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783B1 -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783B1
KR102590783B1 KR1020220101134A KR20220101134A KR102590783B1 KR 102590783 B1 KR102590783 B1 KR 102590783B1 KR 1020220101134 A KR1020220101134 A KR 1020220101134A KR 20220101134 A KR20220101134 A KR 20220101134A KR 102590783 B1 KR102590783 B1 KR 10259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user
currency
financial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비
Priority to KR102022010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783B1/ko
Priority to PCT/KR2023/011230 priority patent/WO20240349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며, 제1국과 제2국 사이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수행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제1국 유저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2국의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의 관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FINANCIAL TRANSACTION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국의 서비스 유저가 타국의 거래 상대방과의 금융거래를 함에 있어 발생되는 어려움을 최소화하여 국제 금융거래를 원활하게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품의 수출입 등 국제 거래가 증가하면서 타국의 거래 상대방과의 금융 거래량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제화가 가속화하면서 각 나라가 농산물이나 공산품 등을 자체 수급하기 보다는, 각각 물품의 특징이나 종류에 따라 생산 효율이 높은 국가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된 것을 나머지 국가들이 수입하여 소비하는 방식으로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입업자와 수출업자 사이의 금융거래는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금융거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서로 다른 국가 간의 무역에서는 특히 환율의 변동으로 인한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거래 대금의 지급 시기나 거래에 이용되는 통화의 종류에 대해서도 거래 당사자가 예민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역 대금 결제 등 국제 금융거래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041116호에는 ‘해외 송금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국인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해외송금 전용계좌를 개설하고, 전용계좌에 일정 금액 이상의 한화가 누적되면 미리 지정된 해외계좌로 해외송금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기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더라도 송금 시기의 환율에 따른 환차익이나 환차손에 대한 책임이 발생하고, 서로 다른 국가 거래 당사자간의 다양한 금융거래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국가의 금융거래 당사자 간의 송금이나 환전을 용이하게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국제 금융거래에서 환율의 변동으로 인한 손해와 그에 대한 책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유저로 하여금 타국의 거래 상대방과 거래할 때 통화의 종류로 인한 제한이나 불편 없이 금융 거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국과 제2국 사이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수행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제1국 유저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2국의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의 관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국과 제2국 사이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는 복수의 유저의 유저계정 각각에 대응하여 유저정보, 제1통화 잔고 및 제2통화 잔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2국의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고,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1통화와 제2통화 간의 환전이 요청되면, 요청 시점의 환율에 따라 상기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를 변경하여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거래 중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제1국 유저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2국의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의 관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금융거래 중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제1국 유저로부터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2국의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의 관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로 다른 국가의 금융거래 당사자 간의 송금이나 환전을 용이하게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국제 금융거래에서 환율의 변동으로 인한 손해와 그에 대한 책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저로 하여금 타국의 거래 상대방과 거래할 때 통화의 종류로 인한 제한이나 불편 없이 금융 거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유저 등록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인보이스 등록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환전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송금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지급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은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국가들 적어도 둘 이상의 국가들 사이의 금융거래를 중개한다.
구체적으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과 제2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국가들 사이에서 제2국에 예치된 제1국 유저의 예치금을 관리하면서, 제1국 유저로 하여금 제2국의 거래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제1국과 제2국은 서로 다른 거래 상대방의 국가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대적인 표현으로서, 아래에서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가 제1국 유저에게 제2국의 예치금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제2국 유저에게 제1국의 예치금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중개서버(10)를 포함한다. 이때 중개서버(10)는 제1국 금융 시스템(20)과 제2국 금융 시스템(30) 사이에서 금융거래, 즉 해외 송금을 처리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중개서버(10)와 함께, 제1국 금융 시스템(20), 제2국 금융 시스템(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제1국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제1국에서 예금이나 대출, 지급결제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에 의하여 운영되거나 또는 금융기관과의 제휴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제1국의 유저들에게 제1국의 예금 계좌를 개설해주고, 계좌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에서 유저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1국의 통화 또는 기축통화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국 유저의 제1국 예금 계좌는 이와 같은 제1국의 통화 또는 기축통화 중 어느 하나의 통화로 거래되는 계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국의 통화 또는 기축통화를 제1통화라고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제1국의 금융기관 또는 금융기관과 제휴 관계에 있는 주체가 유저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장치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유저들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21)과 유저 단말(21)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제2국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제2국에서 예금이나 대출, 지급결제, 환전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이때 제2국에서는 제1국에서 이용되는 제1통화와 구분되는 제2통화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국이 중국이고, 제2국이 대한민국인 경우, 제1통화는 위안화 또는 미국 달러화이고, 제2통화는 원화일 수 있다.
