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015A -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 Google Patents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015A
KR20030014015A KR1020010048331A KR20010048331A KR20030014015A KR 20030014015 A KR20030014015 A KR 20030014015A KR 1020010048331 A KR1020010048331 A KR 1020010048331A KR 20010048331 A KR20010048331 A KR 20010048331A KR 20030014015 A KR20030014015 A KR 20030014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ube
stopper
pipe
man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경
이창호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4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4015A/ko
Publication of KR2003001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 연결판의 단부 내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연질의 재질로 매설관의 삽입시 쉽게 제거 가능한 막음판이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을 제외한 외측면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인서트 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관구마개의 인서트 홀로 하여, 지수블록이나 크리핑 장치 등 각종 부속 장치와 연결관과의 연결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 향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관에 손상없이 작업이 가능하여 관로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THE PIPE PLUG OF A MANHOLE COUPLING PIPE}
본 발명은 맨홀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수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누수, 크리핑, 온도 변화등에 따른 신축 및 팽창 현상을 방지하는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또는 전기 선로망은 지표면 아래에 임의의 공간을 갖는 맨홀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맨홀과 이웃하는 맨홀 사이에 소정 직경의 관을 매설하여 동케이블 또는 광케이블을 내장한다.
상기 맨홀은 선로망 및 매설관의 유지 보수 관리시 이용되며,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그 중 매설관은 제한된 길이로 제작되는 부품으로 맨홀 사이의 거리에 따라 연결하여 설치되므로 지반에 함유된 수분이 관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하나, 주로 이음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맨홀 연결관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은 제 1 연결관(2)과 제 2 연결관(3) 및 상기 제 1 연결관(2)의 관구 입구를 막아주는 관구마개(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연결관(2)의 일측 선단에는 사각의 외측 연결판(5)이 형성되며, 외측 연결판(5)부터 맨홀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에 내측 연결판(6)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연결판(5)의 중앙부에는 제 1 연결관(2)과 나사 결합되는 관구마개(4)가 고무링(7)과 같이 체결된다. 그리고 관구마개(4)에는 막음판(8)이 형성되어 내부로 콘크리트가 스며드는 것과 기타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외, 내측 연결판(5)(6) 사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돌기(9)들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 편, 제 2 연결관(3)은 제 1 연결관(2)과 같이 일체의 원통형으로 이어지며, 그 일단의 직경은 제 1 연결관(2)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관의 맨홀 축조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매설되며, 매설 방향은 맨홀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연결관은 도 2에 케이블과 지수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로서, 매설된 연결관(1)에 케이블관(10)의 포설은 외측 연결판(5)의 막음판(8)을 제거한 후 포설하게 된다.
이 때, 케이블관(10)을 포설하여 실제 사용하는 단계에서 다수개의 원통 케이블관(10)을 설치하면 원통 사이의 빈 공간으로 물이 스며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의 고무재인 지수블록(11)으로 케이블관(10)들을 하나로 묶어 제 1 연결관(2)의 단부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1)에는 지수블록(11) 뿐만 아니라 케이블관(10)이 중차량의 진동에 의해 차량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크리핑 장치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지수블럭 같은 장치는 외측 연결판의 단부 내측에 억지 끼워지는 결합으로서, 별도의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를 않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맨홀 내부로 이탈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리핑 장치 등은 연결관에 부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장치로 설치를 하여야 하는데 케이블관이 포설되어 사용 중인 맨홀내에서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수블록이나 크리핑 장치 등을 연결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 연결판의 단부 내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연질의 재질로 매설관의 삽입시 쉽게 제거 가능한 막음판이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을 제외한 외측면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인서트 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 연결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결관 22 : 제 1 연결관
24 : 외측 연결판 26 : 내측 연결판
28 : 제 2 연결관 30 : 관구마개
32 : 막음판 34 : 손잡이
36 : 인서트 홀 40 : 고무링
50 : 케이블관 60 : 지수블록
62 : 결합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관(20)은 양측에 사각의 내측 연결판(26)과 외측 연결판(24)이 형성된 제 1 연결관(22)과, 상기 제 1 연결관(22)의 일측에 일체로 이어진 제 2 연결관(28) 및 상기 제 1 연결관(22)의 관구 입구를 막아주는 관구마개(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구마개(30)는, 제 1 연결관(22)의 일측 단부 내부에 방수재인 고무링(40)과 같이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연결관(22)의 일측 단부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대응되도록 원판의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중심부에는 연질의 재질로 매설관의 삽입시 쉽게 제거 가능하게 중앙에 손잡이(34)를 가지는 막음판(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막음판(32)을 제외한 외측면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인서트 홀(36)이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 홀(36)의 내측으로는 나사산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매설되며, 매설 방향은 맨홀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연결관(20)의 제 1 연결관(22)의 일단 내측에 관구마개(30)를 고무링(40)과 같이 나사 체결시킨다.
