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7Y1 - 수납식 쌀통 - Google Patents

수납식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7Y1
KR200300227Y1 KR20-2002-0031175U KR20020031175U KR200300227Y1 KR 200300227 Y1 KR200300227 Y1 KR 200300227Y1 KR 20020031175 U KR20020031175 U KR 20020031175U KR 200300227 Y1 KR200300227 Y1 KR 200300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ain body
container
sides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3294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22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31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식쌀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씽크대의 내부 또는 사이에 설치되며 그 전면에 장식패널이 착탈가능하게 되어 주방의 인테리어에 부합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쌀이 한 곳을 모아지도록 하며 그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호퍼와; 호퍼의 배출구에 쌀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단속부와; 상기 단속부를 제어하며, 그 조작에 의하여 쌀이 일정량 배출되어 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살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을 받아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양측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된 쌀받이통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그 전·후면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하부이송가이드수단을 구비한 수납식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출 성형된 것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는 쌀을 투입하는 쌀투입구가 마련되되 상기 쌀투입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딩홈에 그 내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기가 끼워져 이동됨에 따라 상기 쌀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는 그 양측면에 쌀받이통이 끼워지는 쌀받이통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쌀받이통개구에 연장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쌀받이통이 위치하는 쌀받이통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립되게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그 상단에 삽입홈이 각각 마련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식 쌀통{DRAWER TYPE RICE BOX}
본 고안은 수납식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전면에 장식패널을 탈·부착시켜 씽크대의 내부 또는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여 서랍상태로 인출·입 될 수 있도록 한 수납식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통은 씽크대의 내부에 수납되어지거나,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씽크대의 사이 또는 그 측면에 위치하여 놓여져서 사용되는 것으로 구분되며, 쌀통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한 수납식쌀통에 관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222495호, 등록일자 2001년 2월 21일)에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주방의 씽크대의 내부 또는 사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쌀이 한 곳으로 모아지도록 하며 그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호퍼와,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쌀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는 단속부와, 상기 단속부를 제어하며 그 조작에 의하여 쌀이 일정량 배출되도록 하는 조작레버와, 그 조작레버의 그 조작에 의하여 쌀이 배출구에서 배출될 때 이를 저장할 수 있는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어 양측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쌀받이통과, 상기 본체의 양측하부에는 본체가 싱크대 내부가 씽크대의 사이에 수납될 때 상기 본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주방의 실내장식에 부합되도록 교체가 가능한 전면판넬이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전면판넬의 착탈조건에 따라 그 조작위치를 본체의 상부 또는 전면하부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납식쌀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다소 포함하고 있다.
①본체가 철재로 제작되어 그 제작비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②상기 본체가 하나의 몸체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단속부, 그 단속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등의 부품을 내설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③상기 조작레버를 본체의 전면측과 본체의 상측에 마련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장식패널을 설치할 경우 그 조작을 본체의 상측에서 하도록 하고, 상기 장식패널을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서 조작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구성이 복잡하고, 그 전면측 디자인이 복잡해짐가 아울러 조작 동선거리가 멀어지는 불편함이 있다.
