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996A -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996A
KR20030025996A KR1020010058956A KR20010058956A KR20030025996A KR 20030025996 A KR20030025996 A KR 20030025996A KR 1020010058956 A KR1020010058956 A KR 1020010058956A KR 20010058956 A KR20010058956 A KR 20010058956A KR 20030025996 A KR20030025996 A KR 2003002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broadcast
data
information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세준
Original Assignee
(주)이엠티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티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이엠티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1005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5996A/ko
Publication of KR200300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및 다양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교통 수단에 전송하여 이를 승객들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교통 수단의 노선을 안내하고,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정 지역을 노선에 따라 운행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노선 안내, 광고 및 각종 생활 정보를 방송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방송 스케쥴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웹상에서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나타나는 사용자 인증 화면에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등록, 편집 및 삭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작업의 결과에 따라 방송 스케쥴을 편성하는 단계, 상기 방송 스케쥴 및 관련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에서 교통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운행중인 상기 교통 수단 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통해 교통 수단 내에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다양하고 체계적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회사들도 자사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교통 수단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버스, 열차, 선박 등의 교통 수단에 회사의 광고, 뉴스, 쇼핑 정보, 차량 정보, 노선 안내 및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예전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도시화 및 정보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정보의 격차가 개인, 기업,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모든 회사들은 언제, 어디서든지 자사의 광고를 사람들에게 보다 빠르고, 자주 보여주기를 원하게 되었고, 각 개인들도 다양하고 신속한 정보의 제공을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폰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간단한 뉴스나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며,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공중 통신망에 접속을 해야 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한 시간에 해당하는 요금을 지불해야 하며, 1 ~ 3 인치(Inch) 내외의 작은 화면을 통해 정보를 검색해야 하는 등 서비스 이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교통 수단를 통한 정보 제공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버스나 열차, 비행기 등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교통 수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버스나 열차 등의 교통 수단을 통한 정보의 제공은 단순한 문자나 그림 등이 표시된 광고물을 버스나 열차의 구조물에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광고물을 교체해 주거나, 단순한 내용의 오디오 및 동영상을 반복적으로 방송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편,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차량 관리 시스템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통신 기술을 이용한 특정 차량의 위치 파악, 주행 속도 측정, 차량간 거리 조절, 정차역 및 환승역 안내 방송 등의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다. 현재 차량의 위치 파악, 주행 속도 측정 및 차량간 거리 조절 등은 주로 라디오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정차역 및 환승역 안내 방송은 차량 운전자들이 이를 수작업으로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을 통해서는 실시간 문자 데이터나 동영상 등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정보의 제공이 어렵고, 기업의 광고도 효과적이지 못하며, 광고 비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교통 수단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서비스들을 귀찮아 하거나 불필요한 소음 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라디오 주파수 방식을 통한 차량의 위치 파악 및 차량간 거리 조절 기능은 전파 간섭이라는 라디오 주파수의 특성상 차량의 위치 파악이 힘들어 차량간 거리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차량 운전자가 수작업으로 정차역 및 환승역 안내를 하게 되어 시기 적절한 안내가 되지 못하거나 때로는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Contents) 제공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및 다양한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교통 수단에 전송하여 이를 승객들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교통 수단의 노선을 안내하고,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지역을 노선에 따라 운행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교통 수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노선 안내, 광고 및 각종 생활 정보를 방송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 수단에서 방송되는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전송받은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방송 스케쥴을 제작 및 관리하거나 교통 수단의 전체적인 관리를 하는 중앙 관제 서버, 중앙 관제 서버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광고 및 각종 정보를 공급받아 교통 수단에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중간 서버, 교통 수단의 내부에 장착되며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스케쥴 목록에 따라 방송을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일정 지역을 노선에 따라 운행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교통 수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노선 안내, 광고 및 각종 생활 정보를 방송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컴퓨터 등의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웹사이트에서 방송 스케쥴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웹상에서 실행시키는 단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나타나는 사용자 인증 화면에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등록, 편집 및 삭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작업의 결과에 따라 방송 스케쥴이 자동으로 편성되는 단계, 방송 스케쥴 및 관련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에서 교통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운행중인 교통 수단 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제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메인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스케쥴 편성 및 방송의 시청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콘텐츠 제공부102 : 중앙 관제 서버
106 : 중간 서버108 : 디스플레이 장치
200 : 메인 서버202 : 맵서버
204 : 데이터베이스 서버300 : 데이터 관리부
302 : 데이터 분류부304 : 스케쥴 관리부
312 : 방송 내역 관리부406,520 : 워치독
504 : 디스플레이부508 : GPS 수신기512 : 모비텍스 송수신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기업에서 제공하는 광고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부(100), 중앙 관제 서버(102), 인터넷(104), 중간 서버(106) 및 디스플레이장치(108)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부(100)는 교통 수단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8)에 표시되는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102)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공부(100)는 광고, 뉴스 및 TV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CP(Contents Provider)라고 불리우는 회사나 단체가 이에 속한다.
