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455A -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455A
KR20030024455A KR1020010057675A KR20010057675A KR20030024455A KR 20030024455 A KR20030024455 A KR 20030024455A KR 1020010057675 A KR1020010057675 A KR 1020010057675A KR 20010057675 A KR20010057675 A KR 20010057675A KR 20030024455 A KR20030024455 A KR 2003002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lotation
sewage
tank
flo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594B1 (ko
Inventor
정인
문정수
황원태
Original Assignee
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 filed Critical 정인
Priority to KR10-2001-005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594B1/ko
Priority to PCT/KR2002/001769 priority patent/WO2003027025A1/en
Publication of KR2003002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47Ten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7Floating sediment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textile indust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발생시킨 미세기포를 다단으로 구성한 부상조에 공급함으로써 하폐수를 정화처리하는 하폐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하폐수처리장치는 처리되지 않은 하폐수가 유입되는 첫 번째 부상조; 상기 첫 번째 부상조로부터 1차 처리된 하폐수를 공급받는 두 번째 부상조와, 계면활성제를 미세기포로 만들어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상조의 하폐수 중으로 공급하는 기포 발생기와, 그리고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들 내부에서 미세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용존성 고형물 및 부유성 고형물을 제거하는 폐기포 포집장치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 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EING DISSOLVED SOLIDS AND SUSPENDED SOLIDS OF WASTEWATER BY MICROBUBBLE}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상조를 2단 이상으로 구성하여, 계면 활성제에 의하여 발생된 미세기포를 하폐수에 유입시킴으로써 하/폐수에 존재하는 용존성 유기물(주로 soluble chemical oxygen demand; sCOD), 암모니아성 질소(NH4 +-N),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 인산염 인(PO4 3--P), 색도 등의 용존성 고형물(dissolved solids; DS)과 부유성 고형물(suspended solids; SS)을 동시에 제거하는 하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 중에는 용존성 유기물을 포함하는 용존성 고형물 (dissolved solids;이하,DS)과 부유성 고형물(suspended solids;이하,SS) 등의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폐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DS 혹은 SS를 수면으로 부상시켜 제거하는 처리방법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미세기포를 이용한 부상법에는 DAF(Dissolved Air Flotation)공법, IAF(Induced Air Flotation)공법, CAF(Cavitation Air Flotation)공법 등이 있으나 상기 공정들은 주로 SS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들이다.
따라서, SS를 포함한 보다 많은 종류의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공정들은 한국특허등록 제 163659호와, 미국특허 제4,203,837호에 각각 개시된다.
한국특허등록 제 163659호에는 기포 발생장치로부터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회전식 기포 공급관을 통하여 반응조의 내부로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하폐수내의 고형물을 부상 분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발명은 표면활성제와 포수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인위적으로 미세한 미세기포를 기포발생기에서 임의로 발생시키고 이 미세기포를 하폐수처리장치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하폐수 속의 불순물과 미세기포가 물리화학적으로 이온결합하게 하여 하폐수 수면으로 강제 부상시키는 기술이다.
이 발명은 표면활성제와 포수제를 혼합하여 미세기포를 발생하게 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고, 단일 부상조에 의하여 하폐수를 처리함으로 SS 및 DS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에는 처리율이 매우 낮다.
또한, 미국특허 제 4,203,837호에는 하폐수중의 부유성 고형물과 용존성 물질(dissolved matter: DS라 사료됨)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DS를 제거하려면 제거하고자하는 DS를 침전 (precipitate)시키는 화공약품을 foaming agent와 미리 섞어 미세기포를 제작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방법은 DS와 SS를 동시에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만으로 미세한 미세기포를 발생하여 하폐수에 공급함으로서 기존의 화학처리법이나 부상법으로는 제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용존성 유기물(sCOD),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 인산염 인, 색도 등의 DS 중에서 1종이상의 DS와 SS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하폐수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상조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하폐수와 미세기포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하폐수중에 함유된 DS와 SS, 그리고 암모니아성 질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하폐수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40㎝ 높이의 부상조를 4단으로 직렬한 경우와, 높이가 각각 80cm 및 160cm인 단일 부상조에 각각 동일한 미세기포 농도를 적용하여 동일한 폐수를 처리했을 때 암모니아성 질소(NH4 +-N)의 제거효율을 비교한 그래프.
