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827A -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827A
KR20030018827A KR1020010053396A KR20010053396A KR20030018827A KR 20030018827 A KR20030018827 A KR 20030018827A KR 1020010053396 A KR1020010053396 A KR 1020010053396A KR 20010053396 A KR20010053396 A KR 20010053396A KR 20030018827 A KR20030018827 A KR 2003001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pathetic
block
ganglion
sympathetic ganglion
adap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구일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서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구일 filed Critical 서구일
Priority to KR102001005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827A/ko
Publication of KR2003001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86Metalloendopeptidases (3.4.24), e.g. collagenase
    • A61K38/4893Botulinum neurotoxin (3.4.24.6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제이다. 본 발명의 교감신경절 차단제는 교감신경절에 투여되어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예컨대 교감신경이상으로 야기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통증 치료등에 유용하며, 특히 교감신경절에 적용하므로 병변부위 전체에 투여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페놀 또는 알콜과 같은 신경파괴제에 비해 교감신경절에서 선택적으로 신경을 차단하므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 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SYMPATHETIC NERVE BL0CKING AGENT COMPRISING BOTULINUM TOXIN TYPE A,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THE SYMPATHETIC NERVE RELATED DISEASES}
본 발명은 보툴리눔 독소 유형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교감신경 차단제, 및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차단 적응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보툴리눔 질환을 일으키는 보툴리눔 독소는 강력한 생물학적 독소로 현재까지 8가지 유형(A,B,C1,C2,D,E,F 및 G)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A형 보툴리눔 독소(이하, BoNT/A라 함)만이 분리, 정제되어 임상에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BoNT/A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에 의해서 150 kDa의 단일사슬 폴리펩타이드로 생산되며, 절단에 의해서 경쇄(50 kDa)와 중쇄를 포함하는 두 개의 사슬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두 사슬형태가 단일 사슬보다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iavo 등의 "Botulnum neurotoxins are zinc proteins" J. Biol. Chem. Vol 267, pp23479-83, 1992). 또한 BoNT/A의 작용에 의한 신경전달물질의 저해는 SNAP 25의 선택적 절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iavo 등의 toxin is a zinc protein and its inhibition of neurotransmitter release and protease activity depend on zinc. EMBO J. vol. 11, pp3577-83, 1992).
BoNT/A는 말초신경, 또는 운동신경과 근육의 접합부에 투여하여, 주로 경련성 근육 질환 등을 포함하는 근육 관련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로는, 근육의 긴강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사시, 안검경력 등의 질환과 다한증, 위장관의 괄약근의 이상, 주름살의 완화 등의 목적으로 주사하면 심각한 합병증 없이 1-4개월 동안의 임상적 호전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들 경련성 근육질환이나 말초신경을 적용대상으로 하는 BoNT/A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에는 병변 부위 전체에 투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증세가 있는 부위 전체에 BoNT/A를 투여해야 한다.
교감 전신경절 뉴런에서 유리된 아세틸콜린은 교감신경 후 신경절 뉴런에서 노르에피네피린을 후속적으로 방출하게 하며, 이는 PC12와 소의 아드레날 크로마핀을 이용해서 행한 시험관내(in vitro) 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Ray P 등의 "Botulinum toxin A inhibits acetylcholine release from cultured neurons in vitro", In Vitro Cell Dev Biol Anim, vol. 29A, pp.456-60, 1993; Ahnert-Hilger 1993). 그러나, 이들 연구는 BoNT/A가 세포 배양물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방출을 저해한다는 것에 불과하다.
교감신경절을 차단 또는 파괴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취제 또는 신경파괴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거나, 교감신경절을 제거하는 수술을 할 수도 있다. 교감신경절을 차단하는 것은 크게 성상신경절 차단,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 요부 교감신경절 차단, 복강신경총 차단, 하 장간막 신경총차단, 상 하복신경총차단, 외톨이(Impar) 교감신경절차단 등이 있다(오흥근 편저 "통증의학", 대한통증학회, 1995; P.Pithvi Raj의 "pain medicine-a comprehensive review", Mosby-Year book, inc, pp..212-255, 1996; Michael A등의 "The management of pain", Churchill Livingstone Inc., pp.. 489-505, 1998).
