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44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10448A KR20030010448A KR1020010069073A KR20010069073A KR20030010448A KR 20030010448 A KR20030010448 A KR 20030010448A KR 1020010069073 A KR1020010069073 A KR 1020010069073A KR 20010069073 A KR20010069073 A KR 20010069073A KR 20030010448 A KR20030010448 A KR 200300104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communication
- call
- communication terminal
- signal
- transmit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출되었을 때 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용이하게 알리도록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송신기가 단말기의 이어폰 또는 안테나에 장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출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수신기는 커플링된 해당송신기에서 발신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단하고 해당 송신기에서의 신호일 경우에만 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신호로 출력하여, 동일한 지역내에 다수의 송수신기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도 커플링된 해당수신기만이 동작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에서 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출 상태임을 모듈화된 수신기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진동, 발광, 발음 등의 방법으로 알려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상대와 육성 통화를 포함하여 문자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용으로 개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포켓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여 사용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착신 상태를 발음, 발광 또는 진동과 같은 모드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운전 중과 같은 경우에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핸드프리 기능이 부가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착신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가 발음 모드에서 호출되는 착신음을 감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중질서를 위하여 착신 알림 모드가 발광 또는 진공 모드로 전환되어서 가방 등에 보관되므로, 사용자는 착신에 따른 진동이나 발광을 인식하기 어렵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17650호에 "무선호출인식기능을 구비한 반지"가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00-20848호에 "반지형태를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1999-17650호는 무선호출 기지국이나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한 무선호출기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이나 빛으로 이를 알리도록 반지를 구성한 것이며, 2000-20848호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의해 착신 상태를 달리하여 알리기 위한 착신 표시를 달리함으로써 피호출자가 호출자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반지 형태의 무선호출 수신기를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기지국으로 피드백되는 응답신호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 및 검출하여 동작되는 것으로서, 이들 RF 신호를 수신하는 반지를 제작하는 것은 그 구성상 어려움과 제작상 어려움이 있고, 커플링되지 않은 인접한 수신기를 동작시킬 우려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송신기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수신기를 모듈화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알림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장치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목걸이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무선 이어폰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팔찌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기를 시계에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달기의 호출 알림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도 8의 송신부의 상세 회로도.
도 10은 도 8의 수신부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이동통신 단발기12 : 연결 포트
14 : 커넥터24 : 접속부
20 : 송신기30 : 수신기
41 : 센서42 : 입력부
43 : 마이크로프로세서44 : 송신부
16, 45, 51 : 안테나54 : 출력 제어부
55 : 호출 통보 선택부56 : 스피커
57 : 액추에이터58 : L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감지해서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송신기와, 상기 호출신호 송신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증폭한 후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 수 있는 통보신호로 출력하는 호출신호 수신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기가 커플링된 해당 송신기의 출력만을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어폰 연결 포트(12)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송신기(20)와 수신기(30)가 구성된다. 송신기(20)는 본체(22)와 와이어(26)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연결 포트(12)에 접속되는 접속부(24)로 구성되며, 접속부(24)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 포트(12)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송신기(20)의 인터페이스를 이룬다.
여기에서 송신기(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호출된 상태를 접속부(24)를 통한 신호의 감지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호출신호를 수신기(30)로 송출한다.
송신기(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에 삽입 방식으로 고정되는 착탈부(28)가 도 1과 같이 구성되거나, 이와 다르게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 또는 자석에 의한 자력에 의하여 도 2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 또는 일면에 고정되는 착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20)가 삽입 방식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에 대응되는 송신기(20)의 일면에 착탈부(28)가 형성되며, 착탈부(28)는 송신기(20)의 일면의 길이 방향 양변부에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착탈부(28)에 형성된 채널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면이 끼워짐으로써 송신기(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고정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송신기(20)가 접착력이나 자력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에 대응되는 송신기(20)의 일면에 접착제 또는 자석(도시되지 않음)이 구성되어야 한다. 물론 이때 자석이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일측 또는 일면은 자석과 결합될 수 있는 금속 부재 또는 자석이 대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되는 자석과 송신기에 구성되는 자석 또는 금속부재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자기적인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계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신기(20)는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의 충전시 접속을 위하여 형성된 핀과 결합되는 핀 결합부(미도시됨)나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상의 종단부에 구성되는 커넥터(14)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송신기(20)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 예로써 도 3과 같은 다른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안테나(16)와 리드선(27)으로 연결되게 송신기(20a)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송신기(20a)는 안테나(16)에 수신되는 신호를 센싱한다.
