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025A -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025A
KR20030013025A KR1020010047308A KR20010047308A KR20030013025A KR 20030013025 A KR20030013025 A KR 20030013025A KR 1020010047308 A KR1020010047308 A KR 1020010047308A KR 20010047308 A KR20010047308 A KR 20010047308A KR 20030013025 A KR20030013025 A KR 20030013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signal
telephone
power failu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422B1 (ko
Inventor
박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4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4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7Resuming operation, e.g. after power outages; Emergency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집안의 정전상태를 감시하고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 구비된 정전지연회로를 이용해서, 집안 내 정전 발생을 감시하고,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에 전화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텔레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전화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구동된 공기조화기가 정전으로 인하여 정상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in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집안의 정전상태를 감시하고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통해서 제품의 운전을 제어하거나 또는 리모컨을 이용해서 제품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본체 전면부에 구비되고, 운전을 위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키 입력부(1)와, 상기 키 입력부(1)의 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공기조화기 구동부(4)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여러가지 신호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표시부(5)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조화기에 별도 구비된 리모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상기 리모컨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리모컨 데이타 수신부(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키 입력부(1)에 구비되고 있는 운전키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취향에 따른 운전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키입력부(1)에 구비된 여러가지 키를 선택하여 설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기에 별도 구비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경우,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구비되고 있는 리모컨 테이타 수신부(2)를 통해서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키입력부(1) 또는 리모컨데이타수신부(2)를 통해서 입력된 키신호는 제어부(3)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신호를 인식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운전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는 사용자가 운전온도를 설정한 경우, 공기조화기 표시부(5)에 설정된 운전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는 사용자가 풍향을 선택한 경우, 풍향 제어를 위한 신호를 공기조화기구동부(4)에 출력한다. 상기 공기조화기구동부(4)는 이때 제어부(3)의 신호에 의해서 풍향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에 따라서 제어부(3)가 제어를 수행하고, 공기조화기 구동부(4)에서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 요구에 의해서 운전기능이 제어되고 있으나, 사용자 요구에 의한 운전 제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와 동일 공간 내에 있어야만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만 한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키 입력부를 이용하거나 또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구동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와 동일 공간 내에 있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공기조화기는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에 실내온도를 쾌적한 상태로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공조기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 의해서만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외출 후 집에 들어왔을때, 즉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 의해서만 구동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구동 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되기까지 소정시간 이상 소요되고, 이러한 점은 제품의 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시키게 된다.
셋째, 공기조화기는 많은 가전기기 중에서 고가의 제품에 포함되어 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사용상태가 소비자의 요구에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 제품에 대한 불만과 함께 제품 구매력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제품에 이용되는 전자소자들이 고성능임에도 불구하고, 그 제어방법이 일반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므로서 제품에 대한 성능 불만족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정전을 감지하고, 외부의 사용자에게 정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 발생시 공기조화기의 동작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9 : 키 입력부 2,20 : 리모컨 데이타 수신부
3 : 제어부 4,17 : 공기조화기 구동부
5,18 : 공기조화기 표시부 10 : 외부전화기
11 : 내부전화기 12 : 텔레 컨트롤부
13 : 텔레 송신부 14 : 텔레수신부
15 : 메인 컨트롤부 16 : 정전지연회로
50 : 공기조화기L : 전화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은, 외부와 전화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텔레 컨트롤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정전발생을 감시하는 단계와; 정전이 발생되면, 상기 텔레 컨트롤부로 정전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 컨트롤부와 외부 사용자 전화 사이의 전화접속단계와; 상기 전화가 접속되면, 상기 텔레 컨트롤부에서 사용자에게 정전발생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를 이용해서 상기 텔레컨트롤부에 공기조화기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정전 발생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는, 기설정되고 있는 전화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화기와; 전화신호와 공기조화기 제어신호 상호간의 신호 변환을 제어하는 텔레 컨트롤부와, 공기조화기로 입력되는 전원을 감시해서 정전을 검출하는 정전감시수단과, 상기 정전감시수단으로부터 정전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텔레 컨트롤부로 정전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구비하고, 정전발생을 상기 전화기로 알려주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전화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 또는 회사 외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집안 내부 또는 회사 내부에 설치되고 있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집안 내부에 설치되고 있는 공기조화기(50)는 집안에 설치되고 있는 전화(11)에 연결된 전화선(L)에 같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화선(L)은 외부와 연결되어져서 외부에 연결된 전화(10)에 연결되어진다. 물론, 상기 전화선(L) 사이에는 전화신호의 전송과 변환을 위한 중계기가 설치되겠지만, 본 발명에서 설명 상의 필요한 부분이 아니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50)에는 전화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신호를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전화신호로 변환해서 전화선(L)을 통해외부로 전송하는 텔레 컨트롤러가 포함되어진다.