도3 은 혐기성 처리된 주정 폐수에 본 발명의 하폐수처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미세기포 주입량에 따른 처리수의 SS와 sCOD의 농도 변화의 경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처리되지 않은 하폐수가 유입되는 첫 번째 부상조; 상기 첫 번째 부상조로부터 1차 처리된 하폐수를 공급받는 두 번째 부상조; 계면활성제를 미세기포로 만들어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상조의 하폐수 중으로 공급하는 기포 발생기와; 그리고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들 내부에서 미세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용존성 고형물 및 부유성 고형물을 제거하는 폐기포 포집장치들을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상조와 기포발생기의 사이에는 하폐수와 미세기포를 혼합하는 라인믹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 부상조는 세 번째의 하폐수 처리를 위하여 또 다른 기포 발생기로부터 미세기포를 공급받는 세 번째 부상조로 처리된 하폐수를 공급하며, 상기 세 번째 부상조는 하폐수의 반복처리를 위하여 네 번째 부상조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부상조는 그 일측에 다수의 기포 유입관을 일정 간격씩 설치하여 미세기포를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된 부상조의 내부로 하수 및 하폐수를 유입하는 단계와;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발생한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조의 내부로 유입시켜 하폐수와 섞는 단계와; 미세기포가 하폐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부상하면서 용존성 유기물(sCOD), 암모니아성 질소(NH4 +-N),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 인산염 인(PO4 3--P), 색도 등의 DS중 하나와, 하폐수중의 부유성 고형물(SS)을 동시에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단계와; 부상조의 수면으로 떠오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처리된 부상여액을 다음 부상조로 유입시켜 상기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정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폐수처리장치는 하폐수와 미세기포를 그 내부에서 혼합시킴으로서 미세기포에 의하여 DS, SS, 및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조(1,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상조(1,2,3,4)는 1단 혹은 다단으로도 형성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4단으로 구성되어 직렬로 연결되며, 각 부상조(1,2,3,4)의 높이는 40㎝ 이상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 높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80㎝, 160㎝ 등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부상조(1,2,3,4)는 동일한 구조를 갖음으로 이하 제1 부상조(1)에 의하여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부상조(1)의 하부에는 라인믹서(Line Mixer;5)가 장착됨으로써 유입되는 하폐수와 미세기포를 서로 섞게 된다.
즉, 처리되지 않은 하폐수는 유입관(7)을 통하여 라인믹서(5)로 유입되며, 미세기포는 별도로 구비되는 기포발생기(6)로부터 발생되어 라인믹서(5)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기포발생기(6)는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며 다른 첨가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킬 베타인(Alkyl Betain)계, 알킬 아미드(Alkyl Amide)계, 알킬 에스테르(Alkyl Ester)계, 알킬 포스페이트(Alkyl Phosphate)계, 알킬 에스테르 설페이트(Alkyl Ester Sulfate)계, 알킬 옥시드(Alkyl Oxide)계, 암모니아(Ammonium)계, 이미다졸리늄 베타닌(Imidazolinium Betain)계, 폴리 에틸렌(Polyethylene)계 중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와 물을 1:2,000 ~ 200: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미세기포 제조를 위한 혼합액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믹서(5)에 있어서 하폐수에 함유된 이물질 중 DS 및 SS가 미세기포와 화학적 친화력이 작은 경우에는 하폐수가 라인믹서(5)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관을 통하여 직접 부상조(1)의 내부로 유입되어 미세기포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인믹서(5)를 통과한 하폐수와 미세기포는 제1 부상조(1)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하폐수는 제1 부상조(1)의 내부에 저장되며, 미세기포는 하폐수를 통하여 상부로 부상하게 되며 부상과정에서 하폐수중에 함유된 DS와, SS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수면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제1 부상조(1) 내부에서의 하폐수와 미세기포는 30~1,000%의 비율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1 부상조(1)의 상부에는 폐기포 포집장치(9)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제1 부상조(1)의 수면에 부상된 각각의 SS 및 DS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폐기포 포집장치(9)는 스크래퍼 혹은 스키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포집된 SS 및 DS는 폐기포 유출관(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상조(1)에서 1차 처리된 하폐수의 부상여액은 제1 유출관(11)을 통하여 제2 부상조(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부상조(2)에서도 제1 부상조(1)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처리되며, 제2 부상조(2)에서 처리된 하폐수는 제3 부상조(3)로 유입되고, 제3 부상조(3)로 유입된 하폐수는 제3 부상조(3)와 직렬로 연결된 제4 부상조(4)로 유입되어 처리된다. 