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038A -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038A
KR20030028038A KR1020010059946A KR20010059946A KR20030028038A KR 20030028038 A KR20030028038 A KR 20030028038A KR 1020010059946 A KR1020010059946 A KR 1020010059946A KR 20010059946 A KR20010059946 A KR 20010059946A KR 20030028038 A KR20030028038 A KR 2003002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server
communicat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이석주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to KR102001005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038A/ko
Publication of KR2003002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공급업체의 서버와 수용가의 제어단말기간을 기간 통신망과 전력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서버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단말기로 검침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받고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따라 제어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용가의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침함과 더불어 원격으로 수용가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비전력을 원격으로 실시간 검침하고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는 실시하기 어려웠던 전력요금의 선불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power supplying electricity consumers}
본 발명은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공급업체에서 원격으로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고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수용가(需用家)에서 사용하는 전력, 수도, 가스 등을 검침하기 위해서는 직접 검침원이 투입되어 각 수용가를 방문하고 계량기에 표시된 사용량을 눈으로 검침하여 검침된 사용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기록된 사용량에 따라 각 수용가로 요금이 부과된다.
요금의 납부방식에 있어서, 요금 고지서를 받아 정해진 납부 장소에 부과된 요금을 직접 납부하거나 자동 계좌 이체를 하는 등 후불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검침원이 직접 각 수용가를 방문하여 계량기에 표시된 사용량을 검침하는 방식은, 검침 오류가 발생되기 쉬워 사용자측에 불신 및 불만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검침을 위해 많은 인력을 동원해야 하며 요금 연체나 계량기 폐쇄 필요성이 있을 때마다 수용가를 방문한 인력이 필요하는 등 검침 및 관리에 많은 물적·인적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집중화된 가옥(아파트, 상가)의 경우 일부 원격 검침 시스템을 채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원격검침을 위해 계량기에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라인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력공급업체의 서버와 수용가의 제어단말기간을 기간 통신망과 전력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서버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단말기로 검침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받고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따라 제어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용가의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침함과 더불어 원격으로 수용가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집중장치와 수용가측 제어단말기의 연결 구성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집중장치와 수용가측 제어단말기의 연결 구성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집중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을 원격 제어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력공급업체의 서버 11: 관리자 단말기
20: 정보통신망 30: 정보통신 전용선
40: 데이터집중장치 50: 전력선
60: 제어단말기 70: 부가가치통신망
80: 수납기관의 서버 90: 이동통신 기지국
91: 이동통신 중계부 100: RF 중계부
110: 공중전화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은, 설정 주기마다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검침데이터에 의해 수용가의 전력소비량을 판단하며 판단된 전력소비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더불어 관리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버와,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고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전력을 차단 또는인가하는 제어 단말기와,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 및, 상기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은, 설정 주기마다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검침데이터에 의해 수용가의 전력소비량을 판단하며 판단된 전력소비량과 해당 수용가에서 선불로 입금한 금액에 따른 전력량을 연산하여 사용 가능한 예측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예측시간에 따라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수용가로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서버와,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고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가능 예측시간과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며 수용가로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제어 단말기와,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은, 수용가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여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텝과, 전력공급업체의 서버가 설정주기마다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요청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데이터를 수신받아 수신된 검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텝과, 관리자가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수용가의 전력 차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단말기가 스위칭절환동작을 수행하여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을 개방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은, 전력 수용가의 사용자가 지정된 수납기관에 전력사용을 위해 선불금액을 입금하는 스텝과, 상기 수납기관의 서버가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로 상기 선불금액의 입금내역을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수납기관의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선불금액의 입금내역에 따라 해당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단말기가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을 폐쇄하여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소비전력을 검침하여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가 설정주기마다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에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전송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요청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데이터를 수신받아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의해 선불금액 중 잔여금액을 산출하고 산출결과 잔여금액이 남지 않았으면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을 개방하여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은, 서버(10)와 관리자 단말기(11)와 정보통신망(20)과 정보통신 전용선(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집중장치(40)와 전력선(5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단말기(60)와 부가가치통신망(70) 및 수납기관 서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90)과 중계부(91)와 RF 중계부(100) 및 공중전화망(11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설정 주기마다 제어 단말기(60)로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제어단말기(60)로부터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의해 수용가의 전력소비량을수집하고 관리자의 선택 또는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로직에 따라 제어단말기(60)로 소정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 서버(10)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전기료 선불제 관리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료 선불제 관리모드 하에서는 제어단말기(60)를 통해 검침된 전력소비량과 수납기관 서버(80)로부터 보고된 선불금액 입금 내역에 따라 선불금액의 잔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액에 의해 수용가에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가능시간을 추정하여 추정된 사용가능시간에 따라 제어단말기(60)로 소정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11)는 서버(10)와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서버(10)를 통해 수집된 검침 데이터 등의 정보를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관리자의 조작 명령을 서버(10)로 전달한다.