④본체의 상측에 마련된 쌀투입구를 커버하는 뚜껑부재가 그 상·하측으로 열고 닫는 형태로 제작되어 개폐동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⑤본체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설치할 경우 본체의 내부에서 체결나사를 관통시켜 체결함에 따라 작업성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⑥쌀을 소정량 받아서 인출시키는 쌀받이통 수용공간을 별도의 부품을 제작하여 구성함에 따라 그 구성부품이 복잡하고, 제작비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⑦본체를 씽크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본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시공대 및 측면가이드레일이 필요하게 되는 데,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무척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⑧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시공대를 사용함에 따라 본체의 후방측에 불필요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쌀통 본체의 재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각부의 구성을 개선하여 제작비를 줄임과 아울러 동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납식 쌀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씽크대의 내부 또는 사이에 설치되며 그 전면에 장식패널이 착탈가능하게 되어 주방의 인테리어에 부합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쌀이 한 곳을 모아지도록 하며 그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호퍼와; 호퍼의 배출구에 쌀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단속부와; 상기 단속부를 제어하며, 그 조작에 의하여 쌀이 일정량 배출되게 하는 조작레버과;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쌀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을 받아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양측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된 쌀받이통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그 전·후면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이송가이드수단을 구비한 수납식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출 성형된 것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는 쌀을 투입하는 쌀투입구가 마련되되 상기 쌀투입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딩홈에 그 내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기가 끼워져 이동됨에 따라 상기 쌀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는 그 양측면에 쌀받이통이 끼워지는 쌀받이통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쌀받이통개구에 연장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쌀받이통이 위치하는 쌀받이통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립되게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그 상단에 삽입홈이 각각 마련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개폐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뚜껑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마련된다.
상기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몸체의 사방 모서리부는 라운딩 처리된 다.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본체가 싱크대의 사이에 설치될 때 상기 본체의 상측을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가이드수단이 삽입되도록 측면가이드홈이 가로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장식패널을 부착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전면 상단에는 손잡이부재가 추가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재는 그 후측 및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그 전면에 외부로 만곡지게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상부몸체의 전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의 쌀받이통수납공간의 바닥면에는 쌀받이통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쌀받이통의 저면에는 상기 쌀받이통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쌀받이통수납공간을 이루는 구획벽에는 소정의 높이로 하여 상기 쌀받이통의 상단과 접하는 안내돌기가 그 구획벽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가로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상부몸체의 내부에는 그 폭 방향으로 보강축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그 하단이 상기 보강축에 걸쳐짐과 아울러 그 양단이 상기 요철부와 대응된 형상을 갖도록 되어 상기 상부몸체 내부 양면에 접촉되어 끼워지며, 그 내부에는 방충재가 수용되는 방충용케이스가 마련된다.
상기 방충용케이스는 다수의 통공이 마련됨과 아울러 그 속이 빈 반원통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형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요철부와 대응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축에 끼워지는 보강축삽입홈이 마련된 지지편을 갖는 케이스가 서로 대칭된 형태로 구성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된다.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보강축의 양단이 삽입되어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로 드러나는 보스부의 내부에는 캡부재가 삽입되어 그 체결나사가 고정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된다.
상기 상부몸체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쌀의 양을 확인하도록 하는 잔량확인창이 압입 설치된다.
상기 잔량확인창은 투명재질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압입되어 걸리도록 그 둘레부에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잔량확인창이 상부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용시키는 잔량확인창수용홈이 마련된다.
상기 잔량확인창은 투명재질의 얇은 막의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장식패널의 내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브라켓의 하단에 마련된 돌기부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갖는 고정판이 설치되며; 상기 그 전면은 상기 하부고정브라켓이 삽입되는 하부고정브라켓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장식패널의 상부를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그 체결홀이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됨과 아울러 그 측면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브라켓이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를 씽크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가이드블럭삽입홈을 마련하고; 상기 본체를 향하는 상기 씽크대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블럭삽입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블럭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블럭삽입홈은 호퍼가 설치된 하부측에 마련된다.
