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512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512A
KR20030014512A KR1020010048541A KR20010048541A KR20030014512A KR 20030014512 A KR20030014512 A KR 20030014512A KR 1020010048541 A KR1020010048541 A KR 1020010048541A KR 20010048541 A KR20010048541 A KR 20010048541A KR 20030014512 A KR20030014512 A KR 2003001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low power
power mode
emergency ca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902B1 (ko
Inventor
이광천
서민식
윤철식
김민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4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9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비상호 처리와 관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비상호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전력의 보존을 위해, 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량에 따라서 단말기 동작 방식과 기지국이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식을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며, 단말기의 전원이 정상상태로 회복되었을 때 단말기 및 기지국의 동작 방식을 시그널링을 통해 정상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로 전환하여 저전력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저전력 모드 동작을 수행 중에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로 변환하여 정상호에 대한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대한 호 접속만을 허용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Management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전력량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여 보다 많은 시간 동안 비상호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성능 및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서 통화 중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단말기가 통화 대기 중인 상태에서 저전력 모드(슬롯 모드 기법, 슈퍼 페이징 기법 등)로 동작하도록 설계하여,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대기하는 시간 동안 전원 소비를 절약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제어 기법이나 슬롯 모드와 같은 저전력 기법은 비상호를 위한 별도의 전력 관리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단말기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 중에도 기지국으로부터 요청되는 호에 무조건적으로 통화가 시도되며, 또한, 단말기 자체에서도 사용자가 비상호가 아닌 일반 호 설정 요청에 따른 통화가 제한 없이 이루어져, 결국 비상시에 통화를 해야 할 경우에 배터리의 소비로 인해 통화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비상호 처리와 관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비상호 통화를 위한 전력의 보존을 위해, 단말기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 이하가 될 때, 단말기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며, 저전력 모드로 동작중인 단말기가 전원의 잔류 전력량을 확인하여 미리 정한 임계치 이상이 되었을 때, 단말기가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저전력 모드 해제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지국에서 송신함으로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고, 정상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로 전환하여 저전력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저전력 모드 동작을 수행 중에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로 변환하여 정상호에 대한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대한 호 접속만을 허용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장치에 적용되는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신한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저전력 확인 메시지에 포함하여 저전력 모드를 요청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단말기로부터 비상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비상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설정된 저전력 모드에 따른 저전력 파라메터로 단말기와의 비상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단말기로부터 일반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일반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이를 무시하고 일반호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제 3 단계;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일반호에 대해 호 시도가 가능한 상태로 파라메터를 전환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비상호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에,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파라메터에 의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기능; 상기 전환된 저전력 모드중에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로 변환하여 정상호에 대한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 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대한 호 접속만을 수행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호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력 관리 장치에, 수신한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저전력 확인 메시지에 포함하여 저전력모드를 요청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단말기로부터 비상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비상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설정된 저전력 모드에 따른 저전력 파라메터로 단말기와의 비상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2 기능; 단말기로부터 일반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일반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이를 무시하고 일반호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제 3 기능;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기능; 상기 제 4 기능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5 기능; 및 상기 제 4 기능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일반호에 대해 호 시도가 가능한 상태로 파라메터를 전환하는 제 6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술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에 대한 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구성도는 무선 단말기(100), 무선 통신망(120) 및 기지국(150)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배터리의 전력량을 측정하며, 베터리의 잔류 전력량에 따라 저전력 모드 또는 정상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저전력 모드 동작으로 결정될 경우 저전력 모드 동작 요청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기지국(150)에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150)으로부터의 확인메시지를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한다.
상기 기지국(150)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된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저전력 모드에 따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무선 단말기(100)에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내부의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줄어들면 기지국(150)에 저전력 모드 동작을 보고하며, 상기 기지국(150)으로부터 확인을 받은 후 저전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부터 상기 기지국(150)은 해당 무선 단말기(100)에 일반호의 호출을 시도하지 않으며, 비상호에 대해서만 단말기를 호출하게 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100)도 기지국(150)의 일반 호출에 대한 응답은 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일반 호 시도에 대해서도 통화를 거절하고, 단지 사용자의 비상호 시도에 대해서만 호 설정을 허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면 기지국(150)에 저전력 모드의 해제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며, 기지국(150)에서의 호출 및 사용자의 일반호 시도에 대한 처리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초기화를 통해 전원 임계치를 설정하고(201),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측정한다(202). 이때, 측정한 배터리의 전력 잔류량(Vm)이 임계치(Vth)이하 인지를 판단한다(203).
상기 과정(203)에서 판단 결과, 측정한 배터리의 전력 잔류량이 임계치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202)으로 복귀하여 전력 잔류량 모니터링 루프를 반복 수행하며, 이 때 호 처리는 정상 상태로 진행된다.
상기 과정(203)에서 판단 결과, 측정한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이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는 기지국으로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204). 이후, 저전력 모드 전환 요청에 따른 전송 메시지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저전력 모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205).
