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166A -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166A
KR20030015166A KR1020020061755A KR20020061755A KR20030015166A KR 20030015166 A KR20030015166 A KR 20030015166A KR 1020020061755 A KR1020020061755 A KR 1020020061755A KR 20020061755 A KR20020061755 A KR 20020061755A KR 20030015166 A KR20030015166 A KR 2003001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information
access
entrance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근범
Original Assignee
(주)위즈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즈빌 filed Critical (주)위즈빌
Priority to KR102002006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166A/ko
Publication of KR2003001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장소의 출입권한을 보유한 출입자만이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출입데이타를 근거로 출입자의 근태관리 기능을 보유한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출입통제가 필요한 출입구를 최대 254개까지 관리하는 중앙통제장치와; 비접촉식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채인식기등과 같은 출입자정보추출부와; 비밀번호 입력키패드와; 중앙통제장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출입문을 개폐하고 카메라 및 조명을 구동하는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중앙통제장치와 원격출입제어장치 간에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양방향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타모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Two-Way Wireless Entran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출입권한을 보유한 출입자만이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출입기록을 근거로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양방양 무선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빈번히 발생하는 정보유출, 범죄예방을 위하여 출입이 많은 장소에는 출입통제장치의 설치가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출입통제장치의 동작은 출입권한이 있는 출입자가 소유한 비접촉식카드, 출입자의 지문, 홍채등의 정보가 유선으로 중앙통제장치로 전달된 후 상기 정보가 중앙통제장치에 기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출입을 허용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출입자통제장치는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중앙통제장치간에 유선으로만 연결되어 중앙통제장치와 원격출입제어장치간에 정보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을 관통해서 유선포설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다수개의 출입문을 통제하여 할 경우에 유선포설에 따르는 문제점은 출입통제장치 보편화에 큰 장애가 되어 왔다.
또한 유선을 기반으로 하는 출입통제장치는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중앙통제장치 간의 거리가 15미터 이상일 경우 RS232C신호를 RS422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장치를 사용하여 거리를 확장해야만 했다.
그리고 현재 양방향 무선모뎀기술을 채택하여 개발된 출입통제기술은 구현되지 않고 있어 상기 문제점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기반출입통제장치에서 발생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중앙통제장치간에 주파수 사용허가가 필요치 않는 산업/과학/의학(ISM)용 400MHz 대역 양방향무선기술을 채택하여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을 양방향무선으로 전달하여 유선포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출입제어장치에 카메라 및 이미지압축부을 구현하여 출입이 허용된 경우에 한해서 출입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고, 출입이 허용된 출입자 정보와 결합하여 저장장치에 보관함으로써 실제 출입권한이 있는 사람이 출입하였는 가를 확인함으로써 카드도용등을 포함한 거짓정보로 출입한 사람을 확인할 수 있어 출입통제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의 원격출입제어장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의 중앙통제장치 믈러도
도 4는 본 발명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의 적용블럭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통제가 필요한 장소에서 다수의 출입문을 통제하는 중앙통제장치와; 출입자정보추출, 출입자 화상, 출입문 개패상태를 추출하고, 중앙통제장치의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출입문, 조명을 처리하는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원격출입제어장치와 중앙통제장치간에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양방향으로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타모뎀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양방향무선출입통제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의 원격출입제어장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양방향무선출입통제장치의 중앙통제장치 블럭도로서,
출입통제가 필요한 장소에서 다수의 출입문을 통제하는 중앙통제장치(100)와; 상기 중앙통제장치(100)와 무선으로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주고받아 출입문을 개폐하는 원격출입제어장치(200); 상기 중앙통제장치(100)와 원격출입제어장치(200)간에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양방향으로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중앙통제장치(100)룰 구성하는 무선데이타모뎀(101)과 안테나(102) 및 원격출입제어장치(200)을 구성하는 무선데이타모뎀(201)과 안테나(202)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통제장치(100)는 원격출입제어장치(200)로 부터 수신받은 출입자정보를 처리하고 관련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3)와; 출입자정보와 관련제어신호를 원격출입제어장치(200)간에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타모뎀(101) 및 안테나(102)와; 출입이 가능한 출입자정보와 출입허용결과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04)와; 출입자정보와 출입허용상황을 인터넷으로도 접근가능하게 하기위한 LAN카드(105)와; 출입자정보와 출입허용상태를 관리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모니터(106)와; 출입자정보와 출입허용상태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107)와; 출입자정보와 출입허용상태의 정보량이 많을 경우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108)로 구성된다.