중앙 관제 서버(102)는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전송받은 각종 정보를 인터넷(104)을 통해 중간 서버(106)로 전달하거나, 중간 서버(106)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역시 인터넷(104)을 통해 전달받는 기능을 한다.
중간 서버(106)는 중앙 관제 서버(102)로부터 정보를 전송받고, 디스플레이 장치(108)를 장착한 교통 수단에 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8)로부터 운행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 파일을 전달받아 이를 중앙 관제 서버(102)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중간 서버(106)는 버스나 열차 등의 교통 수단이 운행을 마치고 복귀하는 차량 기지 등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8)는 교통 수단의 내부, 예컨대 운전석 뒤편과 출구측의 구조물에 승객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하드디스크(미도시)와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8)는 중간 서버(106)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여 승객들에게 보여주거나 범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중앙 관제 서버(102)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GPS는 고도 20,200 킬로미터 상공에서 지구 궤도를 도는 24개의 GPS 위성에의해 전세계 어느 곳이든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지상에는 컨트롤 스테이션(Control Station)이라는 조정 센터가 있어 GPS 위성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고 동기화시키는 일을 하며, 사용자는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파악한다.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삼각측량법이 사용된다. 삼각측량을 위해서는 3개의 위성이 필요하며, 여기에 시간 오차를 위한 관측용 위성 한 개를 포함하여 총 4개의 GPS 위성이 필요하다. GPS 시스템은 노트북(Notebook) 컴퓨터나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거나, 지도와 연동하여 목적지를 찾아가는 항법 장치 등에 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제 서버(10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도이다.
메인 서버(200)는 중앙 관제 서버(102)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방송 스케쥴, 방송 데이터, 시스템 관리 및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편집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메인 서버(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한다.
맵서버(202)는 버스나 열차 등의 교통 수단의 모든 운행 경로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리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위치 파악과 정차역 및 환승역 안내를 하기 위하여 모든 교통 수단은 자신이 운행하는 노선의 지리 정보를 맵서버(202)로부터 전송받아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04)는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전송된 각종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등의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 데이터 파일들은 편성된 스케쥴 목록과 함께 인터넷(104)을 통하여 중간 서버(106)로 전송된다.
도 3은 앞의 도 2에서 설명한 메인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방송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데이터 파일마다 일련 번호, 제목, 데이터를 제공한 회사명, 방송 기간, 광고 형태 등의 정보를 통해 데이터 파일을 관리한다. 데이터 파일의 종류는 크게 텍스트 (Text) 파일과 비디오(Video) 파일로 구분된다.
텍스트 파일은 국제 및 지방 뉴스 속보나 스포츠 속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텍스트 파일은 용량이 적으므로 실시간으로 모비텍스망을 통해 중간 서버(106)에서 교통 수단으로 전송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루에 2회 이상 갱신되는 것으로 한다.