즉,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자마자 쾌적한 환경을 즉시 제공받기 위해서 집에 도착하는 소정시간 전에 외부전화(10)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구동신호를 전송전송, 상기 신호는 전화선(L)을 통해서 집안 공기조화기(50)에 입력된다. 이때, 집안 내부의 전화기(11)에서 수신을 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50) 내부의 텔레 컨트롤러는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공기조화기의 메인 컨트롤러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걸려온 전화신호에 의해서 구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50)에는 집안 내부의 정전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감지된 정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자마자 쾌적한 환경을 즉시 제공받기 위해서 집에 도착하는 소정시간 전에 전화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미리 구동시켰지만, 순간 정전 등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조절에 실패한 경우, 그에 따른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서 다시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구성을 가지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50)는 전화선(L)에 연결되어져서 전화신호를 인식하여, 후술되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부(15)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고, 메인 컨트롤부(15)에서 출력한 사용자의 알림정보를 전화신호로 변환해서 전화선(L)으로 출력하는 텔레 컨트롤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텔레 컨트롤부(12)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알림정보는 정전발생신호이다. 물론 경우에도 상기 텔레 컨트롤부(12)는 전화신호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정전발생을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50)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부(15)는 상기 텔레 컨트롤부(12)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연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줘야 할 신호를 상기 텔레 컨트롤부(12)로 전송한다. 일 예로, 공기조화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정전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실패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이 외에도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여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메인 메인컨트롤부(15)와 텔레 컨트롤부(12) 사이에는 전화신호 송수신을 위한 텔레송/수신부(13,14)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텔레 송/수신부(13,14)는 전화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부(15)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컨트롤부(15)에서 출력하는 신호(일 예로 사용자 알림정보 등)를 전화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50)는,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동작하여, 제품내부로 일정시간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지연회로(16)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정전지연회로(16)는 메인 컨트롤부(15)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부(15)는 외부전원이 아닌 상기 정전지연회로(16)에 의한 전원이 공급되어질 때, 정전이 발생됨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면 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50)는 외부 전원을 항상 공급받는 대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 요구에 의한 공기조화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50)는, 공기조화기의 본체 전면부에 구비되고, 운전을 위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키 입력부(19)와, 상기 메인 컨트롤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공기조화기 구동부(17)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여러가지 신호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표시부(18)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조화기(50)에 별도 구비된 리모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상기 리모컨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리모컨 데이타 수신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설명하지 않은 부호 10은 사용자에게 있는 외부 전화기를 나타내며, 부호 11은 집안에 상기 공기조화기(50)와 공통 전화선에 연결되고 있는 내부 전화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부호 L은 전화선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전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외부에서 집안의 공기조화기(50)를 구동시키고 싶을 때, 전화(10)를 이용해서 집으로 전화를 건다(제 100 단계). 상기 제 100 단계에서 걸려온 전화는 집안 내부의 전화기(11)에서 수신되지 않은 상태일 때, 텔레 컨트롤부(12)에서 수신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텔레 컨트롤부(12)는 수신되는 벨신호를 카운트한다(제 110 단계). 그리고 상기 텔레 컨트롤부(12)는 수신된 벨신호가 기설정되고 있는 값에 이르면, 사용자의 외부 전화기(10)와 전화 접속하게 된다(제 120 단계).