상기 본체는 쌀 수용량을 증대시키도록 그 후면측 상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수납식 쌀통이 씽크대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수납식 쌀통의 구성을 일부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2의 수납식 쌀통 본체(110)의 구성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A-A′를 따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2의 B-B′를 따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방충용케이스(2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호퍼(12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호퍼(120)의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쌀통이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구성을 일부 분리해서 도시한 일부 분리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의 C-C′를 따른 단면도,
도 12는 수납식 쌀통이 씽크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 그 측면이송가이드수단을 다르게 구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납식쌀통 110 : 본체
111 : 상부몸체 115 : 하부몸체
120 : 호퍼 130 : 단속부
140 : 조작레버 150 : 쌀받이통
160 : 하부이송가이드수단 170 : 뚜껑부재
180 : 손잡이부재 190 : 보강축
210 :방충용케이스 220 : 잔량확인창
230 : 측면가이드수단 250 : 장식패널
260 : 하부고정브라켓 270 : 상부고정브라켓
280 : 고정판 290 : 다리부재
300 : 시공대 310 : 가이드블럭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쌀통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쌀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쌀을 수용하도록 박스형태를 이루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쌀이한곳으로 모아지도록 하여 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시키는 호퍼(120)와, 상기 호퍼(120)의 배출구(121)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21)를 통해 쌀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부(130)와, 상기 단속부(130)를 조작하며, 그 조작에 의하여 쌀이 일정량 배출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140)과, 상기 조작레버(140)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21)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을 받아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양측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된 쌀받이통(150)과,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를 그 전·후면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하부이송가이드수단(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사출 성형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111)는 그 상단에 쌀을 집어넣을 수 있는 쌀투입구(111a)가 마련되고, 상기 쌀투입구(111a)는 뚜껑부재(170)에 의해 개폐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뚜껑부재(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쌀투입구(111a)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되 상부몸체(111)의 상부와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진 것으로 그 내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1b)에 삽입되어 이송 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딩돌기(17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부재(170)의 상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폐동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개폐용돌기(17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재(170)의 내면에는 이탈방지턱(175)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111)의 쌀투입구(111a)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턱(175)이 걸려서 뚜껑부재(1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걸림턱(111d)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175)은 쌀투입구(111a)를 폐쇄하는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반하여 걸림턱(111d)은 상기 쌀투입구(111a)를 개방시키는 방향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그 개폐동작에 있어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하부몸체(1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면에 상기 쌀받이통(150)을 양방향으로 인출·입시키는 개구(115a)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115a)가 형성된 부근으로 하여 상기 하부몸체(115)의 내부에는 구획벽(115c)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쌀받이통(150)을 수용하는 쌀받이통수용공간(C)이 마련된다.
상기 쌀받이통수용공간(C)의 바닥면에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115a)를 향하여 복수의 쌀받이통가이드홈(115d)이 형성되고, 상기 쌀받이통(150)의 외부 바닥면에는 상기 쌀받이통가이드홈(115d)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고정되는 쌀받이통가이드턱(151)이 돌출 형성되며, 구획벽(115c)의 소정높이에는 상기 쌀받이통(150)의 상단과 접촉되어 쌀받이통(150)의 인출·입동작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115e)가 상기 구획벽(115c)의 측면에 직립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15)의 내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115f)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브(115f)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홈(115g)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부는 상기 삽입홈(115g)에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단 턱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뚜껑부재(170)를 포함하는 상부몸체(111)의 상단 사방 모서리부는 라운딩처리되어 외관 형상을 좋게 한다.
다음, 상기 상부몸체(111)의 전면측 상부에는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씽크대(S)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손잡이부재(180)가 추가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180)는 그 후방측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그 전면에는 손을 집어넣어서 잡을 수 있도록 구형상의 일부를 잘라놓은 듯한 돌기부(181)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기부(181)와 마주하는 상부몸체(111)의 전면에는 오목홈(111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양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복수의 요철부(111d)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보강축(190)이 추가로 설치되어 본체(110)가 사출물로 제작됨에 따라 그 내부에 쌀이 수용될 경우 휘어지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축(190)의 일단은 상기 상부몸체(111)에 마련된 보스부(111e)에 끼워져 체결나사(19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체결나사(193)로 체결된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부몸체(111)의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에는 캡부재(201)가 끼워져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축(190)의 타단은 상기 캡부재(201)와 동일한 형태의 캡부(191)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강축(190)에는 그 내부에 방충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방충용케이스(210)가 설치된다.
