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873A -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873A
KR20030014873A KR1020010048759A KR20010048759A KR20030014873A KR 20030014873 A KR20030014873 A KR 20030014873A KR 1020010048759 A KR1020010048759 A KR 1020010048759A KR 20010048759 A KR20010048759 A KR 20010048759A KR 20030014873 A KR20030014873 A KR 2003001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full
speakerphone
duplex
full du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642B1 (ko
Inventor
조무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6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통화방식으로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를 기본적으로 내장하며, 전이중 통화방식으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이 착탈가능한 디지털 전화기에서 송수화 음성신호를 선택된 스피커폰 모드에 따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 감지시 상기 스피커폰 모드를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 설정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가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이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SPEAKER PHONE APPARATUS AND METHOD IN DIGITAL TELEPHONE}
본 발명은 디지털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전화기에서 반이중 스피커폰 기능 및 전이중 스피커폰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은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키폰전화기를 예로들어 설명할 것이다.
상기 디지털 키폰전화기는 사업자용 통신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스피커폰 통화기능이 있다. 상기 스피커폰 통화기능은 본인이 말을 할 때 상대방의 수신음이 차단되고, 상대방이 말을 할때 본인의 말이 차단되는 반이중 스피커폰(Half Duplex Speaker Phone) 방식과 송화자와 수화자의 음성이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전이중(Full Duplex) 스피커폰 방식이 있다. 기능에 있어서, 단연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방식이 우수하지만, 재료비 부담이 매우 커서 가격측면에서 사용자들에게는 부담이 된다.
따라서, 기존 대부분이 디지털 키폰 전화기는 가격 경쟁력을 갖기 위해 반이중 스피커폰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피커폰 사용시 보다 자연스런 대화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전화기에서 반이중 스피커폰 기능과 전이중 스피커폰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전화기에서 별도로 구현된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 및 분리할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반이중 통화방식으로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를 기본적으로 내장하며, 전이중 통화방식으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이 착탈가능한 디지털 전화기에서 송수화 음성신호를 선택된 스피커폰 모드에 따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 감지시 상기 스피커폰 모드를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 설정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가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이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 장착시 수행되는 제어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디지털 전화기를 기본적으로 반이중 스피커폰 방식을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별도의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을 구성하여,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을 선택적으로 디지털 전화기에 장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반이중 스피커폰 방식(또는 반이중 통화방식) 및 전이중 스피커폰 방식(또는 전이중 통화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Central Processing Unit)100은 디지털 전화기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부140을 통해 입력되는 시그널링 채널(D채널)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본 발명에 따라 핸드세트180을 이용한 통화, 반이중 스피커폰 통화 및 전이중 스피커폰 통화에 따라 스위칭부160을 제어한다. 메모리11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디지털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무선전화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알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key pad)120은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키신호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디지털 전화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은 주장치와 PCM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40은 수신되는 채널들중 시그널링 채널(D채널)을 분리하여 상기 제어부100으로 제공하고, 트래픽 채널(B채널)은 음성신호처리부15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은 디지털 키폰전화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반이중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은 상기 통신부140으로부터의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은 A/D변환기능은 물론, 측음이나 신호의 주파수 특성 조정, 음성 레벨 등 게인 조정 등을 수행한다. 한편, 스피커폰 통화시 스피커200의 송출레벨 및 마이크로폰190으로부터의 수신레벨을 감시하여 송수화의 전환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부160은 내부에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스위치들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기본적으로, 송수신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에서 처리되도록 하고,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 장착시 송수신 음성신호가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에서 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은 착탈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송화자의 음성과 수화자의 음성을 동시에 처리하여 양질의 스피커폰 기능을 지원한다.
도 2는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은 커넥터201, 두 개의 코덱(202, 203)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 204로 구성된다. 한편, 이하 설명은 스피커폰 통화시의 처리동작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201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 및 상기 스위칭부160과 아날로그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코덱(CODEC)202는 상기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DSP204의 내부계산에 사용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PS204로 출력하고, 상기 DSP204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0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코덱202는 예를들어, 상기 마이크로폰19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송화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SP204로 제공하고, 상기 DSP204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수화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01 및 상기 스위칭부160을 통해 상기 스피커200으로 제공한다.
