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4Y1 -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 Google Patents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4Y1
KR200300174Y1 KR20-2002-0029966U KR20020029966U KR200300174Y1 KR 200300174 Y1 KR200300174 Y1 KR 200300174Y1 KR 20020029966 U KR20020029966 U KR 20020029966U KR 200300174 Y1 KR200300174 Y1 KR 20030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ocket
tip
finger tip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민
Original Assignee
안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민 filed Critical 안기민
Priority to KR20-2002-0029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Glov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면과 하면이 각각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서 수용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엄지를 수용하는 제 1 핑거팁과,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은 개구되어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소정 정도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제 2 핑거팁, 제 3 핑거팁, 제 4 핑거팁 및 제 5 핑거팁과,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노출부위를 삽입하여 덮어 씌우거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손가락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글러브 형태 또는 미튼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 가능하며 교통카드 등과 같이 분실 위험이 높은 작은 물건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A multi functional gloves with a safty pocket}
본 고안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글러브 형태 또는 미튼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카드 등과 같이 분실 위험이 높은 작고 간단한 물건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소지하는 데 적당한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의 보호, 보온 ,수식(修飾), 계급상징 때로는 표지 등의 목적으로 손에 끼는 주머니 모양으로 된 손싸개를 총칭한다.
상기 장갑에는 재료에 따라 가죽장갑, 헝겊장갑, 편물장갑, 고무장갑, 폴리비닐장갑 등의 호칭이 있으며, 특수한 용도를 위해서는 납[鉛]가공장갑이라든지 방화장갑 등도 있다.
또한, 길이에는 가장 일반적인 손목까지의 것과 앞팔 중간까지의 것, 또 팔꿈치에 이르는 것 등, 대략 단(短)·중(中) ·장(長)의 3단계로 나뉘게 된다.
특히, 오늘날 일반인들에게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장갑을 그 형태로써 구분하면 5개의 손가락을 분리해 놓은 글러브(glove)와 엄지만을 분리한 미튼(mitten)으로 대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글러브 형태의 장갑은 각각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어서 작업용으로는 거의 대부분 글러브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손을 보호하면서도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끝단부 일부를 노출시키는 변형된 글러브 형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미튼 형태의 장갑은 흔히 벙어리 장갑으로 불리는 것으로 상기 글러브 형태에 비해 방한용으로 큰 장점을 가지며, 기능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그 모양에 있어서 부담스럽지 않고 아름답기 때문에 특히 여성들로부터 패션을 겸비한 방한용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에, 도 1 은 종래의 미튼 형태의 장갑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갑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 수용하는 몸통부(101)와, 엄지손가락을 수용하는 핑거팁(103)과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한꺼번에 수용하는 손가락 수용부(105)로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장갑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한 공간에 수용하고, 낮은 기온의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방한용으로 특히 유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튼 형태의 장갑은 손가락 수용부(105)에 함께 수용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워 활동성이나 작업 정밀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글러브 형태의 장갑은 종래의 미튼 형태의 장갑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반대로 방한성을 보장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장갑을 착용하게 되면 손의 촉감이 둔하게 되는 관계로 의복 주머니에 물건을 넣고 빼기가 불편함과 동시에 분실되기 쉬운 작은 물건의 경우 분실의 위험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글러브 형태 또는 미튼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카드 등과 같이 분실 위험이 높은 작고간단한 물건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는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미튼 형태의 장갑을 도시한 참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의 사용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4 는 포켓이 구비된 본 고안의 손가락 수용부를 도시한 참조도.
도 5 는 본 고안의 포켓에 교통카드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부 3a, 3b, 3c, 3d, 3e : 핑거팁
5 : 손가락 수용부 9 : 포켓
11a,11b : 밸크로 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은, 상면과 하면이 각각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서 수용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엄지를 수용하는 제 1 핑거팁과,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은 개구되어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소정 정도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제 2 핑거팁, 제 3 핑거팁, 제 4 핑거팁 및 제 5 핑거팁과,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노출부위를 삽입하여 덮어 씌우거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손가락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가락 수용부의 내측에는 외부 방향으로 입구가 형성된 포켓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의 입구는 밸크로 테이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끝단부가 소정 정도 노출되는 글러브 형태(A)로 착용할수 있으며, 방한 기능을 보다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손가락 수용부(5)를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노출 부위에 씌움으로 미튼 형태(B)로 쉽게 전환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내측에는 분실 위험이 높은 작은 물건을 안전하게 소지할 수 있는 포켓이 마련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은 몸통부(1)와, 제 1 핑거팁(3a),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과, 손가락 수용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1)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서 수용한다.