상기 정보통신망(20)은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장치들 간에 비교적 원거리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통신망으로,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일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30)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통신선로와 교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데이터집중장치(30)와 정보통신망(N)간에 데이터통신을 매개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30)의 통신선로는 전화선, 케이블TV망, 이더넷케이블, 광통신케이블 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집중장치(40)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50)을 매개로 제어단말기(60)로 전송하고 제어단말기(60)로부터 전력선(50)을 매개로 수신되는 신호를 서버(1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집중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주택들이 모여 있는 주택가의 경우에는 주상변압기(Tp)의 2차측과 각 수용가에 설치된 제어단말기(6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업용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다세대주택의 경우에는 건물 내에 설치된 변압기(Th) 또는 변전소와 각 층 또는 세대별로 설치된 제어단말기(6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데이터집중장치(40)는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3상 커플링부(41)와 커플링부(42)와 송수신 데이터 변환부(43)와 신호처리부(44)와 제어부(45)와 메모리부(46)와 통신부(47)로 구성된다.
상기 3상 커플링부(41)는 주상변압기(Tp)로부터 분기되는 3상의 전력선(50)을 커플링(Coupling)함으로써, 후술될 커플링부(42)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3상(R, S, T)의 전력선에 모두 인가되도록 함과 더불어 수용가의 제어단말기(60)로부터 3상(R, S, T)의 전력선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커플링부(42)로 입력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플링부(42)는 전력선(50) 중 중성선(N)과 3상(R, S, T) 중 어느 한 상의 전력선에 연결되며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전력선(50)에 실어줌과 더불어 제어단말기(60)로부터 전력선(50)을 매개로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추출하여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로 인가한다.
상기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는 커플링부(42)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와 신호처리부(44)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에 대해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증폭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처리부(44)는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5)로 인가함과 더불어 제어부(45)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송수신데이터변환부(43)로 인가하되 신호를 송신할 때 송수신 데이터변환부(43)로부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45)는 제어단말기(60)로부터 수신되는 검침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47)를 제어함과 더불어 통신부(47)를 통해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나 메시지를 제어단말기(60)로 전송하도록 신호 처리부(44)와 송수신 데이터 변환부(43)를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46)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제어단말기(60)로부터 수신되는 검침 데이터와 서버(10)로부터 송신되어온 제어신호와 메시지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47)는 도시생략된 조작부를 통한 설정상태에 따라 제어부(4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1) 근거리통신망신호로 변환하여 정보통신 전용선(30)으로 인가하거나, 2) 이동통신주파수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이통통신기지국(90)으로 송신하거나, 3) 무선주파수신호(Radio Frequency Signal;"RF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RF 중계부(100)로 송신하거나, 4) 전화선을 통해 송신 가능한 아날로그신호로 변조하여 공중전화망(110)으로 송신한다.
