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185A -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185A
KR20030028185A KR1020010060189A KR20010060189A KR20030028185A KR 20030028185 A KR20030028185 A KR 20030028185A KR 1020010060189 A KR1020010060189 A KR 1020010060189A KR 20010060189 A KR20010060189 A KR 20010060189A KR 20030028185 A KR20030028185 A KR 2003002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isplay device
hinge assembly
fixing bracket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969B1 (ko
Inventor
권오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9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Angular and linear video display screen suppor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지지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축, 이 힌지축의 양단에 탄성 발생부를 가지며, 탄성 발생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경사 조절을 행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가 고정 결합되는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영상 표시 기기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브라켓 일체형 지지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HINGE ASSEMBLY FOR FLAT PANNEL DISPLAY APPLIANCE}
본 발명은 플랫 패널형 영상 표시 기기에서 디스플레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기기로서 오랫동안 음극선관을 이용한 모니터가 가장 넓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 이러한 음극선관의 스크린은 대형화하는 추세이지만, 스크린이 대형화할수록, 음극선관 자체도 대형화되어야 한다. 대형 모니터는 넓은 책상 공간을 점유할 뿐만 아니라, 음극선관에서 방출되는 전자계는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종래 모니터를 대체하기 위하여, 다양한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탠드 형태의 지지체에 의하여 지지되지만, 스탠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디스플레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1998년 12월 29일자로 Cheng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54,735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영상 표시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2)와, 상기 디스플레이(2)를 지지하는 스탠드(4),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와 스탠드를 연결하며,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힌지축을 갖는 힌지 조립체(1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힌지 조립체가 장착되는 영상 표시기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부착된 VESA 금속판(142)에 장착되는 힌지축 고정 브라켓(144), 힌지축 고정 브라켓(144)의 힌지축 조립체 수납부(144a)에 수납되는 힌지 조립체와, 힌지 조립체가 수납된 상태로 힌지 조립체 수납부(144a)를 폐쇄하는 커버(148)를 구비한다.
힌지 조립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 힌지축(147)과, 상기 힌지축(147)을 지지함과 동시에, 나사에 의하여 힌지축 수납부(144a)의 저부에 고정되는 힌지축 고정판(145), 힌지축(147)의 양단에 끼워져서 디스플레이를 틸팅시키는 한쌍의 힌지축 지지 브라켓(146)을 구비한다. 힌지축(147)은 나사(145a)와 스터드(145b)에 의하여 힌지축 고정판(145)에 고정된다. 힌지축 지지 브라켓(146)은 메인 금속 스탠드(184)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46)를 구비한다. 메인 스탠드(184)는 전면 커버(182)와 후면 커버(186)에 의하여 에워싸인다.
힌지축(147)은 상기 나사(145a)와 스터드(145b)가 체결되는 나사 구멍(147a, 147b)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본체와, 한 쌍의 토션 스프링(147c)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연장부와,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판(147d)을 수납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연장부, 그리고, 힌지축 지지 브라켓(146)과 다수의 와셔 링(147e) 및 너트(147f)를 수납하는 체결 단부를 갖는다.
토션 스프링(147c)은 한 단부가 힌지축 지지 브라켓(146)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며, 다른 단부는 힌지축 고정판(145)의 본체 하단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다.
힌지축 지지 브라켓(146)은 하방으로 절곡 연장하는 고정부를 가지며, 이 고정부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금속 스탠드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영상 표시기기의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힌지축의 양 단부에 조립된 힌지축 지지 브라켓을 메인 스탠드에 나사로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조립 시간이 필요하다.
게다가, 각 부재의 공차가 누적되기 때문에, 조립 조건에 따라 조립 상태가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영상 표시기기의 힌지 조립체는 단면 형상이 복잡한 힌지축을 구비하여야 한다. 즉, 힌지축을 밀링 가공과 선삭 가공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힌지축의 제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힌지부를 이루는 구성 요소의 개수를 감소시켜 조립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 조립체에 사용되는 단순한 단면 형상을 갖는 힌지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영상 표시기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장착되는 영상 표시기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도.
