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134A -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134A
KR20030025134A KR1020010058088A KR20010058088A KR20030025134A KR 20030025134 A KR20030025134 A KR 20030025134A KR 1020010058088 A KR1020010058088 A KR 1020010058088A KR 20010058088 A KR20010058088 A KR 20010058088A KR 20030025134 A KR20030025134 A KR 2003002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puter
client
interne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폰코리아
Priority to KR102001005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5134A/ko
Publication of KR2003002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음성 및 영상통화와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서비스 하도록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컴퓨터를 켜고 자동으로 인식되는 영상다이얼러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 다이얼러의 영상창을 클릭하여 영상창을 확인하는 단계; 영상창 확인 후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유에스비폰으로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에 전송하는 단계; 게이트 키퍼가 전송되어 오는 상기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음성 및 영상통화와 문자, 음성, 화상채팅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이얼러의 메신저 기능을 클릭함으로써, 컴퓨터 화면에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가 표시되어 서비스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INTERNET TELEPHONE SYSTEM USING USB PHONE AND VIDED CAMERA}
본 발명은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4시간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통신망과 이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글로벌 통합 통신 솔루션을 통해 전 세계 모든 서비스 이용자에게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하도록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 사용자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인터넷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인터넷 전화, 인터넷 팩스, 인터넷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전화는 국제 통화를 할 때, 기존의 전화 사용료에 비해 수십 % 이하의 비용밖에 들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PC 통신사업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전화사업자 등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 예로서는 컴퓨터와 컴퓨터간 접속, 컴퓨터와 전화간 접속, 전화와 전화간 접속이 있다.
전술한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식은 상대방에게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이용해 직접 전화를 거는 것이다. 상대방이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고 있다면 바로 통화를 할 수 있고, 상대방이 없다면 자동 음성전자우편 형태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와 전화간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식은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상에서 전화를 걸면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로 연결되고, 여기서 다시 세계 각국의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거쳐 일반전화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것은 미국의 IDT(International Discount Telecommunications)의 Net2Phone(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개념인데, 비용은 약간의 인터넷 사용료와 교환기 사용료를 부담하는 정도로 저렴하다.
그리고 상기 전화와 전화간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식은 일반전화에서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화를 걸면 해당 게이트웨이 서버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게이트웨이 서버로 음성신호를 전달하고, 수신측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착신측 전화로 연결한다.
사용자에게는 게이트웨이 서버 접속을 위한 번호를 앞에 더 누르는 것 정도 외에 일반전화와 다른 점이 없어 인터넷 전화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한 종래의 인터넷 폰의 구성에 있어서는 인터넷 폰 기능을 위해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입출력버스를 통해 사운드카드와 네트웍카드가 연결되어 있고, 사운드카드에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는 인터넷 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가 수행되어 사운드카드를 통해 연결된 마이크의 음성을 처리하여 네트웍카드를 통해 인터넷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인터넷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네트웍 카드를 통해 수신한 후 사운드카드에서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게되어 있다.
한편, 컴퓨터 기술에서 플러그 엔 플레이(PLUG & PLAY)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리성이 제공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컴퓨터의 다른 외부 주변기기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USB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USB는 호스트 제어기와 하나 이상의 허브(Hub)와, 상기 허브를 통해 상기 호스트 제어기와 접속되는 다수 개의 디바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호스트 제어기가 설치되고 모니터에 허브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 폰 구성은 서비스 이용자에게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브라우저의 접속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식은 이용자에게 음성통화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웹브라우저의 접속을 통해서만이 가능함으로써, 인터넷 폰의 사용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뒤따르고, 또한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을 뿐 아니라 복잡한 통화 접속 절차 및 조작으로 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문자, 음성, 화상채팅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에스비폰과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인터넷 통화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된 USB 포트에 USB 폰과 화상카메라를 연결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컴퓨터를 켜고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는 다이얼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다이얼러의 메신저 기능을 클릭 시에 자체의 메신저를 통해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유에스비 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호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유에스비호출의 음성통화 서비스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3은 상기 유에스비호출의 영상통화 서비스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4는 상기 유에스비호출의 다이얼러를 통한 메신저 서비스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여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라이언트 컴퓨터 110 : 유에스비폰