또, 통신부(47)는 도시생략된 조작부를 통한 설정상태에 따라 1) 정보통신 전용선(30)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통신망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2) 이동통신기지국(90)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동통신주파수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3) RF 중계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4) 공중전화망(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해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제어부(45)로 입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부(47)는 설정상태에 따라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데이터집중장치(40)를 정보통신 전용선(30)과 정보통신망(20)을 매개로 서버(10)에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역에 따라 정보통신 전용선(30)과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통신이나 무선주파수통신 또는 공중전화망(11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50)은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전력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로서, 수용가로는 옥내전력선(50-1)이 분기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어단말기(60)는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고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며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가능 예측시간과 경고메시지 등을 표시하고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장치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전력량검침수단(61)과 제어/통신수단(62)과 전원스위칭부(63) 및 표시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량검침수단(61)은 전류·전압 검출부(61-1)과 전력량 산출부(61-2)와 전력량 처리부(61-3)와 전력량 표시부(61-4)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류·전압 검출부(61-1)는 옥내전력선(50-1)에 연결되어 수용가측 부하로 인가되는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전력량 산출부(61-2)로 인가한다.
상기 전력량 산출부(61-2)는 전류·전압 검출부(61-1)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연산하여 소비전력을 산출하여 산출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전력량 처리부(61-3)로 인가한다.
상기 전력량 처리부(61-3)는 전력량 산출부(61-2)로부터 입력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내장된 메모리소자(61-3a)에 일시 저장함과 더불어 제어/통신수단(62)으로 인가하고 전력량표시부(61-4)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전력량 표시부(61-4)는 전력량 처리부(61-3)의 제어에 따라 검침된 소비전력량을 수치로서 표시한다.
상기 제어/통신수단(62)은 커플링부(62-1)와 송수신 데이터 변환부(62-2)와 신호 처리부(62-3)와 제어부(62-4)와 메모리부(62-5)와 경고음 출력부(62-6)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플링부(62-1)는 옥내전력선(50-1)에 연결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옥내전력선(50-1)에 실어줌과 더불어 데이터집중장치(4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옥내전력선(50-1)으로부터 추출하여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로 인가한다.
상기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는 커플링부(62-1)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와 신호처리부(62-3)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에 대해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증폭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처리부(62-3)는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62-5)로 인가함과 더불어 제어부(62-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송수신데이터변환부(62-2)로 인가하되 신호를 송신할 때 송수신 데이터변환부(62-2)로부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62-4)는 전력량검침수단(61)의 전력량 처리부(61)로부터 입력되는 소비전력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메모리부(62-5)에 저장하였다가 서버(10)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62-5)에 저장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신호처리부(62-3)로 전달하여 서버(10)로 전송되게 하며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부(64)에 메시지를 표시하고,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원스위칭부(63)로 인가한다.
상기 메모리부(62-5)는 제어부(62-4)의 제어에 따라 전력량 검침수단(61)으로부터 입력된 소비 전력량의 검침 데이터와 서버(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와 메시지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경고음 출력부(62-6)는 제어부(62-4)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한다.
참고적으로, 전력량 검침수단(61)의 전력량 처리부(61-3)와 제어/통신수단(62)의 제어부(62-4)는 직렬통신프로토콜(예컨대, RS 232C 등)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칭부(63)는 제어/통신수단(62)의 제어부(62-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인입되는 옥내전력선(50-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위칭절환동작을 수행하며, 예컨대, 상기 전원 스위칭부(63)는 릴레이(Relay)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64)는 제어부(62-4)의 제어에 의해 서버(10)로부터 전송되어온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발광다이오드소자(Lightening Emitted Diode; "LED")일 수 있다.
상기 부가가치통신망(Value Aided Network; "VAN")은 주로 금융권 등에서 사용되는 전용통신망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납기관의 서버(80)와 서버(10) 간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안성만 확보된다면 정보통신망(20)을 통해 수납기관의 서버(80)와 전력공급업체의 서버(1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수납기관의 서버(80)는 전력공급업체에서 전력 사용요금에 대한 수납업무를 대행하도록 지정한 금융기관 또는 유사기관에서 전력 사용요금의 입금내역을 저장하고 전력공급업체의 서버(10)로 보고하기 위한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90)은 데이터집중장치(4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이동통신주파수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부(91)로 전달하고 중계부(91)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이동통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집중장치(40)로 송신한다.
