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521A -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521A
KR20030012521A KR1020010046572A KR20010046572A KR20030012521A KR 20030012521 A KR20030012521 A KR 20030012521A KR 1020010046572 A KR1020010046572 A KR 1020010046572A KR 20010046572 A KR20010046572 A KR 20010046572A KR 20030012521 A KR20030012521 A KR 2003001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speed
operation method
air
condition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069B1 (ko
Inventor
허덕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0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습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측의 흡입구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를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 보다 빠르게 제어하여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토출된 습한 공기가 다시 흡입되어 제습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습모드를 선택하는 제1 과정과; 제습모드가 선택되면, 냉방 능력을 최저로 운전하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토출구 근처의 냉기를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제습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DEHUMIDIF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습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측의 흡입구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를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 보다 빠르게 제어하여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토출된 습한 공기가 다시 흡입되어 제습이 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장치와, 실내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장치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의 냉방기능과 난방기능뿐만 아니라 정온 제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정온 제습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열교환기(3)에서 토출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증기를 흡입하여 이를 압축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증기로 만드는 압축기(1)와; 상기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증기의 열을 물 또는 공기 중에 방출시키고, 고압의 포화액으로 변화시키는 실외 열교환기(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토출된 고압의 포화액을, 팽창장치(4)를 통해 저온, 저압의 냉매로 흡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액분이 없는 포화증기로 만드는 실내 열교환기(3)와; 난방 모드 또는 냉방모드에 따라, 상기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사방변(8)과; 정온제습시, 고압의 냉매를 그대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3)로 토출시키기 위한 이방변(B1)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는, 정온제습시, 고압의 액과 가스가 혼합된 냉매를 흡입하여 열을 방출시켜 고압의 액체를 토출하는 제1 열교환기(3-1)와; 상기 제1 열교환기(3-1)의 고압의 액체를 저압의 액체로 강하시키는 팽창장치(5)와; 상기 팽창장치(5)를 통해 저압의 액과 가스가 혼합된 냉매를 흡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액분이 없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토출하는 제2 열교환기(3-2)와; 정온제습시, 상기 제1 열교환기(3-1)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액체가 직접 제2 열교환기(3-2)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방변(B2)으로 구성되며, 이와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난방모드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사방변(8)을 지나 실내열교환기(3)로 유입되어 응축된후, 팽창장치(4)를 지나면서 저온저압의 냉매로 된다.
이때, 실내팬(7)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3)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분출하게 되고, 이로인해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여기서, 실내열교환기(3)는 제1 열교환기(3-1)와 제2 열교환기(3-2) 사이의 이방변(B2)을 오픈시켜 그 실내열교환기(3)가 응축기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후, 실외열교환기(2)는 상기 저온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기체 상태의 냉매를 토출하고, 압축기(1)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에서 토출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흡입하여 이를 고온고압의 냉매로 압축하는데, 이러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
냉방 모드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사방변을 지나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어 응축된후 팽창장치(4)를 지나면서 저온저압의 냉매로 된다.
이후, 실내열교환기(3)는 상기 저온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기체상태의 냉매를 토출하고, 상기 압축기(1)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에서 토출되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흡입하여 이를, 다시 고온고압의 냉매로 압축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3)는 제1 열교환기(3-1)와 제2 열교환기(3-2) 사이의 이방변(B2)을 오픈시켜 그 실내열교환기(3)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실내팬(7)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3)의 차가워진 표면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분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내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한편, 정온제습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사방변(8)을 지나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는데, 이때 실외팬(6)은 작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고온고압의 냉매는 거의 냉각되지 않은 상태로 이방변(B1)을 통과하여 그대로 실내열교환기(3)로 유입된다.
이후, 실내열교환기(3)는, 내부의 이방변(B2)을 차단하여, 제1 열교환기(3-1)와 제2 열교환기(3-2)로 분리하여 사용한다.
즉, 제1 열교환기(3-1)는 고압의 액과 가스가 혼합된 냉기를 흡입하여 열을 방출시켜 고압의 액체를 토출하고, 제2 열교환기(3-2)는 상기 제1 열교환기(3-1)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액체를 상기 팽창장치(5)를 통해 저압의 액체로 흡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액분이 없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토출한다.
이때, 실내팬(7)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2 열교환기(3-2)의 차가워진 표면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습기가 제거된후, 그 습기가 제거된 건조공기는 제1 열교환기(3-1)의 뜨거워진 표면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실내로 분출된다.