상기 과정(205)에서 판단 결과, 기지국으로부터 저전력 모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수신 여부를 판단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저전력 모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에는, 이 수신된 저전력 모드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저전력 파라메터에 의해 단말기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킨다(206).
여기서, 저전력 파라메터란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파라메터 및 비상호 접속을 용이하고 통화 시 양질의 통화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는 파라메터를 포함한다. 전자의 파라메터는 단말기가 기지국의 호출을 기다리는 유휴 상태에서 호출에 대한 감시에 소요되는 소비 전력을 적게 하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파라메터로써,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단말기의 상태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보고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고 주기는 기지국에서 할당하는 파라메터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이러한 파라메터를 비상호와 관련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가능하면 그 시도를 하지 않도록 파라메터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비상호와 관련되지 않는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주기적 상태 보고를 하도록 하는 파라메터의 주기 등이 포함된다.
후자의 파라메터는 비상호 설정이 잘 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이다. 여기서, 비상호는 일반호 보다 호 접속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이와 관련되어 단말기가 호 시도를 할 때 단말기의 호시도 확률 파라메터(Persistence Test에 사용되는) 및 단말기 송신전력 관련 파라메터(Access Channel Power)등 단말기가 용이하게 호 접속을 하도록 하는 파라메터 등이 포함되게 된다.
또한, 저전력 모드로 동작중인 단말기는 저전력 모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상호 이외의 일반 호를 시도할 때에는 일반호의 시도를 무시함으로써 비상호 처리 위한 전원을 보호한다. 또한 비상호를 제외한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은 단말기에서 무시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단말기에 비상호를 제외한 호에 대해서는 호출을 시도하지 않아서,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줄임으로 비상호의 처리 가능 시간이 길어지도록 한다.
이후, 단말기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면서도 계속적으로 일정 주기에 한번씩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면서(207), 잔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전력 이상인지를 판단한다(208).
상기 과정(208)에서 판단한 결과, 잔류 전력량이 임계 전력을 이상으로 회복 될 경우에는 정상 동작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해당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저전력 모드에서 정상적인 모드로 변환한 후(209), 계속적으로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202)으로 복귀하여 잔류 전력량의 모니터링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과정(208)에서 판단한 결과, 잔류 전력량이 임계 전력을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는 유휴 상태(210)로 들어가, 사용자의 호시도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이 있는지를 판단한다(211).
상기 과정(211)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 사용자의 호 시도가 있을 경우에는 단말기에서 시도한 호가 비상호인지를 판단한다(212).
상기 과정(212)에서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의 호 시도가 비상호일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용의 비상호 관련 파라메터를 사용하여 비상호 시도를 망측으로 요청하며, 호처리 절차에 따라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며, 설정된 호를 통하여 통화를 진행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213).
상기 과정(212)에서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의 호 시도가 비상호가 아닐 경우, 즉 일반호 시도일 경우에는 비상호를 위한 전원의 보호를 위해 호 시도를 무시하고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과정(211)에서 판단한 결과, 망측에서 호출이 있을 경우 비상호 인지를 판단한다(214).
상기 과정(214)에서 판단 결과, 비상호로 호출이 있을 경우에는 단말기는 호출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고, 비상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비상호 통화를 수행하고(215), 통화가 완료되면 본 루프를 종료하여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과정(214)에서 판단 결과, 호출된 호가 비상호가 아닐 경우에는, 단말기는 망측에서의 호출에 응답하지 않고, 호출을 무시하고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 과정(211)에서 판단한 결과, 호 시도가 없는 경우에는 과정(207)으로 진행하여 계속적으로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면서 루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 비상 호 처리시의 망측에서의 처리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측의 기지국은 유휴 상태(300)에서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301).
상기 과정(301)에서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에는 기지국은 단말기를 저전력 모드로 운용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302).
여기서, 상기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를 최대로 설정하고, 주기적 보고가 필요한 파라메터를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단말기 비상호 시도 관련 파라메터를 호 설정 확률 최대값으로 설정하며, 단말기 비상호 설정 송신 신호세기를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파라메터를 저전력 모드 확인 메시지에 넣어서 단말기로 송신하고(303), 해당 단말기에 대해서는 저전력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유휴 상태(300)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과정(301)에서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304).
상기 과정(304)에서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에는 기지국은 해당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던 저전력 모드 동작 파라메터를 정상 모드로 환원하고(305), 본 루프를 종료하여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과정(304)에서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의 호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306).
상기 과정(306)에서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의 호출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현재 호출을 요청한 호가 비상호인지를 판단하고(307), 요청한 호가 비상호이면 단말기를 비상호로 호출하고(308), 비상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비상호 통화를 마친 후(309), 본 루프를 종료하여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과정(307)에서 판단 결과, 호출된 호가 비상호가 아닐 경우, 기지국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를 호출하지 않고 본 루프를 종료하여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과정(306)에서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의 호출 요청이 없을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비상호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310).