그리고 중개서버(10)는 제1국 금융 시스템(20) 및 제2국 금융 시스템(30)과도 통신하면서 제1국 유저들에게 제2국의 상대방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거래를 수행하도록 금융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개서버(10)의 운영자는 제1국과 제2국 사이에서 제1국 유저의 요청에 따라 금융거래를 중개하기 위하여, 제2국에 중개서버(10) 운영자에 의해 개설된 제2국의 제1통화 거래계좌와 제2통화 거래계좌를 보유할 수 있다. 이때 제1통화 거래계좌와 제2통화 거래계좌는 상술한 제2국 금융 시스템(30)에 의하여 개설된 계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개서버(10)는 운영 주체의 명의로 제2국에 미국 달러화 계좌와 원화 계좌를 보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개서버(10)의 운영 주체 명의의 제1통화 거래계좌와 제2통화 거래계좌는 제1국 유저들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개서버(10)는 각각의 제1국 유저에게 상술한 제2통화 거래계좌에 연동되도록 발급되는 가상계좌번호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개서버(10)의 운영 주체가 보유한 제2통화 거래계좌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국 유저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계좌번호들이 발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국 유저들에게 부여된 가상계좌번호들을 이용하여 제2통화 거래계좌에 제2통화가 입금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중개서버(10)의 운영 주체는 제2통화 거래계좌에 일정 금액 이상의 잔고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통화 거래계좌에 유지되는 잔고를 이용하여 제1국 유저의 제2국에 예치된 제2통화를 제1통화로 환전하거나 제2국의 타인에게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통화 거래계좌에는 중개서버(10)의 운영 주체에 의하여 일정 금액 이상의 잔고가 유지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중개서버(10)는 제1통화 거래계좌의 잔고를 이용하여, 제2국에 예치된 제1국 유저의 제1통화를 제1국이나 그 외 국가로 송금할 수 있다.
이처럼 중개서버(10)의 운영자에 의하여 개설된 제1통화 거래계좌와 제2통화 거래계좌는, 제2국에 예치되어 있는 제1국 유저들의 제1통화 잔고나 제2통화 잔고를 이용하여 제1국으로의 송금이나 제2국의 거래 상대방에 대한 지급 등의 금융거래를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중개서버(10)의 운영자에 의해 제2국에 개설된 제1통화 거래계좌와 제2통화 거래계좌에 각각 예치된 금액을 ‘송금 풀(Pool)’과 ‘지급 풀(Pool)’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한편 중개서버(10)는 각각 제1국 금융 시스템(20)과 미리 정해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따라 요청과 응답 형식의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중개서버(10)는 제2국 금융 시스템(30)과도 미리 정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저장부(110), 입출력부(120),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에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0)에는 등록된 제1국 유저들의 유저정보가 제1국 유저에 대응하여 생성된 유저계정의 식별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제1국 유저는 자연인일 수도 있으나, 제2국의 거래 상대방과 수출입 계약 등에 기초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제1국의 법인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유저정보는, 법인명, 법인 등록번호, 업종, 연락처, 주소지, 법인이 보유한 제1국의 예금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유저정보에는 제1국 유저에 대응하여 발급된 가상계좌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어부(130)는 각각의 제1국 유저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발급된 가상계좌번호를 해당 유저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0)에는 각각의 유저계정에 대응하는 예치금 잔고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예치금 잔고는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로 구분될 수 있다. 예치금은 제1국 유저에 대하여 제2국의 송금 풀이나 지급 풀에 예치된 금액으로서, 예를 들어 제1국 유저의 거래 상대방이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로 입금한 금액, 제1국 유저가 제2국에 예치된 제2통화를 제1통화로 환전한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각각의 유저에 대해 이와 같이 제1통화 예치금의 잔고와 제2통화 예치금 잔고가 기록되고 관리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10)에는 이와 같은 예치금의 입출 내역이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입출력부(120)는 제1국 유저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국 유저의 유저 단말(21)에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부(120)는 제1국 유저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예를 들어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등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2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금융거래 중개 시스템(100)의 중개서버(10)에 구비되거나, 또는 금융거래 중개 시스템(100)이 제1국 금융 시스템(20)과 제2국 금융 시스템(30)을 더 포함하는 경우 중개서버(10)와 금융 시스템들(20, 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지급 풀에 대응하는 제2국 거래계좌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각각의 유저계정마다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송금 풀에 대응하는 제1국 거래계좌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각각의 유저계정마다 부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각각의 유저계정에 대응하는 가상계좌번호를 저장부(110)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각각의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제2통화의 금액, 또는 제1통화의 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된 금액을 입금 시 이용된 가상계좌번호에 대응하는 유저계정의 제2통화 잔고나 제1통화 잔고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국이 중국이고 제2국은 한국이며, 제1통화는 미국 달러화, 제2통화는 원화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국에는 금융거래 중개 시스템(100)의 운영자에 의하여, 한국 금융기관에 달러화 거래계좌와 원화 거래계좌가 개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계좌는 송금 풀과 지급 풀의 운용에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달러화 