한편, 수신기(30)는 도 1 내지 도 3와 같이 가방이나 포켓 등에 소지하기 편하도록 클립과 같은 고정부재가 일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기(30)는 사용자의 편리성이나 외관상 미려함을 고려하여 슬림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30)는 사용자의 이용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팬던트(목걸이)(100)에 결합될 수 있고, 도 5과 같이 이어링(12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팔찌(130)에 부착될 수 있고, 도 7과 같이 시계(140)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도 7과 같이 시계(140)에 수신기(30)가 채용되는 경우 내장형으로 시계(140)의 본체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수신기(20)는 송신기(10)에서 송출되는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도록 실시예가 구성되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유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는 호출신호의 수신시 발음, 발광 또는 진동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다음에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송신기(20) 및 수신기(30)의 구성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서 송신기(20)는 본체(22)의 내부 회로도의 블록도이며, 센서(41)는 도 1에 나타낸 접속부(24)와 와이어(26)로 연결되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 포트(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착신상태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송신기(20)는 센서(41), 입력부(42), 마이크로프로세서(43), 송신부(44), 및 안테나(45)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센서(4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 포트(12)로부터 착신되었을 때에 발생되는 신호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안테나에서 전파가 수신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호출신호를 신호 입력부(42)로 출력한다. 입력부(42)는 센서(41)로부터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43)로 출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입력부(42)로부터 복조된 호출신호를 디코딩하여 송신부(44)로 출력한다. 송신부(4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3)로부터 디코딩된 호출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43)를 통하여 무선으로 출력한다. 이때 송신부(44)가 발생시킬 수 있는 RF 신호로서는 AM, FM, PCM 등이 포함된다.
다음에 수신기(30)는 안테나(51), 수신부(52), 마이크로프로세서(53), 및 출력 제어부(54)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수신부(52)는 안테나(51)를 통해서 송신기(20)에서 송신되는 RF 신호를 변조 이전의 호출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3)로 전송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3)는 수신부(52)에서 전송된 호출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 제어부(54)로 출력시킨다. 출력 제어부(54)는 마이크로프로세서(53)로부터 전송된 디코딩된 호출신호를 사용자가 설장한 수신모드에 따라 출력시킨다.
이때, 출력 제어부(54)는 호출상태를 알리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모드를 선택하는 호출 통보 선택부(55), 호출 통보 선택부(55)에서 선택된 호출신호를 벨소리로 출력시키는 스피커(56), 호출 통보 선택부(55)에서 선택된 호출신호를 진동으로 출력시키는 액츄에이터(57) 또는 호출 통보 선택부(55)에서 선택된 호출신호를 빛으로 출력시키는 발광다이오드 LED(58)로 구성된다.
그래서, 스피커(56)는 호출 신호가 인가되면 발음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액츄에이터(57)는 호출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자(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켜서 진동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LED(58)는 호출신호가 인가되면 발광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송신부(44)와 수신부(52)의 상세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는 송신부(44)의 상세 회로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저항 R1의 한쪽 단자가 마이크로프로세서(43)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저항 R2는 저항 R1과 전원전압 Vcc 사이에 접속된다. 이러한 저항 R1, R2는 마이크로프로세서(43)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필터링한다.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는 저항 R1, R2의 공통접점에 접속되고 그것의 콜렉터는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며 그것의 콜렉터는 저항 R3의 한쪽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 R3은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와 노드 ND1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는 노드 ND1에 접속되고 그것의 콜렉터는 노드 ND2에 접속되며 그것의 에미터는 저항 R4의 한쪽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 R4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전압에 접속된다. 커패시터 C1은 노드 ND1과 커패시터 C4 및 C5의 공통 접점에 접속된다. 커패시터 C2는 노드 ND1과 크리스탈 오실레이터 Y1 사이에 접속된다. 여기서 저항 R3 및 트랜지스터 Q1은 센싱신호를 증폭하고, 커패시터 C1, C2는 증폭된 신호를 저장한다.
크리스탈 오실레이터 Y1은 접지전압과 커패시터 C2 사이에 접속되어 신호를 발진시킨다. 커패시터 C4의 한쪽 단자는 노드 ND2에 접속되고 커패시터 C4의 다른쪽 단자는 커패시터 C5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며 커패시터 C5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전압에 접속된다. 커패시터 C8은 전원전압 Vcc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고, 저항 R5의 한쪽 단자는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며, 저항 R5의 다른쪽 단자는 인덕터 L1의한쪽 단자와 커패시터 C3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인덕터 L1의 다른쪽 단자는 노드 ND2에 접속된다. 커패시터 C3은 인덕터 L1과 저항 R5의 공통접점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다. 여기서, 인덕터 L1, 커패시터 C3, C8 및 저항 R5는 출력 주파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 커패시터 C6의 한쪽 단자는 노드 ND2에 접속되고, 커패시터 C6의 다른쪽 단자는 인덕터 L2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며, 인덕터 L2의 다른쪽 단자는 안테나(45)에 연결되고, 커패시터 C7은 인덕터 L2와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다. 여기서, 커패시터 C6, C7 및 인덕터 L2는 노드 ND2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0에는 수신부(52)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출력단자(59)의 6번 핀은 안테나(51)로부터 호출신호를 입력받고, 출력단자(59)의 5번 핀은 접지전압에 접속되며, 출력단자(59)의 4번 핀은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고, 출력단자(59)의 3번 핀은 IC 칩(60)의 9번 핀에 접속되며, 출력단자(59)의 2번 핀은 접지전압에 접속되고, 출력단자(59)의 1번 핀은 수신부(52)의 출력신호를 전달한다.