120 : 화상카메라 130 : 인터넷 통신망
140 : 빌링서버 150 : 게이트 키퍼
160 : 인증서버 170 : 웹서버
190 : 다이얼러 200 : 영상다이얼러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에 의하면,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사이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에 구비된 USB포트에 접속되어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의 입력으로 음성통화를 하는 유에스비폰; (2) 상기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를 촬상하며 그 촬상된 영상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화상카메라; (3) 상기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IP주소와 비밀번호의 조회를 통해 회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빌링서버; (4) 상기 빌링서버로부터의 회원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통화요구에 대한 허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서버; 및 (5) 상기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게이트 키퍼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컴퓨터 및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 키퍼에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다이얼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얼러는 영상화면을 갖는 다이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의 화면에 영상다이얼러 메신저창을 표시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의하면,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사이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클라이언트의 컴퓨터를 켜고 다이얼러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 (2) 상기 통화 대기상태 등록 후 상기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유에스비폰으로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게이트 키퍼가 전송되어 오는 상기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4) 상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의하면,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사이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클라이언트의 컴퓨터를 켜고 자동으로 인식되는 영상다이얼러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 (2) 상기 다이얼러의 영상창을 클릭하여 영상창을 확인하는 단계; (3) 상기 영상창 확인 후 상기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유에스비폰으로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게이트 키퍼가 전송되어 오는 상기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5) 상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컴퓨터의 화면상에 영상다이얼러 메신저창을 표시하여 상기 메신저창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된 USB 포트에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연결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인식되는 다이얼러를 통해 음성 및 영상통화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문자, 음성, 화상채팅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이얼러의 메신저 기능을 클릭함으로써, 컴퓨터 화면에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가 표시되어 서비스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호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유에스비호출의 음성통화 서비스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3은 상기 유에스비호출의 영상통화 서비스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4는 상기 유에스비호출의 다이얼러를 통한 메신저 서비스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방과의 음성 및 영상통화를 위해 인터넷 통신망(130)에 접속된 컴퓨터(100)와, 컴퓨터(100)에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다이얼러(190) 또는 영상표시창을 갖는 영상다이얼러(200)와, 컴퓨터(100)에 구비된 USB포트에 접속되어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의 입력으로 음성통화를 하는 유에스비폰(110)과, 컴퓨터(100)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를 촬상하며 그 촬상된 영상을 인터넷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하는 화상카메라(120)와, 인터넷 통신망(130)에 접속된 컴퓨터(100)의 IP주소와 비밀번호의 조회를 통해 회원인지의여부를 체크하는 빌링서버(140)와, 빌링서버(140)로부터의 회원으로 판정된 경우에 클라이언트의 통화요구에 대한 허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서버(160)와, 인터넷 통신망(130)에 접속된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80)을 통해 상대방의 컴퓨터(101)에 전송하는 게이트 키퍼(150)와, 쌍방간의 컴퓨터(100)(10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17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대방의 컴퓨터(101)에도 유에스비폰(102)과 화상카메라(10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만을 위해 사용자가 컴퓨터(100)를 켜고 유에스비폰(110)을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망(130)을 통해 빌링서버(140)에 접속한다.
이후 유에스비폰(110)을 이용하여 비밀번호와 주소 등의 고객정보를 입력하면 빌링서버(140)는 고객정보의 조회를 통해 회원인지를 체크하여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등록을 입력받고 회원인 경우에는 인증서버(160)를 통해 통화요구에 대한 허가여부를 인증하여 준다.
이와 같이 통화요구에 대한 인증이 나면 상기 등록된 회원은 자동으로 인식되는 다이얼러(190)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고 유에스비폰(110)을 통해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130)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150)에 통화요청을 한다.
게이트 키퍼(150)는 인터넷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된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한 후 상대방의 컴퓨터(101)와 통화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승인이 있으면 유에스비폰(110), 컴퓨터(100) 및 인터넷 통신망(130)을 차례로 경유하여 전송되어 오는 음성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180)을 통해 상대방의 컴퓨터(101)에 접속되어 있는 유에스비폰(102)으로 전송하고 그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컴퓨터(100)에 접속된 유에스폰(110)으로 전송하여 쌍방간의 음성통화로를 형성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방과의 음성 및 영상통화를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컴퓨터(100)를 켜고 자동으로 인식되는 영상다이얼러(200)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한다.
이후 다이얼러(200)의 영상창 버튼을 누른 후 도 3과 같이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창을 확인한다. 그리고 유에스비폰(110)을 통해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130)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150)에 통화요청을 한다.