거래계좌와 원화 거래계좌에는 중국 유저들에게 발급된 복수의 가상계좌번호들이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 원화 거래계좌에 연동된 가상계좌번호들 중에서 특정 중국 유저 A에게 부여된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한국의 원화 거래계좌에 2,000만원이 입금되면, 제어부(130)는 중국 유저 A의 현재의 한화 잔고에 2,000만원을 더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는 한국 달러화 거래계좌에 연동된 가상계좌번호들 중에서 중국 유저 A에게 부여된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한국의 달러화 거래계좌에 10,000달러가 입금되면, 제어부(130)는 중국 유저 A의 달러화 잔고 정보에 10,000달러가 증가하도록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2국에 개설된 송금 풀과 지급 풀에 특정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1통화나 제2통화가 입금되면, 입금된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해당 가상계좌번호에 대응하는 유저계정의 제1통화 잔고 또는 제2통화 잔고 정보에 합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송금 풀과 지급 풀의 입출금 내역과 잔고에 대한 정보도 저장부(110)에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송금 풀과 지급 풀에 예치된 금액을 운영자의 요청이나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송금 풀과 지급 풀에 예치된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금액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지급 풀에 일정 금액 이상이 적립된 상태에서 송금 풀에 예치된 금액이 미리 설정된 금액 미만으로 줄어든 경우, 제어부(130)는 자동으로 또는 운영자의 확인을 거쳐 지급 풀에 예치된 금액의 일부를 환전하여 송금 풀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개서버(10)는 제2국 금융 시스템(30)에서 개설한 제1통화 거래계좌와 제2통화 거래계좌에 예치된 송금 풀과 지급 풀의 잔고를 확인하면서, 지급 풀에 예치된 제2통화 일부를 제1통화로 환전하여 송금 풀로 이체해 줄 것을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현재 시점의 환율 정보를 참조하여, 송금 풀과 지급 풀 사이의 환전 및 이체를 통한 환차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통화를 제2통화로 환전하는 시점과 제2통화를 제1통화를 환전하는 시점을 환율 변동을 모니터링하면서 적절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송금 풀과 지급 풀에 예치된 제1통화와 제2통화를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제어부(130)는 송금 풀과 지급 풀에 예치된 제1통화와 제2통화가 복수의 제1국 유저들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1국의 금융계좌로 송금되거나 제2국의 금융계좌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로부터 발생한 요청에 따라,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환전 요청에 따라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하여 기록된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 사이에서 가상의 환전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가 자신에 대해 예치된 제1통화의 적어도 일부를 제2통화로 환전하고자 하면, 해당 시점의 환율에 따라, 환전 요청된 제1통화의 금액을 제2통화로 환산하고, 선택적으로 환전 수수료를 차감하여, 최종 산정된 금액만큼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이때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는 환전 요청된 금액에 대응하는 만큼 차감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중국 유저가 현재 본인의 유저 계정에 각각 10,000달러와 2,000만원의 잔고를 예치한 상태이고, 중국 유저가 5,000달러를 한화로 환전하고자 하면, 제어부(130)는 우선적으로 현재 시점의 원달러환율 1,200원을 확인하여, 5,000달러를 원화 600만원으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리고 중국 유저의 달러 잔고와 원화 잔고를 각각 5,000달러 차감한 5,000달러와, 600만원이 추가된 2,600만원으로 갱신하여 기록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환전 수수료 등 추가적인 수수료가 차감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실제 환전을 실행한다기 보다는 유저 계정에 기록된 달러 잔고와 원화 잔고 사이의 숫자를 환율에 따라 환산하여 기록한다. 즉, 유저 계정에서 환전 요청이 발생하더라도 제어부(130)가 즉시 환전 요청된 금액에 대응하는 통화의 환전을 실행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송금 풀이나 지급 풀 사이의 환전 및 이체는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해당 유저의 제1통화 예치금과 제2통화 예치금이 달리 기록될 뿐이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예치금을 제2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 송금할 수 있다. 이때 다른 국가에는 제1국도 포함된다. 제1국 유저가 다른 국가의 금융계좌 정보와 송금을 희망하는 제1통화 금액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서 송금을 요청하면,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에서 해당 금액을 차감하면서 동시에, 송금 풀에서 송금 요청된 다른 국가의 금융계좌로 해당 금액을 송금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예치금을 제2국의 임의의 금융계좌로 지급할 수 있다. 제1국 유저가 제2국의 본인 또는 타인의 금융계좌 정보와 지급을 희망하는 제2통화 금액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서 지급을 요청하면,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서 해당 금액을 차감하면서 동시에, 지급 풀에서 지급 요청된 제2국의 금융계좌로 해당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위에서 ‘송금’과 ‘지급’이라는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송금’은 제2국에 예치된 제1국 유저의 예치금을 제2국이 아닌 타국의 금융계좌로 보내는 것을, ‘지급’은 제2국에 예치된 제1국 유저의 예치금을 제2국 내의 금융계좌로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타국의 금융계좌나 제2국의 금융계좌는 제1국 유저 또는 그 외 다른 자연인이나 법인의 금융계좌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가 환전을 수행하거나, 송금 또는 지급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제1국 유저는 자신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 내에서 수수료가 지급될 통화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수수료가 발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제1국 유저로 하여금 수수료를 지급할 통화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고, 제1국 유저가 선택한 종류의 통화 잔고에서 수수료를 차감할 수 있다. 