비디오 파일은 방송 시간에 민감한 콘텐츠, 일반 콘텐츠, 광고 콘텐츠로 나누어진다. 방송 시간에 민감한 콘텐츠는 뉴스, 스포츠, 날씨, 증권 정보 등이 있는데, 이는 하루에 2회 정도로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일반 콘텐츠에는 각종 생활 정보, 뮤직 비디오, TV 프로그램 등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대부분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일반 콘텐츠는 비정기적으로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광고 곤텐츠는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회사를 홍보하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대표적인 방송 방식은 첫째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회사의 광고를 보여주는 방식이 있다. 즉,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이나 끝난 후에 자막이나 동영상으로 후원사의 광고를 방송하는 방식이다. 둘째는 교통 수단에 승객들이 가장 많이 탑승하는 오전 또는 오후의 황금 방송 시간대에 광고하는 방송 방식이 있다. 세째는 중요한 스포츠 경기나 행사 등이 행해지는 날짜의 특정한 시간대를 미리 예약한 후에 광고를 방송하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고 콘텐츠의 방송 방식이 위의 세 가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방송이 가능하다.
데이터 분류부(302)는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공급받은 광고 데이터들을 데이터 관리부(300)에서 설정한 광고 방식별로 분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광고 데이터들을 광고 방식별로 분류한 후, 분류한 광고 방식별로 특정한 값을 할당하여 그 값을 데이터 관리부(300)로 전달한다.
스케쥴 관리부(304)는 데이터 관리부(300)에 등록된 콘텐츠들을 일별, 주간별, 월별 단위로 편성하는 기능을 한다.
콘텐츠 제작/편집부(306)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외에 승객들에게 제공하자고 하는 정보를 자체적으로 제작 및 편집하데 이용된다.
데이터 전송 관리부(308)는 스케쥴 관리부(304)에서 편성된 스케쥴에 따른 스케쥴 목록 및 해당 데이터가 중간 서버(106)로 전송되는 현황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긴급 정보 관리부(310)는 텍스트 파일의 형태로 작성된 긴급하고 중요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 텍스트 파일은 모비텍스(Mobitex)망을 통해 교통 수단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모비텍스망은 12.5 KHz의 대역폭(Bandwidth)과 900 MHz의 주파수 대역 및 8 Kbps의 전송 속도 등을 갖는 패킷(Packet) 방식의 양방향 무선 데이터 통신 전용망이다. 모비텍스망은 패킷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마다 전송 확인이 자동적으로 되도록 시스템이 설계되어 있어, 전송 오류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송 지연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실시간 거래를 필요로 하는 증권, 신용카드 결제 등의 금융 거래와 단순한 문자 채팅과 같은 서비스에 적합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이다.
방송 내역 관리부(312)는 교통 수단으로부터 메인 서버(200)로 전송된 방송 내역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즉, 교통 수단이 노선 운행을 마치고 중간 서버 (106)로 전송한 방송 내역을 중간 서버(106)가 메인 서버(200)로 다시 전송하는데, 이 전송된 방송 내역을 관리하는 부분이 방송 내역 관리부(312)이다.
시스템 관리부(314)는 중앙 관제 서버(102), 중간 서버(106), 디스플레이 장치(108)를 장착한 교통 수단 등의 작동 상황을 감시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서버(106)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하 UPS라 칭함)(400)는 주 전원이 상실되었을 때 주 전원 장치의 대용으로서 일정 시간 이상 컴퓨터가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며, 갑작스런 전압 상승, 순간적인 정전 등의 상황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하는 기능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UPS(400)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대체하여 안정적으로 시스템을운영하여 완료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즉, UPS(400)는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
랜(LAN : Local Area Network) 카드 A(402)는 중앙 관제 서버(1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터넷(104)을 통해 유선으로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랜 카드 B(304)는 랜 카드 A(402)로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접속 장치(AP : Access Point, 이하 AP라 칭함)(미도시)를 통해 운행을 마치고 중간 서버가 있는 차량 기지 등으로 복귀한 교통 수단에 전송해 주는 기능을 한다. AP는 실내의 경우는 30~50 미터, 실외의 경우는 200 미터 내에서 15 ~ 20개의 통신 장치 등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현재 랜 카드로는 이더넷(Ethernet) 카드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워치독(WatchDog)(406)은 하드웨어를 통해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체크 (Check)하는 하드웨어 워치독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비스를 감시하는 소프트웨어 워치독이 있다. 