도 3은 도 2의 힌지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힌지축이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6은 힌지축이 디스플레이 스탠드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고정용 브라켓의 플랜지를 힌지축 커버의 배면에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립 과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지지용 스탠드의 후방에 후면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힌지축
34 :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
38 : 영상 표시 기기 지지용 스탠드
38a :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
48 : 전면 커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지지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축, 이 힌지축의 양단에 탄성 발생부를 가지며, 탄성 발생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경사 조절을 행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가 고정 결합되는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영상 표시 기기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브라켓 일체형 지지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지지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에 고정 결합되는 종방향 힌지축, 이 힌지축의 양단 각각에 종방향 탄성 수단 및 선회방향 탄성 수단을 갖는 탄성 발생부를 가지며, 탄성 발생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경사 조절을 행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의 양단측이 상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축 결합 홈을 가지는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영상 표시 기기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브라켓 일체형 지지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방향 힌지축은 사각형 단면 형상의 본체부를 가지며, 그 양단은 원형 단면 형상으로 그 끝단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단면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조립체의 탄성 발생부는 선회 방향 탄성 발생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 이 코일 스프링에 인접 배치되어 힌지 조립체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제한 부재, 힌지 조립체를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수단, 상기 회전 제한 부재와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 수단, 종방향 탄성 발생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탄성 와셔 및 힌지 조립체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탄성 발생부를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회 방향 탄성 발생 수단인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의 힌지축 결합 홈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의 돌출형 보스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과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탄성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둘레에 회전 제한용 절곡 돌기를 구비한 와셔형 부재이며, 힌지 조립체용 고정 브라켓의 상부 개방형 결합 홈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벽부와 협력하여 힌지 조립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힌지 조립체의 사각 단면 본체부와 그보다 작은 원형 단면의 단부 부분과의 사이의 경계부에서 본체부의 사각 단면 형상을 모따기한 형상으로 형성된 스텝부에 자리하며, 상기 모따기된 사각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여, 그 구멍을 통해 힌지 조립체의 본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수단은 둘레에 절곡 돌기를 구비한 와셔 수단이며,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의 결합 홈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절곡 돌기가 삽입 고정되어 힌지 조립체를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는 다수의 나사 구멍(30b)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본체(30a)를 갖는 힌지축(30)과, 상기 힌지축(30)을 고정하는 힌지축 고정 브라켓(34)을 구비한다. 힌지축 고정 브라켓(34)은 힌지축(30)의 나사 구멍(3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과 다수의 돌기(34e)가 형성된 본체(34a)와, 상기 본체로부터 측면으로 절곡 연장된 한쌍의 플랜지(34b)를 구비한다. 힌지축 고정 브라켓(34)의 플랜지(34b)는 도 6에 도시된 힌지축 커버(42)의 배면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힌지축(30)은 영상 표시 기기 지지용 스탠드(38)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힌지축(30)의 본체(30a)로부터 돌출하는 양 단부(30c)가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의 수납부(38b)에 수납된다. 힌지축(30)의 양 단부(30c)에는 각각 선회 방향 탄성을 유발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토션 스프링(31)과, 힌지축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제한 부재로서의 회전 제한 와셔(31a)와, 힌지축(30)이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축 고정용 와셔(31b)와, 종방향 탄성을 유발하는 다수의 탄성 와셔(31c), 그리고 상기 부재들을 힌지축의 단부(30c)에 고정하는 너트(31d)가 장착된다. 너트에 의해 힌지축의 양단부에 고정된 상기 요소들은 힌지축의 종방향과 선회 방향을 따른 탄성을 유발하므로, 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힌지축의 틸팅 각도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회전 제한 와셔(31a)는 그 둘레에 절곡형의 돌기(31a')를 구비하며, 이 돌기가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의 상부에 형성된 벽부인 스토퍼 가이드(38d)와 상호 협력하여 힌지축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회전 제한 와셔(31a)는 그 중앙에 힌지축(30)의 본체부의 사각 단면을 모따기하여 라운드 처리한 형상과 일치하는 구멍을 갖는다. 힌지축 고정용 와셔(31b)는 그 둘레에 절곡형 돌기를 구비하며, 이 돌기가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의 힌지축 결합 홈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 구멍(38c)에 삽입됨으로써 힌지축을 브라켓(38a)에 고정시킨다. 상기 토션 스프링(31)은 한 단부가 힌지축 지지 브라켓(38a)의 힌지축 결합 홈의 하측에 형성된 구멍(38e)에 삽입되고, 다른 단부가 힌지축 고정 브라켓(34)의 보스에 형성된 구멍(34c)에 삽입된다.