성상신경절은 해부학적으로 경부, 흉부, 요부 교감 신경절과 동렬로 연결되어 있으나 지배영역이 뇌를 포함하는 중요장기를 지배하고 있어 다른 신경절과 비교시 교감신경절중에서 가장 크고 자율신경계의 상위중추에 영향을 준다. 교감신경절의 일종인 성상신경절을 차단하는 경우에 치료 가능한 각종 적응질환을 상기 오흥근등의 문헌에 기술하고 있으며, 이를 표 1에 나타낸다.
전신 감기 및 예방, 자율신경실조증, 본태성 고.저혈압, 갑상선 기능항진.거부증, 과식증, 기립성 조절장애, 차멀미, 현기증,공황장애, 불면증, 수면과다, 뇌졸중후 통증, 뇌졸중후 편마비, 만선 관절 류마티스, 술후 합병중, 다발성경화증, 베체트병, 시그렌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통풍, 전염성 단핵구증, 마성 피로증후군, 반사성 교감신경성 위축증, 작열통, 환지통, 단단통, 암, 당뇨병, 냉증, 비만증, 저체온증, 재생불량성 빈혈, 골다공증, 딸국질, 화학물질과민증,
피부과 전신다한증, 손바닥 다한증,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담마진,전신성 백선증, 족부 백선, 손.발톱백선, 피부 소양증, 지루성 피부염, 손바닥 농포증, 대상포진, 단순포진, 천포창, 케로이드 탈모증, 동상, 동창, 손.발톱 박리증, 손.발톱 경화증, 손.발톱 종열증, 손.발톱 층상 박리증, 손.발톱 주위염, 액취, 진행성, 지장 각화증, 살이 틈
두부 편두통, 긴장형 두통, 경부성 두통, 군발두통, 측두 동맥염, 뇌혈관 연축, 뇌혈전, 뇌경색
안면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벨마비, 헌트증후군, 외상성 안명신경마비), 비전형 안면통, 저작근증후군, 악관절증
안과 망막혈관 폐쇄증, 망막색소 변성증, 중심성 망막증, 포도막염, 시신경염, 유낭포 황반부종, 각막헤르페스, 각막 궤양, 녹내장, 알레르기성 결막염, 동공 긴장증, 비문증, 안정 피로, 건조안, VDT증후군, 굴절이상
이비인후과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비폴립, 만성 부비강염, 급성 부비강염, 술후성 상악낭포, 돌발성 난청, 삼출성 중이염, 메니에르병, 양성 돌발성 발작성 두위현훈, 지폐, 편도선염, 이명, 인 후두이상감증, 후각장애, 코골이, 수면시 무호흡증후군
구강 발치후 통증, 구내염, 설염, 치육염, 구순염, 이갈이, 구내건조증
경견상지 상지 혈행장애(레이노드병, 레이노드증후군, 급성 동맥폐쇄증, 버거병) 견수증후군, 추간판 탈출증, 외상성 경부증후군, 흉곽 출구증후군, 견관절 주위염, 유방절단후 증후군, 테니스 구관절, 건초염, 경추증,상박 신경총 신경병증(외상성, 술후), 관절염, 어깨통증, 헤베르덴 결절통, 갱그리온
순환기 심근경색, 협심증, 동성빈맥, 신경순환 무력증
호흡기 만성기관지염, 폐색전, 폐수종, 폐기종, 과환기 증후군, 기관지천식, 자연기흉
소화기 과민성 대장증후군, 궤양성 대장염, 위염, 간염, 크론병, 소화성 궤양, 역류성 식도염, 담도 이상운동증, 변비, 설사, 복부팽만증, 덤핑증후군, 치질, 치루
산부인과 월경이상, 월경전 기장 증후군, 월경 곤란증, 자궁내막증, 갱년기 장애, 자궁적출후 자율신경실조증, 뇨실금, 방광염, 여성불임, 입덧, 질경련
비뇨기과 시경성 빈뉴, 임포텐스, 뇨실금, 야뇨증, 신우신염, 신증후군, IgA 신증, 낭포신, 유주신,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남성불임
요하지 요하지통, 슬관절통, 지단 홍통증, 지단 청색증, 티문, 하지정맥류, 장단지경련, 버거병, 폐색성 동맥경화
