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16B1 -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16B1
KR101387416B1 KR1020120111502A KR20120111502A KR101387416B1 KR 101387416 B1 KR101387416 B1 KR 101387416B1 KR 1020120111502 A KR1020120111502 A KR 1020120111502A KR 20120111502 A KR20120111502 A KR 20120111502A KR 101387416 B1 KR101387416 B1 KR 10138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power
electronic product
power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693A (ko
Inventor
김수원
권찬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0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분리하고, 제어부는 전력 사용량 신호로부터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통신 신호로부터 통신 정보를 추출하며, 산출된 전력 사용량과 추출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설치 비용이나 설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신호 오류나 신호 보상 처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ELECTRIC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FOR SMART GRID}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구성에 필요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통신 모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능형 전력 시스템으로 IT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기존의 전력 생산, 운반, 소비의 과정에 정보 통신의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 생산과 사용의 효율성, 신뢰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차세대 전력망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력 사용에 대한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계측 장치인 전자식 전력량 측정 모듈과 디지털 저장 장치, 그리고 정보 교류를 위한 양방향 통신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즉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식 전력량 측정용 집적 회로는 기존의 아날로그 계량기와 달리 사용 전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전체적인 사용량을 체크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정보를 쉽게 제공해줄 수 있는 계측기를 말하고, 이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와 결합되어 AMI를 구축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력량 측정 모듈, 디지털 저장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모듈을 따로 제작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구조에 따라 배선을 새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치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는 부담이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 모듈과 전력량 측정 모듈이 같은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가 합쳐지기 전에 서로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신호에 오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잡음이 들어올 때 통신 시스템 모듈 신호 라인과 전력량 측정 모듈 신호 라인에 주파수대가 다른 잡음이 끼기 때문에 각각 보상처리를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 밖에도 종래의 전력선 통신은 통신 시스템 모듈과 전력량 측정 모듈을 따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고, 사용되는 면적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비용이나 설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신호 오류나 신호 보상 처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분리하고, 제어부는 전력 사용량 신호로부터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통신 신호로부터 통신 정보를 추출하며, 산출된 전력 사용량과 추출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설치 비용이나 설치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신호 오류나 신호 보상 처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전기 신호 변환부, 및 변환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분리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따라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전기 신호 변환부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가 동시에 포함된 전기 신호를 변환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하나의 칩 내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전기 신호로부터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추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통신 신호를 복조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및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와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추출하는 2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추출된 전압과 전류로부터 전자 제품의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설치 비용이나 설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신호 오류나 신호 보상 처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전기 신호 변환부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가 동시에 포함된 전기 신호를 변환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하나의 칩 내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의 실제 구현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회로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1000)은, 인터페이스부(1100), 및 제어부(120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0)는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분리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100)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200)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전기 신호 변환부(1110), 및 변환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리부(1120)는 다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따라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전기 신호 변환부(1110)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가 동시에 포함된 전기 신호를 변환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하나의 칩 내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00)는 전력 사용량 신호로부터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통신 신호로부터 통신 정보를 추출하며, 산출된 전력 사용량과 추출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200)는 다시 전기 신호로부터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추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0), 통신 신호를 복조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20), 및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0)와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선으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와 통신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설치 비용이나 설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신호 오류나 신호 보상 처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0)는 다시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추출하는 2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220)는 추출된 전압과 전류로부터 전자 제품의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230)는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의 실제 구현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은 전원플러그(100), 전자제품(200), 인터페이스(300),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회로(40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200)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100)를 이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플러그(100)와 전자 제품(200)의 기존 연결에 병렬로 인터페이스(300)와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회로(400)를 추가하였다.
인터페이스(300)와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 회로(400)는 스마트 그리드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 측정과 전력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3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인터페이스(300)는 220V의 교류가 흐르는 전력선의 신호를 5V이하의 공급전압으로 동작하는 집적 회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커플러(301)와, 전력선 통신을 위한 신호와 전력량 측정을 위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정합 회로(302,303), 및 여과 회로(304,305)로 구성된다.
종래의 두 개의 칩을 사용하여 전력선 통신과 전력량 측정을 하는 방법에서는 각각의 기능을 위해 서로 다른 커플러를 사용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커플러(301)를 사용하여 전력 사용량에 따라 변하는 전력 사용량 신호(102)와 높은 주파수로 변조되어 전력선에 실린 통신 신호(103)를 동시에 변환한 후, 커플러(301)와 연결된 여과 회로(304,305)와 정합 회로(302,303)에서 두 신호를 분리한다.
전력 사용량 신호(102)는 60Hz의 주파수를 갖고, 통신 신호(103)는 1MHz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게 되는데, 두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커플러(301)의 신호를 두 개의 여과 회로(304,305) 및 정합 회로(302,303)에 동시에 인가한다.
여과 회로1(304)은 60Hz의 전력 사용량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통신 신호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여과 회로2(305)는 통신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전력 사용량 신호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여과 회로1(304)의 통과 대역 주파수는 DC~1kHz의 대역을 가지고, 나머지 대역은 차단시킨다.
또한, 여과 회로2(305)의 통과 대역 주파수는 1MHz~100MHz의 대역을 가지게 되고, 나머지 대역은 차단시킨다. 이를 통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신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정합 회로1(302)과 정합 회로2(303)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 회로(400)와 전력선 사이의 부정합으로 인한 반사를 막고 최대의 신호 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여과 회로(304,305)와 정합 회로(302,303)는 수동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 회로(400)는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구성된다.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2개의 채널로 구성된다. 각각의 채널은 가변 이득 증폭기(401)를 이용하여 전압 혹은 전류의 크기에 따라 뒤에 따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2)의 입력단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값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전력 값으로 계산된다. 또한,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1MHz~100MHz로 변조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405)에서 변조 또는 복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405)에서는 전력선 통신과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다른 역할을 하는 두 가지의 요소를 하나의 요소로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전자 제품의 구현을 용이하도록 해주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구성에 필요한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통신 모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 회로를 이용한 통신 모뎀 시스템,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통신 신호와 전력 사용량 신호를 정합 회로와 여과 회로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자식 전력량 측정 칩과 전력선 통신 칩을 하나의 단일 칩으로 구현하여, 스마트 그리드 환경 위한 시스템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과 전력량 측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도록 구현하여, 단일 칩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개별 전자 제품의 전력량 측정과 측정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의 전송을 집적화된 하나의 칩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여러 개의 단일 칩을 이용하여 구성을 할 때보다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여러 개의 단일 칩으로 본 발명의 기능을 구성할 경우, 작은 크기의 전자 제품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은 크기의 전자 부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모듈과 전력량 측정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사용할 경우 전력량의 모니터링을 통해 전자 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전원 플러그
101: 전력선
102: 전력 사용량 신호선
103: 통신 신호선
104: 제어 신호선
200: 전자 제품
300: 인터페이스
301: 커플러
302: 정합 회로1
303: 정합 회로2
304: 여과 회로1
305: 여과 회로2
400: 전자식 전력량계가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뎀 집적회로
401: 가변 이득 증폭기
40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403: 송신기
404: 수신기
405: 디지털 신호 처리부
1000: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1100: 인터페이스부
1110: 전기 신호 변환부
1120: 신호 분리부
1200: 제어부
1210: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1220: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1230: 디지털 신호 처리부