상기 원격출입제어장치(200)는 중앙통제장치(100)로 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와 출입자정보추출부(206)로 부터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3)와; 출입자정보신호를 중앙통제장치(100)로 송신하고 중앙통제장치(100)로 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데이타모뎀(201) 및 안테나(202)와; 출입자에게 출입허용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스피커(2024)와; 카드분실등 허용된 출입방식을 사용하지 못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출입문을 구동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205)와; 비접촉식카드(300), 지문, 홍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출입자정보추출부(206)와; 출입이 허용되었을 경우 출입자의 화상을 포착하기 위한 카메라(207) 및 이미지압축부(208)와; 출입자의 출입과정 안내용도로 사용하는 LED구동부(209) 및 LED(210)와; 출입문개폐센서(600)와 연동하여 출입문개폐상태를 마이크로프로세서(203)에게 알려주는 출입문개폐상태감지부(211)와; 야간에 카메라(207)가 화상을 포착하는데 필요한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400)를 구동하는조명장치구동부(212)와; 처음 방문하는 출입자가 출입의사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호출버튼구동부(214) 및 호출버튼(215)과; 출입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 출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출입문개폐장치(500)와 연동하는 출입문개폐구동부(216)로 구성된다.
이때 중앙통제장치(100)을 구성하는 무선데이타모뎀(101) 및 안테나(102)와; 원격출입제어장치(200)을 구성하는 무선데이타모뎀(201)및 안테나(202)는 기구제작의 필요성에 따라 중앙통제장치(100)와 원격출입제어장치(200)안에 구현할 수 도 있고, RS232C 혹은 USB를 이용하여 중앙통제장치(100) 및 원격출입제어장치(200)와 분리되어 구현 가능하다.
상기 원격출입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3)는 무선데이타모뎀(201)의 주소지정이 가능하고, 중앙통제장치(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3)는 무선데이타모뎀(103)의 주소지정이 가능하여,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에 주소정보를 삽입함으로써 무선으로 전달되어 오는 주소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만 원격출입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3)와 중앙통제장치(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3)는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그 결과 하나의 중앙통제장치(100)가 최대 254개의 원격출입제어장치(200)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원격출입제어장치(200)는 제어할려는 출입문에 설치되고 원격출입제어장치(200)를 관리하는 중앙통제장치(100)는 최대 1Km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출입권한을 보유한 출입자가 비접촉식카드(300), 지문 혹은 홍채인식정보가 출입자정보추출부(206)에 입력되면 원격출입제어장치(200)는 출입자의 정보를 기 지정된 원격출입제어장치(200)의 고유주소와 함께 무선으로 중앙통제장치(100)로 송신한다. 상기 중앙통제장치(100)는 원격출입제어장치(200)에서 전송되어온 무선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정보와 주소정보로 분리하고 출입자정보와 저장장치(104)에 등록된 출입자정보와 비교한 후 일치하면 출입개방신호와 전송되어온 무선신호에서 분석된 주소정보를 결합하여 원격출입제어장치(200)로 무선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매체인 무선의 특성상 다수개의 원격출입제어장치(200)가 모두 중앙통제장치(100)에서 보내어지는 출입개방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각각의 원격출입제어장치(200)는 고유의 주소를 갖고 있어 수신신 무선신호 안의 주소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원격출입제어장치(200)들은 수신한 출입개방제어신호를 폐기한다.