이때, 하폐수가 각 부상조(1,2,3,4)를 이동하는 방법은 자연유하식 혹은 펌프에 의한 강제급송방식중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2,3,4 부상조(1,2,3,4)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상조(1,2,3,4)마다 기포 발생기(6,12,13,14)가 각각 장착됨으로써 새로운 미세기포를 각 부상조(1,2,3,4)의 내부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각 기포발생기(6,12,13,14)에는 한가지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미세기포를 제작한 후 유입시킬 수도 있고, 각 부상조(1,2,3,4) 별로 처리 특성에 맞게 계면활성제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폐수가 각 부상조(1,2,3,4)를 통과하면서 계면활성제에 의한 미세기포와 섞임으로써 하폐수 중에 함유된 용존성 물질, 즉 sCOD, NH4 +-N, NO2 --N, NO3 --N, PO4 3--P, color 등과, 부유성 고형물(SS)과, 암모니아성 질소가 동시에 제거되어 농도가 낮아지며 최종 유출관(15)을 통해서 상당히 맑은 유출수가 유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는 부상조(1,2,3,4)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한 미세기포와 하폐수를 서로 섞어 각 부상조(1,2,3,4)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용존성 물질과 부유성 고형물, 그리고 암모니아성 질소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2 에는 상기한 공정에 의하여 용존성 물질과 부유성 고형물, 그리고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는 실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험은 4가지 경우로 나뉘어 실시하였는 바, 4단의 개별 부상조(높이 40cm)를 직렬로 연결하여 매 단마다 새로운 미세기포를 투입하는 경우(A)와, 높이 80cm인 부상조에 A나 B의 절반의 미세기포를 투입하는 경우 (B)와, 높이 160cm인 부상조에 같은 양의 미세기포를 주입하되 하단으로 모두 투입하는 경우(C), 그리고 도4 에 도시된 부상조에 의한 경우(D)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B나 C의 경우와 같이 단일 부상조에 의하여 하폐수를 처리한 경우보다, A의 경우와 같이 부상조를 다단으로 구성한 경우가 SS와 DS, 그리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효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B나 C의 경우는 제거율이 약 50% 정도인 반면, A의 경우에는 제거율이 약 90% 이상이다. 그리고, D의 경우는 B,C와 A의 중간정도의 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폐수의 DS 및 SS,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공정에 있어서, B나 C의 경우와 같이 부상조의 높이를 길게 함으로써 미세기포의 체류시간이나 양을 증가시키는 것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부상조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각 부상조마다 신선한 미세기포들을 각각 공급하는 것이 SS와 DS, 그리고 암모니아성 질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는 화학적 처리가 어렵다고 알려졌으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하여 본 장치로 실험한 결과 아래의 도표와 같이 암모니아성 질소(NH4 +-N)가 95.4% 제거되었다.
즉, 축산 하폐수의 경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R로 4차례 처리한 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T로 마지막 처리를 하면 표 1과 같이 암모니아성 질소 성분이 95% 까지 제거되었고, 99.8%의 SS, 81.7%의 sCOD제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surfactant R surfactant T 제거율
원수 40cm 80cm 120cm 160cm 200cm
NH4 +-N 4,027 3,210 1,723 946 478 201 95.0%
SS 7,862 4,322 1,216 827 556 12 99.8%
sCOD 18,116 15,421 9,239 8,318 4,932 3,320 81.7%
그리고, 혐기성 처리된 주정폐수의 경우는 계면활성제 K만으로 제작된 미세기포를 사용하여 4단의 부상조를 통과시킨 결과 아래의 표 2와 같은 결과를 내었다.
즉, 총 질소의 제거율은 92.7%였고, SS 제거율은 96.0%, sCOD 제거율은 80.4%였으며 95.0%의 색도가 동시에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 제거는 2단 부상조까지는 제거효율이 미미하였으나 3단 부상조 이후로 색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되어 여러 단을 사용해야 색도 등의 DS를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원수 40cm 80cm 120cm 160cm 제거율[%]
T-N 930 786 471 205 68 92.7
SS 7,524 4,805 3,628 2,030 301 96.0
sCOD 2,437 2,013 986 751 478 80.4
색도 6,700 6,500 6,450 3,810 338 95.0
그리고, 혐기성 처리된 주정폐수를 호기성 처리한 후 침전조를 거친 침전상등액을 본 발명의 하폐수처리 시스템으로 처리한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처리결과 NO2 --N 와 PO4 3--P는 처리수에서 검출되지 않아 NO2 --N 와 PO4 3--P는거의 100%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했고 NO3 --N는 60%가 제거되었다. 하/오폐수로부터 PO4 3--P, NH4 --N, NO2 --N, 그리고 NO3 --N의 경제적인 동시제거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 이 실험들은 앞으로의 하폐수 처리에 큰 변화를 줄 것이라 예측된다.
