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411A -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411A
KR20030021411A KR1020010054673A KR20010054673A KR20030021411A KR 20030021411 A KR20030021411 A KR 20030021411A KR 1020010054673 A KR1020010054673 A KR 1020010054673A KR 20010054673 A KR20010054673 A KR 20010054673A KR 20030021411 A KR20030021411 A KR 2003002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terminal
signal
func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136B1 (ko
Inventor
남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1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 제1 비상콜인 수신자 강제호출기능을 설정하고 제1 비상콜을 전송할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수신단말기에 설정하는 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와, 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후에 특정단말기로부터 제1 비상콜을 요구하는 신호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1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와, 상기 제1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에 의해 특정단말기로부터 제1 비상콜을 요구하는 신호가 설정되는 것을 확인될 경우 수신단말기가 제1 비상콜을 요구한 해당 단말기와 강제로 호를 형성하여 수신단말기 주변의 환경신호를 송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비상콜 실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전화기의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소리를 인식하여 기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비상콜을 해주므로써, 특정전화기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상황을 상대편 수신자가 적절히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urgent cal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전화기의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소리를 인식하여 기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비상콜을 해주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산업사회가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함께 급속히 발전되어 왔는데, 특히 1980년대 초에 북미지역에서 서비스 대상지역을 수 km ~ 수 10 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서 무선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하므로써 이동 통신 시스템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일반전화기에 무선송수신기능을 내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와 링크하여 사용하는 유무선전화기도 급속히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단말기는 통상 일정 섹터내에 위치한 기지국을 경유하여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데, 예를들어, 정보검색, 인터넷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교통정보안내 등의 서비스가 현재 실행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송수화기(70)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코덱부(71)와, 이 코덱부(71)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RF신호처리하여 타통신장비로 전송하거나 혹은 안테나(72)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통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는 MSM부(Mobile station modem:73)와, 상기 MSM부(73)로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널부(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SM부(73)의 일단에는 휴대폰(75)의 기능을 외부로 표시하는 LCD패널(76)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송수화기(70)는 휴대폰(75)상에 마이크와 스피커로 나누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폰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키패널부(74)를 통해 폰넘버를 사용자가 입력시켜주면 MSM부(73)가 이를 인식하여 기지국(도시 안됨)을 통해 상대방 휴대폰(77)과 호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송신자 혹은 수신자가 자신의 휴대폰(75)의 송수화기(70)를 통해 필요한 음성을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자 혹은 수신자의 음성은 휴대폰(75)의 코덱부(71)로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덱부(71)는 송수화기(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신호처리 예컨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MSM부(73)로 입력시킨다. 또한, 상기 MSM부(73)는 코덱부(71)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변조한 다음 RF신호처리하여 안테나(72)를 통해 상대방 휴대폰(77)로 전송하여 통상의 음성통화 혹은 이메일전송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MSM부(73)는 휴대폰(75)의 처리사항을 LCD패널(76)을 통해 외부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과정은 유무선 전화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통신단말기 예컨대, 휴대폰 및 유무선전화기는 단지 음성통화기능이나 기타 이메일전송 등 수동적인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 및 유무선 전화기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능동적인 기능 예컨대, 사용자의 긴급상황발생시 이를 외부 지정된 전화기로 콜해주는 기능등을 할 수 없으므로 그에 따라 휴대폰 혹은 유무선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특정 전화기의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소리를 인식하여 기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비상콜을 해주므로써, 특정전화기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상황을 상대편 수신자가 적절히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된 수신자의 통화의사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수신자의 