상기 정온제습시, 제2 열교환기(3-2)는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이를 제습하는데, 도2와 같이 토출구를 통해서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기의 량은 거의 일정하므로, 어느 정도 이상 제습효율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측의 흡입구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를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 보다 빠르게 제어하여, 토출되는 습한 공기를 다시 흡입함으로써 제습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보인 개략도.
도3은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4는 도3에 있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하강을 보인 개략도.
도5는 도3에 있어서,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기의 모습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압축기2:실외열교환기
3:실내열교환기3-1:제1 열교환기
3-2:제2 열교환기4,5:팽창장치
6:실외팬7:실내팬
8:사방변B1,B2:이방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습모드를 선택하는 제1 과정과; 제습모드가 선택되면, 냉방 능력을 최저로 운전하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토출구 근처의 냉기를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제습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습모드를 선택하는 제1 과정과; 제습모드가 선택되면, 냉방 능력을 최저로 운전하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토출구 근처의 냉기를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제습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냉동싸이클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정온제습 운전시, 본 발명은 제2 실내열교환기에서 냉기가 다시 흡입구로 흡입되는 쇼트 서킷(Short Circuit) 운전을, 종래 보다 강하시키기 위하여,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를 하강속도보다 고속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데,이를 도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제습모드를 선택하면, 냉방 능력을 최저로 운전하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토출구 근처의 와류를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흡입구에 유입되는 냉기의 양은 증가되는 반면에, 실내로 토출되는 냉기의 양은 줄어들게 되어, 정온성 및 제습능력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만약 흡입구가 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면, 도4와 같이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를 하강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는 1초당 7도씩 이동시키고 하강속도는 1초당 15도씩 이동시킨다.
한편, 흡입구가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면, 상하풍향베인의 하강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상하풍향베인의 하강속도는 1초당 7도씩 이동시키고, 상승속도는 1초당 15도씩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상기 상하풍향베인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여 토출기류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승속도가 하강속도보다 고속으로 움직이게 되면, 토출구 근처에서 발생한 와류가, 도5와 같이 토출구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커지게 되고, 이 와류에 의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차가운 기류는 흡입구 근처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흡입구로 흡입되는 기류의 양이 증가되는 반면에, 실내로 토출되는 냉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제습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상측의 흡입구 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를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인의 속도보다 빠르게 제어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냉기의 양은 줄이고, 토출된 습한공기의 흡입양은 증가시킴으로써 제습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습모드를 선택하는 제1 과정과; 제습모드가 선택되면, 냉방 능력을 최저로 운전하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토출구 근처의 냉기를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흡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제습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 및 하강속도는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의 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속도차이가 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하풍향베인은, 일정각도 이내에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하풍향베인은, 수평위치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32도 이내에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토출구의 위치가 흡입구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상하풍향베인의 하강속도를 상승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승속도는 1초당 7도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하강속도는 1초당 15도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토출구의 위치가 흡입구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하풍향베인의 상승속도를 하강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하강속도는 1초당 7도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승속도는 1초당 15도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2001-0046572A 2001-08-01 2001-08-01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0434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572A KR100434069B1 (ko) 2001-08-01 2001-08-01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572A KR100434069B1 (ko) 2001-08-01 2001-08-01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521A true KR20030012521A (ko) 2003-02-12
KR100434069B1 KR100434069B1 (ko) 2004-06-04

Family

ID=2771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572A KR100434069B1 (ko) 2001-08-01 2001-08-01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43B1 (ko) * 2005-11-22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605A (ja) * 1998-02-13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3011708B1 (ja) * 1998-12-14 2000-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方法
JP2001116326A (ja) * 1999-10-22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43B1 (ko) * 2005-11-22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069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9168B (zh) 定温除湿空调器的控制方法
JP6029750B2 (ja) 除湿装置
JP4835688B2 (ja) 空気調和装置、空調システム
JP2003172525A (ja) 除湿機
CN104848457A (zh) 一种空气调节器
CN105805971B (zh) 除湿机、除湿机控制器和除湿方法
KR102429294B1 (ko)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방법
CN1566831A (zh) 空调器除湿时节约电力的运作方法
KR10043406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0504850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140019163A (ko)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0484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2004245537A (ja) 除湿乾燥装置
CN114341560B (zh) 带有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JP6653428B1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3139436A (ja) 空気調和機
JP2003106706A (ja) 再熱除湿式空気調和機
JPWO2015125251A1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KR100488015B1 (ko) 냉난방기의 절전운전방법
JP2020112339A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08758881A (zh) 空调组件、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
JP7129603B2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40033801A (ko) 제습용 에어컨의 베인 제어 방법
JP7291876B2 (ja) 除湿装置
JP200719243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