침전조유출수 40cm 80cm 120cm 160cm
NO2 --N 0.9 0.6 0.2 0.1 N.D.
NO3 --N 151.6 127.8 93.8 74.5 60.6
PO4 3--P 31.0 22.4 10.0 3.1 N.D.
한편, 도3 은 혐기성 처리된 주정 하폐수에 본 발명의 하폐수처리 장치를 적용하여 미세기포 주입량에 따른 처리수의 SS와 sCOD의 농도 변화의 경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미세기포를 너무 많이/여러 번 주입하면 SS는 계속 감소하지만 sCOD가 상승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즉, 너무 많은 미세기포를 주입하는 것은 sCOD의 증가 현상 때문에 처리효율 및 경제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최적화가 꼭 필요한 공법이다.
한편, 도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 장치가 도시된다. 즉,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부상조(20)를 한 단으로 구성하고, 높이를 높게 형성하며 부상조(20)의 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기포 유입관(21,22,23)을 유입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부상조(20)는 도2 에 "D"로 도시된 바와같이 제거효율이 상당히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은 침전을 위한 별도의 약품을 추가하지 않고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미세기포만을 사용하여 용존성 유기물(sCOD), 암모니아성 질소(NH4 +-N),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 인산염 인(PO4 3--P), 색도 등 용존성 고형물(DS)및 하폐수중의 부유성 고형물(SS)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0)

  1. 처리되지 않은 하폐수가 유입되는 첫 번째 부상조;
    상기 첫 번째 부상조로부터 1차 처리된 하폐수를 공급받는 두 번째 부상조;
    계면활성제를 미세기포로 만들어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상조의 하폐수 중으로 공급하는 기포 발생기와; 그리고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들 내부에서 미세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용존성 고형물 및 부유성 고형물을 제거하는 폐기포 포집장치들을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조와 기포발생기의 사이에는 하폐수와 미세기포를 혼합하는 라인믹서가 설치되는 하폐수 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부상조는 세 번째의 하폐수 처리를 위하여 또 다른 기포 발생기로부터 미세기포를 공급받는 세 번째 부상조로 처리된 하폐수를 공급하며, 상기 세 번째 부상조는 하폐수의 반복처리를 위하여 네 번째 부상조와 직렬로 연결되는 하폐수 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조는 그 일측에 다수의 기포 유입관을 일정 간격씩 설치하여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5.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된 부상조의 내부로 하수 및 하폐수를 유입하는 단계와;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발생한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조의 내부로 유입시켜 하폐수와 섞는 단계와;
    미세기포가 하폐수를 통과하여 상부로 부상하면서 용존성 유기물(sCOD), 암모니아성 질소(NH4 +-N),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 인산염 인(PO4 3--P), 색도 등의 DS중 하나와, 하폐수중의 부유성 고형물(SS)을 동시에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부상조의 수면으로 떠오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처리된 부상여액을 다음 부상조로 유입시켜 상기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정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와 하폐수를 섞는 단계에서 상기 계면활성제와 물을 1:2,000 ~ 200: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하폐수처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Alkyl Betain)계, 알킬 아미드(Alkyl Amide)계, 알킬 에스테르(Alkyl Ester)계, 알킬 포스페이트(AlkylPhosphate)계, 알킬 에스테르 설페이트(Alkyl Ester Sulfate)계, 알킬 옥시드(Alkyl Oxide)계, 암모니아(Ammonium)계, 이미다졸리늄 베타닌 (Imidazolinium Betain)계, 폴리 에틸렌(Polyethylene)계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하폐수처리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각각의 부상조에 미세기포 제조용으로 단일 종류 혹은 다른 종류가 선택가능한 하폐수처리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상조 내부에서 하폐수와 미세기포의 부피를 30~1,000%의 비율로 적용하는 하폐수처리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SS 및 1종 이상의 DS와 미세기포와의 친화력이 약한 경우 하폐수는 부상조 내부로 직접 유입하고(라인믹서 불필요함) 그 하단에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부상조 내부에서 고형물과 미세기포가 접촉하도록 하는 하폐수처리방법.
