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050A -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050A
KR20030014050A KR1020010048388A KR20010048388A KR20030014050A KR 20030014050 A KR20030014050 A KR 20030014050A KR 1020010048388 A KR1020010048388 A KR 1020010048388A KR 20010048388 A KR20010048388 A KR 20010048388A KR 20030014050 A KR20030014050 A KR 2003001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data
bluetooth module
signal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세
Original Assignee
(주)레터스테크놀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터스테크놀리지 filed Critical (주)레터스테크놀리지
Priority to KR102001004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4050A/ko
Publication of KR2003001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의 종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전력레벨로 신호를 분기시키는 방향성 결합기;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분기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거쳐서 출력되는 실시간 분기신호의 전력레벨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연산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발생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의 HCI 패킷 교환을 통해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으며, 중계모듈 측 블루투스 모듈과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탑재되는 콘트롤러;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며 중계모듈 측의 블루투스 모듈과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RF송수신부; 및 상기 RF송수신부에서 송신가능하도록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변경하며, 상기 RF송수신부에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HCI에 적합한 데이터가 되도록 포맷 변경처리를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가지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repeater using Bluetooth}
본 발명은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용 중계기 종단 전력신호 레벨의 변화를 감지한 후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관제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중계기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셀룰러폰이나 PCS폰, PDA 등 각종 모바일 단말기가 생활필수품으로서 자리메김되면서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을 비롯하여 전파 음영구역 해소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송출하는 각종 중계기의 트래픽(Traffic)이 증가하여 혼선이나 호(Call)접속이 단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두절 사태는 시스템상의 오류 뿐만 아니라 악천후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전파 진행로 상의 매질이 변화하여 야기되는 페이딩(fading)에 의해서도야기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 단말기 자체의 오류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관계로 통신장애시 그 원인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통신장애 발생시 관제국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하는 중계기 시스템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관계자가 직접 찾아가서 검침을 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것이 사실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중계기의 종단 전력신호를 감지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관제국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중계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게 되는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의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비교기를 구성하는 논리회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계기에 장착되는 호스트와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계모듈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중계기 1a: 호스트 2: 관제국
2a: 중계모듈 2b: 전송회선 3: 증폭부
4: 방향성 결합기 5: A/D컨버터 6: 메모리
7: 중앙처리부 10,20: 블루투스 모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계기의 종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전력레벨로 신호를 분기시키는 방향성 결합기;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분기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거쳐서 출력되는 실시간 분기신호의 전력레벨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연산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발생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의 HCI 패킷 교환을 통해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으며, 중계모듈 측 블루투스 모듈과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탑재되는 콘트롤러;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며 중계모듈 측의 블루투스 모듈과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RF송수신부; 및 상기 RF송수신부에서 송신가능하도록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변경하며, 상기 RF송수신부에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HCI에 적합한 데이터가 되도록 포맷 변경처리를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가지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체크되는 항목에는 중계기의 순방향 전력신호 레벨, 역방향 전력신호 레벨 및 직류 전력신호 레벨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중계모듈에는, 블루투스 모듈과의 HCI 패킷 교환을 통해 중계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 공중전화망과의 접속을 위한 PSTN 인터페이스; 및 상기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PSTN을 통해 관제국으로 전송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중계모듈에는 중계기 측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을 때 리셋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관제국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1)에 설치되어 종단 전력신호 레벨을 체크하는 호스트(1a)와; 상기호스트(1a)와 HCI(Host Control Interface; 호스트 제어 인터페이스) 패킷을 교환하며 상기 체크된 전력신호 데이터를 무선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10)과; 전송회선(2b)를 통하여 관제국(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10)과의 상호 조회(Inquiry) 및 페이지(Page) 동작을 통해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20)이 장착되는 중계모듈(2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국(2)은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관계자가 위치하게 되는 스테이션(Station)으로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모듈(2a)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전화망)을 비롯한 각종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다.
중계기(1)에 설치되는 호스트(Host)(1a)는 블루투스 모듈(10)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 결합기(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A/D컨버터)(5), 메모리(6) 및 중앙처리부(7)를 포함한다.