흉부 교감신경절은 경부에서 횡돌기의 전반에 위치하며 복부에서는 추체의전측방에 골반주에서는 천골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은 상지의 말초혈행 장애(예, 폐색성 혈전성 혈관염, 폐색성 동맥경화증, Raynud병, Raynaud증후군, 급성동맥 폐색증, 동상 등), 상지의 반사성 교감신경성 위축증(예, 작열통, 환지통, 단단통, Sudeck 위축증 등), 경건완 증훅군, 외상성 경부 증후군, 경추증, 흉곽출구 증후군 등, 대상포진, 대상포진 후 신경통 및 운동마비, 다한증, 폐암과 악성종양의 흉강내 전이에 의한 흉부통증과 상복부 통증등, 기타고 당뇨병성 신경병증, 수술후 통증, 원인불명의 흉배부통증 등이 있다.
요부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 질환으로는 혈관성 질환(예, 버거병, 폐색성 동맥경화증, 급.만성 동맥폐쇄증, 하퇴궤양 등의 정맥성 질환, 레이노병, 및 레이노증후군등), 동상 및 화상, 다한증 또는 냉증, 반사성 교감신경성 위축증, 하지 작열통, 단단신경통, 또는 한지통, 하지의 암성통증등이다.
복강 신경총 차단은 악성 및 양성 원인에 의한 상복부 통증의 진단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하 장간막 신경총차단은 하행 및 S자 결장과 골반내 장기인 직장, 방광, 하부요관, 자궁, 고환, 난소 및 전립선 등으로부터의 구심성 섬유에서 유래되는 하복부 통증 제거에 사용된다. 상 하복신경총 차단은 골반내 통증 증후군으로서 주로, 자궁경부, 전립선, 고환등의 악성 종양에 의한 하복부 통증에 적응되며, 또한 직장자극에 의한 이급후증, 부인과 영역의 골반내 통증(예, 월경곤란증, 성교불쾌증 등), 방사선성 직장 항문염, 일과성 직장 신경통 등도 포함된다.
또한, 교감신경절 차단은 암성통증이나 난치성 통증을 치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신경차단 또는 통증 치료를 위해서 종래에 사용된화학적 치료방법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알콜이나 페놀등 신경파괴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알콜이나 페놀 등의 신경파괴제는 교감신경뿐만 아니라 주위의 다른 구조물까지 비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심각한 휴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Galizia EJ 등의 Paraplegia following coeliac plexus block with phenol. Case report. Br J Anaesth Vol. 46, pp.539-540, 1974; Cherry DA 등의 J. Paraplegia follwoing coeliac plexus block, Anaesth Intensive Care, vol. 12, pp..59-61, 1984; Woodham MJ등의 Paraplegia after coeliac plexus block. Anaesthersia, Vol. 44, pp.487-9, 1989; van Dongen RT등의 Paraplegia following coelac plexus block. Anaesthersia. vol 46, pp.862-3, 1991; de Conno F등의 "Paraplegia following coeliac plexus block", Pain, vol. 55, pp.383-5, 1993).