도 5는 힌지축(30)이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에 고정된 상태를 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힌지축 고정용 와셔(31b)의 돌기가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38a)의 구멍(38c)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하부의 구멍(38e)에는 토션 스프링의 단부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힌지축(30)과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34)이 디스플레이 스탠드(38)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축 고정 브라켓(34)의 플랜지(34b)를 힌지축 커버(42)의 배면(32a)에 나사로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탠드(38)의 전방에는 전면 커버(4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축 커버(42)는 VESA 금속판(44)에 상기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립 과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탠드(38)의 후방에 후면 커버(5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힌지 장치는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이 영상 표시 기기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스탠드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힌지 장치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종래 영상 표시기기에 따르면, 힌지축이 별도의 힌지축 지지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힌지축의 양단부가 힌지축 지지 브라켓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되어야 한다. 즉, 중앙 부분은 밀링으로 면삭 가공되며, 단부 부분은 선반으로 선삭 가공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은 디스플레이 스탠드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 상단부의 개방부에 장착되므로, 장착되는 부분만 선삭 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가공이 매우 용이하다.

Claims (14)

  1. 영상 표시 기기의 지지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축, 이 힌지축의 양단에 탄성 발생부를 가지며, 탄성 발생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경사 조절을 행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가 고정 결합되는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영상 표시 기기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브라켓 일체형 지지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사각형 단면 형상의 본체부를 가지며, 그 양단은 원형 단면 형상으로 그 끝단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단면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의 탄성 발생부는 선회 방향 탄성 발생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 이 코일 스프링에 인접 배치되어 힌지 조립체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제한 부재, 힌지 조립체를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수단, 상기 회전 제한 부재와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 수단, 종방향 탄성 발생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탄성 와셔 및 힌지 조립체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탄성 발생부를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방향 탄성 발생 수단인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의 힌지축 결합 홈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의 돌출형 보스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과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탄성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둘레에 회전 제한용 절곡 돌기를 구비한 와셔형 부재이며, 힌지 조립체용 고정 브라켓의 상부 개방형 결합 홈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벽부와 협력하여 힌지 조립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힌지 조립체의 사각 단면 본체부와 그보다 작은 원형 단면의 단부 부분과의 사이의 경계부에서 본체부의 사각 단면 형상을 모따기한 형상으로 형성된 스텝부에 자리하며, 상기 모따기된 사각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여, 그 구멍을 통해 힌지 조립체의 본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수단은 둘레에 절곡 돌기를 구비한 와셔 수단이며,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의 결합 홈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절곡 돌기가 삽입 고정되어 힌지 조립체를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8. 영상 표시 기기의 지지 및 경사 조절을 위한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에 고정 결합되는 종방향 힌지축, 이 힌지축의 양단 각각에 종방향 탄성 수단 및 선회방향 탄성 수단을 갖는 탄성 발생부를 가지며, 탄성 발생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경사 조절을 행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의 양단측이 상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축 결합 홈을 가지는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영상 표시 기기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브라켓 일체형 지지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힌지축은 사각형 단면 형상의 본체부를 가지며, 그 양단은 원형 단면 형상으로 그 끝단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단면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의 탄성 발생부는 선회 방향 탄성 발생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 이 코일 스프링에 인접 배치되어 힌지 조립체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제한 부재, 힌지 조립체를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수단, 상기 회전 제한 