하드웨어 워치독은 소프트웨어 워치독에 일정 시간마다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에 대한 응답을 받음으로써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소프트웨어 워치독은 하드웨어 워치독이 보낸 신호에 응답하며, 서비스가 정해진 스케줄 (Schedule)에 따라 제공되는지를 감시하고 체크하는 기능을 한다. 워치독(406)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면 계속적인 오동작으로 인한 큰 손실을 막기 위해 시스템을 리셋(Reset)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8)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는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Master Display Device)(500)를 나타내며, 도 5b는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Slave Display Device)(502)를 나타낸다. 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운전석 뒷측에 설치되며,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502)는 출입구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500, 502)는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GPS 수신기(508)는 인공위성에서 송신되는 GPS 신호를 GPS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받은 후, 수신한 GPS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마이컴 A(506)는 GPS 수신기(508)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포함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미도시)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마이컴 B(510)는 모비텍스 송수신기(512)를 통해 입력받은 뉴스, 날씨, 증권 정보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514)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 Digital Video Recorder, 이하 DVR이라 칭함)(516)가 작동하여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DVR(516)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플래쉬 메모리(514)는 램(RAM)과 롬(ROM)의 장점을 한데 묶은 메모리라고 할 수 있다. 즉 램처럼 읽고 쓰기가 가능하며, 롬처럼 전원이 차단되어도 저장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속성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DVR(516)은 종래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와 VCR(Video CassetteRecorder) 등으로 구성된 감시 시스템을 대체하는 차세대 감시 시스템 장비이다. 아날로그 방식의 감시 시스템은 감시하고자 하는 상황을 모니터링 (Monitering)하고, 필요한 영상 데이터를 테이프에 녹화하여 저장한다. 하지만 DVR(516)에서는 감시하고자 하는 상황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것보다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테이프에 저장된 데이터는 계속적인 녹화, 재생으로 인하여 쉽게 열화되지만, 디지털로 저장된 데이터는 열화의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된다. 둘째, 대부분의 DVR(516)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대단히 많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셋째,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보안 감시가 가능하다.
랜 카드(518)는 교통 수단이 운행을 마치고 차량 기지로 복귀한 후, 새롭게 갱신된 데이터를 중간 서버(106)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 및 보안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대 스케쥴 목록은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방송에 큰 차질을 빚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안 소켓 계층(SSL : Socket Secure Layer, 이하 SSL 이라 칭함) 방식을 이용하여 스케쥴 목록의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송 오류를 방지한다.
SSL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나 메세지 전송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보안 프로그램이다. SSL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고, 네트워크상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안전한 채널을 형성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SSL은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가 보안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전송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경우, 예컨대 전자상거래, 증권 거래, 온라인 뱅킹(On-line Banking)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송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는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Protocol)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므로 생략하겠다.