전화기로 비상콜을 하여 호를 강제로 연결시켜 주므로써, 지정된 전화기 수신자의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 그에 따라 단말기 수신자의 위급상황시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편의성을 항상시키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신호나 문자신호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이 검출센서로부터 입력된 검출신호에 따라 비상콜기능을 실행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호를 강제로 연결시키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비상콜에 따른 특정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통신단말기에 제1 비상콜인 수신자 강제호출기능을 설정하고 제1 비상콜을 전송할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수신단말기에 설정하는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와, 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후에 특정단말기로부터 제1 비상콜을 요구하는 신호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1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와, 상기 제1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에 의해 특정단말기로부터 제1 비상콜을 요구하는 신호가 설정되는 것을 확인될 경우 수신단말기가 제1 비상콜을 요구한 해당 단말기와 강제로 호를 형성하여 수신단말기 주변의 환경신호를 송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비상콜 실행단계로 이루어진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통신단말기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검출센서 2 : MSM부
3 : 통신단말기 4 : 메모리부
5 : 송수화기 6 : 코덱부
7 : 키패널 8 : LCD패널
9 : 안테나 10: 통신단말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센서(1)와, 이 검출센서(1)로부터 입력된 검출신호에 따라 비상콜기능을 실행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호를 강제로 연결시키고 통신단말기(3)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MSM부(2)와, 상기 MSM부(2)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비상콜에 따른 특정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와, 상기 MSM부(2)의 일단에 연결되어 송수화기(5)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코덱부(6)와, 상기 MSM부(2)로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입력시키고 사용자의 긴급상황을 알리는 비상콜버튼이 구비된 키패널(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SM부(2)의 일단에는 통신단말기(3)의 기능을 외부로 표시하는 LCD패널(8)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4)는 사용자의 긴급상황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저장할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MSM부(2)는 코덱부(6)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RF신호처리하여 타통신장비로 전송하거나 혹은 안테나(9)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통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제1 기능설정판단단계(S2)로 진행하여 현재 제1 비상콜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1 기능설정 판단단계(S2)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제1 비상콜기능 즉, 수신자의 강제호출기능을 설정하는 키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S3)로 진행하여 제1 비상콜기능을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비상콜을 실행할 수신단말기(3)에 키패널(7)을 이용하여 제1 비상콜기능 즉, 수신자의 강제호출기능을 설정하고 일정 자리수의 암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신단말기(3)의 MSM부(2)가 이를 인식하고 제1 비상콜을 실행할 전화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제1 비상콜에 따른 전화번호신호를 입력하면 수신단말기(3)의 MSM부(2)는 이를 메모리부(4)에 저장한다.
한편, 제1 기능설정 판단단계(S2)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제1 비상콜기능 즉, 수신자의 강제호출기능을 설정하는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2 기능설정 판단단계(S4)로 진행하여 제2 비상콜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능설정 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제2 비상콜기능 즉, 수신자 환경신호 강제검출기능을 설정하는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는 통상적인 통화모드로 판단하여 일반통화모드실행단계(S5)로 진행하여 통상의 통화모드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 기능설정 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제2 비상콜기능 즉, 사용자 환경신호 강제검출기능을 설정하는 키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2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S6)로 진행하여 제2 비상콜기능을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 비상콜을 실행할 단말기(3)에 키패널(7)을 이용하여 제2 비상콜기능 즉, 사용자 환경신호 강제검출기능을 설정하고 일정 자리수의 암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3)의 MSM부(2)가 이를 인식하고 제2 비상콜을 실행할 음성신호의 기준레벨값을 설정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제2 비상콜에 따른 음성신호의 기준레벨값 예컨대, 아이의 울음소리레벨정도인 70(dBspl)로 설정하면 단말기(3)의 MSM부(2)가 이를 메모리부(4)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MSM부(2)는 제2 비상콜을 전송할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메모리부(4)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S6)후에 제1 비상콜 입력판단단계(S7)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기에 제1 비상콜 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1 비상콜 입력판단단계(S7)중에 판단한 결과 단말기에 제1 비상콜 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제1 비상콜 실행단계(S8)로 진행하여 송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제1 비상콜 요구신호에 따라 수신단말기가 수신자의 통화의도에 관계없이 강제로 호를 