상기 중계부(91)는 이동통신 기지국(9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정보통신망(2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로부터 정보통신망(90)을 매개로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이동통신 기지국(90)으로 전달한다.
상기 RF 중계부(100)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받고 이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정보통신망(2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하며 서버(10)로부터 정보통신망(20)을 매개로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집중장치(40)로 송신한다.
상기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10)은 일반적인 전화단말기와 전화접속 모뎀장치들 간에 아날로그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으로, 접속을 중계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집중장치(40)와 서버(10) 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예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서버(10)와 각 수용가별로 설치되어 있는 제어 단말기(60)가 정보통신망(20) 등의 기간통신망과 전력선통신망을 매개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구성되고, 제어 단말기(60)는 각 수용가별 소비전력의 검침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메시지를 표시함과 더불어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소비전력을 후불제로 청구하는 경우에 별도의 검침원 없이 각 수용가의 전력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금이 연체되거나 계량기 폐쇄가 필요한 경우해당하는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 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해 종래에는 시도되기 어려웠던 전력사용요금의 선불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구성에서 데이터집중장치(40)는 정보통신전용선(30)과 이동통신시스템과 무선주파수통신 및 공중전화망을 매개로 각각 정보통신망(20)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데이터집중장치(40)가 정보통신전용선(30)을 매개로 정보통신망(20)을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선불요금제 하에서, 사용자가 전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력공급업체에 방문하거나 통신수단을 통해 연락하여 전력공급을 요청하며, 전력공급업체에서는 전력공급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지정된 수납기관을 안내하고 소정의 선불금액을 입금하도록 요구한다.
이에 사용자가 전력공급업체에서 안내한 수납기관에 선불요금을 납부하면, 수납기관의 서버(80)에서 사용자가 납부한 선불요금의 입금내역(예컨대, 금액, 납부일자, 요금 납부자 성명 등)을 데이터화하여 부가가치통신망(70)을 통해 전력공급업체의 서버(10)로 전송한다.
전력공급업체의 서버(10)는 수납기관의 서버(80)로부터 전송받은 선불요금의 입금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더불어 관리자 단말기(11)로부터 조회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요금의 입금내역을 관리자단말기(11)로 전송한다.
선불요금을 납부한 사용자가 전력공급업체에 연락하여 선불요금 납부사실을 통보하면 전력공급업체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1)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선불요금의 입금내역을 확인하고 선불요금의 입금내역이 확인되면 전력사용을 요청한 사용자가 소망하는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서버(10)로 입력한다.
서버(10)는 관리자 단말기(11)로부터 전달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수용가의 제어단말기(6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원스위칭부(63)로 전송하며, 전원스위칭부(63)는 제어부(62-4)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절환동작을 수행하여 수용가로 인입되는 옥내전력선(50-1)을 폐쇄시킴으로써,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시킨다.
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되면, 제어단말기(60)의 전력량 검침수단(61)에서 전류·전압 검출부(61-1)가 수용가로 인입되는 옥내전력선(50-1)의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류치와 전압레벨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전력량 산출부(61-2)로 인가한다.
상기 전류·전압 검출부(61-1)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전력량 산출부(61-2)에서는 수용가로 인입되는 옥내전력선(50-1)의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연산하여 소비전력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전력량 처리부(61-3)로 입력한다.
상기 전력량 산출부(61-2)로부터 인가되는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전력량 처리부(61-3)는 내장된 메모리소자(61-3a)에 일시 저장함과 더불어 전력량 표시부(61-4)를 통해 표시하며 제어/통신수단(62)의 제어부(62-4)로 인가한다.
