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742A -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742A
KR20030020742A KR1020010054197A KR20010054197A KR20030020742A KR 20030020742 A KR20030020742 A KR 20030020742A KR 1020010054197 A KR1020010054197 A KR 1020010054197A KR 20010054197 A KR20010054197 A KR 20010054197A KR 20030020742 A KR20030020742 A KR 2003002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pad
hangul
keys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0742A/ko
Publication of KR2003002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7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패드의 버튼 갯수를 늘려 문자의 입력을 간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로로 펼쳐지고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기와; 한글 2벌식의 자모 배치에 따르는 키패드와; 상기 표시기와 키패드를 결합하는 접철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익숙한 한글 2벌식에 따르는 키패드를 사용하므로 문자 입력이 간편해져 문자 메시지의 작성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KEY-PAD WHICH CONFORM KSC-5715}
본 발명은 키패드의 버튼 갯수를 늘려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간편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로 펼쳐진 상태에서 화면을 보면서 사용자에게 익숙한 한글 2벌식 자판을 사용하게 한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자판에 20개 정도의 버튼을 갖고 있다. 이 20개 정도의 버튼은 방향키, 기능키, 숫자키 및 문자키로 구성된다.
그러나, 단말기는 문자키의 갯수가 적으므로 대다수의 사용자에 익숙한 한글 2벌식이 아닌 전혀 새로운 문자키의 배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자판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때 전혀 새로운 자판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의 갯수가 적으므로 사용자는 단말기에 간단한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 많은 수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20-0222389)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개인용 컴퓨터의 일반 키보드와 유사한 형태의 키패드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키패드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버튼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포개진 키패드를 펼치면 젖혀진 키패드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의 버튼의 수를 30개 이상으로 늘려 사용자에게 익숙한 한글2벌식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자 입력시 편리한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소정 갯수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 2벌식을 구현한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의 펼쳐진 형태를 보인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로 펼쳐지고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기와; 한글 2벌식의 자모 배치에 따르는 키패드와; 상기 표시기와 키패드를 결합하는 접철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는 각각의 버튼에 할당된 26개의 자모키와; 상기 자모에 할당된 버튼에 재할당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숫자키와; 상기 자모키에 할당된 버튼에 재할당되고 상기 숫자키의 좌측에 위치하는 방향키와; 상기 자모키의 상단에 위치하고 특정 명령을 내리는 기능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키는 자모키, 숫자키 및 방향키의 눌림을 구별하도록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키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키와; 입력된 문자를 지우는 삭제키와;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게 하는 저장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한글 2벌식 자판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펼쳐진 형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가로로 펼쳐지고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기(10)와; 한글 2벌식의 자모 배치에 따르는 키패드(30)와; 상기 표시기(10)와 키패드(30)를 결합하는 접철기(20)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수직 방향으로 펼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펼쳐서 사용한다.
이를 통해, 키패드(30)의 버튼 배열이 종축보다 횡축이 길어지도록 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와 유사한 키패드(30)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30)의 버튼을 효율적으로 배열하기 위해 모음 'ㅣ'가 아래로 배치되고, 'ㅐ'와 'ㅔ'가 위로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에서 '쉬프트'키와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자음 'ㄲ'과 모음 'ㅒ'은 키패드의 해당 자모의 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누르면 만들어진다.
그리고, '전원', '삭제', '저장'등의 기능을 갖는 기능키는 상단 열의 F1~F5키가 사용된다.
여기서 잠시 문자키, 숫자키 및 방향키를 살펴보면, 특정 버튼에 문자키와 방향키 또는 문자키와 숫자키가 함께 할당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구별하여입력할 수 있게 상기 기능키에 이를 제어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이하, 표시기(10)를 살펴보면 표시기(10)의 횡축이 종축보다 길게 표시되므로 표시기(10)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와 다르게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표시기(10)에 나타난 정보를 볼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는 더 나은 해상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작은 키패드의 공간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소정 공간에 더 많은 버튼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간편해짐에 따라 화상 통신과 채팅이 가능한 3세대 통신에서 정보의 보관과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로로 펼쳐지고 문자 또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표시기와; 한글 2벌식의 자모 배열에 따르는 키패드와; 상기 표시기와 키패드를 결합하는 접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각각의 버튼에 할당된 26개의 자모키와; 상기 자모에 할당된 버튼에 재할당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숫자키와; 상기 자모키에 할당된 버튼에 재할당되고 상기 숫자키의 좌측에 위치하는 방향키와; 상기 자모키의 상단에 위치하고 특정 명령을 내리는 기능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자모키, 숫자키 및 방향키의 눌림을 구별하도록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키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키와; 입력된 문자를 지우는 삭제키와;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게 하는 저장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10054197A 2001-09-04 2001-09-04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0020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197A KR20030020742A (ko) 2001-09-04 2001-09-04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197A KR20030020742A (ko) 2001-09-04 2001-09-04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742A true KR20030020742A (ko) 2003-03-10

Family

ID=2772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197A KR20030020742A (ko) 2001-09-04 2001-09-04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07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611B1 (ko) * 2001-12-18 2005-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88795B1 (ko) * 2006-12-06 2009-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키 입력 장치
KR101111457B1 (ko) * 2006-02-06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611B1 (ko) * 2001-12-18 2005-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11457B1 (ko) * 2006-02-06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KR100888795B1 (ko) * 2006-12-06 2009-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키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5519B2 (en)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equence into an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US6046732A (en) Method of allowing users to enter characters into electronic equipment by using cursor key and displaying user-entered characters
KR101085239B1 (ko) 양면 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250964B1 (ko) 휴대용전화기의문자입력방법
KR20030020742A (ko)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KR20010059872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205575Y1 (ko) 휴대폰 문자 입력 장치
KR1008113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11116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1577B1 (ko)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KR20030048200A (ko)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JP3042034U (ja) 小型情報機器端末用キーボード
JPH0429426A (ja) 小型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20018454A (ko) 미니 키보드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40099872A (ko) 투명 키패드 장치
KR100844934B1 (ko) 문자입력장치
JP2008040857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
KR20030044129A (ko) 셋톱박스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290468Y1 (ko)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