수수료를 차감함에 있어서도 실제 송금 풀이나 지급 풀에서 금액이 증감되는 것은 아니고, 각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된 제1통화 잔고 또는 제2통화 잔고 내에서 수수료가 차감된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로부터 인보이스를 등록받을 수 있다.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를 통해 제2통화 거래계좌에 제2통화가 입금되면, 제어부(130)는 입금된 금액을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합산하여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금액을 일차적으로는 동결 상태로 하여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추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를 동결 상태의 잔고와 동결 해제 상태의 잔고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는 총 2,600만원이고 이 중 600만원은 동결 상태로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동결 상태’는, 해당 상태의 금액에 대응하는 제2통화를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한 제2국의 타인에게 환불 조치할 때에만 지급 가능하고, 그 외 환전이나 송금, 입금한 타인 이외의 타인에 대한 지급에는 이용할 수 없는 상태를 지시한다. 한편 ‘동결 해제 상태’는 해당 상태의 금액에 대응하는 제2통화를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들, 즉 송금, 지급, 환전 등에 모두 이용 가능한 상태를 지시한다.
제어부(130)는 지급 풀에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금액을, 해당 가상계좌번호에 대응하는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추가하되 일차적으로는 동결 상태로 기록한 이후에, 제1국 유저로부터 등록된 인보이스의 검토가 완료되면 비로소 동결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인보이스의 등록은 제1국 유저가 인보이스 서류를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에 등록하고 인보이스 정보를 입력하면서 인보이스 등록을 요청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인보이스 서류에 기입된 정보와 입력된 인보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하거나, 관리자에게 인보이스 서류와 인보이스 정보를 전달하여 검증 결과를 입력받음으로써 인보이스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보이스 정보에 기입된 청구금액 및 청구 대상과 제1국 유저의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입금된 입금 금액 및 입금자 등이 일치하거나 또는 일정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인보이스 검토를 완료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서 검토가 완료된 인보이스에 대응하는 입금 내역에 해당하는 입금 금액을 동결 상태에서 동결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제1국 유저가 해당 금액을 환전하거나, 송금하거나, 타인에게 지급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4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40)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가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가 수행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유저 등록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인보이스 등록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환전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송금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서 지급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도 1 및 2에 도시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및 도 2에 도시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3을 참조하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의 유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1). 구체적으로는 제1국 유저의 유저정보와 함께 유저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수신된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저계정에 연관하여 유저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S302).
이어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유저에 대하여 제2국의 제2통화 거래계좌에 연관되는 가상계좌를 발급받아 가상계좌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S303).
그리고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발급된 가상계좌번호를 유저 등록을 요청한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하여 저장한 후(S304), 제1국 유저에게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05).
또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를 각각 0으로 기록하면서, 제1국 유저에 대한 제2국 내의 예치금에 대한 관리를 개시할 수 있다(S306).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저 등록 방법을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중개서버(10)와 제1국 금융 시스템(20),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서는 신규 유저 가입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401). 이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서 유저 단말 또는 텔러(Teller) 단말(미도시)에서 유저정보의 입력과 함께 유저 등록이 요청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텔러 단말은 은행 등 금융기관의 창구 직원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로서, 유저 단말과 마찬가지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서 클라이언트로 기능하면서, 제1국 유저에 의해 발생한 요청들을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전달하며 제1국 유저와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국 금융 시스템(20)이 중개서버(10)로 유저정보를 전송하면서 유저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402). 이어서 중개서버(10)는 유저정보에 대응하는 유저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저계정에 유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403).
유저 등록이 완료되면 중개서버(10)는 우선적으로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 가입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404),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제2통화 가상계좌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S406).