따라서, 교감신경절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효과적인 교감신경절 차단제 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를 제공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학적 신경파괴제 또는 신경차단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교감신경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BoNT/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 차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감신경절에 투여하여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BoNT/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 차단을 통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1b는 A형 보툴리눔 독소(BoNT/A)를 토끼의 SCSG에 주입하고 1주 경과후, SCSG에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된 신경세포의 광학현미경 사진(X200)이고, 도 1a는 대조군이고 도 1b는 실험군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2b는 BoNT/A를 토끼의 SCSG에 주입하고 4주 경과후, SCSG에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된 신경 세포의 광학현미경 사진(X200)이고, 도 2a는 대조군이고 도 2b는 실험군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3b는 BoNT/A를 토끼의 SCSG에 주입하고 8주 경과후, SCSG에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된 신경세포의 광학현미경 사진(X200)이고, 도 3a는 대조군이고 도 3b는 실험군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표적 부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BoNT/A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교감 신경 차단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BoNT/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BoNT/A가 교감신경절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특성을 생체내 (in vivo) 실험으로 밝히고, 이에 기초하여 BoNT/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제 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 적응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제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교감신경절 차단제는 교감신경절에 투여되어 교감신경이상으로 야기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통증 치료등에 유용하며, 특히 교감신경절에 적용하므로 병변부위 전체에 투여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페놀 또는 알콜과 같은 신경파괴제에 비해 교감신경절에서 선택적으로 신경을 차단하므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BoNT/A가 교감신경절의 차단효과를 갖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증상의 관찰이 용이한 토끼를 대상으로 상경부 교감신경절(Superior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이하 SCSG라 함)에 BoNT/A를 주사하여 축동(miosis)의 형성여부로 교감신경 차단 효과, 및 BoNT/A와 교감신경절 차단간의 양-반응 관계를 경시적으로 관찰하고, SCSG의 조직학적 변화여부를 조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토끼의 SCSG에 BoNT/A를 주입하고 1, 4 및 8주 후에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1례의 축동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실험군에서는 총 40마리 중 15마리서 축동이 관찰되어 37.5 %의 반응을 보였다. 평균 안증상 발생시간은 1.8일 이었고, 지속시간은 5.3 주이었다. 또한, BoNT/A는 축동을 유도하여 신경차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BoNT/A 주입량와 축동 유도와는 양-반응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BoNT/A을 투여하더라도 SCSG의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H & E염색)후 조직변화를 조사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도 1 내지 3). 따라서, BoNT/A는 심각한 조직학적 이상 소견없이 표적부위인 교감신경절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교감신경절 차단효과를 유도한다. 따라서 효과적이고선택적인 교감신경절 차단제와,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제를 제공하며, 특히 암성 통증을 비롯한 난치성 만성통증 환자에서 기존의 비특이적인 신경파괴제 또는 신경차단제를 대치할 수 있는 우수한 통증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CSG에 주입된 BoNT/A가 축동을 야기하며 이러한 효과는 교감신경절 절제술과 신경차단 또는 파괴 효과의 개시 및 유지와 유사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BoNT/A가 생체내(in vivo)에서 교감 신경절에 신경 차단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의 자율신경계에 대한 BoNT/A의 작용과 비교하여, 본원 발명의 BoNT/A는 자율신경계중 교감신경절에 직접 작용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BoNT/A의 표적 대상이 교감 신경절 자체, 즉 교감 신경절의 전뉴런과 후뉴런사이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전혀 상이하다.
또한, 종래의 신경파괴를 통한 통증 치료제인 페놀이나 알콜 화합물은 교감 신경섬유를 비선택적으로 영구적으로 파괴한다. 따라서, 표적 대상이외에 주위 신경도 영구적으로 파괴하여 치료후 심각한 휴유증을 나타냄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종래 보고서에 의하면(Rabinovici N등의 "Anatomic changes produced by novocine and phenol infiltration in the sympathetic ganglion", Surgery, Vol.31, pp.877-884, 1952 ), 고양이의 SCSG에 페놀을 처리한 경우에 처음 7일 동안 교감신경이 완전히 파괴되어 교감신경 세포는 색상 및 구조가 없어지고 과립을 형성한다고 한다. 이 보고서와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에서는 H & E 염색된 SCSG에 유의한 조직적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도 1 내지 3).