IC 칩(60)의 1, 2번 핀에는 가변 인덕터 L3이 접속되고, 가변 인덕터 L3에는 커패시터 C9가 병렬로 접속된다. IC 칩(60)의 3번 핀과 11번 핀에는 커패시터 C10이 접속되고, IC 칩(60)의 4번 핀에는 커패시터 C1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는데 이 커패시터 C1의 다른쪽 단자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IC 칩(60)의 5번 핀에는 커패시터 C12의 한쪽 노드가 접속되고 커패시터 C12의 다른쪽 노드에는 접지전압이접속된다. IC 칩(60)의 6번 핀에는 저항 R6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저항 R6의 다른쪽 단자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IC 칩(60)의 7번 핀에는 접지전압 Vss가 접속된다. IC 칩(60)의 8번 핀에는 저항 R7, R8의 각각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는데, 저항 R7의 다른쪽 단자에는 전원전압 Vcc가 접속되고, 저항 R8의 다른쪽 단자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접속된다. 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에는 저항 R9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저항 R9의 다른쪽 단자에는 전원전압 Vcc가 접속되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저항 R9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의 공통접점에는 출력단자(59)의 1번 핀이 접속된다. IC 칩(60)의 9번에는 출력단자(59)의 3번 핀이 접속된다. IC 칩(60)의 10번 핀에는 커패시터 C16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커패시터 C16의 다른쪽 단자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IC 칩(60)의 11번에는 커패시터 C10이 접속된다. IC 칩(60)의 12번 핀에는 커패시터 C17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커패시터 C17의 다른쪽 단자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IC 칩(60)의 13번 핀에는 커패시터 C18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커패시터 C18의 다른쪽 단자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IC 칩(60)의 14번 핀에는 커패시터 C19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커패시터 C19의 다른쪽 단자에는 커패시터 C20이 접속되며, 커패시터 C20의 다른쪽 단자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커패시터 C20에는 인덕터 L6이 병렬로 접속되고 커패시터 C21은 커패시터 C19와 출력단자(59)의 6번 핀 사이에 접속된다. IC 칩(60)의 15번 핀에는 접지전압이 접속된다. IC 칩(60)의 16번 핀에는 저항 R1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저항 R11의 다른쪽 단자에는 저항 R10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며 저항 R10의 다른쪽 단자에는 인덕터 L5의한쪽 단자가 접속된다. 인덕터 L5의 다른쪽 단자드에는 전원전압 Vcc가 접속된다. 커패시터 C15는 저항 R10과 인덕터 L15 사이의 공통접점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고, 커패시터 C14는 저항 R10, R11의 공통접점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다. IC 칩(60)의 17번 핀에는 직렬로 순차적으로 커패시터 C13과 인덕터 L4가 접속되는데, 이 인덕터 L4는 저항 R11에 접속된다. IC 칩(60)의 18번 핀에는 전원전압 Vcc가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송신기(20)를 부착하고, 수신기(30)를 포켓 등에 소지하여 호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목걸이(100), 이어링(120), 팔찌(130), 시계(140) 등에 착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 3자가 사용자와 통화를 위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이동통신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호출이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어폰 연결 포트(12)를 통하여 착신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착신 신호를 센싱한 송신기(20)는 송신부(44)를 통하여 해당 수신기(30)가 선택할 수 있는 호출신호를 발생시켜서 안테나(45)를 통하여 무선으로 수신기(30)에 호출신호를 송신한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30)는 안테나(51)에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3)로 보내면 마이크로프로세서(53)는 복조된 신호를 다양한 호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제어부(54)로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 제어부(54)는마이크로프로세서(53)로부터 받은 다양한 호출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소리, 진동, 및 빛으로 출력한다.