그에 따라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미리 개설되어 있는 제2국 거래계좌에 연관되는 제1국 유저의 가상계좌번호를 생성한 후(S407), 생성된 가상계좌번호의 정보를 중개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408).
이어서 중개서버(10)는 S403단계에서 생성된 유저계정에, 수신된 가상계좌번호를 연관하여 저장하고(S409),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10). 그리고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제1국의 유저에게 가상계좌번호를 안내할 수 있다.
중개서버(10)는 이어서, 유저계정에 제1통화 잔고 및 제2통화 잔고를 각각 0으로 기록하고 잔고 관리를 시작할 수 있다(S413). 잔고 관리가 개시된 이후에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제2통화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한 입금이 발생하면, 입금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기록함으로써, 제1국 유저의 예치금 관리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로부터 인보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로부터 인보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501). 인보이스 등록 요청과 함께 인보이스 정보와 인보이스 서류가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인보이스 정보를 기록하고(S502), 인보이스 정보를 검토할 수 있다(S503). 인보이스 정보의 검토는 인보이스 서류와 인보이스 정보 내의 항목이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인보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제2통화 가상계좌의 입금 내역이 확인될 때까지(S504), 입금을 대기하거나(S505) 이미 입금된 내역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입금 내역이 확인되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입금 금액을 합산하고(S506), 입금 금액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507). 입금 금액의 검증은 인보이스 정보의 청구금액과 입금 금액이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입금 금액이 복수회에 걸쳐 입금되었거나, 청구금액이 제2통화가 아닌 경우, 합산된 금액이나 현재 환율에 따라 환산된 금액이 청구금액과 일정 오차 범위 내인지 확인함으로써 입금 금액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입금 금액의 검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입금 금액의 동결을 해제할 수 있다(S509). 그러나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입금 금액의 검증이 성공하기 이전에는 입금 금액을 동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508).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보이스 등록 절차를, 절차의 수행 주체에 따라 나누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제1국 유저로부터 인보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601). 또는 제1국 금융 시스템(20)이 텔러 단말들과 금융 서비스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텔러 단말로부터 제1국 유저의 인보이스 등록 요청이 발생할 수도 있다.
중개서버(10)는 인보이스 정보를 전송받으면(S602), 인보이스 정보와 인보이스 서류를 저장할 수 있다(S603).
이어서 중개서버(10)는 인보이스 정보를 검토하고(S604), 우선적으로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 인보이스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5).
한편 인보이스 등록을 요청한 제1국 유저의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지급 풀로의 입금이 발생하면(S606),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이를 확인하여 중개서버(10)로 입금내역을 통지한다(S607).
그리고 중개서버(10)는 입금내역을 확인하면, 우선적으로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입금된 금액을 동결 상태로 추가 기록할 수 있다(S608). 이어서 중개서버(10)는 입금 내역과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의 변동을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통지할 수 있다(S609).
한편 중개서버(10)는 입금된 금액과 인보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입금 금액을 검증할 수 있다(S610). 입금 금액이 인보이스 정보 내의 청구금액과 대응한다고 판단하면, 중개서버(10)는 해당 입금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의 제2통화 잔고의 동결 상태를 해제하고(S611), 입금 금액의 동결 상태가 해제되었다는 통지를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국 유저는, 인보이스를 통해 청구된 금액을 제2국의 타인으로부터 제2통화로 지급받을 수 있고, 이를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환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국의 타인과 제1국 유저는 각각 환율 변동과 입금 시점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환차손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의 환전 요청이 수신되면(S701), 환전이 요청된 시점의 환율을 우선 조회한다(S102). 그리고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조회된 환율을 이용하여 환전 요청된 금액의 환전 예상 금액을 산출하여, 조회된 환율 정보와 환전 예상 금액 정보를 제1국 유저에게 안내한다(S703).
그에 따라 제1국 유저가 환율과 환전 예상 금액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내용으로 환전 실행을 요청하면(S704),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S702단계에서 조회된 환율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S705). 환율 정보는, 유효성을 확인하는 현재 시간이 환율 정보가 조회된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범위 내이거나, 유효성 확인 시에 조회한 환율 정보와 우선 조회된 환율 정보가 동일한 경우 유효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환율 정보가 유효하다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또는 제2통화 잔고를 확인하여 매도 잔액이 충분한지 확인한 후(S706), 환전 금액에 대응하여 유저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1통화를 제2통화로 환전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매도 금액을 제1통화에서 차감하고, 유효성이 확인된 환율 정보에 따라 환전된 금액만큼 제2통화 잔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국 유저는 환전 요청함에 있어서, 환전을 원하는 금액을 제1통화와 제2통화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화가 미국 달러화이고 제2통화가 원화이고, 제1국 유저의 예치금은 미국 달러화 10,000달러, 원화 0원인 상황에서, 제1국 유저가 원화 600만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1국 유저는 매수하고자 하는 금액 원화 600만원을 입력하면서 환전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1국 유저는 매도하고자 하는 금액 미국 달러화 5,000달러를 선택하면서 원화로의 환전을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방법을, 각 절차 수행 주체에 따라 나누어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서 제1국 유저에 의해 환전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801). 환전 요청에는 매도 또는 매수하고자 하는 통화의 종류와 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이와 같이 환전하고자 하는 통화의 종류와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환전 요청 정보를 중개서버(10)로 전달하면서 환전을 요청할 수 있다(S802).