형성하여 수신단말기 주변의 환경신호를 송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상기 송신단말기(10)의 사용자가 제1 비상콜기능이 설정된 수신단말기(3)로 제1 비상콜을 전송할 것을 요구할 경우 송신단말기(10)의 키패널상에 있는 특수기능키 예컨대, # 이나 *를 누른다음 해당 수신단말기(3)의 제1 비상콜에 따른 전화번호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송신단말기(10)의 MSM부(도시안됨)는 이를 인식하여 해당 수신단말기(3)로 제1 비상콜을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수신단말기(3)의 MSM부(2)는 수신된 제1 비상콜 요구신호를 기설정된 제1 비상콜신호와 비교하여 확인될 경우 수신자의 통화의지와 상관없이 강제로 송신단말기(10)와 호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단말기(3)의 MSM부(2)는 송수화기(5)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상황신호 예컨대, 수신단말기(3)의 소유자의 주변의 음성이나 기타 자동차소리신호 등을 그대로 검출하여 현재 형성된 호를 통해 송신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단말기(3)는 송신단말기(10)에서 통화종료신호가 전송되지 않는한 자의적으로 호종료를 실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송신단말기(10)의 사용자는 수신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수신단말기(3)의 주변상황을 인지하여 적절한 조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송신단말기(10)를 부모나 관리자가 가지고 있고 수신단말기(3)를 자녀들이나 관리를 받는자들이 가지고 있을 경우 부모나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제1 비상콜을 수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신단말기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상황신호를 강제로 수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비상콜 입력판단단계(S7)중에 판단한 결과 단말기에 제1 비상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는 제2 비상콜 입력판단단계(S9)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기 주변으로부터 제2 비상콜에 따른 음성신호가 검출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2 비상콜 입력판단단계(S9)중에 판단한 결과 단말기에 제2 비상콜신호 즉, 설정된 기준 음성레벨값이상으로 음성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제2 비상콜 실행단계(S10)로 진행하여 단말기에 내장된 제2 비상콜에 따른 전화번호로 제2 비상콜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하여 주변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비상콜 실행단계(S10)중에 송출되는 제2 비상콜신호에 송신단말기 사용자의 기저장된 안내메시지신호 예컨대, "자녀가 울고 있습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비상콜기능이 설정된 단말기(3)를 관찰이 필요한 사람 예컨대, 자녀에게 소유하게 하거나 그 주변에 놓을 경우 해당 기능이 설정된 단말기(3)의 MSM부(2)는 검출센서(1)를 통해 단말기(3)의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관찰대상의 음성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MSM부(2)는 검출센서(1)로부터 검출되는 관찰대상의 음성신호 예컨대, 자녀들의 음성신호나 울음소리 등을 메모리부(4)에 기설정된 기준 음성신호레벨에 이르는지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MSM부(2)는 현재 검출된 관찰대상의 음성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음성신호레벨이상으로 검출될 경우 메모리부(4)에 저장된 제2 비상콜에 따른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제2 비상콜을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3)는 상기 제2 비상콜을 수신하는 수신단말기(10)에서 통화종료신호가 전송되지 않는한 자의적으로 호종료를 실행할 수가 없다.
그러면, 상기 제2 비상콜을 수신한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상대편 단말기(3)로부터 전송되오는 음성신호를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2 비상콜이 설정된 단말기(3)를 잠자는 아이의 주변에 놓고 부모는 제2 비상콜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가지고 외출하였을 경우 만약 아이가 깨서 울면 이 울음소리를 단말기의 검출센서(1)가 검출하여 부모가 가진 단말기로 제2 비상콜을 하여 이사실을 알려주므로 부모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센서(1)는 음성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음압센서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센서 등 단말기 주변상황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전화기의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소리 예컨대, 부모의 손을 벗어난 미아들의 울음소리를 검출하여 기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비상콜을 해주므로써, 특정전화기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예컨대, 미아의 상황을 상대편 수신자 즉, 부모가 적절히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를 이용하여 미아의 구난을 신속히 실행할 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된 수신자의 통화의사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수신자의 전화기로 비상콜을 하여 호를 강제로 연결시켜 주므로써, 지정된 전화기 수신자의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 그에 따라 단말기 수신자의 위급상황시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편의성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음성신호나 문자신호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이 검출센서로부터 입력된 검출신호에 따라 비상콜기능을 실행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호를 강제로 연결시키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비상콜에 따른 특정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M부는 외부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자 강제호출신호가 입력될 경우 단말기의 호를 강제로 형성하여 주변의 상황신호를 호출한 상대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M부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긴급상황을 특정 단말기로 알리는 비상콜버튼이 구비된 키패널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음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음성인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6. 