게이트 키퍼(1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터넷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한 후 상대방의 컴퓨터(101)와 통화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승인이 있으면 유에스비폰(110) 및 화상카메라(120)로부터 촬상되어진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100) 및 인터넷 통신망(130)을 통해 제공받고 이를 인터넷 통신망(180)을 통해서 상대방 컴퓨터(101)의 화면 및 유에스비폰(102)으로 전송하고, 그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유에스폰(110)과 컴퓨터(100)의 화면에 전송하여 쌍방간의 음성 및 영상통화로를 형성하여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얼러(190) 또는 영상다이얼러(200)에 메신저 기능을 부가하여, 그 메신저 기능을 클릭하면 컴퓨터(100)의 화면에 도 4와 같은 메신저 창이 뜨게 되고, 이 메신저 창을 통해서 1 : 1 채팅, 대화방, 파일 송수신 등의 기능과 채팅 중 소개하고 싶은 URL 주소를 상대방에게 보내면 바로 해당 홈페이지가 상대방 컴퓨터(101)의 화면에 표시되는 등 다양한 기능이 첨가된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서비스 이용자에게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컨테츠의 서비스 제공이 웹 브라우저의 접속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된 USB 포트에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연결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인식되는 다이얼러를 통해 음성 및 영상통화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문자, 음성, 화상채팅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다이얼러의 메신저 기능을 클릭함으로써,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발명의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에 의하면, 웹브라우저의 접속 없이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된 USB 포트에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연결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인식되는 다이얼러를 통해서 음성 및 영상 통화와 문자, 음성, 화상채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이얼러의 메신저 기능을 클릭함으로써, 컴퓨터 화면에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가 표시되어 서비스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사이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에 구비된 USB포트에 접속되어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의 입력으로 음성통화를 하는 유에스비폰;
    (2) 상기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를 촬상하며 그 촬상된 영상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화상카메라;
    (3) 상기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IP주소와 비밀번호의 조회를 통해 회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빌링서버;
    (4) 상기 빌링서버로부터의 회원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통화요구에 대한 허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서버;
    (5) 상기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게이트 키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및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 키퍼에 통화대기 상태를등록하기 위한 다이얼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러는 영상화면을 갖는 다이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화면에 다이얼러 메신저창을 표시하여 상기 메신저창의 클릭으로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5.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사이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클라이언트의 컴퓨터를 켜고 자동으로 인식되는 다이얼러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
    (2) 상기 통화 대기상태 등록 후 상기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유에스비폰으로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게이트 키퍼가 전송되어 오는 상기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4) 상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6.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사이에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클라이언트의 컴퓨터를 켜고 자동으로 인식되는 영상다이얼러를 통해 통화대기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
    (2) 상기 다이얼러의 영상창을 클릭하여 영상창을 확인하는 단계;
    (3) 상기 영상창 확인 후 상기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유에스비폰으로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된 게이트 키퍼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게이트 키퍼가 전송되어 오는 상기 상대방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5) 상기 상대방의 통화 승인이 있으면 쌍방간에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화면상에 영상다이얼러 메신저창을 표시하여 상기 메신저창의 클릭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KR1020010058088A 2001-09-19 2001-09-19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KR20030025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88A KR20030025134A (ko) 2001-09-19 2001-09-19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88A KR20030025134A (ko) 2001-09-19 2001-09-19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134A true KR20030025134A (ko) 2003-03-28

Family

ID=2772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88A KR20030025134A (ko) 2001-09-19 2001-09-19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51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06B2 (ja) 通話を伴うプッシュ型情報通信システム
US6690407B1 (en) Obtaining on-demand goods and services using video telephony
US6789120B1 (en) Real-time audio/video communication method for use on the internet and device therefor
CN100524280C (zh) 参与通信会话的方法和装置
WO2007074959A1 (en) System for providing share of contents based on packet network in voice comunication based on circuit network
KR101024562B1 (ko) 서비스 관리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300768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net telephone
RU255456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ммерческой связи
JP2002152387A (ja) 情報変換通信方法、情報変換通信システム、変換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842683B2 (en)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100544036B1 (ko) 인터넷 영상전화기의 단문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2002125075A (ja) 無料通話制御システム、無料通話制御方法および無料通話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189734A (ja) VoIP基盤コレクトコールサービス方法
KR20000024101A (ko) 인터넷폰 목록 포탈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폰 서비스 방법
KR20030025134A (ko) 유에스비폰과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넷 통화시스템
TWI404401B (zh) 多工通訊裝置以及多工通訊方法
KR100349933B1 (ko) 웹 제어 폰 투 폰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376228B1 (ko) 인터넷 공중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8021A (ko) 화상통화가 가능한 인터넷 폰
KR20080095046A (ko) 인터넷 전화 겸용 디지털 액자
KR200241115Y1 (ko) 발신자 정보확인 기능을 포함한 복합통신장치
KR100393897B1 (ko) 아이피 네트워크에서의 음성통화방법
KR200199101Y1 (ko) 웹 제어 폰 투 폰 전화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9198A (ko) 인터넷 콜센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