상기 전력량 처리부(61-3)로부터 인가된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는 제어부(62-4)에 의해 메모리부(62-5)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되면서부터는 서버(10)에서 설정주기마다 수용가의 제어단말기(60)로 검침데이터를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10).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메모리부(62-5)로부터 그에 저장되어 있는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읽어 들여 신호 처리부(62-3)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2-4)로부터 인가된 소비전력 검침 데이터는 신호 처리부(62-3)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62-1)를 통해 옥내전력선(50-1)과 이에 연결된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데이터집중장치(40)의 커플링부(42)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44)에서 디지털형태의 소비전력 검침데이터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45)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처리부(44)로부터 입력된 소비전력 검침데이터는 제어부(45)에 의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됨과 더불어 통신부(47)로 전달되며 통신부(47)에 의해 근거리통신망신호로 변환되어 정보통신전용선(30)과 정보통신망(2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서버(10)에서는 제어 단말기(60)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비전력 검침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
이와 더불어 서버(10)에서는 제어 단말기(60)로부터 전송되어온 소비전력 검침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 입금된 선불금액에 의해 전력의 사용가능 예측시간을 산출한다(S30).
전력의 사용 가능 예측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일예로서, 서버(10)에서는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사용금액으로 환산하여 기 입금된 선불금액에서 사용금액을 감산하고 감산결과 남은 잔액에 대해 해당 수용가의 평균적인 전력사용량을 입력변수로 한 연산을 수행하여 전력의 사용가능 예측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가의 평균적인 전력사용량은 서버(10)에서 수용가의 소비전력 검침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바, 검침된 총 사용시간과 소비전력의 총량을 연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다음, 서버(10)에서는 상기 스텝(S30)에서 산출된 전력의 사용가능 예측시간을 제1 설정시간(예컨대, 2일 정도)과 비교하여(S40), 비교결과 사용가능 예측시간이 제1 설정시간의 이상이면 수용가측으로 사용가능 예측시간에 대한 정보와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 단말기(60)로 전송한다.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및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정보 및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정보 및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정보 및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정보 및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정보 및 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부(64)에 사용가능 예측시간을 표시하며, 전력량 표시부(61-4)에서는 전력량 처리부(61)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검침되는 소비전력량이 표시된다(S50).
만약, 상기 스텝(S40)에서의 비교결과 사용가능 예측시간이 제1 설정시간의 미만이면 서버(10)에서는 선불입금의 안내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와 이를 표시하고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단말기(60)로 전송한다.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메시지 및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 및 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부(64)에 선불입금의 안내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함과 더불어 경고음 출력부(62-6)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S60).
상기 스텝(S60) 이후 서버(10)에서는 수납기관의 서버(80)로부터 해당 수용가의 선불금액의 입금내역이 전송되어오는지를 체크하여(S70), 수납기관의 서버(80)로부터 해당 수용가의 선불금액의 입금내역이 전송되어 오면 경고메시지의 표시 및 경고음의 출력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단말기(60)로 전송한다(S90).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부(64)를 통한 경고메시지의 표시 및 경고음 출력부(62-6)를 통한 경고음의 출력을 중단한다.
만약, 상기 스텝(S80)에서 선불 금액이 입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에서는 현재 사용 가능한 예측시간을 제2 설정시간(예컨대, 2시간 정도)과비교하고(S100), 비교결과 현재 사용 가능한 예측시간이 제2 설정시간의 이상이면 상기 스텝(S10)으로 되돌아가 다시 제어단말기(60)로 검침 데이터를 요청하여 이후의 스텝(S20∼S100)을 진행한다.
반면, 상기 스텝(S100)에서의 비교결과 현재 사용 가능한 예측시간이 제2 설정시간의 미만이면 서버(10)에서는 제어단말기로 단전(斷電)을 경고하는 최종메시지와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메시지 및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메시지 및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 및 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부(64)에 단전을 경고하는 최종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S110).
다음, 서버(10)는 제어단말기(60)로 소비전력의 검침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서 수신받고 수용가의 전력이 기 입금된 선불금액만큼 소비된 시점에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단말기(60)로 전송한다.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정보통신망(20) 및 정보통신 전용선(30)을 매개로 수신대상의 제어단말기(6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다.