상기 제 120 단계는 공기조화기(50)의 텔레 컨트롤부(12)와 외부 전화기(10)가 접속되어서 상기 텔레 컨트롤부(12)와 외부 전화기(10) 사이에 전화신호가 전송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텔레 컨트롤부(12)는 공기조화기의 구동 제어에 따라서 기설정되어 입력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화신호로 전송한다(제 130 단계). 이때, 전송되는 신호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여부에 따른 온/오프 신호, 기타 풍향, 풍속 등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 또는 안내 문자 등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 제어에 따른 신호는 텔레 컨트롤부(12)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지만, 메인 컨트롤부(15)에서 전송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텔레 컨트롤부(12)에서 공기조화기의 구동 제어에 따른 전화신호는 사용자의 전화기(10)로 입력되고, 사용자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순차 제어를 수행한다.
이렇게 해서 전화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공기조화기의 구동신호는 텔레 컨트롤부(12)에 다시 입력되고, 이 신호는 텔레송신부(13)에서 변환되어져 메인 컨트롤부(15)에 입력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부(15)는 이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의 공기조화기 구동신호를 입력하게 된다(제 140 단계).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부(15)는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가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기 위한 신호인지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제 150 단계).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정지신호라고 판단되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정지되어지고(제 170 단계),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운전시작신호라고 판단되면, 메인 컨트롤부(15)는 공기조화기 구동부(17)를 제어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한다(제 160 단계).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공기조화기의 구동부(17)가 구동되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메인 컨트롤부(15)는 정상구동에 따른 사용자 확인정보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텔레수신부(14)에서 전화신호로 변환되어지고, 텔레 컨트롤부(12)는 상기 신호를 사용자의 외부 전화기(10)로 전송한다(제 180 단계).
그리고 외부 전화기(10)와 텔레 컨트롤부(12) 사이의 전화 접속이 오프되어진다(제 190 단계).
이상의 과정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걸려온 전화신호에 의한 공기조화기(50)의 구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부(15)는 공기조화기 구동부(17)의 동작을 제어, 감시하면서 정상적인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운전상태에 따른 표시정보를 표시부(18)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구동하였다고 해도 순간정전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없는 돌발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전력소비가 높을 때에는 공급 전력량이 수요 전력량에 비해서 작은 경우가 때때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력량 불만족에 의해서 잦은 순간정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순간정전이라고 해도 제품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이 발생되면서, 제품은 강제적으로 정지상태로 제어되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순간정전이 발생되었을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다시 공기조화기의 재구동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컨트롤부(15)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정전지연회로(16)를 통한 정전 발생을 감시한다. 그리고 정전이 발생되면,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제품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면(제 200 단계), 제품 내부로 공급되던 외부전원은 차단되어진다.
이때, 정전지연회로(16)가 동작하면서, 내부에 구비된 밧데리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시간 동안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제 210 단계).
메인 컨트롤부(15)는 외부전원에서 상기 정전지연회로(16) 내의 밧데리 전원으로 전환될 때, 정전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제 220 단계).
상기 제 220 단계에서 메인 컨트롤부(15)가 정전을 인식한 후, 텔레수신부(14) 측으로 정전발생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텔레수신부(14)는 입력된 정전발생신호를 전화신호로 변환시켜서 텔레 컨트롤부(12)에게 전송한다(제 230 단계).
상기 제 230 단계의 전송신호에 의해서 텔레 컨트롤부(12)는 정전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우선, 텔레 컨트롤부(12)는 기저장되고 있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사용자의 전화기와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전화기(10)와 접속이 되면(제 240 단계), 전화선(L)을 통해서 정전발생신호를 전송한다(제 240 단계). 이때, 정전발생신호는 기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전발생신호는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전송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전송된 정전발생신호에 의해서 집안에 정전이 발생되어서 공기조화기가 정상구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인식하게 된다(제 250 단계).