제2코덱203 또한 상기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DSP204의 내부계산에 사용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PS204로 출력하고, 상기 DSP204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0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코덱203은 예를들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수화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SP204로 제공하고, 상기 DSP204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송화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01 및 상기 스위칭부160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으로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기(DSP)204는 상기 제1코덱202 및 제2코덱203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가지고 소정 계산을 수행하여 음량 레벨, 측음 레벨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에코(echo)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신호처리기204는 상기 제1코덱202로부터 입력되는 송화레벨 및 상기 제2코덱203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화레벨 감시하여 송수화의 전환을 행한다. 한편, 상기 코덱(202, 203)을 상기 DSP204의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의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은 핸드세트에 의한 통화 및 스피커폰에 의한 통화를 구별 없이 동일하게 처리하므로, 이하 설명은 스피커폰 통화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우선, 송화인 경우를 살펴보면, 마이크로폰190을 통해 입력되는 송화 음성신호는 스위칭부160을 통해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으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폰190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 내부의 소정 증폭기를 경유하여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커넥터201은 상기 마이크로폰19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송화신호를 상기 제1코덱202로 넘겨준다. 상기 제1코덱202는 상기 커넥터201로부터의 아날로그 송화신호를 상기 DSP204의 내부계산에 사용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DSP204는 상기 제1코덱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를 가지고 소정 계산을 수행하여 레벨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정한 후 제2코덱203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DSP204는 각종 조정을 행한 디지털 송화신호를 상기와 같이 제2코덱203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코덱202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것은 구현상의 문제이다. 이후, 상기 제2코덱203은 상기 DSP204로부터의 디지털 송화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01을 통해 스위칭부16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부160은 상기 아날로그 송화신호를 음성신호처리부150으로 제공하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은 상기 아날로그 송화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140으로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통신부140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으로부터의 PCM 데이터를 소정 전송규격으로 변환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한다.
다음으로, 수화인 경우를 살펴보면, 음성신호처리부150은 전송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수화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부160으로 제공하고, 상기 스위칭부160은 상기 아날로그 수화신호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모듈17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음성신호처리부150으로부터의 상기 아날로그 수화신호는 바로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커넥터201은 상기 스위칭부160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수화신호를 제2코덱203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코덱203은 상기 아날로그 수화신호를 상기 DSP204의 내부계산에 사용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DSP204는 상기 제2코덱203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신호를 가지고 소정 계산을 수행하여 레벨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정한 후 제1코덱202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1코덱202는 상기 DSP204로부터의 디지털 수화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01을 통해 스위칭부16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부160은 상기 아날로그로 변환된 수화신호를 소정 증폭기를 통해 상기 스피커200으로 송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 장착시 수행되는 제어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이 장착되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의 장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3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폰 모드를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315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폰 모드를 반이중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송화신호 및 수화신호가 상기 장착된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170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160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진입한다. 한편, 상기 반이중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송화신호 및 수화신호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160을 제어한 후 상기 3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폰 통화시 반이중 스피커폰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술한 절차는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 장착을 검사하여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60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 디지털 전화기는 기본적으로 반이중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가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여 모드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을 구현하여,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듈을 장착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가격측면에서도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전이중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우수한 품질의 스피커폰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디지털 전화기에 있어서,
    반이중 통화 방식으로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착탈가능하며, 전이중 통화방식으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피커폰 모드에 따라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혹은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은 디지털신호처리기(DS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반이중 통화방식으로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를 기본적으로 내장하며, 전이중 통화방식으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이 착탈가능한 디지털 전화기에서, 송수화 음성신호를 선택된 스피커폰모드에 따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 감지시 상기 스피커폰 모드를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드 설정시,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가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전이중 스피커폰 모듈이 상기 송수화 음성신호를 상기 전이중 통화방식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48759A 2001-08-13 2001-08-13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10075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59A KR100754642B1 (ko) 2001-08-13 2001-08-13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59A KR100754642B1 (ko) 2001-08-13 2001-08-13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873A true KR20030014873A (ko) 2003-02-20
KR100754642B1 KR100754642B1 (ko) 2007-09-05

Family

ID=2771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759A KR100754642B1 (ko) 2001-08-13 2001-08-13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00B1 (ko) * 2005-10-24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에코 신호 제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324B2 (ja) * 1994-07-26 2003-11-17 富士通株式会社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送・受信制御方式
KR19990054369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디지털폰에서 핸드셋 라인을 이용한 전이중 스피커폰장치
KR19990040707U (ko) * 1998-05-06 1999-12-06 김남중 스피커폰 통화시스템의 송수화절환장치
US6973179B1 (en) * 1998-09-11 2005-12-06 Agere Systems Inc. Pocket speaker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00B1 (ko) * 2005-10-24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에코 신호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642B1 (ko)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724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system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KR20030026429A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754642B1 (ko)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20010053675A (ko) 이동 전화기에서 다수의 무선 이어폰을 사용한 멀티 통화장치 및 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19990024488A (ko) 차량 전화기의 핸즈 프리 장치
KR20020057084A (ko) 통화 기능을 구비한 사운드 카드
JPH03213022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168870Y1 (ko) 오디오 청취 및 전화기능을 갖는 다기능 키보드
EP1128645B1 (en) Intelligent incoming call management during cordless intercom mode
KR100270163B1 (ko) 전화기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인터폰을 구비한유/무선 송수신장치
KR20010018355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모드 수동전환방법
JP2658698B2 (ja) 電話装置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JP2004147266A (ja) 電話機用ブルートゥースアダプタ
KR200249936Y1 (ko)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휴대폰장치
JPH042945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付きファクシミリ
KR0148893B1 (ko) 무선 전화기의 발신음 송출방법
KR100703515B1 (ko) 단방향 스피커폰 통화용 코덱을 이용한 양방향 스피커폰통화 장치 및 방법
JPH04286443A (ja) 電話機の保留制御装置
KR20010009102A (ko) 무선전화기의 스피커폰 구현방법
JPH0213596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