방향성 결합기(4)는 중계기(1)의 증폭부(3) 종단에 결합되어 전력신호를 소정레벨로 분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성 결합기(4)의 출력단에는 순방향 전력신호(Forward power signal), 역방향 전력신호(Reverse power signal) 및 증폭부(3) 구동을 위한 직류 전력신호(DC power signal) 성분이 분리되어 출력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A/D컨버터(5)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중앙처리부(7)의 비교기(7a)로 입력된다.
비교기(Comparator)(7a)는 기준데이터와 측정데이터의 값을 서로 비교하는구성요소로서 다양한 형태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OR(배타적 논리합)게이트, NOT(부정)게이트 및 AND(논리곱)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논리회로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비록 상기 A/D컨버터(5)를 거친 분기신호가 2비트에 해당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향성 결합기(4)를 통해 분기된 순방향 전력신호, 역방향 전력신호 및 DC 전력신호는 각각 A/D컨버터(5)를 거치면서 2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메모리(6)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연산 처리된다. 순방향 전력신호의 예를 들어보면, A/D컨버터(5)를 거치면서 변환된 데이터 F1F0가 기준 데이터 A1A0와 비교연산 처리되어 각 비트가 모두 일치할 경우에만 'HIGH'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기준 데이터 값이 '10'일 경우 분기된 순방향 전력신호의 데이터 값이 '01'이 되어 서로 불일치하게 되면 XF의 값이 '0' 즉, 'LOW'상태가 되어 오류발생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비교연산 결과 데이터는 신호변환부(7b)에 인가되어 정상 혹은 오류상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변환되고 블루투스 모듈(10)에 입력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알람신호로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호스트(1a)에 블루투스 모듈(10)을 결합하기 위해 호스트(1a)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부(7)의 후단에는 HCI 드라이버(8)가 구비된다. 이때, HCI 드라이버(8)는 블루투스 모듈(10)과 HCI 패킷을 주고받기 위한 구동기에 해당한다.
한편, 블루투스 모듈(10)에는 콘트롤러(11),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부(12) 및 RF송수신부(13)가 포함된다.
콘트롤러(11)는 블루투스 모듈(10)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콘트롤러(11)에는 HCI 펌웨어(Firmware)(11b)가 탑재되어 상기 호스트(1a)의 HCI 드라이버(8)와 HCI 패킷을 주고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HCI 패킷은 명령(Command), 이벤트(Event), 데이터(Data) 패킷 등으로 구분되어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명령어가 제공되고 상기 호스트(1a)에서 생성된 오류발생 데이터 혹은 정상동작 상태 데이터를 소정의 포맷으로 탑재한다.
이때, HCI 패킷을 실제로 전달하게 되는 HCI 트랜스포트 레이어(HCI Transport Layer)(9)로는 바람직하게 RS232C가 채용될 수 있으며 그밖에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통신 표준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콘트롤러(11)에는 또한, 링크 매니저 펌웨어(11a)가 탑재되어 호스트(1a)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HCI 패킷을 베이스밴드 처리부(12)에 인가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2)를 통해 들어오는 중계모듈(2) 측의 각종 명령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HCI 패킷을 통해 호스트(1a)로 전달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2)는 호스트(1a)로부터 전달받은 중계기(1)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탑재된 HCI 패킷의 포맷(Format)을 RF송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경처리하고, RF송수신부(13)으로부터 들어오는 각종 명령신호를 처리하여 HCI의 규격에 맞는 데이터로 변경하여 호스트(1a) 측으로 인가한다.