상기 방충용케이스(2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은 상기보강축(190)에 걸쳐지며 그 양단이 상기 상부몸체(111)의 요철부(111d)에 접촉 지지되어 방충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보강기능도 동시 수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통공(211a)이 마련됨과 아울러 그 속이 빈 반원통형상을 갖는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상·하단에 형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111)의 요철부(111d)와 대응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날개부(213)와, 상기 몸체(211)의 어느 한 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축(190)에 끼워지는 보강축삽입홈(215a)이 마련된 지지편(215)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대칭된 형태로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쌍을 이루는 각 몸체(211)에는 그 고정을 위하여 고정돌기(217a) 및 고정홀(217b)이 형성된 고정편(217)이 마련된다.
다음, 상기 상부몸체(111)의 양측에는 도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용된 쌀의 양을 확인하도록 잔량확인창(220)이 설치되며, 상기 잔량확인창(220)은 아크릴과 같은 투명재질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상부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1f)을 통해 압입되어 걸리도록 그 둘레부에 걸림턱(211)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1)에는 상기 잔량확인창(220)이 압입되어 설치될 경우 상부몸체(1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잔량확인창(220)이 설치된 주변부분을 오목하게 하여 잔량확인창수용홈(111h)을 마련한다.
한편, 상기 잔량확인창(220)을 상기와 같이 사출 성형하지 않고 얇은 투명재질로 된 막의 형태를 갖는 스티커로 제작하여 부착시키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다음, 도 4,5,7,8을 참조로 하여 상기 호퍼(120)의 배출구(121)측에 설치된 단속부(130)와 상기 단속부(130)를 제어하는 조작레버(140)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단속부(130)는 제1회전축(131)을 매개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호퍼(120)의 배출구(121)를 개폐시키도록 일측이 트여지게 형성된 개폐관(132)과 상기 개폐관(132)과 연결된 상기 제1회전축(131)의 타단에 연결된 제1기어(133)와, 상기 제1기어(133)와 기어 물림된 제2기어(134)로 구성된다.
상기 제2기어(134)는 제2회전축(135)에 의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레버(14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축(135)에는 상기 조작레버(140)를 누르게 되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었다가 손을 놓은 상태에서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6)이 외감 되어있다.
상기 조작레버(140)에는 레버축(141)이 상기 상부몸체(1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축(141)의 양단에는 조작노브(143)가 삽입되어 그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140)의 양측에는 상기 레버축(141)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보스부(140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축(141)의 외면 및 상기 조작노브(143)의 결합부에는 세레이숀(serration)부(140b, 141b,143b)가 각각 마련되어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11)에는 상기 레버축(141)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대략 원호형상을 한 가이딩홈(111i)이 형성되고, 그 가이딩홈(111i)이 마련된 주위는 오목하게 단차를 두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노브(143)가 상기 상부몸체(1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이송가이드수단(160)은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레일(161)과, 상기 슬라이드레일(16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텀레일(163)로 구성된다.
상기 바텀레일(163)은 본체(110)가 씽크대(S)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씽크대(S)의 내부 바닥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165)를 매개로 부착되게 된다.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다음, 상기 본체(110)의 양측면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 상기 본체(110)의 슬라이딩됨을 그 측면에서 가이드하는 측면가이드수단(230)이 삽입되게 설치되어 제품을 슬림화시키도록 측면가이드홈(111k)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수단(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가이드홈(111k)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는 슬라이더(231)와, 상기 슬라이더(231)를 내삽시켜 상기 슬라이더(231)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측면가이드레일(233)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레일(233)은 브라켓부재(235)를 매개로 시공목(237)과 연결되어 상기 시공목(237)을 씽크대(S)의 양측면에 체결나사(238)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본체(110)를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 그 전면에는 실내장식에 부합되도록 예컨대, 싱크대(S)와 조화를 이루는 장식패널(25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장식패널(250)은 도 10,1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고정브라켓(260) 및 상부고정브라켓(270)을 매개로 상기 본체(110)의 전면측에 설치된다.