일례로, 호출통보 선택부(55)에 의하여 수신기(30)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면, 호출신호가 스피커(56)로 전달되어 착신 상태가 벨소리로 알려져,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호출이 있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이 이루어졌을 때 사용자는 수신기의 벨소리, 진동, 발광 상태를 인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공공장소에서도 수신기를 착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자가 용이하게 착신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보다 용이한 착용 및 감지를 위하여 목걸이, 이어링, 머리핀, 팔찌, 시계 등에 적용될 수 있어서 그 사용상 편리함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이 많은 지역이나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수신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인식할 수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Claims (10)
-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려주는 무선 호출 인식장치에 있어서,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신호를 센싱하여 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 및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수신모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려주는 수신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기는,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하는 입력부;상기 입력부에서 복조된 호출신호를 디코딩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디코딩된 호출신호를 고주파 성분의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리드선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안테나에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센싱하여 착신상태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와이어로 연결된 접속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기는,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으로 수신하여 변조 이전의 호출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호출신호를 디코딩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디코딩된 호출신호를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모드에 따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제어부는,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호출신호의 출력경로를 결정하는 호출통보 선택부; 및상기 호출통보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호출신호를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모드의 통보신호로 출력하는 호출통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호출통보수단은, 통보음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발음수단; 진동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발진수단; 및 빛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상태를 알리는 발광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기는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상기 이동동신 단말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기는 시계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4471 | 2001-07-24 | ||
KR1020010044471 | 2001-07-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10448A true KR20030010448A (ko) | 2003-02-05 |
Family
ID=2771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9073A KR20030010448A (ko) | 2001-07-24 | 2001-11-07 |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1044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0268A (ko) * | 2003-06-23 | 2005-01-03 | 안정민 | 휴대폰의 착신알림장치 |
KR101105297B1 (ko) * | 2009-12-01 | 2012-01-17 | 한국과학기술원 | 팔찌형 개인정보 교환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4141A (ja) * | 1995-09-18 | 1997-03-28 | Casio Comput Co Ltd | 着信呼出装置 |
JPH09261302A (ja) * | 1996-03-21 | 1997-10-03 | Kyocera Corp | 携帯電話の着信通知システム |
KR19990007744A (ko) * | 1998-10-29 | 1999-01-25 | 박은화 | 핸드폰 착신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KR19990032060A (ko) * | 1997-10-16 | 1999-05-06 | 김성주 | 휴대폰의 착신 신호 인식 경보장치 |
KR200202133Y1 (ko) * | 2000-02-22 | 2000-11-15 | 주식회사창림정보통신 | 원격 진동자를 이용한 무선 알람 장치 및 무선 알람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 |
-
2001
- 2001-11-07 KR KR1020010069073A patent/KR200300104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4141A (ja) * | 1995-09-18 | 1997-03-28 | Casio Comput Co Ltd | 着信呼出装置 |
JPH09261302A (ja) * | 1996-03-21 | 1997-10-03 | Kyocera Corp | 携帯電話の着信通知システム |
KR19990032060A (ko) * | 1997-10-16 | 1999-05-06 | 김성주 | 휴대폰의 착신 신호 인식 경보장치 |
KR19990007744A (ko) * | 1998-10-29 | 1999-01-25 | 박은화 | 핸드폰 착신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KR200202133Y1 (ko) * | 2000-02-22 | 2000-11-15 | 주식회사창림정보통신 | 원격 진동자를 이용한 무선 알람 장치 및 무선 알람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0268A (ko) * | 2003-06-23 | 2005-01-03 | 안정민 | 휴대폰의 착신알림장치 |
KR101105297B1 (ko) * | 2009-12-01 | 2012-01-17 | 한국과학기술원 | 팔찌형 개인정보 교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6057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 incoming call notification for cellular phones | |
EP1770976A1 (en) | Communication method for a mobile telephone and telecom network | |
JPH07322350A (ja) | 親機と子機から成る携帯用移動電話機 | |
US20080268780A1 (en) | Wireless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2003218989A (ja) | 着信装置 | |
KR20030010448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
KR200249983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장치 | |
US20030083111A1 (en) | Compact mobile phone device with hook | |
JP2011097178A (ja) |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 |
KR20000054390A (ko) | 원격 착신 알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 |
JP4337718B2 (ja) | 着信検知装置、報知装置、着信検知装置の制御方法 | |
WO2000033468A1 (en) | Remote alerting device for incoming radio communications | |
KR200402242Y1 (ko) | 휴대폰 착신신호 인식 및 송 수신장치 | |
JP3038786U (ja) | 着信報知機能付き装身具 | |
KR20110008633A (ko) | 휴대폰 착신신호 감지장치 | |
JPH0276422A (ja) | 無線選択呼出受信機 | |
KR200382874Y1 (ko) | 핸드폰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는 별도의 액세서리형식의 장치 | |
KR200398913Y1 (ko) | 발신자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위한 이어폰셋트 | |
KR200225458Y1 (ko) | 필기구 겸용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 |
AU2010101481A4 (en) | Mobile Phone Alert Device | |
KR200315164Y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알림 시스템 | |
JP3037151U (ja) | 呼出報知装置 | |
KR200427211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알람 벨트 | |
KR200278636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수신 감지장치 | |
KR200172528Y1 (ko) | 휴대폰용 통화상태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