그에 따라 중개서버(10)는 환전 요청 정보를 저장한 후(S803), 해당 시점의 환율의 조회를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요청할 수 있다(S804). 따라서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현재의 환율 정보를 수집하여(S805), 중개서버(10)로 전송한다(S806).
중개서버(10)는 수신된 환율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S807), 환전 예상 금액 정보를 산출하여 환전 정보와 함께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808).
이어서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환율 및 환전 예상금액을 제1국 유저에게 안내하면서, 안내된 환율에 따라 환전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제1국 유저의 의사를 확인한다(S809). 예를 들어,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환율 및 환전 예상금액과 함께 환전 실행 요청 버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국 유저에 의해 환전 실행 요청이 발생하면(S810),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환전 실행 요청을 중개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11).
중개서버(10)는 환전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S807단계에서 저장된 환율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S812). 중개서버(10)는 환율 정보와 함께 저장된 시간 정보를 현재 시간과 비교하여 환율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중개서버(10)는 S812단계에서 다시 한번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환율 조회를 요청한 후,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조회된 환율 정보를 수신하여 S807단계에 저장된 환율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 수신한 환율 정보가 미리 저장된 환율 정보와 일치하면, 중개서버(10)는 환율 정보가 유효하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중개서버(10)는 환율정보가 유효하면 제1국 유저의 환전 대상 통화의 잔고가 환전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확인한 후(S813), 환전 금액에 대응하여 제1국 유저의 환전 대상 통화의 잔고를 변경할 수 있다(S814). 예를 들어, 제1통화를 제2통화로 환전하는 요청을 처리하는 경우, 중개서버(10)는 제1통화 잔고에서 제2통화로 환전된 금액을 차감하고, 제2통화 잔고에는 환전된 금액을 추가하여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서버(10)는 환전 결과에 따라 변경된 제1통화 및 제2통화 잔고에 대한 정보를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전송함으로써(S815), 제1국 금융 시스템(20)이 제1국 유저에게 환전 결과 및 그에 따른 제1통화 및 제2통화 잔고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S816).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로부터 제1통화의 송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901). 송금 금액과 송금 대상이 되는 제1국 금융계좌의 정보와 함께 송금이 요청되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송금 요청한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하여 기록된 제1통화의 잔고를 확인하여 송금 요청된 금액 이상의 잔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902).
이어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송금 풀에서 송금 요청된 금액을 송금 요청된 제1국 금융계좌로 송금 처리한다. 즉,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2국의 송금 풀에 예치되어 있는 제1통화 중 일부를 제1국 금융계좌로 송금한다.
그리고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송금 결과를 제1국 유저에게 안내되도록 한 후, 송금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경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된 제1통화 잔고에서 송금 처리된 금액을 차감하여 기록할 수 있다(S905).
다만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2국의 송금 풀에 예치된 금액을 제1국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2국으로부터 제1통화를 해외 송금하는 경우, 그 송금 대상이 되는 국가가 제1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국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제1국이 아닌 제3국으로 제1통화를 송금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송금 절차를 실시예에 따라 중개서버(10)와 제1국 및 제2국 금융 시스템(20, 30)이 나누어 처리하는 경우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국 금융 시스템(10)은 제1국 유저로부터 제1국 금융계좌로의 송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1). 구체적으로 제1국 유저는 송금하고자 하는 제1통화의 금액과, 송금 대상 국가, 송금 대상 금융계좌의 계좌번호 및 계좌주 정보 등의 송금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서 송금을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국 금융 시스템(10)은 송금 요청 정보를 중개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중개서버(10)는 송금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송금이 가능한지 여부의 확인을 위해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를 확인할 수 있다(S1003).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가 송금 처리에 충분한 경우, 중개서버(10)는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제1통화의 송금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004). 중개서버(10)는 제2국 금융 시스템(30)에 송금 요청 정보를 전달하면서 송금을 요청할 수 있다.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제1통화 송금 풀에서, 송금 요청된 금액을 인출처리하고 송금 요청된 제1국 또는 타국의 금융계좌로 송금 요청된 제1통화의 금액을 해외 송금 처리한다(S1005). 그리고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송금 처리 결과를 다시 중개서버(10)로 전달한다.