본 발명에서 BoNT/A에 의한 신경 차단효과를 유도하면서도 조직상 변화가 없는 것은, 전-시냅스의 아세틸콜린이 차단되었음에도 퇴행성 변화가 수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BoNT/A는 표적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우 안전한 교감신경 차단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인 음식물 유래 보툴리눔 독성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서 교감신경에 대한 BoNT/A은 토끼에서 산동(mydriasis)이 나타나지 않고 축동이 나타나나, 음식물에서 유래된 보툴리눔 독성의 경우에는 산동이 나타난다. 자율신경계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하는 근거는 종종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이들의 작용과 관련됨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음식 유래 보툴리눔 독성효과는, 특히 눈에서부교감 신경 차단 효과가 교감신경 차단 효과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SCSG에 대한 BoNT/A의 국소처리는 교감신경절 주위에만 작용하며,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에서 축동으로 관찰된다.
또한, 종래의 경련성 근육질환, 예컨대 안검 연축(blepharospasm) 및 사경(torticollis)의 치료를 위해서 근육내에 투여되는 BoNT/A의 효과와 비교할때, 본 발명의 교감신경 차단에 따른 통증 효과는 몇가지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 BoNT/A의 표적은 근육이 아니라 뉴런세포이다. 따라서 신경절 부위에 따라, 교감신경절 파괴 또는 차단에는 1회당 더 많은 투여량의 BoNT/A를 필요로 한다. 다만, 종래의 근육질환의 치료를 위한 경우에는 병변부위 전체에 걸쳐서 여러번 투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BoNT/A는 모든 교감신경에 작용되어 장기간 선택적 신경차단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성상 교감신경절, 흉부 교감신경절, 요부 교감신경절, 복강신경총, 하 장간막 신경총, 상 하복 신경총, 및 외톨이 교감신경절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정 교감신경차단을 통한 질병치료와의 관계는 이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오흥근 편저 [통증의학] 대한통증학회, 1995; P.Pithvi Raj의 [pain medicine-a comprehensive review], Mosby-Year book, inc, pp..212-255, 1996; Michael A등의 [The management of pain], Churchill Livingstone Inc., pp.. 489-505, 1998). 따라서, 본 발명의 교감신경차단제는 이러한 교감신경차단으로 질병의 경감 또는 치료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질병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문헌에는 신경차단제 및 신경파괴제 등을 포함하는 약물에 의한 신경차단 또는 파괴시에 차단 효과, 투여방법 및 투여부위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마취제 또는 신경차단제을 교감신경절에 투여하는 방법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본 발명의 BoNT/A를 교감신경절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이라 함은, 교감신경절에 신경차단 또는 파괴제를 투여하거나 외과적 수술로서 교감신경을 차단함으로써 치료가능한 질병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BoNT/A는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 질환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성상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요부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 질환, 복강신경총 차단의 적응질환, 하 장간막 신경총차단의 적응질환, 상 하복 신경총 차단의 적응질환, 외톨이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특히 교감신경절 차단에 의한 통증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기술한 각각의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으로 예시한 모두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다한증, 암성통증 또는 만성통증, 안면홍조 또는 편두통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BoNT/A는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BoNT/A의 용해도, 화학적 특성, 투여경로 및 표준 약제학적 관례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즉, 교감신경절에 주사하기에 적절한 조성물이다. 여기에는 멸균 주사액,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편리한 멸균주사액은 등장성 식염수나 등장성 덱스트로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멸균주사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그 자체로 저장하거나, 성분을 멸균상태로 유지시키는 바이알 또는 앰풀과 같은 용기에 밀봉된 무균성분 기지량에 물과 같은 무균매질을 사용하기 직전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BoNT/A는 예측된 양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분말, 액체 또는 현탁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의 가장 적절한 투여량은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임상의가 결정하며, 특히 표적 교감신경절의 위치에 따라 사용하는 독소의 용량 및 부피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투여방법, 투여화합물, 환자의 상태 및 치료방법에 따라 다르나, 교감신경절에 주사시, 환자체중 kg당 0.5 U 내지 5 U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단지 본 발명의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동물준비
본 발명에서 체중 1-1.5 kg을 갖는 총 54마리의 수컷 토끼를 실험 동물로 사용하였다. 상기 토끼를 스테인레스 우리에 가두어 놓고, 12시간동안 낮과 12시간동안 밤을 유지하였고, 표준 식이를 제공하고 다른 음식이나 물은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하기 전에,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토끼를 적어도 3일간 관리하였다. 미국 국립보건원의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and the Ethical Guidelines for Investigations of Experimental pain in conscious animals"에 따라서, 모든 실험동물들을 관리하고 외과적으로 다루었다.