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고정브라켓(260)은 그 전면측에 접착테이프(261)가 마련되어 장식패널(250)의 내면에 예비 결합되도록 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본체(110)를 이루는 하부몸체(115)의 하단에 고정된 고정판(280)의 고정홈(281)에 삽입되는 걸림턱(263)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브라켓(260)이 삽입되는 하부몸체(115)의 전면에는 상기 하부고정브라켓(260)의 두께를 고려하여 하부고정브라켓안착홈(115j)을 마련하여 상기 하부고정브라켓(260)의 걸림턱(263)이 상기 고정판(280)의 고정홈(281)에 삽입된 후 그 상단측이 본체(110)의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소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하부고정브라켓(260)은 먼저, 그 전면측 접착테이프(261) 표지를 떼어낸 후 걸림턱(263)을 상기 고정판(280)의 고정홈(281)에 삽입하여 하부몸체(115)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장식패널(250)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상기 접착테이프(261)의 접착면이 상기 장식패널(250)의 내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63)을 고정홈(281)으로부터 빼낸 후 체결나사(267)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고정브라켓(260)을 장식패널(250)에 고정시킨후 다시 상기 하부고정브라켓(260)의 걸림턱(263)을 고정판(280)의 고정홈(281)에 삽입시켜 장식패널(250)의 하부가 고정되게 된다.
다음 상기 상부브라켓(2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 양측부에 상기 측면가이드홈(111k)에 삽입되어 체결나사(27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273a)이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부측에 상기 장식패널(250)의 상부측 체결나사(274)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복수의 체결공(273b)이 마련된 판(27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체결공(273b)의 위치가 상기 본체(상부몸체110 : 111)의 상단측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높이를 갖도록 하여 상기 체결나사(274)를 본체(110)의 상부측에서 바로 장식패널(25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와 같은 경우 본체(110)의 내부에서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장식패널과 고정시키는 종래에 비하여 상기 장식패널(250)을 보다 쉽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식패널(250)을 고정하는 경우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부재(180)는 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해낸 상태를 이룬다.
다음, 상기와 같이 본체(110)를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 바텀레일(16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90)가 그 하부에 결합되어 실내 내부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를 인·출입시키는 경우 상기 바텀레일(163)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텀레일(163)의 후측에 시공대(300)가 부착된다.
상기 시공대(300)는 상기 바텀레일(163)의 후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씽크대(S)의 양측벽에 체결나사(301)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대(300)를 채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 본체(110)의 후측 상부는 상기 시공대(300)가 고정되는 폭만큼 여유공간(dead space)이 생기게 된다.
이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본체(110)의 상부 후측에 돌출부(111n)를 돌출시켜 형성시킴에 따라 쌀수용공간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그와 같은 경우 본체(110)의 전체 높이를 축소시켜야 할 경우 쌀 수용공간이 줄어듦 없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게 된다.
다음, 도 12는 상기와 같이 본체(110)를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9및 도 10에 도시된 측면가이드수단(230) 및 시공대(30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 (상부몸체110(111))의 양측면에 가이드블럭삽입홈(111m)을 마련하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이송가이드수단(160)의 바텀레일(163)의 후부 양측에 브라켓(320)을 매개로 한 쌍의 가이드블럭(3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럭삽입홈(111m)은 호퍼(120)가 설치된 하방측에 형성됨에 따라 실제 쌀이 수용되는 내부 체적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측면가이드수단(230) 및 시공대(300)의 구성을 대신하여 그 구성을 간략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함과 아울러 시공대(300)를 씽크대(S)의 양측면에서 고정시키도록 함에 따라 씽크대(S)의 벽면에 의해 시공대(3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가늠하기 힘들어 상기 체결나사(301)가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지 못하고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 장식패널(250)을 부착시키는 것을 씽크대(S)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씽크대(S)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에도 씽크대와 조화를 이루는 장식패널(25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받게 된다.