이후, 사용자는 전화를 이용한 재구동을 시도하여, 자신이 집에 들어갔을 때, 즉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에 전화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텔레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전화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구동된 공기조화기가 정전으로 인하여 정상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가 원격 구동된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그에 따른 알림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정전이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집안의 정전발생을 항상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전으로 인한 위급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빠르게 조치할 수 있으므로서, 그에 따른 부가적인 이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화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텔레 컨트롤부를 별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메인 컨트롤부 내에 상기 텔레 컨트롤부의 기능을 같이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텔레 송/수신부도 필요없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전화를 이용해서 미리 공기조화기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집안에 들어가는 즉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여름철 자주발생하는 순간정전으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실패되었을 때, 다시 재구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사용자 요구에 따른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다.
둘째, 제품에 구비된 고성능의 제어소자를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품질 개선과 다양성 등에 따른 구매력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집안 내부의 정전 발생을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감시 가능하여, 정전 발생으로 인한 집안의 위급상황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외부와 전화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텔레 컨트롤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정전발생을 감시하는 단계와;
    정전이 발생되면, 상기 텔레 컨트롤부로 정전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텔레 컨트롤부와 외부 사용자 전화 사이의 전화접속단계와;
    상기 전화가 접속되면, 상기 텔레 컨트롤부에서 사용자에게 정전발생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를 이용해서 상기 텔레컨트롤부에 공기조화기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정전 발생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3. 기설정되고 있는 전화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화기와;
    전화신호와 공기조화기 제어신호 상호간의 신호 변환을 제어하는 텔레 컨트롤부와,
    공기조화기로 입력되는 전원을 감시해서 정전을 검출하는 정전감시수단과,
    상기 정전감시수단으로부터 정전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텔레 컨트롤부로 정전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구비하고, 정전발생을 상기 전화기로 알려주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20010047308A 2001-08-06 2001-08-06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KR10078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308A KR100785422B1 (ko) 2001-08-06 2001-08-06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308A KR100785422B1 (ko) 2001-08-06 2001-08-06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025A true KR20030013025A (ko) 2003-02-14
KR100785422B1 KR100785422B1 (ko) 2007-12-13

Family

ID=2771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308A KR100785422B1 (ko) 2001-08-06 2001-08-06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27B1 (ko) * 2005-10-3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22059A (zh) * 2013-08-20 2015-03-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根据用户手势特征控制空调器导风的遥控器及其方法
US20190178513A1 (en) * 2017-12-08 2019-06-13 Danfoss (Tianjin) Ltd. Fluid injection control system and fluid circu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32B1 (ko) * 1996-01-05 1999-05-01 김광호 전화선로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장치
KR20000055135A (ko) * 1999-02-03 2000-09-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27B1 (ko) * 2005-10-3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22059A (zh) * 2013-08-20 2015-03-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根据用户手势特征控制空调器导风的遥控器及其方法
US20190178513A1 (en) * 2017-12-08 2019-06-13 Danfoss (Tianjin) Ltd. Fluid injection control system and fluid circulation system
US11085661B2 (en) * 2017-12-08 2021-08-10 Danfoss (Tianjin) Ltd. Fluid injection control system and fluid circ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422B1 (ko)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2146B2 (en) Refrigerator having multimedia func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528207B2 (ja) 集合住宅用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GB2322523A (en) Protection of an Outdoor Base Station
KR100785422B1 (ko)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US61632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WO2009020370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aving power using distance information
US7952462B2 (en) Remote controlled power switch
JP2008089284A (ja) 無線テレ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60119298A (ko) 공기 조화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3429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zone number of multi air conditioner
KR101140987B1 (ko) 원격지로부터 전기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RU2702285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ой
CN111591183A (zh) 一种通过嵌入式设备加热通风座椅的系统及方法
KR100757945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운전장치 및 그 방법
JP2010119271A (ja) コンバータ装置
KR100432726B1 (ko) 원격제어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H09126534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システム
KR2010001266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8883A (ko) 전자제품 제어장치
KR100745774B1 (ko) 원격 제어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5126769B2 (ja) ピークカット機能付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40029997A (ko) 전기제품
KR20030013023A (ko)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JPH07324799A (ja) 空気調和機の異常内容確認装置
KR20030013022A (ko)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