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386A -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386A
KR20030011386A KR1020030002906A KR20030002906A KR20030011386A KR 20030011386 A KR20030011386 A KR 20030011386A KR 1020030002906 A KR1020030002906 A KR 1020030002906A KR 20030002906 A KR20030002906 A KR 20030002906A KR 20030011386 A KR20030011386 A KR 2003001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book
input
data
management sys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민
Priority to KR102003000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1386A/ko
Publication of KR2003001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3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96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입력방법에 관한것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운영시스템의 복사, 붙이기 기능을 이용하여 금융기관에서 표의 형태로 제공하는 전자적 금전거래내역 정보를 손쉽게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 An input method of incomings and outgoings into the electronical housekeeping book system or asset management system }
기존 전자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이하 가계부 시스템이라 명함)에서 사용해 왔었던 수입지출의 입력 방법은 세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는 사용자가 일일이 매일매일의 수입,지출 내역을 가계부 시스템에 입력하는 전통적인 방법이 있었고 두번째는 가계부 시스템 서비스회사에서 제공하는 웹스크래칭 방법을 이용하여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의 웹서버에서 거래내역을 긁어오는 방법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다. 세번째는 타 금융사와 서비스 회사간 상호 약속된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웍을 통해 전자적으로 데이타를 주고 받아 수입지출 내역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어 왔다.
웹스크래칭이란 일예로 은행의 인터넷 뱅킹의 거래내역을 보여주는 URL이 http://bank/list.html 이라 할 경우 통상 로봇(Robot)이라 불리우는 프로그램이 소켓 등을 사용 원격에서 해당 URL에 네트웍으로 접속하고 거래내역을 자동으로 가져오는 방법을 지칭한다. 그리고 가져온 데이타는 통상 HTML 문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HTML문법의 규칙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원하는 데이타만을 뽑아 낼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요즘은 은행등에서 보안을 위해 PKI를 이용한 암호화 통신을 하는 경우도 많다. 이때는 가져온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PC에 있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한후 분류하는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가계부 시스템 관리의 가장 큰 난점은 수입, 지출내역등 거래내역을 가계부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이 무척 귀찮고 번거롭다는 것이었었다. 그래서 왠만큼 굳은 의지의 소유자가 아니고서는 그 입력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힘들었고 대부분 작심삼일 길게는 몇달 정리하다가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인터넷뱅킹이 대중화되면서 은행계좌나 신용카드의 거래내역만을 가지고 가계부를 정리하고 이와 연동해서 개인의 자산을 관리해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고 은행권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현재에도 제공되고 있다. 은행의 경우 자사의 거래정보는 DB에서 바로 뽑아와 가계부 시스템에 입력하고 타사의 거래정보의 경우 웹스크래칭을 이용하여 거래내역을 긁어와 자사의 가계부 시스템에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상적일 것 같았던 이러한 방법에도 문제점이 있다. 즉, 서비스를 하는 자사의 경우는 DB에서 직접 데이터를 가져옴으로써 문제가 없지만, 타 은행이나 신용카드사 거래내역 데이터의 경우, 해당회사가 홈페이지 개편이나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의 이유로 계좌거래내역을 보여주는 홈페이지 출력부분 HTML문장을 바꾸었을 경우 웹스크래칭에 오류가 생겨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경쟁관계에 있는 은행,신용카드사에서 고의로 타사의 웹스크래칭 로봇(robot)이 자사의 계좌정보를 긁어가지 못하도록 시스템 적으로 훼방을 놓는 경우도 있어 왔었다. 그래서 해당 가계부 시스템을 사용하다보면 짧게는 몇 주일 길게는 한두달 사이에 타사의 계좌정보 거래 내역을 가져 오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하곤 한다. 이경우 사용자는 일일이 수동으로 거래내역을 입력하거나 오류가 수정될때까지 기다리는 불편을 감수해야만 한다.
현재 은행계좌를 통합관리하자는 움직임도 있고 시스템도 구축중인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은행뿐 아니라 신용카드, 증권사등 제1금융권, 제2금융권을 합하여 개인의 금융거래 내역을 통합 관리한다는 것은 풀어야할 난제가 많아 쉽지 않은 일이라 판단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한 경제주체가 자신의 금융거래의 입출금내역을 직접 손쉽게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타 입력의 전체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4,5,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 복사 붙이기한 입력값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류방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입력방법이 어떻게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 실제 구현 될 수 있는지 구현의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은 '도 1 발명의 대표 설명도'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뱅킹 거래내역을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이하 가계부 시스템이라 명함)에 입력한다고 했을 경우, 사용자가 해당은행의 인터넷뱅킹에 접속하여 거래내역 보기 화면을 출력한후 해당 내역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카피하고(1단계) 가계부 시스템의 입력화면에 붙이기하여(2단계) 이를 가계부 시스템에 전송하면 시스템에서 자동 파싱하거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파싱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값 분류 및 보정을 실시한다. (3단계) 마지막으로 분류된 데이터를 가계부 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입력하고 저장함으로써(4단계), 개인의 가계부 내역이 쉽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중 어떻게 복사 붙이기한 데이타를 파싱하는지에 대한 방법, 3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부분은 본 발명 타당성을 뒷바침하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적으로 예시하는 부분으로 실제적인 발명의 권리부분은 청구항에서 표현될 것이다.
