폐수단의 자동화된 교환을 용이하게 해주는 네트워크를 제공해주는 단계;
    사용자가 첫번째와 두번째 화폐수단이 교환될 수 있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가 사전에 특정된 분량과 사전에 특정된 환율로 상기한 대체로 유사한 화폐수단들을 교환하는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하는 기준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계산된 기준율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에게 상기 기준율과 관련해서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하기 위한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되, 상기 특정된 거래조건들은 요망하는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 첫번째 환율과 교환되는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의 분량을 포함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이 두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하는 첫번째 요청과 상기 두번째 환율과 차이가 있는 세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하는 두번째 요청을 포함하면, 상기 두번째와 세번째 환율들중 상기 첫번째 환율과 차이가 더 큰 비율로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수행되는 방식으로, 상기 네크워크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된 거래조건하에서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화폐수단을 두번째 화폐수단으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방법.
  9.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두번째 사용자에게 통화를 이전하되, 이 경우에 상기 통화는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이전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상기 첫번째 사용자와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상기 두번째 사용자 사이에서 첫번째 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첫번째 거래는 상기 첫번째 사용자가 첫번째 분량의 첫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사용자에게 이전될 두번째 분량의 두번째 통화로 교환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단계;
    상기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세번째 사용자와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네번째 사용자 사이에서 두번째 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두번째 거래는 상기 세번째 사용자가 상기 세번째 사용자가 소유한 세번째 분량의 두번째 통화를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이전될 네번째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로 교환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단계; 및
    상기 첫번째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소유권을 상기첫번째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이전함으로써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거래를 위해서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를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두번째 사용자로 이전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건부 발효 계좌에 상기 첫번째와 네번째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를 예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소유권 이전은 상기 조건부 발효 계좌에 있는 상기 첫번째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를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두번째 사용자로 이전하는 방법.
  11. 사전에 특정된 분량과 사전에 특정된 환율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를 교환하는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하는 기준율을 계산하는 수단;
    사용자에게 상기 계산된 기준율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율과 관련해서 상기 첫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통화로 교환하기 위한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되, 상기 특정된 거래조건들은 요망하는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 첫번째 환율과 통화 교환의 요망하는 분량을 포함하는 수단; 및
    만일 상기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이 두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첫번째 통화로 교환하는 첫번째 요청과 상기 두번째 환율과 차이가 있는세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첫번째 통화로 교환하는 두번째 요청을 포함하면, 상기 두번째와 세번째 환율들중 상기 첫번째 환율과 차이가 더 큰 비율로 상기 첫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통화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수행되는 방식으로, 상기 특정된 거래조건하에서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요청되고, 상기 시스템은
    교환될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들이 예치되는 조건부 발효 계좌; 및
    상기 요망하는 거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조건부 발효 계좌에 있는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등록하기 위한 수단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요망하는 거래를 특정한 후에 상기 첫번째 환율과 관련되는 상기 기준율과 상기 요망되는 거래의 요망되는 분량을 다시 계산하는 수단을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망되는 거래가 상기 첫번째 통화와 교환해서 상기 두번째 통화를 매입하는 입찰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는 수단이 선택된 첫번째 환율을 상기 계산된 기준율 보다 큰 비율로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망되는 거래가 상기 두번째 통화와 교환해서 상기 첫번째 통화를 매도하는 요청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는 수단이 선택된 첫번째 환율을 상기 계산된 기준율 보다 작은 비율로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상기 첫번째 사용자가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두번째 사용자에게 상기 첫번째 통화와 교환해서 수령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제공해야 하며, 또한 상기 시스템은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세번째 사용자가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첫번째 통화로 바꾸는 추가적 통화 교환을 용이하게 해주되, 상기 세번째 사용자는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네번째 사용자에게 일정한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를 제공하도록 되어있는 수단; 및
    상기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상기 분량의 첫번째 통화를 이전함에 의해서 상기 두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상기 상기 첫번째 통화를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리적 영역들 사이에서의 통화 교환이 최소화되는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경매를 통한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자동교환시스템.