통신단말기에 제1 비상콜인 수신자 강제호출기능을 설정하고 제1 비상콜을 전송할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수신단말기에 설정하는 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와, 제1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후에 특정단말기로부터 제1 비상콜을 요구하는 신호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1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와, 상기 제1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에 의해 특정단말기로부터 제1 비상콜을 요구하는 신호가 설정되는 것을 확인될 경우 수신단말기가 제1 비상콜을 요구한 해당 단말기와 강제로 호를 형성하여 수신단말기 주변의 환경신호를 송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비상콜 실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비상콜 실행단계중에 제1 비상콜을 전송한 수신단말기가 송신단말기에서 통화종료신호가 전송되지 않는한 자의적으로 호종료를 실행할 수 없는 통화종료제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8. 통신단말기에 제2 비상콜인 사용자 환경신호 강제검출기능을 설정하고 제2비상콜을 실행할 음성신호의 기준레벨값과 이 제2 비상콜을 전송할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통신단말기에 설정하는 제2 비상콜기능 설정입력실행단계와, 상기 제2 비상콜기능 설정입력 실행단계후에 제2 비상콜기능이 설정된 단말기의 주변으로부터 설정된 기준 음성레벨값이상으로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2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와, 상기 제2 비상콜기능 확인단계에 의해 제2 비상콜기능이 설정된 단말기의 주변으로부터 설정된 기준 음성레벨값이상으로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제2 비상콜에 따른 전화번호로 제2 비상콜신호를 해당 단말기로 자동으로 송출하여 단말기 주변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비상콜실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비상콜 실행단계중에 제2 비상콜을 전송한 단말기가 수신단말기에서 통화종료신호가 전송되지 않는한 자의적으로 호종료를 실행할 수 없는 통화종료제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1-0054673A 2001-09-06 2001-09-06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2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673A KR100422136B1 (ko) 2001-09-06 2001-09-06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673A KR100422136B1 (ko) 2001-09-06 2001-09-06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411A true KR20030021411A (ko) 2003-03-15
KR100422136B1 KR100422136B1 (ko) 2004-03-11

Family

ID=2772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673A KR100422136B1 (ko) 2001-09-06 2001-09-06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87B1 (ko) * 2001-12-28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범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11077B1 (ko) * 2005-10-10 2008-03-07 남기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172A (en) * 1990-04-05 1994-07-26 Stevens Michael B Emergency telephone communications device
KR950020350A (ko) * 1993-12-31 1995-07-24 김광호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보 상황 통보 제어방법
JPH0897936A (ja) * 1994-09-22 1996-04-12 Hochiki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
JPH09107416A (ja) * 1995-10-11 1997-04-22 Mita Ind Co Ltd 通信機器
KR100222785B1 (ko) * 1996-08-24 1999-10-01 윤종용 전화기에서 주변상황 통보장치 및 방법
KR19980075600A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호출기 및 전화기를 이용한 비상 경보 실행방법
KR19990002147A (ko) * 1997-06-19 1999-01-15 윤종용 전화회선을 이용한 비상상황 자동통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87B1 (ko) * 2001-12-28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범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11077B1 (ko) * 2005-10-10 2008-03-07 남기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136B1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217A (en) One button cellular phone, system, and method for us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KR100422136B1 (ko) 비상콜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003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 원격 제어 방법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39866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KR100650644B1 (ko) 지역별 벨소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100421958B1 (ko) 휴대폰의 사용자상태메시지 처리방법
KR100397506B1 (ko) 원격 송화음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41566A (ko) 휴대폰에서의 위급상황 알림방법
KR100406955B1 (ko) 통신단말기의 단축전화번호 송출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01107189B1 (ko) 반복 모닝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46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알람 방법
KR100617539B1 (ko) 다양한 음성선택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의 자동응답방법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WO20020135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all notification message prior to a call acceptance
KR20060028274A (ko) 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758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경보음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