대부분의 은행 인터넷뱅킹이나 신용카드사등의 거래내역보기등의 웹페이지는 테이블의 형태로 그 내역을 보여준다. 외형은 표모양이지만 소스를 보면 내부적으로 테이블은 <table><tr><td></td></tr></table>이란 HTML Tag로 이뤄져 있다. 기존의 웹스크래칭의 경우 이러한 테이블 소스의 규칙적인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분류 해왔다. 상기 소스를 분류하는 방법은 소스에 규칙적인 패턴이 있으므로 어렵지 않게 가능하지만 브라우저상에 표현된 테이블의 값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한 후 카피해서 그내용을 붙이기 하여 입력값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규칙성을 찾아내기 쉽지 않다.
카피한 값을 ASCII코드로 분석해보면 <TD> TAG로 만들어지는 부분, 즉 테이블의 칼럼을 구성하는 각 칸의 분리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에 ASCII코드로 32번(SPACE), 즉 공백이 카피하여 붙이기한 값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 행의 구분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ASCII코드 13번(CR)과 10번(LF)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규칙은 각 칼럼이 공백(SPACE)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혹은 칼럼의 길이, 반복되는 패턴등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칼럼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카피한 값에 대해 공백을 구분자(Delimiter)로 사용하여 분류후 이를 가계부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도 2 분류방법예시1' 에서 그 내용를 부연 설명 하였다.
두번째 카피한 값의 칼럼에서 규칙성을 찾아낼 수 없을 경우에 위의 공백만을 가지고는 분류에 성공할 수 없다. 이 경우 공백으로 구분되는 각 문장의 내용을 가지고 결정이 가능한 칼럼을 먼저 구분한 후 구분이 모호한 칼럼을 이미 결정된 칼럼을 기준으로 잘라서 구분하는 밥법을 사용한다. 즉, 예를 들어 은행계좌 사용내역이나 신용카드거래내역의 경우 항상 거래날자, 사용금액이 출력되는데 거래날자와 사용금액에는 상식적으로 공백이 들어가지 않으며 특히 날자와 사용금액의 경우엔 대부분 기호와 숫자로만 해당 칼럼이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고 이를 가계부 시스템이나 자산관리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도 3,4,5,6의 분류방법예시2' 에서 그 절차를 상세히 표현하였다.
이러한 복사, 붙이기를 이용한 입력방법은 현실세계에서 실제 가계부 시스템의 서비스시 모든 은행, 신용카드 회사의 거래내역 출력페이지의 복사 붙이기 대해 일률적으로 하나의 분류방법을 가지고 적용할 수 없으며 각 은행별, 신용카드회사별로 분류방법을 미리 가계부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은행이나 신용카드회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비스 주체가 미리 세팅해 놓은 금융기관별 분류방법에 따라 자신이 거래하는 회사을 선택하여 가계부 시스템에 수입, 지출 현황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는 '도 4 미리 정의된 입력방법예시'에서 그 개념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경우에도 불시에 은행이나 신용카드회사에서 거래내역 출력 테이블의 형태를 바꿨을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가 이를 알아채고 분류 방법을 다시 재분석하여 제공하기 전까지 사용자는 수입지출 내역을 가계부 시스템에 입력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출력 테이블의 형태가 변경되어 정상적으로 입력이 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스스로 분류방법을 위자드(Wizard)의 형태로 제공되는 메뉴에서 구성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도 5 데이터 분류 위자드 예시'에서 그 개념을 화면인터페이스의 형태로 표현하였다.
가계부 작성은 최근 급증하는 가계부실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유할 수 있고 개인의 자산증식에 대단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계부작성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못하고 있는 이유는 수입, 지출 항목 입력의 번거로움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자 가계부의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대량의 은행계좌 입출금내역, 신용카드 결재내역등의 데이터를 가계부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수동입력으로 할 경우에는 적게는 20~30분에서 많게는 2~3시간 걸리던 것이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아무리 많은 데이터라도 2,3분이면 입력이 가능하다.