중개서버(10)는 해외 송금이 성공하였다는 송금 처리 결과를 수신하면, 송금을 요청한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에서 송금된 금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잔고를 변경하여 기록한다(S1007). 그리고 중개서버(10)는 송금 처리 결과와 변동된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 정보를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1008).
그에 따라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중개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송금 결과와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 정보를 제1국 유저에게 제공하여 안내할 수 있다(S1009).
한편 아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제1국 유저의 요청에 의한 제2통화 지급 처리 절차를 살펴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로부터 제2통화 지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101). 이때 지급 요청에는, 제1국 유저가 제2통화를 지급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제2국 금융계좌 정보, 그리고 지급하고자 하는 제2통화의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를 먼저 확인하여 지급 요청을 처리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S1102), 제2통화 지급 풀에서 제1국 유저가 입력한 제2국 금융계좌로 지금 요청된 제2통화를 이체한다. 즉,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2통화 지급 풀에 예치된 제2통화를 이용하여 제1국 유저의 지급 요청을 처리한다.
지급 처리가 완료되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2통화의 지급 결과를 제1국 유저에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S1104).
이어서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된 제2통화 잔고에서 지급 처리된 금액을 차감하여 잔고를 다시 기록할 수 있다(S1105).
나아가 도 11을 통해 상술된 바와 같은 제2통화 지급 절차를, 각 단계의 수행 주체를 세분화하여 살펴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국 금융 시스템(20)에서는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지급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1201). 예를 들어, 제1국 금융 시스템(20)을 구성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제1국 유저의 유저 단말(21) 또는 텔러 단말을 통해 제1국 유저가 지급을 원하는 제2통화의 금액과 제2국 금융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지급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제1국 금융 시스템(20)을 구성하는 서버가 지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중개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1202).
중개서버(10)는 수신되는 지급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제2통화의 지급을 요청한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를 확인한다(S1203). 지급 요청을 처리하기에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가 충분한 경우, 중개서버(10)는 제2국 금융 시스템(30)으로 지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국 금융계좌의 정보와 제2통화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제2통화의 지급을 요청한다(S1204).
그에 따라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지급 요청된 바에 따라 제2통화 지급 풀에서 요청된 금액을 제2국 금융계좌로 이체한다(S1205).
이어서 제2국 금융 시스템(30)은 제2통화 지급 결과를 다시 중개서버(10)로 전송한다(S1206). 중개서버(10)는 지급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제1국 유저에 의해 요청된 제2통화 지급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것이 확인되면, 지급된 금액에 대응하는 제2통화를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서 차감한다(S1207).
이어서 중개서버(10)는 지급 처리 결과와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 정보를 제1국 금융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1208).
제1국 금융 시스템(20)은 제2통화의 제2국 금융계좌에 대한 지급 처리 결과와 그에 따른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 정보를 제1국 유저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융거래 중개 장치(100)는 제1국과 제2국 사이에서 적어도 제1국의 유저를 위하여, 제1국 유저의 제2국에서의 금융거래를 원활하게 중개하며, 이 과정에서 둘 이상의 종류의 통화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대금 지급이나 송금을 가능하게 하고, 둘 이상의 통화의 환전을 제1국 유저가 원하는 시점에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국제 금융거래 상의 절차적 불편함을 해소할 뿐 아니라 불필요한 분쟁의 발생을 예방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금융거래 중개 장치 110: 저장부
120: 입출력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10: 중개서버
20: 제1국 금융 시스템 21: 유저단말
30: 제2국 금융 시스템

Claims (12)

  1. 제1국의 금융 시스템과 제2국의 금융 시스템과 통신하여, 제1국 및 제2국의 유저 사이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수행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제1국 유저의 유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내에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의 운영자에 의해 상기 제2국에 미리 개설된 제2통화 거래계좌에 예치된 금액인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발급된 가상계좌번호를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내의 상기 제1국 유저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의 관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2국의 금융 시스템의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금융 서비스 내의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1통화와 제2통화 간의 환전이 요청되면,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환전 요청 시점의 환율에 따라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를 변경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 거래 중개 장치가,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동결 상태로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인보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인보이스 정보를 기록하고 검토하는 단계;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이 상기 인보이스에 대응하는 금액의 범위 내이고 상기 인보이스 정보의 검토가 완료되면,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동결 상태로 기록된 금액을 해제 상태로 전환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1국의 금융계좌로의 송금이 요청되면,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상기 제2국의 제1통화 송금 풀로부터 상기 제1국의 금융계좌로의 송금을 실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1통화 잔고로부터 송금된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2국의 금융계좌로의 비용 지급이 요청되면,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가 상기 제2통화 지급 풀로부터 상기 제2국의 금융계좌로의 비용 이체를 실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2통화 잔고로부터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거래 중개 방법.