워치독(520)은 앞의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워치독은 미리 편성된 스케쥴(Schedule)대로 서비스가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모비텍스 송수신기(512), GPS 수신기(508), DVR(516) 등을 체크하여 이들을 통한 서비스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제어부(522)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ON) 또는 오프(OFF)하거나 방송 채널을 조정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8)의 외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승객이나 교통 수단의 운전자는 이 제어부(522)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스케쥴 편성 및 방송의 시청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해 생활 정보나 회사 광고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등의 통신 장치를 통해 해당 웹사이트 (Web Site)에 접속한다(S600). 웹사이트에서 콘텐츠의 등록, 편집, 삭제 등의 기능을 갖는 관련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웹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602).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나타나는 사용자 인증 화면에서 ID(Identification)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다(S604).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가 일치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지만,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604로 돌아가서 다시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작업을 계속한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등록, 편집 및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S608). 사용자가 콘텐츠의 등록, 편집 및 삭제 등의 작업을 완료하면 작업 내용이 메인 서버(200)에 저장되어 방송 스케쥴에 자동으로 편성된다(S610).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스케쥴은 일별, 주별 및 월별 단위 등으로 세분화된 편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웹페이지(Web Page)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방송할 콘텐츠를 직접 등록, 편집 및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내용에 따라서 방송 스케쥴이 자동으로 편성되므로 간편하고 체계적으로 방송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편성된 방송 스케쥴과 관련 데이터는 인터넷(104) 및 랜 등을 통해 중앙 관제 서버(102)에서 교통 수단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108)로 전송된다 (S612). 방송 스케쥴 및 관련 데이터를 내려받아 저장한 교통 수단에 탑승한 승객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8)의 제어부(422)를 조작하여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방송을 시청한다(S614).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 정보는 두가지 채널을 통해서 제공된다. 한 채널은 음성 방송과 함께 정차역이나 환승역 안내 방송을 하고, 다른 한 채널은 정차역이나 환승역 안내 방송이 없이 음성 방송만을 제공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교통 수단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108)에서는 음성 방송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성 방송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FM(Frequency Modulation) 송신기(미도시)를 통해서 전파의 형태로 출력된다. 승객들이 음성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파수가 변조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 예컨대 FM 라디오 등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금액 이상의 정액권을 구입하는 승객들에게는 FM 라디오를 무료로 나누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음성 채널을 분리함으로써, 정차역이나 환승역의 안내가 필요없는 승객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깨끗한 음질의 음성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노선 안내, 차량간 거리 조절 및 각종 교통 상황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4개의 GPS 위성이 자신의 식별 코드(ID Code)와 궤도 위치, 시간 정보를 송출하면 차량에 장착된 GPS 수신기(408)는 이 정보를 마이컴 A(406)에 전송한다. 마이컴 A(406)는 각 전파간의 도달 속도 차이를 연산하여 자신의 위치 좌표를 계산하여 이 좌표값을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이 좌표값을 노선상의 각 정차역마다 설정되어 있는 좌표값과 비교하여 이 두 값의 오차가 미리 설정한 일정한 범위내의 값으로 들어오면 자동적으로 다음 정차역 안내 방송을 실시한다.
또한, 중앙 관제 서버(102)는 각 노선상의 모든 차량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이를 토대로 미리 설정된 배차 시간에 따라 차량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그리고, 중앙 관제 서버(102)는 이 좌표값들을 토대로 맵서버(202)에 있는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노선상의 차량의 병목 현상과 다른 교통정보를 파악한다.
또한, 중앙 관제 서버(102)는 각 정차역마다 설치된 키오스크(Kiosk)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정차역에서 버스를 타기 위해 기다리는 사람들은 차량의 번호와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키오스크는 정부 기관, 지방 자치 단체, 은행, 백화점, 정차역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 단말기이다. 키오스크를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각 기관들도 인력 감축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GPS를 이용한 차량의 위치와 상태 정보 및 각종 교통 상황에 관한 정보는 모비텍스 송수신기(412)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중앙 관제 서버(102)로 전송된다.
한편 차량의 운행중에 긴급 상황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차량의 운전자가 긴급 상황 버튼을 누르면 DVR(516)이 작동을 개시한다. DVR은 현장 상황을 바로 녹화하고, 녹화된 이미지를 플래쉬 메모리(414)에 저장한다. 그리고 모비텍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사고 장소, 시간, 차량의 정보 및 낮은 프레임(Frame)의 영상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102)로 전송한다. 그리고 녹화된 이미지는 해당 차량이 차량 기지로 복귀하면 무선랜을 통해 중간 서버(106)로 전송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각종 생활 정보의 제공 방법은 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직접 방송 콘텐츠를 등록, 편집, 삭제 등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스케쥴 편성이 된다. 따라서, 웹페이지를 통해서 간편하고 체계적으로 방송 광고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FM 송신기를 통해서 음성 정보를 채널별로 전송하므로 FM 라디오를 소지한 승객들은 보다 깨끗한 음질의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승객들은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접할 수 있게 되므로 광고에 대한 집중도가 현저하게 높아지게 된다.