표 1. 입력방법별 입력시간 비교
입력항수 수동입력 본 발명의 입력방법
1개 2분 2분
10개 20분 2분
100개 3시간20분 3분
본 발명은 다른 입력방법을 병행하지 않고 이 입력방법만을 사용해서도 충분히 가계부의 관리가 가능하고, 기존에 이미 가계부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던 회사의 경우에도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웹스크래칭으로 긁어오는 방법등과 병행하여 이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웹스크래칭이 실패할 경우 기존의 서비스에서는 수동으로 일일이 입력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가 오류를 수정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이 발명에서 고안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대량의 데이터를 원하는때에 즉시 손쉽게 가계부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온라인, 오프라인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이후 가계부 시스템이라 명함)에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서
    은행, 신용카드회사, 증권회사등 금융기관 금전 거래 내역을 표의 형태로 제공하는 전자적 서비스의 출력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복사하는 제 1 단계;
    1단계에서 복사한 내용을 가계부 시스템의 입력창에 붙이기 입력하는 제 2단계;
    2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정의된 방법으로 자동으로 분류(parsing)하거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분류방법을 정의하여 분류하는 3단계;
    3단계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계부 시스템에 저장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계부 시스템 입력 방법
KR1020030002906A 2003-01-16 2003-01-16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KR20030011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06A KR20030011386A (ko) 2003-01-16 2003-01-16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06A KR20030011386A (ko) 2003-01-16 2003-01-16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386A true KR20030011386A (ko) 2003-02-07

Family

ID=2773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906A KR20030011386A (ko) 2003-01-16 2003-01-16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138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7495A (ja) * 1994-09-16 1996-04-02 Ibm Japan Ltd 表データのカット・アンド・ペースト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H10207884A (ja) * 1997-01-24 1998-08-07 Pfu Ltd 原稿テキスト生成処理装置
KR20000037864A (ko) * 1998-12-02 2000-07-05 이계철 객체 연결 및 내장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
KR20010001589A (ko) * 1999-06-07 2001-01-05 정선종 월드 와이드 웹과 문서 병합 기능을 이용한 문서 이용 방법
JP2001357343A (ja) * 2000-04-14 2001-12-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子スプレッドシートにおける絶対セル参照又はセル範囲参照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191033A1 (en) * 2001-06-15 2002-12-19 Scott Roberts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hierarchical dat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7495A (ja) * 1994-09-16 1996-04-02 Ibm Japan Ltd 表データのカット・アンド・ペースト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H10207884A (ja) * 1997-01-24 1998-08-07 Pfu Ltd 原稿テキスト生成処理装置
KR20000037864A (ko) * 1998-12-02 2000-07-05 이계철 객체 연결 및 내장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
KR20010001589A (ko) * 1999-06-07 2001-01-05 정선종 월드 와이드 웹과 문서 병합 기능을 이용한 문서 이용 방법
JP2001357343A (ja) * 2000-04-14 2001-12-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子スプレッドシートにおける絶対セル参照又はセル範囲参照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191033A1 (en) * 2001-06-15 2002-12-19 Scott Roberts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hierarchical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classifying a financial transaction
CN110428322A (zh) 一种业务数据的适配方法及装置
İçellioğlu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volatility of cryptocurrencies by means of heterogeneous panel data analysis
Lytvyn et al. Development of the system to integrate and generate content considering the cryptocurrent needs of users
CN111382279A (zh) 审单方法和装置
CN107679977A (zh) 一种基于语义分析的税务管理平台及实现方法
US20220398573A1 (en) Machine learning classifier based on category modeling
KR10209275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회계 관리시스템
KR100494975B1 (ko) 스크린 스크래핑 기술을 이용한 고객 자산 관리 방법 및시스템
Serbout et al. From openapi fragments to api pattern primitives and design smells
Martinčević et al. Accounting and tax regulation of cryptocurrencies
JP4373642B2 (ja) 取引先要項システム、取引先動向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ssarino Participatory development and liberal reforms in Tunisia: the gradual incorporation of some economic networks
KR20030011386A (ko)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KR20150097837A (ko) 계정추천 및 전표생성을 위한 패턴생성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090063805A (ko) 불법 금융 거래 정보를 관리하고 혐의 거래의 확인과보고서 작성 및 등록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시스템
Hossain et al. Automated tax return verification with blockchain technology
Honest Blockchain concept and its area of applications
Syaifuddin et al. A meta-analysis of big data security: using blockchain for one data governance, case study of local tax big data in Indonesia
CN102567819A (zh) 金融发票数据处理方法
Zhauniarovich et al. Characterizing Bitcoin donations to open source software on GitHub
Singh et al. Implementing Benford’s law in continuous monitoring applications
US11803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software data lineage
CN102958017B (zh) 一种应用于企业erp中短信交互方法及装置
CN102542366A (zh) 金融发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