실시예 2: 보툴리눔 독소 A의 효과
BoNT/A가 축동을 유도하는 지 여부와, 축동 유도와 BoNT/A의 양-반응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농도의 BoNT/A 용액을 실험동물에 투여한 후에, 동공크기를 측정하여 축동 유도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한 총 54마리의 실험동물을 3개의 서브그룹, 즉 2마리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SCSG를 적제하고, 12마리는 대조군으로, 40 마리는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BoNT/A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Botox((상표명), Allergan, CA, USA)에 식염수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BoNT/A 용액 25 ㎕를 실험군 40마리의 우측 SCSG에 주사하였다. 구체적으로, 40마리의 실험군을 3개 군으로 나누어, 상기 25 ㎕의 BoNT/A 용액중 BoNT/A 함량을 각각 2 U(2 U/Kg), 5 U(5 U/Kg) 및 10 U(10 U/Kg)로 하여, 각 10마리, 26마리, 4마리 토끼에게 투여하였다. 또한, 12 마리의 대조군에는 25 ㎕의 생리 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안과 증상의 관찰을 위한 2 마리 양성 대조군의 경우에는, 엔푸루란(enflurane) 마취하에(유도에 5 vol%, 및 유지에 2 vol%), 앙와위(supine position)로 토끼를 두고 목의 갑상 연골 주위로 정중안 피부를 절개하였다. 설골상근(suprathyroid)와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사이에 최소한의 절개를 하였다. 그런 후에, 총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의 분지부 주위에서 우측 SCSG(상경 교감신경절)을 확인하고 한쪽 SCSG를 제거하였다.
BoNT/A 또는 식염수를 처리한 후에 비크릴 및 피부 스테플러를 사용하여 상처부위를 폐쇄하였다. 처치후 토끼를 다시 동물보호 센터로 돌려보내 처리전과 동일한 조건하에 관리되도록 하였다.
SCSG에 투여된 BoNT/A가 동공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측정하고자, 처치하고 8주 후에, 어느쪽 눈에 약물 또는 식염수를 처리했는지 여부를 모르는 세명의 조사자로 하여금 동공크기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세명의 조사자 모두가 축동 발생에 관해 일치된 조사결과를 제공하는 경우에 양성인 것으로 정하였다. 여기서, 한쪽 SCSG에만 약물 또는 식염수를 처리하였기 때문에, 좌우 동공크기를 비교하여 그 크기 차이가 10%이상인 것을 축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10 U 그룹(4 마리)중 3마리는 축동을 나타냈으나, 4마리 모두 주사 후 3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2 U 그룹(10마리)중 3마리, 5U 그룹(26 마리)중 9마리에서 축동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BoNT/A는 축동의 유도와 양-반응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대조군 12 마리는 전혀 축동이 유도되지 않았다. 실험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냈다.
BoTN/A (U/Kg) 대조군
2 5 10 총합
축동(축동 토끼 수/총 실험군 수) 3/10 9/26 3/4 15/40 0/12
반응 효율(%) 30 34.6 75 37.5 0
사멸 토끼 수 0 0 4 4 0
상기 실험군의 축동의 발생시점 및 유지기간은 각각 평균 1.8일 및 5.3주이었다. 또한 양성 대조군 (2마리)의 토끼는 모두 6주간 축동을 나타냈고, 각각 발생시기는 BoNT/A 주입하고 2일후 및 4일후 이었다.