KR10-2001-0057675A 2001-09-18 2001-09-18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2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675A KR100427594B1 (ko) 2001-09-18 2001-09-18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PCT/KR2002/001769 WO2003027025A1 (en) 2001-09-18 2002-09-18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dissolved solids and suspended solides of wastewater by micro 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675A KR100427594B1 (ko) 2001-09-18 2001-09-18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455A true KR20030024455A (ko) 2003-03-26
KR100427594B1 KR100427594B1 (ko) 2004-04-30

Family

ID=1971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675A KR100427594B1 (ko) 2001-09-18 2001-09-18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7594B1 (ko)
WO (1) WO200302702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09B1 (ko) * 2006-09-28 2007-05-25 덕암산업 주식회사 오수 개질 장치용 라인 믹서 및 상기 라인 믹서를 채용하는오수 개질 장치
KR100791778B1 (ko) * 2006-08-27 2008-01-03 손영호 육상 어류 양식장치 및 방법
US8136800B2 (en) 2007-02-28 2012-03-20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blood flow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KR101150740B1 (ko) * 2008-10-10 2012-06-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나노버블 함유 액체 제조 장치 및 나노버블 함유 액체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13B1 (ko) 2009-11-09 2010-02-25 유현상 나노기포 및 응집제를 함유한 미세기포를 이용한 정체성 수역의 오염물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13428927B (zh) * 2021-07-22 2022-08-30 燕山大学 一种去除制药废水中对乙酰氨基酚的方法
CN115477408B (zh) * 2022-09-29 2023-10-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净水机及该净水机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837A (en) * 1976-01-16 1980-05-20 Hoge John H Process for removal of discrete particulates and solutes from liquids by foam flotation
JPS5927636B2 (ja) * 1980-05-03 1984-07-06 一豊 杉原 浮上分離装置
US4564457A (en) * 1983-11-03 1986-01-14 L'eau Claire Systems, Inc. Upflow gas eductor induced air floatation separator
JPH0226689A (ja) * 1988-07-15 1990-01-29 Mk Seiko Co Ltd 汚水処理装置
US5158678A (en) * 1990-09-28 1992-10-27 Broussard Paul C Sr Water cla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84792B2 (ja) * 1993-09-29 1996-01-24 関東くみあい化成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システム
GB9623337D0 (en) * 1996-11-08 1997-01-08 Markessinis Andreas Water treatment process
JP2000042560A (ja) * 1998-08-03 2000-02-15 Haruo Kojima 淨水方法及び装置
US6491826B1 (en) * 1999-10-12 2002-12-10 Marine Biotech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on of organics from fluids
KR20000037345A (ko) * 2000-04-19 2000-07-05 정효현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 부상·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97425A (ko) * 2000-04-22 2001-11-08 이동헌 폐수처리장치용 미세기포 발생 및 혼합장치
KR200199585Y1 (ko) * 2000-05-09 2000-10-02 정해영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78B1 (ko) * 2006-08-27 2008-01-03 손영호 육상 어류 양식장치 및 방법
KR100721709B1 (ko) * 2006-09-28 2007-05-25 덕암산업 주식회사 오수 개질 장치용 라인 믹서 및 상기 라인 믹서를 채용하는오수 개질 장치
US8136800B2 (en) 2007-02-28 2012-03-20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blood flow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KR101150740B1 (ko) * 2008-10-10 2012-06-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나노버블 함유 액체 제조 장치 및 나노버블 함유 액체 제조 방법
US8317165B2 (en) 2008-10-10 2012-11-27 Sharp Kabushiki Kaisha Nano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ing apparatus and nano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594B1 (ko) 2004-04-30
WO2003027025A1 (en)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890B1 (ko) 혐기 및 호기성소화에 의한 고농도 오폐수 처리장치 및방법
EP3406569B1 (en) Injection-type flo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into which dissolved air is injected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EP3201137B1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KR100273913B1 (ko) 생물학적반응에의한하폐수처리장치및방법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100989213B1 (ko) 반응/응집/중화조가 필요없는 미세 기포에 의한 고도처리 부상분리장치 및 방법
KR20120005857A (ko)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2759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하폐수에서 용존성 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0056230A (ko) 일체식 타워형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530772B1 (ko) 2차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554224B1 (ko)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671047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RU2136610C1 (ru) Способ дегазации активного и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979767B1 (ko) 침전과 부상분리공정 일체형 고효율 침전부상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390937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246493B1 (ko) 하.폐수 처리장치
KR101370513B1 (ko) 생물화학적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03944B1 (ko) 미세기포부상장치를 이용한 질소제거시스템
KR102299760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시스템
CN105461163A (zh) 湿纺腈纶生产聚合废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852359B1 (ko) 폐수 처리장치
JPH0487699A (ja) 汚濁水域の浄化方法
KR20000037345A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 부상·분리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