한편, GPS를 이용해서 차량의 정차역 및 환승역 안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차량의 위치 추적과 차량간의 거리 조절 및 각종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에 긴급 상황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DVR을 이용해서 사고 현장의 녹화가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6)

  1. 일정 지역을 노선에 따라 운행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노선 안내, 광고 및 각종 생활 정보를 방송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에서 방송되는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방송 스케쥴을 제작 및 관리하거나 상기 교통 수단의 전체적인 관리를 하는 중앙 관제 서버,
    상기 중앙 관제 서버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광고 및 각종 정보를 공급받아 상기 교통 수단에 상기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중간 서버,
    상기 교통 수단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스케쥴 목록에 따라 방송을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방송 스케쥴과 데이터 및 시스템을 관리하거나 긴급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메인 서버, 상기 교통 수단의 모든 운행 경로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맵서버, 상기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광고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데이터들을 상기 교통 수단에서의 방송 방식별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상기 데이터를 상기 방송 스케쥴에 등록하거나 상기 방송 스케쥴을 편집하는 스케쥴 관리부, 상기 방송 서비스의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하는 콘텐츠 제작/편집부, 상기 스케쥴 관리부에서 편성된 스케쥴에 따라 스케쥴 목록 및 데이터가 전송되는 현황을 관리하는 전송 관리부, 긴급하고 중요한 정보를 텍스트 파일의 형태로 작성하고 상기 방송 스케쥴에 등록하는 긴급 정보 관리부, 상기 교통 수단에서 방송된 방송 내역을 전달받아 관리하는 방송 내역 관리부, 상기 중앙 관제 서버, 상기 중간 서버, 상기 교통 수단의 작동 상황을 감시 및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교통 수단의 운전석 뒷편에 장착되는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교통 수단의 출입구측에 장착되는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디스플레이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를 연산하는 제 1 마이컴, 모비텍스(Mobitex)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텍스트 파일 및 낮은 프레임의 이미지를 송수신하는 모비텍스 송수신기, 상기 모비텍스 송수신기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제 2 마이컴, 상기 교통 수단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영상 이미지로 녹화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녹화한 영상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플래쉬 메모리, 상기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새로 등록된 데이터를 중간 서버로부터 무선으로 내려받기 위한 랜카드, 상기 교통 수단에서 방송 서비스가 스케쥴 목록에 따라 제공되는지를 감시하는 워치독,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또는 오프하거나 방송 채널을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FM(Frequency Modulation) 송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통 수단의 각 정차소마다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안내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과 상기 교통 수단에 장착된 GPS 장치를 이용해 상기 교통 수단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교통 수단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일정 지역을 노선에 따라 운행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노선 안내, 광고 및 각종 생활 정보를 방송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방송 스케쥴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웹상에서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나타나는 사용자 인증 화면에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등록, 편집 및 삭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작업의 결과에 따라 방송 스케쥴을 편성하는 단계,
    상기 방송 스케쥴 및 관련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서버에서 교통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운행중인 상기 교통 수단 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방송 시간에 민감한 콘텐츠, 광고 콘텐츠, 일반 콘텐츠 및 속보 콘텐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속보 콘텐츠는 모비텍스망을 통해 중앙 관제 서버에서 교통 수단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음성 신호로 정차역이나 환승역에 대한 안내 방송을 하는 채널과 정차역이나 환승역에 대한 안내 방송을 하지 않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신 장치는 일정 금액 이상의 승차권을 구입한 승객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케쥴 및 관련 데이터는 암호화 및 보안화 기술을 적용하여 암호화 및 보안화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안내는 GPS 위성과 상기 교통 수단내에 장착된 GPS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영상 및 음성 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의 운행 중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교통 수단은 중앙 관제서버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장소, 시간, 교통 수단의 정보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 촬영한 영상을 낮은 프레임을 갖는 이미지의 형태로 모비텍스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10058956A 2001-09-24 2001-09-24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5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956A KR20030025996A (ko) 2001-09-24 2001-09-24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956A KR20030025996A (ko) 2001-09-24 2001-09-24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996A true KR20030025996A (ko) 2003-03-31