서버(10)로부터 데이터집중장치(40)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통신부(47)로 수신되고 통신부(47)에 의해 제어부(45)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출력된다.
통신부(4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는 제어부(45)로 입력되어 메모리부(46)에 일시 저장되며,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5)로부터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된 디지털 형태의 제어신호는 신호 처리부(44)에 의해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되고 송수신데이터 변환부(43)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쳐 커플링부(42)를 통해 전력선(50)으로 전송된다.
전력선(50)으로 전송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제어단말기(60)의 커플링부(62-1)에 의해 추출되어 송수신데이터 변환부(62-2)에서 노이즈필터링 및 증폭과정을 거친 다음, 신호처리부(62-3)에서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로 복조 및 변환되어 제어부(62-4)로 입력된다.
제어부(62-4)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원스위칭부(63)로 전송하며, 전원스위칭부(63)는 제어부(62-4)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절환동작을 수행하여 수용가로 인입되는 옥내전력선(50-1)을 개방함으로써,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어단말기(60)의 제어부(62-4)에서 외부의 다른 계량기(예컨대, 가스 계량기, 수도 계량기 등)의 검침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원격 검침하는 것 이외에 검침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가스계량기와 수동계량기를 연결하여 수용가의 가스나 수도 등을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공급업체의 서버와 수용가의 제어단말기간을 기간 통신망과 전력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서버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단말기로 검침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받고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따라 제어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용가의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침함과 더불어 원격으로 수용가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소비전력을 원격으로 실시간 검침하고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는 실시하기 어려웠던 전력요금의 선불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설정 주기마다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검침데이터에 의해 수용가의 전력소비량을 판단하며 판단된 전력소비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더불어 관리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버와,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고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제어 단말기와,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 및,
    상기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여 이에 의해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력량계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선통신신호를 추출하여 수신하고 송신신호를 상기전력선에 인가하는 커플링부와,
    상기 커플링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복조 및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하는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변환 및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부로 인가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부로 인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토록 하며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절환동작을 수행하여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관리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안내메시지나 경고메시지를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4.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설정 주기마다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검침데이터에 의해 수용가의 전력소비량을 판단하며 판단된 전력소비량과 해당 수용가에서 선불로 입금한 금액에 따른 전력량을 연산하여 사용 가능한 예측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예측시간에 따라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수용가로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서버와,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고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가능 예측시간과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며 수용가로 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제어 단말기와,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여 이에 의해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력량계와,
    상기 통신수단과 연결된 전력선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력선통신신호를 추출하여 수신하고 송신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인가하는 커플링부와,
    상기 커플링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복조 및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하는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변환 및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부로 인가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부로 인가하며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가능 예측시간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절환동작을 수행하여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근거리통신망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근거리통신망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집중장치와,
    상기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정보통신망 및,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로부터 출력된 근거리통신망신호를 원거리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전송되어온 원거리통신신호를 근거리통신망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로 전송하는 정보통신 전용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는, 상기 전력선에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 추출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할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인가하는 커플링수단과,
    상기 커플링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복조 및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할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변환 및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수단으로 인가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근거리통신망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근거리통신망신호는 복조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 인가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이동통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주파수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집중장치와,
    상기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정보통신망 및,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이동통신주파수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유선형태의 원거리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전송되어온 유선형태의 원거리통신신호를 이동통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이동통신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는, 상기 전력선에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 추출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할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인가하는 커플링수단과,
    상기 커플링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복조 및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할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변환 및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수단으로 인가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이동통신주파수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되는 이동통신주파수신호는 복조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 인가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집중장치와,
    상기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정보통신망 및,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로부터 송신되어오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유선형태의 원거리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전송되어온 유선형태의 원거리통신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무선주파수신호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는, 상기 전력선에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 추출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할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인가하는 커플링수단과,
    상기 커플링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복조 및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하는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변환 및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수단으로 인가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는 복조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 인가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공중전화망 및,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송신 가능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중전화망을 매개로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집중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제어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는,
    상기 제어단말기와 연결된 전력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 추출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로 송신할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인가하는 커플링수단과,
    상기 커플링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복조 및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고 송신하는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변환 및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수단으로 인가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송신 가능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아날로그신호는 복조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 인가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데이터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외부의 다른 전자식 계량기로부터 출력되는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통신포트를 갖추고서 이 통신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다른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력선과 상기 통신수단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가에서 입금한 전력 요금의 내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수납기관의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16. 수용가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검침하여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텝과,
    전력공급업체의 서버가 설정주기마다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요청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데이터를 수신받아 수신된 검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텝과,
    관리자가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수용가의 전력 차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단말기가 스위칭절환동작을 수행하여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을 개방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 방법.