상기의 제 1 연결관(22)과 관구마개(30)의 나사 체결은, 선통 시험 시 관구마개를 풀어서 시험을 실시 한 후 시험이 종료되면 다시 나사산을 이용하여 원상태 대로 다시 손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케이블관(50)의 포설은, 외측 연결판(24)에 이물질 내지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던 막음판(32)의 손잡이(34)를 잡고 떼어낸 후 포설하게 된다.
이 때, 연결관(20)에 포설되는 다수개의 원통 케이블관(50)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 예와 같이 지수블록(60)으로 하여 포설하게 된다.
상기 지수블록(60)은 중공부를 가지는 원형의 고무재로서 관구마개(3)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관구마개(30)와의 볼트 결합을 위하여 내측으로 나사산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홀(6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62)은 상기 관구마개(30)의 인서트 홀(36)과 같은 개수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수블록(60)은 여러 개의 케이블관(50)을 하나의 묶음으로 결속시킨 후, 결속된 케이블관(50)을 관구마개(30) 즉, 연결관(20)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된다.
그리고 지수블록(60)은, 관구마개(30)에 포개에 졌을 때 인서트 홀(36)과 동일한 위치에 같은 개수로 형성된 지수블록(60)의 결합홀(62)과 인서트홀(36)을 맞댄 후 볼트로 하여 체결시키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시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크리핑 장치 등도 상기와 같이 인서트 홀(36)에 볼트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지수블록이나 크리핑 장치 등을 연결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는, 관구마개의 인서트 홀로 하여, 지수블록이나 크리핑 장치 등 각종 부속 장치와 연결관과의 연결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 향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관에 손상 없이 작업이 가능하여 관로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측 연결판의 단부 내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연질의 재질로 매설관의 삽입시 쉽게 제거 가능한 막음판이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을 제외한 외측면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인서트 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홀은,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연결관.
KR1020010048331A 2001-08-10 2001-08-10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KR20030014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31A KR20030014015A (ko) 2001-08-10 2001-08-10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331A KR20030014015A (ko) 2001-08-10 2001-08-10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015A true KR20030014015A (ko) 2003-02-15

Family

ID=2771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331A KR20030014015A (ko) 2001-08-10 2001-08-10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4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05B1 (ko) 2016-06-28 2017-02-06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05B1 (ko) 2016-06-28 2017-02-06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53850A1 (en)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 an opening sealing system
JP3430396B2 (ja)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KR20020042997A (ko) 통신구용 내관
EP0082223A1 (en) Lining underground conduits
KR20030014015A (ko) 맨홀 연결관의 관구마개
EP2594000B1 (en)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JPH1019178A (ja) 管継手
KR20010001924U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100498169B1 (ko) 조립식 맨홀 연결관
KR100726287B1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수파이프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JP2000257755A (ja) 壁体への螺旋管体取付け用コネクタ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KR20020069807A (ko) 맨홀 연결관
KR20080004962U (ko) 암거 연결용 강선 고정구
KR20050123082A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169737Y1 (ko)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970004492Y1 (ko) 인수공의 인입관 연결구
GB2194861A (en) Cable sealing device
KR200245158Y1 (ko) 합성수지관용 오염방지구
KR100270336B1 (ko) 맨홀용 연결장치
JP6357333B2 (ja) ダクトスリーブ
JP2001352651A (ja) 取付継手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