  5. 삭제
  6. 제1국의 금융 시스템과 제2국의 금융 시스템과 통신하여 제1국 및 제2국의 유저 사이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융 서비스의 복수의 유저의 유저계정 각각에 대응하여 유저정보, 상기 금융 서비스 내의 상기 복수의 유저의 제1통화 잔고 및 제2통화 잔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의 운영자에 의해 상기 제2국의 금융 시스템에 미리 개설된 제2통화 거래계좌에 예치된 금액인 제2통화 지급 풀에 연동되는 가상계좌번호를 발급하고, 발급된 가상계좌번호를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에 연관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국 유저에게 발급된 가상계좌번호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2국의 금융 시스템의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제2통화가 입금되면,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금융 서비스 내의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고,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1통화와 제2통화 간의 환전이 요청되면, 요청 시점의 환율에 따라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1통화 잔고와 제2통화 잔고를 변경하여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인보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인보이스 정보를 기록하고 검토하되,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을 동결 상태로 상기 제1국 유저의 제2통화 잔고에 누적하여 기록하고, 상기 제2통화 지급 풀에 상기 가상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입금된 제2통화에 대응하는 금액이 상기 인보이스에 대응하는 금액의 범위 내이고 상기 인보이스 정보의 검토가 완료되면, 동결 상태로 기록된 금액을 해제 상태로 전환하여 기록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1국의 금융계좌로의 송금이 요청되면, 미리 설정된 제2국의 제1통화 송금 풀로부터 상기 제1국의 금융계좌로의 송금을 실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1통화 잔고로부터 송금된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감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국 유저로부터 제2국의 금융계좌로의 비용 지급이 요청되면, 상기 제2통화 지급 풀로부터 상기 제2국의 타 금융계좌로의 비용 이체를 실행하고,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계정의 제2통화 잔고로부터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감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중개 장치는,
    제1국 금융 시스템, 제2국 금융 시스템, 그리고 중개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국 금융 시스템은,
    상기 제1국 유저의 유저단말과 제1국 금융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금융거래 중개 장치.
  11.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금융거래 중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01134A 2022-08-12 2022-08-12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KR10259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34A KR102590783B1 (ko) 2022-08-12 2022-08-12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PCT/KR2023/011230 WO2024034971A1 (ko) 2022-08-12 2023-08-01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34A KR102590783B1 (ko) 2022-08-12 2022-08-12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783B1 true KR102590783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134A KR102590783B1 (ko) 2022-08-12 2022-08-12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0783B1 (ko)
WO (1) WO202403497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64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입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입 컨테이너 인보이스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895475B1 (ko) * 2016-11-22 2018-10-18 소다크루 주식회사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JP2019070931A (ja) * 2017-10-06 2019-05-09 株式会社Smbc信託銀行 銀行システム、銀行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64B1 (ko) * 2002-10-05 2010-06-21 조관현 인터넷 기반 외환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0154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하나은행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금융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64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입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입 컨테이너 인보이스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895475B1 (ko) * 2016-11-22 2018-10-18 소다크루 주식회사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JP2019070931A (ja) * 2017-10-06 2019-05-09 株式会社Smbc信託銀行 銀行システム、銀行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971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8052A1 (en) Cryptocurrency cash gateway
US82807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presentation of currency
US20230015136A1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ebit network as an intermediary between distributed ledgers
US11734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math-based currency exchange
WO2017059199A1 (en) Virtual payment processing system
WO2021184784A1 (zh) 数据资源处理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7151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ccounts in a financial services system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US11392906B2 (en) Cryptographic token with separate circulation groups
JP2022511384A (ja) クレジット口座を使用する移転
US202000657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US20230385787A1 (en) Infrastructure for maintaining math-based currency accounts
US10949848B2 (en) Access to ACH transaction functionality via digital wallets
US11403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JP6785646B2 (ja) 引落処理装置
TWM566363U (zh) 基於區塊鏈的借貸消費中介系統
US111703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ty verification of math-based currency account holders
US11868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KR102590783B1 (ko)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US20220374880A1 (en) Distributed ledger based multi-currency clearing and settlement
US202103747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network messaging
JP7308915B1 (ja) 電子記録債権による決済代行システム
US202401529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token management
JP742292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Dudson et al. New Zealand’s Payment Landscape: A Pri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