또한, 상기 제 1 핑거팁(3a)은 엄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의 측부에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은 각각 상기 몸통부(1)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이 개구된다.
이로써, 상기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가 각각 소정 정도 노출되게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핑거팁(3e)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가 각각 끝에서 두마디까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등과 손바닥은 보호하면서도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대한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손가락 수용부(5)는 상기 몸통부(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노출부위를 삽입하는 삽입구(5a)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손가락 수용부(5)는 상기 삽입구(5a) 주위의 일부가 상기 몸통부(1) 상면에 재봉되어 결합되며, 이와 같은 구성만으로도 섬유소재인 상기 손가락 수용부(5)는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삽입구(5a)는 상기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삽입구(5a)는 충분한 크기로 신축 가능하도록 소정의 주름을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손가락 수용부(5)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의 개구부로 노출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덮어 씌우면 본 고안은 미튼 형태의 장갑이 되고, 반대로 상기 손가락 수용부(5)를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에서 벗겨내면 다시 글러브 형태의 장갑으로 전환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작업시나 일상활동 중에 직면하게 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 맞춰서 손가락이 보다 자유롭게 되는데 적당한 글러브 형태 또는 외부로부터 손을 보호하고 보온하는 데 적당한 미튼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이 글러브 형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손등 방향으로 돌출되는 본 고안의 손가락 수용부(5)는 다른 사람의 눈에 띄기 쉬워 각종의 캐릭터나 로고 및 문자 등을 새기는 데 적당하여, 대중의 기호에 부합되는 패션 기능까지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내측에는 교통카드, 동전 등과 같은 작은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다.
이에, 도 4 는 포켓이 구비된 본 고안의 손가락 수용부를 도시한 참조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포켓에 교통카드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가락 수용부(5)의 내측에는 포켓(9)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9)은 물건을 넣고 빼기 용이하도록 그 입구가 손가락 수용부(5)의 삽입구(5a) 주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켓(9)은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내측에 하나의 천을 덧댄 상태로 입구를 제외한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마련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이미 완성된 형태의 포켓(9)을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내측에 재봉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켓(9)의 입구 양측에는 상호 대응하여 접합 또는 접합해제 되는 밸크로 테이프(11a,11b)가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포켓(9)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어 평소에 잃어버리기 쉬운 작은 물건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전철 패스나 교통카드(13)를 소지하는 데 적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밸크로 테이프(11a,11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신하여 스냅버튼이나 지퍼와 같은 패스너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의 동작 및 상용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을 착용하기 위하여 한손으로 몸통부(1) 일부를 잡고 다른 한손을 몸통부(1)에 삽입하면, 엄지는 제 1 핑거팁(3a)에 수용되고,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는 각각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는 각각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의 개구된 끝단 밖으로 소정 부위 노출된다.
이로써, 본 고안을 글러브 형태로 착용하게 된 것으로 이때는 손가락을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활동성이 강화되며 세밀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손가락 수용부(5)의 삽입구(5a)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구(5a) 주변에 입구가 형성된 포켓(9)에 동전이나 교통카드(13)와 같은 작은 물건을 담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포켓(9)의 입구를 손가락으로 벌려 밸크로 테이프(11a,11b)의 접합을 해제한 후 물건을 삽입하여 수용하면 된다.
그리고 삽입이 끝나면 분실 방지를 위하여 상기 밸크로 테이프(11a,11b)를 다시 접합시킨다.