부재와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 수단, 종방향 탄성 발생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탄성 와셔 및 힌지 조립체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탄성 발생부를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방향 탄성 발생 수단인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의 힌지축 결합 홈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영상 표시 기기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의 돌출형 보스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과 영상 표시 기기측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탄성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둘레에 회전 제한용 절곡 돌기를구비한 와셔형 부재이며, 힌지 조립체용 고정 브라켓의 상부 개방형 결합 홈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벽부와 협력하여 힌지 조립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힌지 조립체의 사각 단면 본체부와 그보다 작은 원형 단면의 단부 부분과의 사이의 경계부에서 본체부의 사각 단면 형상을 모따기한 형상으로 형성된 스텝부에 자리하며, 상기 모따기된 사각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여, 그 구멍을 통해 힌지 조립체의 본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 고정용 와셔 수단은 둘레에 절곡 돌기를 구비한 와셔 수단이며,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의 결합 홈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절곡 돌기가 삽입 고정되어 힌지 조립체를 힌지 조립체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2001-0060189A 2001-09-27 2001-09-27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9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89A KR100497969B1 (ko) 2001-09-27 2001-09-27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89A KR100497969B1 (ko) 2001-09-27 2001-09-27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85A true KR20030028185A (ko) 2003-04-08
KR100497969B1 KR100497969B1 (ko) 2005-07-01

Family

ID=2956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89A KR100497969B1 (ko) 2001-09-27 2001-09-27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9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22B1 (ko) * 2005-12-3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용 힌지 조립체
KR100909180B1 (ko) * 2009-02-06 2009-07-22 김정 Lcd 모니터용 각도 조절 장치
CN107420706A (zh) * 2017-06-14 2017-12-01 福州中澳科技有限公司 隐藏式显示器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727Y1 (ko) * 1991-06-21 1994-02-14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KR970063717U (ko) * 1996-05-25 1997-12-11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틸트 장치
KR100296283B1 (ko) * 1998-03-19 2001-08-07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200214798Y1 (ko) * 1998-06-15 2001-03-02 윤종용 액정 모니터 조립체
US6018847A (en) * 1998-07-02 2000-02-01 Lu; Sheng-Na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KR200197853Y1 (ko) * 2000-05-12 2000-09-15 김길주 컴퓨터용 모니터의 세움 및 걸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22B1 (ko) * 2005-12-3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용 힌지 조립체
KR100909180B1 (ko) * 2009-02-06 2009-07-22 김정 Lcd 모니터용 각도 조절 장치
CN107420706A (zh) * 2017-06-14 2017-12-01 福州中澳科技有限公司 隐藏式显示器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969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44865B (en) Tilting and shielding apparatus of monitor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EP1382897A2 (en) A monitor support
US6905103B2 (en) Display apparatus
US7283354B2 (en) Monitor apparatus
KR20030092235A (ko)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US7338019B2 (en) Adjusting assembly for LCD monitor
KR20010036448A (ko) 평판 모니터
KR20050039984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320454B2 (en)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RU2193135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ки вращения вокруг оси для дисплея с плоским экраном
JP2006173846A (ja)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00497969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CA2528224A1 (en) Wall support for a thin tv set, screen and monitor
KR100339537B1 (ko) 피봇힌지
KR20030056775A (ko)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힌지 어셈블리
JP2018141832A (ja) 表示装置とその振動抑制方法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ZA200509638B (en) Wall support for a thin TV set, screen and monitor
KR200151051Y1 (ko)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정장치
KR100443867B1 (ko) 밴드 타입 마찰부를 이용하는 힌지 장치
KR20010010317A (ko) 카메라의 정점운대
KR200315286Y1 (ko) 평판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조절 장치
KR0126051Y1 (ko) 티브이 수상기의 시청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