RF송수신부(13)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2)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예컨대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방식으로 변조한 후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밴드를 통해 송출한다. 아울러, 중계모듈(2a) 측의 블루투스 모듈(20)로부터 RF신호가 수신되면 잡음제거 및 복조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2)로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블루투스 모듈(10)에서 전송되는 중계기(1)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탑재된 RF신호는 중계모듈(2a) 측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모듈(20)에 수신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계모듈(2a)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모듈(2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모듈(2a) 측의 블루투스 모듈(20)은 RF송수신부(23)와, 베이스밴드 처리부(22)와, 콘트롤러(21)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중계기(1) 측의 호스트(1a)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기능은 중계기(1) 측 블루투스 모듈(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양측의 블루투스 모듈(10,20) 중 일측이 마스터(Master)가 되고 타측이 슬레이브(Slave)가 되어 고유 어드레스(Address) 발견과 연결설정을 위한 조회(Inquiry) 및 페이지(Page)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메카니즘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0)은 중계모듈(2a)에 장착되어 중계기(1) 측 호스트(1a)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HCI 패킷을 통해 중계모듈(2a)에 전달하고, 상기중계모듈(2a)에서 생성되는 각종 명령어 데이터를 중계기(1) 측 블루투스 모듈(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모듈(2a)은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24)와, 제어부(27)와, 디스플레이부(26)와, PSTN 인터페이스(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컨대,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관제국(2)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어 패킷을 블루투스 모듈(20)에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 모듈(20)의 콘트롤러(21) 측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예컨대, 발광소자나 LCD창과 같은 디스플레이부(26)에 출력하도록 HCI 드라이버가 포함된다.
제어부(27)는 중계모듈(2a)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관제국(2) 측의 제어에 연동하여 리셋명령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중계기(1) 측으로부터 오류발생 데이터 수신시 중계기(1) 측 호스트(1a)를 리셋(Reset)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PSTN 인터페이스(25)는 중계모듈(2a)과 관제국(2) 사이에 전송회선(2b)으로서 PSTN이 채용될 경우, 상기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예컨대, 모뎀(MODEM)과 같은 전송수단을 통해 원거리의 관제국(2)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은 중계모듈(2a)의 구성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20)에서 수신된 중계기(1)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관제국(2)으로 전달되어 출력되고, 각종 명령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20)을 통해 중계기(1)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프로세스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계기(1) 측에 설치되는 호스트(1a)에 있어서, 방향성 결합기(4)를 통해 중계기(1) 종단의 전력신호가 분기되면(단계 S100), A/D 컨버터(5)를 통해 아날로그 전력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단계 S110).
이어서, 중앙처리부(7)의 비교기(7a)에서 정상상태의 기준값과 상기 분기신호를 비교했을 때(단계 S120), 서로 불일치 할 경우 오류발생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S130), 신호변환부(7b)를 통해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데이터 형태로 신호를 변환한다(단계 S140). 이때, 비교연산 결과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정상상태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S135), 신호변환부(7b)를 통해 정상상태임을 알리는 데이터 형태로 신호를 변환한다(단계 S140).
다음, 상기 생성된 중계기(1) 상태를 알리는 데이터 패킷은 블루투스 규격에 맞도록 HCI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10)에 입력되고(단계 S150), 블루투스 모듈(10) 내부의 콘트롤러(11)와 베이스밴드 처리부(12)를 거쳐서 RF송수신부(13)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단계 S160).