  17. 전력 수용가의 사용자가 지정된 수납기관에 전력사용을 위해 선불금액을 입금하는 스텝과,
    상기 수납기관의 서버가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로 상기 선불금액의 입금내역을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수납기관의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선불금액의 입금내역에 따라 해당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단말기가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을 폐쇄하여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소비전력을 검침하여 검침된 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가 설정주기마다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에 검침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요청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소비전력에 대한 검침데이터를 수신받아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의해 선불금액 중 잔여금액을 산출하고 산출결과 잔여금액이 남지 않았으면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을 개방하여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선불금액 중 잔여금액이 남아있는 경우 남아있는 잔여금액만큼 수용가에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예측시간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산출된 사용가능 예측시간이 제1 설정시간 미만이면 통신망을 매개로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표시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표시부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추정된 사용가능시간이 제1 설정시간 미만인 경우 이를 다시 제2 설정시간과 비교하여 제2 설정시간의 미만이면 단전에 대한 최종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표시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표시부를 통해 단전에 대한 최종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가능 예측시간은,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사용금액으로 환산하여 기 입금된 선불금액에서 사용금액을 감산하고 감산결과 남은 잔액에 대해 해당 수용가의 평균적인 전력사용량을 입력변수로 한 연산을 수행하여 산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는 외부 입력용 통신포트를 통해 수용가의 다른 계량기로부터 검침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전력공급업체의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방법.
KR1020010059946A 2001-09-27 2001-09-27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8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946A KR20030028038A (ko) 2001-09-27 2001-09-27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946A KR20030028038A (ko) 2001-09-27 2001-09-27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038A true KR20030028038A (ko) 2003-04-08

Family

ID=2956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946A KR20030028038A (ko) 2001-09-27 2001-09-27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03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558B1 (ko) * 2002-12-13 2005-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관리 시스템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56618B1 (ko) * 2002-02-20 2006-03-06 효 신 박 전력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KR100701298B1 (ko) * 2006-07-07 2007-03-29 주식회사 실버크리너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원격 검침 및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17761B1 (ko) * 2008-11-10 2011-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전 방법
KR101189852B1 (ko) * 2010-10-21 2012-10-10 한국전력공사 원격검침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416B1 (ko) * 2012-06-26 2014-04-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KR20160037017A (ko) * 2014-09-26 2016-04-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외장형 모뎀을 위한 plc 3상 커플링 장치
KR20220054112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에코전력 선불결제방식의 전력관리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단위의 전력관리시스템
KR20220074289A (ko) * 2020-11-27 2022-06-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선불결제 서비스 지원 전력거래시스템
KR20230057839A (ko) * 2021-10-22 2023-05-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KR20230057838A (ko) * 2021-10-22 2023-05-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전력중계장치를 구비한 블록체인 스마트 전력거래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856A (ko) * 1989-12-27 1991-08-08 정용문 원격 전원차단 및 복구방법
KR970070962A (ko) * 1996-04-16 1997-11-07 이종수 선불 방식의 에너지 계량 정산 장치 및 방법
US5696501A (en) * 1994-08-02 1997-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register functions for a plurality of metering devices at a common node
JPH10112944A (ja) * 1996-08-12 1998-04-28 Ngk Insulators Ltd 遠隔制御による電力需要家への給電開始・停止方法及び装置
KR19980019249A (ko) * 1997-12-23 1998-06-05 송호상 원격 검침 시스템 및 방법(telemetry system and method thereof)
JPH10188187A (ja) * 1996-12-20 1998-07-21 Ishikawa Seisakusho:Kk 自動検針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16248A (ko) * 2000-11-27 2001-03-05 황태호 무선원격검침정보시스템