이와 같이 분실되기 쉬운 작은 물건을 상기 포켓(9)에 수용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손가락 수용부(5)를 회동시킨 후 상기 손가락 수용부(5)의 삽입구(5a)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핑거팁(3b), 제 3 핑거팁(3c), 제 4 핑거팁(3d) 및 제 5 핑거팁(3e)의 개구된 끝단 밖으로 노출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한꺼번에 수용시키게 되면 본 고안은 미튼 형태의 장갑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손가락 수용부(5)에 의해 글러브 형태에서 미튼 형태로, 미튼 형태에서 글러브 형태로 전한이 가능하며, 상기 손가락 수용부(5)에 구비된 포켓(9)에 의해 분실 위험이 높은 작은 물건을 안전하게 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이 보다 자유롭게 되는데 적당한 글러브 형태 또는 외부로부터 손을 보호하고 보온하는 데 적당한 미튼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나 일상활동 중에 직면하게 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 맞춰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평소에 분실 위험이 높았고, 장갑을 착용하게 되면 손가락이 둔감하게 되어 더욱 분실위험이 높았던 전철 패스, 교통카드, 동전 등과 같은 작고 간단한 물건들을 안전하게 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교통카드를 본 고안의 포켓에 수용하게 되면, 개찰구를 통과할 때마다 옷주머니에서 일일히 교통카드나 교통카드가 포함된 지갑을 꺼내어야 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손등 방향으로 돌출된 본 고안의 손가락 수용부는 다른 사람의 눈에 띄기 쉬워 각종의 캐릭터나 로고 및 문자 등을 새기는 데 적당하여, 대중의 기호에 부합되는 패션 기능까지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상면과 하면이 각각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서 수용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엄지를 수용하는 제 1 핑거팁과;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은 개구되어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소정 정도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제 2 핑거팁, 제 3 핑거팁, 제 4 핑거팁 및 제 5 핑거팁과;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노출부위를 삽입하여 덮어 씌우거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손가락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수용부의 내측에는 외부 방향으로 입구가 형성된 포켓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입구는 밸크로 테이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KR20-2002-0029966U 2002-10-08 2002-10-08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KR20030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966U KR200300174Y1 (ko) 2002-10-08 2002-10-08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966U KR200300174Y1 (ko) 2002-10-08 2002-10-08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Y1 true KR200300174Y1 (ko) 2003-01-10

Family

ID=4932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966U KR200300174Y1 (ko) 2002-10-08 2002-10-08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107A2 (en) * 2010-08-20 2012-02-23 Outdoor Research Incorporated Convertible trigger mitten shell and method of making
WO2013048343A2 (en) * 2011-09-27 2013-04-04 Tan Charmain Seow Fen Mitten / glove combination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r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107A2 (en) * 2010-08-20 2012-02-23 Outdoor Research Incorporated Convertible trigger mitten shell and method of making
WO2012024107A3 (en) * 2010-08-20 2012-06-14 Outdoor Research Incorporated Convertible trigger mitten shell and method of making
WO2013048343A2 (en) * 2011-09-27 2013-04-04 Tan Charmain Seow Fen Mitten / glove combination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rtions
WO2013048343A3 (en) * 2011-09-27 2013-05-23 Tan Charmain Seow Fen Mitten / glove combination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r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136A (en) Hand mounted pocket
US6839911B1 (en) Garment with selectable mittens
US4651350A (en) Work glove
US5815837A (en) Sleeved garment having retractable hand warmers
US20070083979A1 (en) Garment for carrying cell phones and the like
US9386815B2 (en) Multi-function glove
US4785478A (en) Sun glove
US6079049A (en) Combination pair of gloves with housing accessories for replaceably attaching to a garment
JPS63227802A (ja) 手袋
US20120167273A1 (en) Glove With Attached Writing Surface and Writing Utensil
US5140709A (en) Golf glove
US20050102732A1 (en) Five-finger glove permitting wearer's hand to be liberated as it is worn
KR200300174Y1 (ko) 안전포켓 내장 다기능 장갑
KR200388596Y1 (ko) 손가락 부분이 개폐되는 장갑
JP3159402U (ja) 手袋機能付き袖口構造
US4813082A (en) Mitten attachment for a glove with an appendage stowage system
KR20130109637A (ko) 방한 장갑
WO2007072509A2 (en) Reversible glove for uncovering palm and fingers
JPH045Y2 (ko)
KR200333644Y1 (ko) 손등 보호 덮개
JPS644806Y2 (ko)
CN214156323U (zh) 一种手套
KR200304326Y1 (ko) 손목 밴드
JP3071418U (ja) 手カバー
JP3836817B2 (ja) 防寒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