1.본체를 사출 성형함에 따라 재료비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2.본체를 상·하부몸체로 분리 구성함에 따라 상기 단속부 및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호퍼)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3.뚜껑부재를 본체의 상측에 슬라이딩되는 타입으로 구성함에 따라 그 개폐 동작성을 좋게 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부재의 내부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고, 본체의 상단에 상기 이탈방지턱이 걸리는 걸림턱을 마련하여 상기 뚜껑부재가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본체의 상측 모서리부를 라운딩처리함에 따라 외관을 좋게 하는 이점이 있다.
5.본체의 상부 양측면에 측면가이드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측면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제품을 슬림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6.본체(상부몸체)의 양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내부에 보강축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보강축을 설치하여 본체가 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7.상기 요철부 및 보강축에 접촉되도록 하여 방충용케이스를 설치하여 방충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보강기능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8.조작레버를 본체의 측면에서 조작하도록 하여 본체의 전면측 디자인을 좋게 함과 아울러 종래에 본체의 상부 및 전면부에서 조작했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조작 동선거리를 짧게 하는 이점이 있고,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부품수를 절감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9.장식패널을 부착시키는 경우에 있어, 상부고정브라켓을 채용하여 장식패널을 본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체결나사를 이용해 결합이 가능토록 하여 장식패널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내부에서 체결나사를 관통시켜 결합해야만 하는 작업상의 문제점을 해소시킨다.
10.장식패널을 부착시키는 경우에 있어, 본체의 하부 전면에 장식패널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는 하부고정브라켓안착홈을 마련하여 상기 하부고정브라켓이 상기 본체의 전면 앞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식패널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하부몸체의 내부에 쌀받이통을 수용할 수 있는 쌀받이통수용공간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쌀받이통수용공간 형성을 위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그 쌀받이통수용공간 바닥면에 쌀받이통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쌀받이통저면에 쌀받이통가이드턱을 형성하여 그 쌀받이통의 인·출입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행하게 한다.
12.본체의 양측면에 가이드블럭삽입홈을 마련함과 아울러 씽크대의 양측에 가이드블럭을 설치하여 본체를 씽크대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 측면가이드수단 및 시공대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그 가이드를 위한 부품수를 줄임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13.본체의 후측 상부측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데드스페이스를 활용한 쌀수용공간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14.잔량확인창을 본체의 관통공을 통해 압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고정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씽크대의 내부 또는 사이에 설치되며 그 전면에 장식패널이 착탈가능하게 되어 주방의 인테리어에 부합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쌀이 한 곳을 모아지도록 하며 그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호퍼와; 호퍼의 배출구에 쌀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단속부와; 상기 단속부를 제어하며, 그 조작에 의하여 쌀이 일정량 배출되게 하는 조작레버과;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쌀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을 받아서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양측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된 쌀받이통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그 전·후면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하부이송가이드수단을 구비한 수납식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출 성형된 것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는 쌀을 투입하는 쌀투입구가 마련되되 상기 쌀투입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딩홈에 그 내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기가 끼워져 이동됨에 따라 상기 쌀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는 그 양측면에 쌀받이통이 끼워지는 쌀받이통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쌀받이통개구에 연장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쌀받이통이 위치하는 쌀받이통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립되게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그 상단에 삽입홈이 각각 마련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개폐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뚜껑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몸체의 사방 모서리부는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본체가 싱크대의 사이에 설치될 때 상기 본체의 상측을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가이드수단이 삽입되도록 측면가이드홈이 가로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을 부착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전면 상단에는 손잡이부재가 추가로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그 후측 및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그 전면에 외부로 만곡지게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상부몸체의 