US6239722B1 (en) * 1997-10-16 2001-05-29 Cic Global,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remote location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856A (ko) * 1989-12-27 1991-08-08 정용문 원격 전원차단 및 복구방법
US5696501A (en) * 1994-08-02 1997-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register functions for a plurality of metering devices at a common node
KR970070962A (ko) * 1996-04-16 1997-11-07 이종수 선불 방식의 에너지 계량 정산 장치 및 방법
JPH10112944A (ja) * 1996-08-12 1998-04-28 Ngk Insulators Ltd 遠隔制御による電力需要家への給電開始・停止方法及び装置
JPH10188187A (ja) * 1996-12-20 1998-07-21 Ishikawa Seisakusho:Kk 自動検針方法および装置
US6239722B1 (en) * 1997-10-16 2001-05-29 Cic Global,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remote locations
KR19980019249A (ko) * 1997-12-23 1998-06-05 송호상 원격 검침 시스템 및 방법(telemetr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10016248A (ko) * 2000-11-27 2001-03-05 황태호 무선원격검침정보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18B1 (ko) * 2002-02-20 2006-03-06 효 신 박 전력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KR100504558B1 (ko) * 2002-12-13 2005-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관리 시스템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01298B1 (ko) * 2006-07-07 2007-03-29 주식회사 실버크리너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원격 검침 및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17761B1 (ko) * 2008-11-10 2011-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전 방법
KR101189852B1 (ko) * 2010-10-21 2012-10-10 한국전력공사 원격검침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416B1 (ko) * 2012-06-26 2014-04-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KR20160037017A (ko) * 2014-09-26 2016-04-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외장형 모뎀을 위한 plc 3상 커플링 장치
KR20220054112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에코전력 선불결제방식의 전력관리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단위의 전력관리시스템
KR20220074289A (ko) * 2020-11-27 2022-06-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선불결제 서비스 지원 전력거래시스템
KR20230057839A (ko) * 2021-10-22 2023-05-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KR20230057838A (ko) * 2021-10-22 2023-05-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전력중계장치를 구비한 블록체인 스마트 전력거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04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disconnection of electrical service to end customers
KR100701298B1 (ko)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원격 검침 및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US8234017B2 (en) Electronic smart meter enabling demand response and method for demand response
KR101073114B1 (ko) 비내구재에 대한 수요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826755B (zh) 智能配电网用电实时监控故障信息处理方法
Tamarkin Automatic meter reading
JP4325111B2 (ja) エネルギ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用の中継制御端末器
US20090109056A1 (en) Integrated metrology systems and information and control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integrated metrology systems
US20030009301A1 (en) Integrated utility meter-reading, billing, payment and usage management system
EP0948781B1 (en) System for measuring domestic consumption of electricity, heat, water and gas
KR20040078648A (ko) 전기에너지 계기의 원격 제어 및 원격 데이터 획득을 위한시스템
JP2002345177A (ja) 一斉同報通信を用いた広域電力量デマンド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30028038A (ko)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635700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과 인터넷 기능을 접목한시스템
KR20190053433A (ko) 수도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0257246A1 (en) Safety interlocks for electricity meter control relays
WO2010132469A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disconnection of electrical service to end customers
CN116075699A (zh) 可远程控制的水表、相关监控系统和控制方法
van Engelen et al. Choices for smart grid implementation
KR101048464B1 (ko) 홈 네트워크 상의 전력기기들과 에너지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포털서버와의 단일 접속 포인트를 제공하는 홈 에너지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3202005B2 (ja) 電力用自動検針システム
EP0834849B1 (en) Metering Apparatus
KR20200130103A (ko)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및 취합 서버
KR100725178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7794A (ko)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