Claims (6)

  1.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선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전기 신호로부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분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단일 칩에 형성된 집적 회로로서, 상기 전력 사용량 신호로부터 상기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통신 신호로부터 통신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산출된 전력 사용량과 상기 추출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전기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 신호, 및 상기 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신호로부터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추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상기 통신 신호를 복조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및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품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따라 상기 전력 사용량 신호와 상기 통신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추출하는 2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전압과 전류로부터 상기 전자 제품의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통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KR1020120111502A 2012-06-26 2012-10-08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KR101387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500 2012-06-26
KR1020120068500 2012-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693A KR20140006693A (ko) 2014-01-16
KR101387416B1 true KR101387416B1 (ko) 2014-04-24

Family

ID=5014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502A KR101387416B1 (ko) 2012-06-26 2012-10-08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730A (ko) * 2003-02-17 2003-03-26 최승우 전력선 통신장치를 구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30028038A (ko)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젤라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11024157A (ja) * 2009-07-21 2011-02-03 Sumitomo Electric Networks Inc 電力量監視システム
KR20110024544A (ko) * 2009-09-02 2011-03-09 (주)시스콘이엔에프 전자제품의 전력 정보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038A (ko)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젤라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4730A (ko) * 2003-02-17 2003-03-26 최승우 전력선 통신장치를 구비한 원격 검침 시스템
JP2011024157A (ja) * 2009-07-21 2011-02-03 Sumitomo Electric Networks Inc 電力量監視システム
KR20110024544A (ko) * 2009-09-02 2011-03-09 (주)시스콘이엔에프 전자제품의 전력 정보 수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693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18010U (zh) 一种用于高压系统的电压、电流采集和传输装置
US10056943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signal over the power bus of a power electronic converter
CN107657801A (zh) 一种基于lora的数据采集传输系统
CN201955389U (zh) 单相交流电压电流采集电路
CN101194171A (zh) 在高压直流输电设备中采集和处理多个测量值的装置
KR20090032488A (ko) 커플러 내장형 변압기
CN103901269A (zh) 便于切换接线方式的电量测量装置
CN103513154A (zh) 配电网漏电信号在线检测装置
CN101949972A (zh) 一种高压变流器电流测量装置
KR101387416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전자 제품 제어 시스템
CN202815078U (zh) 一种电流测量装置
CN105548673A (zh) 一种变压器无线监测仪
CN103995177A (zh) 电力变压器中性点直流电流测量和录波装置及检测方法
CN203301361U (zh) 光伏并网逆变器的智能电流及电压隔离变送器
CN206515392U (zh) 船舶电力系统谐波监测装置
CN105954702B (zh) 电子式互感器校验仪的相位误差检测系统及其方法
KR101055992B1 (ko) 전선도난 감지시스템
CN106057588B (zh) 带智能检测的空气开关、设备及系统
EP2869475B1 (en) Transform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N103487721A (zh) 基于电子式互感器的行波测距系统
JP5861125B2 (ja) 電力量計及び通信モジュール
CN103487631B (zh) 一种调制解调型电流传感器
CN203490323U (zh) 基于电子式互感器的行波测距系统
CN208675204U (zh) 铁路全电子微机联锁结合zpw-2000系列电码化编码电路
CN104950734B (zh) 基于电力系统高频载波的变流器测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