Family

ID=2772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956A KR20030025996A (ko) 2001-09-24 2001-09-24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59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91A (ko) * 2001-10-29 2003-05-09 김창훈 버스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7184B1 (ko) * 2014-02-10 2015-07-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M2m을 이용한 버스 내 영상광고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267A (en) * 1996-03-20 1998-10-20 Mcmillan; James Michael Web information kiosk
KR20000054620A (ko) * 2000-06-14 2000-09-05 김종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10000758A (ko) * 2000-10-18 2001-01-05 이응혁 인터넷 주문형 광고 시스템
KR20010069709A (ko) * 2001-04-30 2001-07-25 정성수 차량용 전광판을 이용한 인터넷사이트 운영방법
KR20010109720A (ko) * 2000-06-02 2001-12-12 김성민 대중 교통수단내 인터넷정보 전송방법
KR20020022208A (ko) * 2000-09-19 2002-03-27 김수엽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지하철 광고 방법
KR20020068714A (ko) * 2001-02-22 2002-08-28 한상민 인공위성 멀티캐스팅을 이용한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20078550A (ko) * 2001-04-04 2002-10-19 안홍진 버스 내부 광고시스템 및 이를 위한 광고데이터 전송과실행방법
KR20020083733A (ko) * 2001-04-30 2002-11-04 포디오코리아주식회사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KR20020090530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케이티 위성이동광고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30044081A (ko) * 2001-05-26 2003-06-09 이원영 지하철 역사 및 전동차내 실시간 동영상 정보전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267A (en) * 1996-03-20 1998-10-20 Mcmillan; James Michael Web information kiosk
KR20010109720A (ko) * 2000-06-02 2001-12-12 김성민 대중 교통수단내 인터넷정보 전송방법
KR20000054620A (ko) * 2000-06-14 2000-09-05 김종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20022208A (ko) * 2000-09-19 2002-03-27 김수엽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지하철 광고 방법
KR20010000758A (ko) * 2000-10-18 2001-01-05 이응혁 인터넷 주문형 광고 시스템
KR20020068714A (ko) * 2001-02-22 2002-08-28 한상민 인공위성 멀티캐스팅을 이용한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20078550A (ko) * 2001-04-04 2002-10-19 안홍진 버스 내부 광고시스템 및 이를 위한 광고데이터 전송과실행방법
KR20010069709A (ko) * 2001-04-30 2001-07-25 정성수 차량용 전광판을 이용한 인터넷사이트 운영방법
KR20020083733A (ko) * 2001-04-30 2002-11-04 포디오코리아주식회사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KR20030044081A (ko) * 2001-05-26 2003-06-09 이원영 지하철 역사 및 전동차내 실시간 동영상 정보전달 시스템
KR20020090530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케이티 위성이동광고서비스 제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91A (ko) * 2001-10-29 2003-05-09 김창훈 버스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7184B1 (ko) * 2014-02-10 2015-07-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M2m을 이용한 버스 내 영상광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316B2 (en) Distribution of traffic and transit information
KR100589749B1 (ko)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100754168B1 (ko)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JP3277235B2 (ja) 移動体の情報提供システム
US7313360B2 (en) Dynamic data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same
US6958710B2 (en) Universal display media exposure measurement
US9047772B2 (en) On-vehicle device and advertisement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7363001B2 (en) Dynamic data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same
US8471729B2 (en)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O2009104663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送受信用の端末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030105670A1 (en) Electronic poster system
WO201516085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using and enhancing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s including synergies and interoperation with satellite radio
US20060068840A1 (en) Ev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DE10200703603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s Graphikbilds an eine mobile Plattform über Ausstrahlungsdienste
CN101971225A (zh) 通过运输编排和发声系统增加公共交通系统广告收入的方法和设备
CN101155002A (zh) 用于接收交通信息的方法和终端以及用于提供交通信息的方法
JP458880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13424250B (zh) 广告接触判断系统、广告接触判断装置以及程序
JP4597477B2 (ja) データの選択的な供給
KR100701128B1 (ko) 방송망을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5996A (ko) 교통 수단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067353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端末、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
WO2019235605A1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5919828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0044435A (ja) 情報提供装置、受信情報のフィルタリング出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