실시예 3: 조직형태적 조사
엔푸루란(enflurane) 마취하에(유도를 위해서는 5 vol %, 유지를 위해서는 2 vol %), BoNT/A 주입하고 1주, 4주 또는 8주 경과후에, 대조군(12마리)과 5 U의BoNT/A을 투여받은 실험군(15마리)으로 부터 SCSG을 채취하였다. 상기 SCSG를 10% 포르말린 용액에 4℃에서 6시간동안 고정하였다. 탈수 및 파라핀 포매후에, 모든 신경절을 절단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결과물에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수행하였다. 상기 염색된 결과물을 광학 현미경하에서 200 배율로 관찰하고 BoTN/A 처리군과 대조군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도 1, 2 및 3에 나타냈다.
교감신경의 뉴런은 크고 둥근 모양이며 하나 또는 두개의 핵소체를 포함하는 핵을 하나 또는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시적 관찰결과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BoTN/A 투여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신경파괴제 또는 차단제인 페놀 또는 알콜등과 달리, 본 발명의 BoTN/A를 처리한 SCSG는 주위의 다른 신경절을 비선택적으로 파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교감신경절 차단제는 교감신경절에 투여되어 교감신경이상으로 야기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통증 치료등에 유용하며, 특히 교감신경절에 적용하므로 병변부위 전체에 투여할 필요가 없고, 교감신경절에서 선택적으로 신경을 차단하므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감신경절은 성상 교감신경절, 흉부 교감신경절, 요부 교감신경절, 복강신경총, 하 장간막 신경총, 상 하복 신경총, 및 외톨이 교감신경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교감신경절 차단제가 비경구로 투여되는 것이 특징인 교감신경절 차단제.
  4.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며, 교감신경절에 투여되어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은 성상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요부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 질환, 복강신경총 차단의 적응질환, 하 장간막 신경총차단의 적응질환, 상 하복 신경총 차단의 적응질환, 외톨이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및 교감신경절 차단에 의한 통증으로 이루어지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은 다한증, 암성통증 또는 만성통증, 안면홍조 또는 편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7. 제 4항 내지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비경구로 투여되는 것이 특징인,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KR1020010053396A 2001-08-31 2001-08-31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KR20030018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396A KR20030018827A (ko) 2001-08-31 2001-08-31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396A KR20030018827A (ko) 2001-08-31 2001-08-31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827A true KR20030018827A (ko) 2003-03-06

Family

ID=2772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396A KR20030018827A (ko) 2001-08-31 2001-08-31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82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3359B2 (en) 2006-10-27 2012-09-25 Ipsen Pharma S.A.S.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in the treatment of pain induced by at least one anti-neoplastic agent
US8784841B2 (en) 2008-04-25 2014-07-22 Ipsen Pharma S.A.S.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in the treatment of pain associated with diabetic neuropathy
US8921322B2 (en) 2006-12-22 2014-12-30 Ipsen Pharma S.A.S.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for treating the pain induced by therapeutic treatments for the AIDS virus
US9080220B2 (en) 2006-06-16 2015-07-14 Ipsen Pharma S.A.S. Simultaneous, separate or sequential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and of at least one opiate derivative
WO2021041982A1 (en) * 2019-08-30 2021-03-04 AEON Biopharma, Inc. Neurotoxin compositions for use in treating neurologic and psychiatric disorders
EP3843777A4 (en) * 2018-08-28 2022-05-04 Ira Sanders THERAPEUTICS FOR THE SKI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6605A (en) * 1994-04-15 1998-06-16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Treatment of autonomic nerve dysfunction with botulinum toxin
EP1005867A2 (en) * 1993-12-28 2000-06-07 Allergan Sales, Inc. Botulinum toxins for modulating cholinergic controlled secretions
US6113915A (en) * 1999-10-12 2000-09-05 Allergan Sales, Inc. Methods for treating pain
US6143306A (en) * 2000-01-11 2000-11-07 Allergan Sales, Inc. Methods for treating pancreatic disorders
WO2001010458A1 (en) * 1999-08-10 2001-02-15 Allergan Sales, Inc. Use of neurotoxin for treating cardiac muscle disorders