한편, 중계모듈(2a) 측 블루투스 모듈(20) 내부의 RF송수신부(23)에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165), 베이스밴드 처리부(22) 및 콘트롤러(21)를 거쳐서 HCI 패킷을 통해 중계모듈(2a)에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어 중계모듈(2a) 내부에서 신호변환이 이루어지고(단계 S170), 전송회선(2b)을 통하여 원거리의 관제국(2)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단계 S180). 이때,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회선(2b)으로는 PSTN이나무선망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27)에는 중계기(1) 측 블루투스 모듈(10)의 호스트(1a)로 리셋명령어를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오류 정정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중계기의 이상상태 유무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의 상태를 알려주는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관제국으로 전송되므로 효율적으로 통신장애 원인이 파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효과를 통해 종래와는 달리 통신장애 발생시 일일이 중계기를 찾아가서 검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수단으로서 소형, 저전력의 블루투스 모듈을 채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중계모듈 측에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고 복수의 중계기 각각에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할 경우 피코넷(Piconet)이나 스캐터넷(Scatternet)을 구성하여 관제국에서 중계기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중계기(1)의 종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전력레벨로 신호를 분기시키는 방향성 결합기(4);
    상기 방향성 결합기(4)에서 분기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를 거쳐서 출력되는 실시간 분기신호의 전력레벨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연산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발생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7);를 포함하는 호스트(1a)와,
    상기 호스트(1a)와의 HCI 패킷 교환을 통해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으며, 관제국(2)과 전송회선(2b)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중계모듈(2a) 측 블루투스 모듈(20)과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탑재되는 콘트롤러(11);
    상기 콘트롤러(11)의 제어를 받으며 중계모듈(2a) 측의 블루투스 모듈(20)과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RF송수신부(13); 및
    상기 RF송수신부(13)에서 송신가능하도록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변경하며, 상기 RF송수신부(13)에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HCI에 적합한 데이터가 되도록 포맷 변경처리를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2);를 가지는 블루투스 모듈(10)을 포함하는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처리부(7)에서 체크되는 항목에는 중계기(1) 종단의 순방향 전력신호 레벨, 역방향 전력신호 레벨 및 직류 전력신호 레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듈(2a)에는, 블루투스 모듈(20)과의 HCI 패킷 교환을 통해 중계기(1)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24);
    공중전화망과의 접속을 위한 PSTN 인터페이스(25); 및
    상기 데이터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PSTN을 통해 관제국(2)으로 전송처리하는 제어부(2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듈(2a)에는, 중계기(1) 측 블루투스 모듈(10)로부터 오류발생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을 때 리셋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10048388A 2001-08-10 2001-08-10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KR20030014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88A KR20030014050A (ko) 2001-08-10 2001-08-10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88A KR20030014050A (ko) 2001-08-10 2001-08-10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050A true KR20030014050A (ko) 2003-02-15

Family

ID=2771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388A KR20030014050A (ko) 2001-08-10 2001-08-10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40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535B1 (ko) * 2001-12-11 200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기기 및 그 무선통신방법
KR101281091B1 (ko) * 2013-05-01 2013-07-02 주식회사 로젠시스 도난 감시 및 원격 동작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중계기 보안 관리 장치
KR101281089B1 (ko) * 2013-05-01 2013-07-02 주식회사 로젠시스 도난을 복합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 보안 관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535B1 (ko) * 2001-12-11 200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기기 및 그 무선통신방법
KR101281091B1 (ko) * 2013-05-01 2013-07-02 주식회사 로젠시스 도난 감시 및 원격 동작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중계기 보안 관리 장치
KR101281089B1 (ko) * 2013-05-01 2013-07-02 주식회사 로젠시스 도난을 복합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 보안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1828C (zh) 节能系统和方法
KR20020066249A (ko) 블루투스 무선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간의 링크 연결 방법
JPWO2006134642A1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
US6208867B1 (en) Portable terminal system, option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connecting portable terminal unit and option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nit
US2008007503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bridg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682417A (en) Power saving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ors
KR20030014050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중계기 모니터링 시스템
CN101188782A (zh) 经由总线同步数据通信的方法
CN1980095B (zh) 集成于射频光传输模块中的网管通道的实现系统及方法
JP2976915B2 (ja) 無線通信装置
JP3234574B2 (ja) 基地局システム
JP200516746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接続可能な電子装置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00060717A (ko) 무선중계시스템의 rf중계기 작동감시 시스템
JP407229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150793B (zh) 无线式共享天线的电子装置及无线式共享天线的方法
JP2000339575A (ja) 無線式センサ装置およびセンサシステム
KR101671099B1 (ko) 광중계기 원격 운용 장치 및 시스템
CN210895068U (zh) 一种EtherCAT-TSN工业以太网架构系统
JPH05244054A (ja) 無線電話装置
JP2006279949A (ja) ネットワーク通信設備及びこれを使用した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CN108184034B (zh) 拨号方法及通讯系统
KR101211180B1 (ko) Rf 중계기 및 rf 중계기에서 감시용 단말기의 자동초기화 방법
JP40883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17354960A (zh) 一种基于LoRa技术的组网通信系统及方法
JP2830612B2 (ja) 発着信数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