  18. 경매를 통해서 첫번째 화폐수단을 두번째 통화수단으로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교환하되,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화폐수단이 통화와 유가증권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전에 특정된 분량과 사전에 특정된 환율로 상기한 대체로 유사한 화폐수단들을 교환하는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하는 기준율을 계산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계산된 기준율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율과 관련해서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하기 위한 요망하는 거래의 조건들을 특정하되, 상기 특정된 거래조건들은 요망하는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 첫번째 환율과 교환되는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의 요망하는 분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수단; 및
    만일 상기 다수의 진행중인 거래 요청들이 두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하는 첫번째 요청과 상기 두번째 환율과 차이가 있는 세번째 환율로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하는 두번째 요청을 포함하면, 상기 두번째와 세번째 환율들중 상기 첫번째 환율과 차이가 더 큰 비율로 상기 첫번째 화폐수단을 상기 두번째 화폐수단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요망하는 거래가 수행되는 방식으로, 상기 네크워크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된 거래조건하에서 상기 요망하는 거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첫번째 화폐수단을 두번째 화폐수단으로 용이하게 자동교환하는 시스템.
  19.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두번째 사용자에게 통화를 이전하되, 이 경우에 상기 통화는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이전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상기 첫번째 사용자와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상기 두번째 사용자 사이에서 첫번째 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첫번째 거래는 상기 첫번째 사용자가 첫번째 분량의 첫번째 통화를 상기 두번째 사용자에게 이전될 두번째 분량의 두번째 통화로 교환하도록 되어 있는 수단;
    상기 두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세번째 사용자와 상기 첫번째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네번째 사용자 사이에서 두번째 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두번째 거래는 상기 세번째 사용자가 상기 세번째 사용자가 소유한 세번째 분량의 두번째 통화를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이전될 네번째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로 교환하도록 되어 있는 수단; 및
    상기 첫번째 분량의 상기 첫번째 통화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소유권을 상기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번째 사용자에게 이전함으로써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통화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거래를 위해서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를 첫번째 사용자로부터 두번째 사용자로 이전하는 교환시스템.
KR1020020060806A 2002-10-05 2002-10-05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96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06A KR100964764B1 (ko) 2002-10-05 2002-10-05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06A KR100964764B1 (ko) 2002-10-05 2002-10-05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514A true KR20030029514A (ko) 2003-04-14
KR100964764B1 KR100964764B1 (ko) 2010-06-21

Family

ID=2957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06A KR100964764B1 (ko) 2002-10-05 2002-10-05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989A (ko) * 2015-06-11 2016-12-21 최현규 그룹 내 화폐 교환 서비스 방법, 이를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38A1 (ko) * 2016-11-22 2018-05-31 소다크루 주식회사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590783B1 (ko) * 2022-08-12 2023-10-19 주식회사 아이씨비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087A (en) * 1994-04-28 1998-08-25 Citibank, N.A. Electronic-monetary system
EP0865642A2 (en) * 1995-11-21 1998-09-23 Citibank, N.A. Foreign exchange transaction system
JPH10269395A (ja) * 1997-03-25 1998-10-09 Hitachi Ltd 電子通貨対応外貨両替装置
KR20020011603A (ko) * 2000-08-03 2002-02-09 조상기 외국환 거래 중개 시스템
KR20010008285A (ko) * 2000-11-21 2001-02-05 김명철 인터넷을 이용한 환전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989A (ko) * 2015-06-11 2016-12-21 최현규 그룹 내 화폐 교환 서비스 방법, 이를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764B1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683B1 (en) Open commodites exchange
US10002354B2 (en) Multi currency exchanges between participants
US7483857B2 (en) Online e-commerce transactions incorporating effects of uncertainty and risk factors
US6598028B1 (en) Computer-implemented universal financial management/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US8311911B2 (en) Global foreign exchange system
US8396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ng commercial transactions
US20020087454A1 (en) Global trading system
US20040002913A1 (en) Online trade aggregating system
US20030018563A1 (en) Trading and processing of commercial accounts receivable
US200502163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market-maker participation in transactions
US200200167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eign exchange price procurement and automated hedging
JP2006505869A (ja) 資産取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40039674A1 (en) Certificate of deposit portfolio system and method
KR100340707B1 (ko)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한 매도 부동산 평가 및 중개 서비스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 장치
CA2257428A1 (en) Computer based matching system for buyers and sellers
EP108920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ce setting
WO2004051394A2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ng commercial transactions
US7349881B1 (en) Computer borrow and loan securities auction system
US11620701B1 (en) Platform for trading assets in different currencies
US77788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 electronic trading of depositary receipts
CA2390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ggregated securities brokerage service
KR100964764B1 (ko)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20040049449A1 (en) Electronic trading system and method for accounts receivables and payables
WO2001015000A1 (en) A method of performing securitized transactions
MXPA04001308A (es) Sistema de procesamiento de datos para implementar un mercado financie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