전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쌀받이통수납공간의 바닥면에는 쌀받이통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쌀받이통의 저면에는 상기 쌀받이통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쌀받이통수납공간을 이루는 구획벽에는 소정의 높이로 하여 상기 쌀받이통의 상단과 접하는 안내돌기가 그 구획벽에 직립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가로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그 폭 방향으로 보강축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그 하단이 상기 보강축에 걸쳐짐과 아울러 그 양단이 상기 요철부와 대응된 형상을 갖도록 되어 상기 상부몸체 내부 양면에 접촉되어 끼워지며, 그 내부에는 방충재가 수용되는 방충용케이스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용케이스는 다수의 통공이 마련됨과 아울러 그 속이 빈 반원통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형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요철부와 대응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축에 끼워지는 보강축삽입홈이 마련된 지지편을 갖는 케이스가 서로 대칭된 형태로 구성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보강축의 양단이 삽입되어 체결나사에의해 고정되도록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축의 일단에는 상기 보스부에 삽입되는 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부가 형성된 보강축의 타단은 타측면 보스부를 통해 체결나사를 통해 고정되며;
    그 체결나사가 고정된 부분에는 캡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쌀의 양을 확인하도록 하는 잔량확인창이 압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확인창은 투명재질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압입되어 걸리도록 그 둘레부에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잔량확인창이 상부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용시키는 잔량확인창수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확인창은 투명재질의 얇은 막의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커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조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장식패널의 내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브라켓의 하단에 마련된 돌기부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갖는 고정판이 설치되며;
    상기 그 전면은 상기 하부고정브라켓이 삽입되는 하부고정브라켓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장식패널의 상부를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그 체결홀이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됨과 아울러 그 측면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브라켓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씽크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가이드블럭삽입홈을 마련하고;
    상기 하부이송가이드수단의 양측에는 브라켓을 매개로 가이드블럭삽입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삽입홈은 호퍼가 설치된 하부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쌀 수용량을 증대시키도록 그 후면측 상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쌀통.
KR20-2002-0031175U 2002-10-18 2002-10-18 수납식 쌀통 KR200300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175U KR200300227Y1 (ko) 2002-10-18 2002-10-18 수납식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175U KR200300227Y1 (ko) 2002-10-18 2002-10-18 수납식 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7Y1 true KR200300227Y1 (ko) 2003-01-10

Family

ID=4932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175U KR200300227Y1 (ko) 2002-10-18 2002-10-18 수납식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2185A (zh) * 2022-04-12 2022-06-24 郑州沐客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防潮防虫的计量米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2185A (zh) * 2022-04-12 2022-06-24 郑州沐客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防潮防虫的计量米桶
CN114652185B (zh) * 2022-04-12 2024-05-17 郑州沐客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防潮防虫的计量米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27Y1 (ko) 수납식 쌀통
RU2005138522A (ru) Водяной бачок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WO2023273801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盘座结构
KR200390589Y1 (ko) 정량배출쌀통
CN215887619U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盘座结构
JP2002018190A (ja) 洗濯機
KR200371083Y1 (ko) 자동 배출 방식 수납 용기
JPH0540364U (ja) 水 栓
CN211632829U (zh) 商务直饮水机
JP3582767B2 (ja) 手洗装置
JP2003103002A (ja) パチンコ遊技機
CN218186536U (zh) 一种通过称量反馈精准取米的智能米桶
KR200312022Y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JPH11309031A (ja) 引き出しガイド構造
CN219594454U (zh) 一种自动更换薄膜的马桶盖和智能马桶
KR200294086Y1 (ko) 공구상자
KR200155868Y1 (ko) 씽크대의 세척통 개폐장치
JPS63214296A (ja) 洗濯機
JPH0539388U (ja) 水石けん吐出装置の水石けん補給口
JP2808084B2 (ja) 計量米びつ
KR20040072907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0123884Y1 (ko) 화장지 보관 용기
JPH063658Y2 (ja) パチンコ機用機構板
JP3006049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ディスペンサー
JPH11197084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121

Effective date: 2012072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