상기 과정(310)에서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비상호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기지국은 비상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비상호 통화를마친 후(311), 본 루프를 종료하여 유휴 상태로 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전력량이 일정량 이하로 될 때, 단말기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켜서 비상호에 의한 호 접속만을 시도함으로써 비상호 통화 가능 시간을 늘리며, 비상호 통화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로 전환하여 저전력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저전력 모드 동작을 수행 중에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로 변환하여 정상호에 대한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대한 호 접속만을 허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는,
    단말기가 기지국의 호출을 기다리는 유휴 상태에서 호출에 대한 감시에 소요되는 소비 전력이 적도록 전환하는 파라메터,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주기를 소비전력이 적도록 하는 파마메터, 단말기 비상호 시도에 관련한 호 설정 확률이 높은 상태로 하는 파라메터 및 비상호의 통화 품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송신 신호를 최대로 설정하는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는,
    사용자로부터의 비상호 시도를 기지국 측으로 요청하여 비상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망측으로부터 비상호 접속을 요청 받아 해당 호를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장치에 적용되는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신한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저전력 확인 메시지에 포함하여저전력 모드를 요청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단말기로부터 비상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비상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설정된 저전력 모드에 따른 저전력 파라메터로 단말기와의 비상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단말기로부터 일반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일반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이를 무시하고 일반호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제 3 단계;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일반호에 대해 호 시도가 가능한 상태로 파라메터를 전환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 방법
  5. 비상호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에,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파라메터에 의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기능;
    상기 전환된 저전력 모드중에 배터리의 잔류 전력량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 될 경우 망측과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로 변환하여 정상호에 대한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으로 회복 되지 않을 경우 비상호에 대한 호 접속만을 수행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비상호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력 관리 장치에,
    수신한 저전력 모드 전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저전력 모드 파라메터를 저전력 확인 메시지에 포함하여 저전력 모드를 요청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단말기로부터 비상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비상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설정된 저전력 모드에 따른 저전력 파라메터로 단말기와의 비상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2 기능;
    단말기로부터 일반호 요청이 있거나, 망으로부터 일반호 호출 요청이 있을 때, 이를 무시하고 일반호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제 3 기능;
    단말기로부터 저전력 모드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기능;
    상기 제 4 기능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지않을 경우 비상호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는 제 5 기능; 및
    상기 제 4 기능의 판단 결과, 저전력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일반호에 대해 호 시도가 가능한 상태로 파라메터를 전환하는 제 6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48541A 2001-08-11 2001-08-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KR10041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41A KR100411902B1 (ko) 2001-08-11 2001-08-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41A KR100411902B1 (ko) 2001-08-11 2001-08-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12A true KR20030014512A (ko) 2003-02-19
KR100411902B1 KR100411902B1 (ko) 2003-12-24

Family

ID=2771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541A KR100411902B1 (ko) 2001-08-11 2001-08-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9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567A (ko) * 2003-10-16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705442B1 (ko) * 2004-12-23 2007-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슬립모드 방법 및 슬립모드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101115998B1 (ko) * 2005-03-30 2012-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상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KR20190111519A (ko) * 2018-03-23 2019-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상 이동 통신 시스템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908B1 (ko) * 2018-04-16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66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긴급상황호 처리를 위한 배터리 시스템 및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567A (ko) * 2003-10-16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705442B1 (ko) * 2004-12-23 2007-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슬립모드 방법 및 슬립모드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101115998B1 (ko) * 2005-03-30 2012-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상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KR20190111519A (ko) * 2018-03-23 2019-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상 이동 통신 시스템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902B1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4980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для сохранения мощности аккумулятор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4307554B2 (ja) ディスパッチシステム内の遠隔装置の電力を保存する方法および機器
CN103181225B (zh) 无线客户终端功率节省及系统等待时间减少的方法和装置
US20030144042A1 (en) Negotiation of position information during low battery life
EP21586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6279577A (ja) デュアルモード通信方法およびデュアルモード通信端末
AU2005239953A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20130138987A1 (en) Method for entering idle mode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WO2007107117A1 (fr)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pour la gestion de mobilité de dispositif utilisateur
KR101208271B1 (ko) 셀룰라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저전력 소모 동작 방법
CN100588294C (zh) 用于可靠解码快速寻呼信道的方法、系统和移动站
KR100628115B1 (ko) 이동 단말기의 절전 방법
US8804541B2 (en) Method for managing mobile radio resources for package receiving enhancement
KR10026585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셀간핸드오프호처리방법
KR1004119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상호 처리를 위한 전력 관리방법
KR20010053847A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중 배터리 교체 방법
CN102573018B (zh) 一种移动终端省电的方法及其装置
WO2006037377A1 (en) User terminal power resource management
KR100254804B1 (ko) 순방향 전력 소모를 고려한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의 호수락및 핸드오프 방법
KR20060059145A (ko) 무선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1084125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전력소모방지모드에서의 하향트래픽 알림 방법
KR20090079013A (ko) 이동단말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수면 모드 동작방법
KR20010103975A (ko) 지역무선망 통신 시스템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FI100936B (fi) Menetelmä muodostetun yhteyden säilyttä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 ssä matkaviestimen paristonvaihdon aikana
KR10078937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출 그룹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