WO2001062269A2 (en) * 2000-02-22 2001-08-30 Allergan Sales, Inc. Use of neurotoxins for treating parathyroid disord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867A2 (en) * 1993-12-28 2000-06-07 Allergan Sales, Inc. Botulinum toxins for modulating cholinergic controlled secretions
US5766605A (en) * 1994-04-15 1998-06-16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Treatment of autonomic nerve dysfunction with botulinum toxin
WO2001010458A1 (en) * 1999-08-10 2001-02-15 Allergan Sales, Inc. Use of neurotoxin for treating cardiac muscle disorders
US6113915A (en) * 1999-10-12 2000-09-05 Allergan Sales, Inc. Methods for treating pain
US6143306A (en) * 2000-01-11 2000-11-07 Allergan Sales, Inc. Methods for treating pancreatic disorders
WO2001062269A2 (en) * 2000-02-22 2001-08-30 Allergan Sales, Inc. Use of neurotoxins for treating parathyroid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 Auton Res,Vol 6(2),p123-124,1996 *
Hautarzt, VOL 49(2),P101-103,1998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0220B2 (en) 2006-06-16 2015-07-14 Ipsen Pharma S.A.S. Simultaneous, separate or sequential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and of at least one opiate derivative
US8273359B2 (en) 2006-10-27 2012-09-25 Ipsen Pharma S.A.S.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in the treatment of pain induced by at least one anti-neoplastic agent
US8921322B2 (en) 2006-12-22 2014-12-30 Ipsen Pharma S.A.S.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for treating the pain induced by therapeutic treatments for the AIDS virus
US8784841B2 (en) 2008-04-25 2014-07-22 Ipsen Pharma S.A.S.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in the treatment of pain associated with diabetic neuropathy
US9259458B2 (en) 2008-04-25 2016-02-16 Ipsen Pharma S.A.S. Therapeutic use of at least one botulinum neurotoxin in the treatment of pain associated with diabetic neuropathy
EP3843777A4 (en) * 2018-08-28 2022-05-04 Ira Sanders THERAPEUTICS FOR THE SKIN
WO2021041982A1 (en) * 2019-08-30 2021-03-04 AEON Biopharma, Inc. Neurotoxin compositions for use in treating neurologic and psychiatric disord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3177B (en) New use of neurotoxin for treating thyroid and calcemia disorders
Guo et al. A closer look to botulinum neurotoxin type A-induced analgesia
KR20190093626A (ko)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Britton et al. Clinical uses of hyaluronidase: a current review
JP2023521064A (ja) 疼痛調節因子を含む幹細胞由来エクソソーム及びその用途
KR20030018827A (ko) A형 보툴리눔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차단제,및 이를 이용한 교감신경절 차단의 적응질환 치료제
US20060240118A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strong acid solutions
RU2672564C2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глаз, расстройств 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меланином и аналогами, предшественниками и производными меланина
EA012294B1 (ru) Лечебные средства, приготовленные на основе мёда, их применение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WO2020058889A1 (en) Amino acid derivative of glucosamine stimulating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Reid et al. The surgical treatment of angina pectoris
Kundu et al. Prurigo nodularis in an HIV positive man.
REIN et al. MAPHARSEN IN TREATMENT OF SYPHILIS IN OFFICE PRACTICE: A STUDY BASED ON 2,342 INJECTIONS OF 113 PATIENTS
RU2032409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скрытого эндометрита у коров
Colebunders et al. A non-Hodgkin's lymphoma in patient with HIV-2 infection Non-Hodgkin's lymphoma is well known
Waugh et al. Prefrontal leucotomy for painful phantom limb
Baranowski et al. A review of urogenital pain
Abortivum Medical Glossary
Keskin et al. The Effectiveness of Electro-acupuncture in Ovarian Ischemia Reperfusion Injury
El Mhadi et al. Palpebral jellyfish sting: A case report
KR20240090983A (ko) 신경 복원 촉진에 사용되는 이소로이폴린 및 그 유도체의 용도
RU2128062C1 (ru) Способ эндолимфатического интранодулярного лечеб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JP2003521474A (ja) 慢性発作のための細胞療法
Chopra et al. Cobra Venom in Therapeutics
Kenny et al. Intracapsular lens removal in a Przewalski's wild horse (Equus caballus przewalsk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