따라서 중앙통제장치(100)에서 무선으로 전송되어온 주소정보와 일치하는 주소의 원격출입제어장치(200)만이 출입개방신호를 받아들여 출입문개폐장치(500)와; 조명장치(400); 카메라(207)를 구동시키고, 출입문 개폐센서(600)로 부터 들어온 출입문 개폐상태를 중앙통제장치(10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문들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원격출입제어장치와 하나의 중앙통제장치간에 출입자정보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 양방향 무선모뎀기술로 처리하므로써, 현재 출입보안통제시스템이 채택하고 있는 유선포설의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출입이 허용된 사람의 이미지를 촬영 및 압축하여출입자의 정보와 결합하여 저장하므로써 진정한 권한을 가진 사람만이 출입하였는가를 판명할 수 있어 특정장소의 출입통제 기능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Claims (3)

  1. 특정장소에서 다수개의 원격출입제어장치를 관리하는 중앙통제장치와; 다수개의 출입문에 부착되어 출입권한이 있는 출입자의 비접촉식카드, 지문, 홍채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고 처리결과에 따라 출입문, 조명, 카메라, 출입문개폐장치를 구동하는 원격출입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 중앙통제장치와 다수의 원격출입제어장치간에 출입자정보와 제어신호를 전달하기위하여 중앙통제장치와 원격출입제어장치에 구현된 양방향 무선데이타모뎀과 안테나
  3. 제 1항에 있어서 출입자정보와 출입허용된 출입자의 얼굴화상을 결합시키기 위한것으로 원격출입제어장치에 구현된 카메라와 이미지압축부
KR1020020061755A 2002-10-10 2002-10-10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KR20030015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55A KR20030015166A (ko) 2002-10-10 2002-10-10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55A KR20030015166A (ko) 2002-10-10 2002-10-10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166A true KR20030015166A (ko) 2003-02-20

Family

ID=2772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55A KR20030015166A (ko) 2002-10-10 2002-10-10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16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360B1 (ko) * 2006-01-23 2008-01-17 (주)씨아이피시스템 얼굴인식에 의한 본인 여부의 판단방법
KR100966696B1 (ko) * 2008-02-05 2010-06-29 신운철 도로 인상방법
KR101011212B1 (ko) * 2008-09-22 2011-01-26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011211B1 (ko) * 2008-09-22 2011-01-26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053474B1 (ko) * 2008-09-22 2011-08-03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053475B1 (ko) * 2008-09-22 2011-08-03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360B1 (ko) * 2006-01-23 2008-01-17 (주)씨아이피시스템 얼굴인식에 의한 본인 여부의 판단방법
KR100966696B1 (ko) * 2008-02-05 2010-06-29 신운철 도로 인상방법
KR101011212B1 (ko) * 2008-09-22 2011-01-26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011211B1 (ko) * 2008-09-22 2011-01-26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053474B1 (ko) * 2008-09-22 2011-08-03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053475B1 (ko) * 2008-09-22 2011-08-03 서울 아이디 시스템(주)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57879U (zh) 小区智能化安防监控系统
WO2014081223A1 (ko) 원격으로 개폐 제어가 가능한 홈 도어 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5885B1 (ko) 비디오 도어폰과 연동된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N203366408U (zh) 一种基于fpga控制芯片功能应用的多功能门禁
KR20190107867A (ko)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CN101174337A (zh) 基于人脸识别的监控装置及嵌入式门禁监控系统
WO2012030077A2 (ko)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된 출입문 지문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134228B1 (en) Point-to-point visual communications i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JP2004360200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KR20210025909A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20030015166A (ko)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RU2321068C1 (ru) Способ видео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KR20100092642A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0787005B1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KR101979340B1 (ko) 스마트글라스와 위치센서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IoT 시건장치
KR100596690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20210008763A (ko) IoT를 이용한 옥상문 자동개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20200044223A (ko) Iot기반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안심 서비스시스템
KR20090087862A (ko) 사무실용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210133848A (ko)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